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2-22 22:29:18

간선급행버스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간선급행버스체계(BRT)에 대한 내용은 간선급행버스체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경기도의 간선급행버스(폐지)
1.1. 개요1.2. 상세1.3. 폐지1.4. 역대 노선 목록
2. 서울특별시의 간선급행버스3. 인천광역시의 간선급행버스
3.1. 운임
4. 세종특별자치시의 간선급행버스5. 관련 문서

1. 경기도의 간선급행버스(폐지)

{{{#!wiki style="margin:-10px auto"<tablewidth=31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4097>
파일:경기도 휘장_청색바탕용.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경기도지사 정책 브랜드
김문수 간선급행버스
경기순환버스
남경필 경기도 급행버스 (舊 굿모닝버스)
맞춤형버스 (舊 따복버스)
이재명 경기 프리미엄버스
경기도 공공버스
김동연 버스
}}}}}}}}} ||

1.1. 개요

경기도의 前 급행버스 브랜드. 김문수경기도지사의 교통정책이다.

1.2. 상세

기존 직행좌석버스가 등장초기와는 달리 정류장이 상당히 많이 늘어난데다 고속도로의 상습정체로 인해 본래 목적인 목적지로의 빠른 이동이 퇴색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출근시간 한정으로 급행버스를 운행하였는데, 이는 오히려 제법 좋은 결과를 이끌어냈는지 급행버스를 상시 운행하게 되었는데, 이는 간선급행버스의 탄생이다.

기존 수십개에 달하던 정류장 개수를 출발하는 시/군에서는 5개 내외의 정류장에만 정차하고, 대부분의 직행좌석버스가 이용하는 경부고속도로에 버스중앙차로 설치 등을 통해 기존 노선보다 빠른 시간에 목적지에 도달하게 만들었다. 간선급행이 반응이 제법 괜찮아 국토교통부가 주관하는 광역급행버스(M버스)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다만 정류장이 적어 기존 직행좌석버스에 비해 수익성이 그렇게 좋은 편은 아닌지라 폐선이나 노선통합이 잦은 편이다. 그리고 인근 주민들의 민원으로 정류장이 늘어나서 직행좌석버스와 별 차이점이 없어져버린 노선들도 꽤 된다.

간선급행은 8xyz 형태의 번호를 부여받는데, 이는 서울시내버스처럼 x는 출발지, z는 도착지이다. 일부 노선은 y에 중간 경유지를 표시한다. 번호 부여체계는 아래와 같다. 단 김포 8000번, 화성 8155번, 화성 8156번, 화성 G8157번, 부천 G8808번, 광명 8507번등은 번호가 8로 시작하지만 간선급행버스가 아니다.[1]
숫자 출발지 도착지
0 남양주시, 가평군 서울역
1 성남시 강남역
2 용인시[2] 잠실역
3 수원시, 오산시, 화성시 건대입구역[3]
4 군포시, 안양시, 의왕시, 수원시[4] 청량리역
5 화성시[5]
6 김포시, 부천시
7 고양시, 수원시[6] 사당역[7]
8 파주시, 수원시[8]
9 고양시[9], 의정부시, 양주시

1.3. 폐지

2021년 8월 1일부로 간선급행버스 브랜드가 폐지되었다. 현재 급행버스는 직행좌석버스 등급인 경기도 공공버스로 개통되고 있으며, 마지막으로 남은 노선들도 모두 공공버스로 전환되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공공버스로 전환된 노선도 변함 없이 운행중이다.

1.4. 역대 노선 목록

2. 서울특별시의 간선급행버스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체계에서는 간선급행버스라는 개념이 없다. 하지만 광역버스 9714번은 구 8880번[11]과 공동배차를 위해 만들어진 노선이기도 하고 다른 광역버스 노선에 비해서 정차하는 정류장 수가 매우 적기 때문에 사실상 간선급행버스로 취급된다.

3. 인천광역시의 간선급행버스

{{{#!wiki style="margin:-10px auto"<tablebordercolor=#f72f08><tablealign=center><tablewidth=310>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인천광역시
}}}
[[틀:인천광역시 공항버스|
공항
]] [[틀:인천광역시 광역버스|
광역
]] [[틀:인천광역시 좌석버스|
좌석
]] [[틀:인천광역시 급행간선버스|
급행
]] [[틀:인천광역시 간선버스|
간선
]] [[틀:인천광역시 지선버스|
지선
]] [[틀:인천광역시 마을버스|
마을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colbgcolor=#f72f08><colcolor=#fff> 광역
급행
서울역
강남역
양재역 회차
기타
3000
(신촌역)
7700[A]
(화곡역)
영흥직행[A]
(영흥도)
[A] 별도의 운임 체계를 적용하는 노선
[B] 인천광역시 면허가 아닌 노선
}}}}}}}}} ||

인천 청라국제도시 - 서울 화곡역을 잇는 인천 버스 7700이 유일한 간선급행버스(BRT)로, 인천광역시 공기업인 인천교통공사에서 운영중이며, 차량은 전중문형 4대를 제외하고는 전부 전문형이다.

3.1. 운임

인천광역시 간선급행버스는 2010년도 경 인천광역시 광역버스 운임과 똑같다.

또한, 06시 30분 이전에 탑승하면 적용되는 조조할인이 없다.
구분 현금 교통카드
일반 2,600원 2,600원
청소년 1,800원 1,800원
어린이 1,200원 1,200원

4. 세종특별자치시의 간선급행버스

B0, B1, B2, B3, B4, B5 6개 노선이 운영중이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바로타(BRT)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관련 문서


[1] 8155번은 시외버스에서 형간전환되었고 8156번과 G8157번은 8155번의 파생노선이다. 8507번은 8(바)5(로)0(열)7(차) 이라는 의미로 지은 번호이기 때문이다.[2] 8201의 폐선으로 '2'로 시작하는 번호의 간선급행버스는 없어졌다.[3] 8133의 폐선으로 '3'으로 끝나는 번호의 간선급행버스는 없어졌다.[4] 8409가 의왕에서 수원으로 출발지가 바뀌었으나 번호는 바뀌지 않았다.[5] 본래 출발지 번호가 3이였으나 8501번을 보면 5로 변경된 듯.[6] 지금은 폐선된 수원 - 사당역 간선급행인 8387번의 개통당시 번호가 8787이었다.[7] 8387의 폐선으로 '7'로 끝나는 번호의 간선급행버스는 없어졌다. 화성 버스 8155광명 버스 8507은 일반 직행좌석버스.[8] 용남고속이 뜬금없이 수원터미널-서울역 노선번호를 8800번으로 받아버렸다.[9] 성남-고양간 경기순환버스가 8109를 받았다.[10] 직행좌석버스 6006번을 변경하여 만든 노선으로 위의 8012(남양주 구암리 - 잠실역)과는 관계없는 노선이다.[11] 7111 인가 변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