{{{#!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color: #C3C96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메이지 시대| 메이지 시대 ]] | |||
<rowcolor=#C3C965>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
이토 히로부미 | 구로다 기요타카 | 야마가타 아리토모 | 마쓰카타 마사요시 | |
<rowcolor=#c3c965> 제5대 | 제6대 | 제7대 | 제8대 | |
이토 히로부미 | 마쓰카타 마사요시 | 이토 히로부미 | 오쿠마 시게노부 | |
<rowcolor=#C3C965> 제9대 | 제10대 | 제11대 | 제12대 | |
야마가타 아리토모 | 이토 히로부미 | 가쓰라 다로 | 사이온지 긴모치 | |
<rowcolor=#C3C965> 제13대 | 제14대 | |||
가쓰라 다로 | 사이온지 긴모치 | |||
[[다이쇼 시대| 다이쇼 시대 ]] | ||||
<rowcolor=#C3C965> 제15대 | 제16대 | 제17대 | 제18대 | |
가쓰라 다로 | 야마모토 곤노효에 | 오쿠마 시게노부 | 데라우치 마사타케 | |
<rowcolor=#C3C965> 제19대 | 제20대 | 제21대 | 제22대 | |
하라 다카시 | 다카하시 고레키요 | 가토 도모사부로 | 야마모토 곤노효에 | |
<rowcolor=#C3C965> 제23대 | 제24대 | 제25대 | ||
기요우라 게이고 | 가토 다카아키 | 와카쓰키 레이지로 | ||
[[쇼와 시대| 쇼와 시대전전 ]] | ||||
<rowcolor=#C3C965> 제26대 | 제27대 | 제28대 | 제29대 | |
다나카 기이치 | 하마구치 오사치 | 와카쓰키 레이지로 | 이누카이 쓰요시 | |
<rowcolor=#C3C965> 제30대 | 제31대 | 제32대 | 제33대 | |
사이토 마코토 | 오카다 게이스케 | 히로타 고키 | 하야시 센주로 | |
<rowcolor=#C3C965> 제34대 | 제35대 | 제36대 | 제37대 | |
고노에 후미마로 | 히라누마 기이치로 | 아베 노부유키 | 요나이 미쓰마사 | |
<rowcolor=#C3C965> 제38·39대 | 제40대 | 제41대 | 제42대 | |
고노에 후미마로 | 도조 히데키 | 고이소 구니아키 | 스즈키 간타로 | |
[[쇼와 시대| 쇼와 시대전후 ]] | ||||
<rowcolor=#C3C965> 제43대 | 제44대 | 제45대 | 제46대 | |
시데하라 기주로 | 요시다 시게루 | 가타야마 데쓰 | ||
<rowcolor=#C3C965> 제47대 | 제48-51대 | 제52-54대 | 제55대 | |
아시다 히토시 | 요시다 시게루 | 하토야마 이치로 | 이시바시 단잔 | |
<rowcolor=#C3C965> 제56·57대 | 제58-60대 | 제61-63대 | 제64·65대 | |
기시 노부스케 | 이케다 하야토 | 사토 에이사쿠 | 다나카 가쿠에이 | |
<rowcolor=#C3C965> 제66대 | 제67대 | 제68·69대 | 제70대 | |
미키 다케오 | 후쿠다 다케오 | 오히라 마사요시 | 스즈키 젠코 | |
<rowcolor=#C3C965> 제71-73대 | 제74대 | |||
나카소네 야스히로 | 다케시타 노보루 | |||
[[헤이세이 시대| 헤이세이 시대 ]] | ||||
<rowcolor=#C3C965> 제75대 | 제76·77대 | 제78대 | 제79대 | |
우노 소스케 | 가이후 도시키 | 미야자와 기이치 | 호소카와 모리히로 | |
<rowcolor=#C3C965> 제80대 | 제81대 | 제82·83대 | 제84대 | |
하타 쓰토무 | 무라야마 도미이치 | 하시모토 류타로 | 오부치 게이조 | |
<rowcolor=#C3C965> 제85·86대 | 제87-89대 | 제90대 | 제91대 | |
모리 요시로 | 고이즈미 준이치로 | 아베 신조 | 후쿠다 야스오 | |
<rowcolor=#C3C965> 제92대 | 제93대 | 제94대 | 제95대 | |
아소 다로 | 하토야마 유키오 | 간 나오토 | 노다 요시히코 | |
<rowcolor=#C3C965> 제96-98대 | ||||
아베 신조 | ||||
[[레이와 시대| 레이와 시대 ]] | ||||
<rowcolor=#C3C965> 제99대 | 제100·101대 | 제102·103대 | ||
스가 요시히데 | 기시다 후미오 | 이시바 시게루 | ||
← 태정대신 섭관 · 원정 · 헤이케 · 가마쿠라 · 무로마치 오다 · 도요토미 · 에도 · 내무경 · 총리 | }}}}}}}}} |
