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소개
劇作科극작과 / 극작 전공
Department of Play Writing / Department of Dramatic Writing
대학에서 극본 창작(희곡, 드라마, 시나리오 등)과 비평 글쓰기를 전공하는 학과.
과거에는 희곡에만 국한된 교육과정이었지만, 2010년대에 들어 다른 분야(방송 미디어 등 대중매체)에 대한 창작도 가르치는 등 점차 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극작 전공은 순수문학이 아니라 연극, 드라마, 영화의 극문학을 공부한다. 교수들도 다양한 장르의 작가, 연출가 출신들로 이루어져 있다. 집필한 공연 대본(연극, 뮤지컬 등)은 무대화를, 영상 대본(영화, 드라마 등)은 영상화시켜야 비로소 완성된다는 점이 특징이다. 즉, 반드시 연출가, 무대/영상 스태프, 배우 등 타 전공과의 협업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따라서 극작 전공 학생들은 연극, 영화, 방송영상 등 타 전공의 제작 수업은 물론 외부 공연, 영상 대본에 거의 필수적으로 참여하는 편이다. 졸업 후에는 공연, 방송, 시나리오 등 극작가뿐 아니라 게임, 웹툰, 웹소설 분야로도 진출하고 있다. 그밖에 신춘문예를 비롯한 각종 문학상의 희곡, 시나리오 부문에서 활약 중이다.
대부분 예술대학 소속이며, 극작과나 극작전공으로 학과명이 정해진다.
대한민국에서 극작과를 최초로 개설한 학교는 극작가 유치진이 설립한 서울예술대학교이다. 현재는 문예학부 소속 극작전공(DRAMATIC WRITING)으로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전문대학과 일부 특수대학에 개설되어 있다. 자세한 사항은 해당 문단 참조.
2. 극작과의 발전과 변화
초창기: 희곡 중심의 극문학 교육과거 극작과는 희곡을 중심으로 한 교육과정을 운영했으며, 연극 대본 창작을 기본으로 삼았다. 극작은 공연 예술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으며, 극작가들은 주로 무대 공연을 목표로 작품을 창작했다.
현대: 다매체 시대의 극작 교육
2010년대 이후 영상 콘텐츠의 발전과 OTT 플랫폼의 부상으로 극작 교육의 영역이 확대되었다. 전통적인 연극 대본뿐만 아니라 영화, 드라마, 웹드라마, 애니메이션, 게임 시나리오, 웹소설, 웹툰 스토리 등 다양한 미디어에서 활용되는 극본 창작을 배우는 것이 일반화되었다. 이에 따라 극작과 학생들은 단순한 희곡 창작을 넘어 여러 플랫폼에서 극적인 스토리텔링을 구상하고, 대중성과 작품성을 동시에 고려하는 능력을 배양해야 한다.
3. 타 학과와의 비교
극작과는 주로 극본 작가 지망생들이 진학하는 학과이므로, 일반적인 취업 경쟁에 크게 개의치 않는 학생들이 많다.극작과 재학·졸업생이라 해도 나이를 불문하고 등단 확률 자체는 그리 높지 않다. 보통 한 학번에 2~3명 정도가 재학 중 등단하고, 졸업생 중에서는 잘 버티는 자가 보통 등단한다.
가장 관계가 애매한 곳이 문예창작과와 영화과인데, 문창과는 문학을 창작한다는 점에서 유사하지만, 시와 소설을 중심으로 창작하는 순수 예술적 성격이 강하다. 그에 비해 극작과는 문학인 희곡을 중심으로 창작할 뿐만 아니라 방송 영상 콘텐츠 대본을 써내는 데에 중점을 두고 있는, 매체친화적인 학과라고 할 수 있다. 다르게 설명하면 문예창작과는 문학 창작이 중심이고, 극작과는 극창작, 극문학, 매체창작에 방점이 찍혀 있다는 것. 좋은 문학이 늘 극적인 것은 아니기에, 극적 구조의 유무가 둘의 차이를 결정한다고 보면 된다. 마찬가지로 영화과는 매체 콘텐츠인 시나리오를 창작한다는 점에서 유사하지만, 연출과 제작을 중심으로 수업이 이루어지는 성격이 강하다.