가토 다카아키 관련 틀 | ||||||||||||||||||||||||||||||||||||||||||||||||||||||||||||||||||||||||||||||||||||||||||||||||||||||||||||||||||||||||||||||||||||||||||||||||||||||||||||||||||||||||||||||||||||||||||||||||||||||||||||||||||||||||||||||||||||||||||||||||||||||||||||||||||||||||||||||||||||||||||||||||||||||||||||||||||||||||||||||||||||||||||||||||||||||||||||||||||||||||||||||||||||||||||||||||||||||||||||||||||||||||||||||||||||||||||||||||||||||||||||||||||||||||||||||||||||||||||||||||||||||||||||||||||||||||
|
일본 제국 제24대 내각총리대신 가토 다카아키 [ruby(加, ruby=か)][ruby(藤, ruby=とう)] [ruby(高, ruby=たか)][ruby(明, ruby=あき)][구자체]| 加藤高明 [신자체] | Katō Takaaki | |||
<colbgcolor=#0230AE><colcolor=#c3c965> 출생 | 1860년 1월 25일 | ||
오와리국 카이토군 사야정 (현 아이치현 아이사이시) | |||
사망 | 1926년 1월 28일 (향년 66세) | ||
도쿄부 도쿄시 (현 도쿄도) | |||
재임기간 | 제24대 내각총리대신 | ||
1924년 6월 11일 ~ 1926년 1월 28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230AE><colcolor=#c3c965> 가족 | 이와사키 야타로 (장인) 이와사키 키세 (장모) 가토 하루지 (아내)[3] 시데하라 기주로 (동서) | |
학력 | 아이치현립 제1중학교 (졸업) 나고야 양학교 (졸업) 도쿄대학 법학부 (법학 / 학사) | ||
작위 | 백작 | ||
정당 | |||
약력 | 미쓰비시 부사장 오쿠마 시게노부 비서관 주영국 일본전권공사 제15·18·25·27대 외무대신 초대 입헌동지회 총재 귀족원 의원 초대 헌정회 총재 제24대 내각총리대신 | }}}}}}}}} |
[clearfix]
1. 개요
일본의 정치인, 외교관, 제24대 내각총리대신을 지냈다.재산과 관계 없이 25세 이상 성인남자에게 선거권을 부여하는 보통 선거를 실시했으나, 치안유지법을 통과시킨 장본인이기도 하다.
후임 총리인 와카쓰키 레이지로가 다이쇼 시대의 마지막 총리이자 쇼와 시대의 첫 총리이기 때문에 가토 다카아키가 사실상 다이쇼 시대의 마지막 총리이기도 하다. 상기한 보통선거와 치안유지법이 상징하듯 다이쇼 데모크라시의 절정과 끝을 상징하는 인물.
2. 생애
2.1. 어린 시절
가토 다카아키는 오와리 번[4]의 하급 무사 집안의 차남(次男)으로 태어났지만, 곧 외가 쪽의 양자로 들어갔다. 1881년 7월에 (구제) 도쿄대학 법학부를 수석으로 졸업했다. (현재의 신제 도쿄대학과 구별할 필요가 있다.)2.2. 미쓰비시 생활
그런데 그는 그 당시 엘리트들이 통상적으로 밟는 관료의 길로 가지 않고, 민간회사인 미쓰비시에 취직하고 영국지사에서 생활을 했다고 한다. 1886년에 귀국한 뒤로 미츠비시의 부사장에 취임하여[5], 기업인으로서의 생활을 이어갔다.2.3. 외교관 및 정치인 생활
1887년에 오쿠마 시게노부 외무대신의 비서관으로 이직을 했고, 이후 6년이나 주(駐)영국 일본공사를 맡았으면서 일본의 대표적인 친영파가 되었는데, 단순히 친영 정도가 아니라 영빠 수준으로 영국의 의회정치제도를 흠모했음은 물론, 영일동맹만 있으면 다른 모든 것은 깽판쳐도 좋다는 사고를 고수하여 후일 러일동맹, 불일동맹, 중일, 미일 우호관계 설립을 요구하던 야마가타 아리토모와 격렬한 마찰을 빚게 된다. 1900년에는 이토 히로부미의 제4차 내각 하에서 외무대신(1900년 ~ 1901년)을 맡고 외교관으로서 승승장구했으며 생애 4차례나 외무대신을 맡았다. 영빠답게 외교도 영국식으로 원로와 군부의 간섭없는 외교의 일원화를 주장하며 외무성이 독립적인 정책을 펼쳐야 한다며 원로들의 간섭에 강력하게 저항했다. 이것까진 좋은데 그렇게 얻은 독립성으로 제국주의 정책을 펼친게 문제....1911년에는 2차 사이온지 내각, 1913년에는 3차 가쓰라 다로 내각의 외무대신으로 입각했으며, 가쓰라 다로의 야당인 '입헌동지회(立憲同志会)'의 창당에 참여했고, 가쓰라가 죽은 후 입헌동지회 총리가 된다. 1914년에는 제2차 오쿠마 내각의 외무대신(1914년 ~ 1915년)을 맡으면서 캘리포니아의 일본인 이민 문제로 불거진 미국과의 외교적 마찰에 있어 온건한 입장을 취했던 기존의 야마모토 내각의 정책을 연약외교라고 비판, 기존 미일합의를 파기해버리면서 미국과 대립각을 세웠고, 일본 제국의 제1차 세계 대전 참전을 주도하여 칭다오, 남양군도 등 독일 식민지들을 공격적으로 점령하여 영국도 당황하게 만들었다.
이후 1915년, 악명높은 21개조 요구를 중국에 제출하여 이중 16개조를 받아냈다. 영미 등 열강의 경계를 사게 되었으며 야마가타 등의 원로들에게 "부드럽게 처리할 수 있는 일을 최후통첩 같은 무식한 방식을 동원해서 괜히 반일감정을 키웠다."라고 욕을 처먹게 됐다. 이미 1898년에 확립된 원로회람제도를 폐지해서 원로들의 외교문서 열람권을 없애버리고, 세계대전 참전, 러일동맹 수립, 런던선언 가입 건에서 사사건건 원로들과 각을 세우던 가토에 대한 원로들의 분노가 마침내 폭발하여 이노우에 가오루, 마쓰카타 마사요시 등이 모두 가토의 경질을 요구하며 오쿠마에게 가토를 쫓아내지 않으면 오쿠마 내각을 무너뜨리겠다고 위협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그리고 1915년 7월, 내무대신 오우라가 12대 총선에서 뇌물을 뿌린 것이 걸리자 원로들이 엄청나게 열받은 것을 눈치챈 가토는 그 핑계로 동반사퇴했다. 이후 외무대신직은 오쿠마 총리가 겸임하다가, 10월에 주불 일본공사 이시이 기쿠지로가 취임하였다.
해를 넘겨 1916년, 오쿠마는 퇴임하면서 가토를 후임 총리대신으로 천거했으나 야마가타 아리토모, 덴 겐지로 등 원로들은 입을 모아서 이를 무정견 그 자체로 맹비난했고, 데라우치 마사타케를 신임 총리로 천거했다. 결국 가토는 데라우치에게 연정을 제시하며 데라우치 내각에서 자리를 차지하려 했으나, 데라우치는 거국내각을 고집하는 한편, 고토 심페이 등 반 가토 인사들을 대거 중용하면서 명백히 가토를 물먹이는 인사를 강행하여 결국 가토와 데라우치의 연정 협상은 완전히 결렬되었다. 이후 가토는 외무대신 퇴임 이후 야마가타가 살아있는 동안은 공직에 나갈 엄두를 내지 못해 10년 동안 야인으로 지내야 했다. 1919년 파리 강화 회의가 개최되었을 때도 영국통인 가토가 단장으로 고려되었지만, 야마가타의 반대에 프랑스통인 사이온지(프랑스 소르본대학교 유학 경험이 있다.)가 대사 단장이 되었다.
2.4. 내각총리대신 취임
24대 총리 취임 후 |
한편 1925년에는 '치안유지법'을 통과시켰다. 당시 일본 내 식량 부족현상이 이어지는 터라 전국적으로 쌀 소동이 이어졌는데,[6] 가토 다카아키는 쌀 소동의 모든 책임을 공산주의자들에게 떠넘기고 대대적으로 탄압했다. 또한 공산주의자나 아나키스트가 중심이 된 사회운동(노동운동, 무정부운동 등)도 절멸시키려고 했다. 1925년 11월, 중국에서 장쭤린의 부하 궈쑹링이 반봉사건을 일으키자 처음에는 관여하지 않겠다는 성명을 발표했지만 궈쑹링이 일본의 특수권익을 존중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보이자 시라카와 요시노리 관동군 사령관에게 지시하여 반봉사건 진압에 협조하도록 하였다.
그러다가 1926년 1월 22일에 일본제국 의사당에서 폐렴이 악화되어 쓰러졌고, 6일 뒤인 1월 28일에 66세를 끝으로 사망했다. 사망 직후부터 이틀간 와카쓰키 레이지로 당시 내무대신이 권한대행하다가 1월 30일에 총리직을 승계하였다. 이후 다이쇼 덴노가 붕어하고 쇼와 덴노가 즉위하여 와카쓰키 총리는 다이쇼 시대와 쇼와 시대의 연결자가 되었다.
3. 여담
최초의 도쿄대학 출신 내각총리대신이다. 그래서 학사 학위를 보유한 최초의 총리이기도 하다.제44대 시데하라 기주로 총리와는 동서지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