결국 이름부터 극작과인만큼 극적 서사의 유무와 매체성 유무, 그리고 연출 유무가 각 전공의 차이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자신이 시인이나 소설가가 되고싶다면 문예창작과, 영화감독이나 스테프가 되고잎다면 영화과, 극작가나 드라마 작가, 시나리오 작가, 뮤지컬 작가, 방송작가, 웹소설 작가, 게임 스토리 작가, 웹툰 스토리 작가가 되고싶다면 극작과에 입학하면 된다.
4. 배우는 것들
극작 이론과 실습을 주로 배운다.교수진의 경우 대부분 국어국문, 문예창작, 연극, 영화, 극작을 전공했다.
1. 희곡 쓰기, 읽기, 비평, 분석
- 희곡창작기초, 희곡창작연습, 희곡창작실습, 명작희곡강독, 희곡분석 등
2. 드라마 각본 쓰기, 읽기, 비평, 분석
- 드라마창작기초, 드라마창작연습, 드라마창작실습, 영상서사와 장르의 이해 등
3. 영화 시나리오 쓰기, 비평, 분석
- 시나리오창작기초, 시나리오창작연습, 시나리오창작실습, 매체분석 등
4. 드라마 캐릭터 심리 분석
- 드라마와 인간심리, 취재필드워크, 캐릭터연구 등
5. 아동극 및 청소년극 창작, 분석
- 아동청소년극창작연습, 아동청소년극창작실습 등
6. 뮤지컬 각본 쓰기, 읽기, 비평, 분석
- 뮤지컬컨텐츠창작연습, 뮤지컬컨텐츠 창업프로젝트 등
7. 웹 컨텐츠 쓰기, 읽기, 비평, 분석
- 뉴미디어스토리텔링 등
8. 스토리텔링 구조 분석
극작은 단순히 글쓰기로 완성되는 것이 아니라 연출, 배우, 무대 및 영상 스태프와의 협업을 통해 구현되어야 하는 실용적 예술 분야다.
따라서 극작 전공 학생들은 연극학과, 영화과, 방송영상학과 등의 제작 수업에 적극 참여하며, 외부 공연 및 영상 프로젝트에도 필수적으로 관여하는 경우가 많다.
5. 학과 분위기
학풍은 대개 자유로운 편이며, 여성의 비율이 매우 높은 학과이다. 합평은 꼭 이루어진다.즉, 강의 시간마다 누구든지 입을 열어야 하는 것이다. 또한 시, 소설을 쓰는 문예창작과와는 달리 다른 학과들과의 협업이 필수적이다.
혼자 조용히 글 쓰는 것을 상상하고 극작과에 진학한 학생들 중에서는 이런 분위기에 적응하지 못하는 이들도 있다.
작품 발표나 합평 시간에는 교수나 학생들이 어쩔 수 없이 쓴소리를 많이 하게 되는데, 이때 소심한 사람은 멘탈이 깨지기도 한다.
6. 국내 개설 교육기관
- 서울예술대학교 - 극작가 유치진이 설립한 국내 최고의 명문 예술대학으로, 대한민국 최초의 극작 전문 과정을 수립하였다. 국내 최고수준의 매체 창작 커리큘럼을 보유하고 있으며, 드라마 작가가 되고싶은 학생들에게는 꿈의 학교다. 문예학부 소속의 극작전공으로 되어있으며 경쟁률은 대체로 30:1 수준이다.
- 한국예술종합학교 - 문체부 산하의 국내 최고의 예술 종합대학으로, 연극원 극작과 아래에 극작 전공과 서사창작 전공을 두고있다. 국내 최고수준의 희곡 창작 커리큘럼을 보유하고 있으며, 극작가가 되고싶은 학생들에게는 꿈의 학교다. 소수정예로 학생들을 가리키는 덕에 등단률이 높은 편이다. 경쟁률은 대체로 25:1 정도다.
- 백석예술대학교 - 방배역 3분 거리에 위치한 예술대학으로, 전체적인 교수진이 탄탄한 편이다. 보통 방송작가나 매체 창작을 하고싶어하는 학생들이 입학한다. 경쟁률은 7:1 정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