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제21대 대통령 선거 | |
| |
<colcolor=#005ba6,#59b3ff><colbgcolor=#f0f0f0,#191919> 후보 | <colbgcolor=#fff,#1c1d1f>대권주자 · 경선 (더불어민주당 / 후보 · 국민의힘 / 후보 · 개혁신당 · 진보당 · 정의당(연대회의)) · 최종 후보 |
여론조사 | 후보 확정 전 여론조사 (가상대결) · 후보 확정 후 여론조사 (비정기) · 출구조사 |
변수 | 변수 (지역별 · 정당별 · 세대별) · 김문수-한덕수 단일화 · 반명 빅텐트 |
결과 | 개표 결과 (지역별 · 정당별 · 세대별) |
지역별 (수도권 · 강원도 · 충청권 · 호남권 · 대경권 · 동남권 · 제주도 · 재외선거) | |
정당별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 · 개혁신당 · 진보당 · 정의당) | |
기타 | 타임라인 · TV 토론회 |
대한민국의 주요선거 |
김문수-한덕수 단일화 | ||
<colbgcolor=#000,#000><colcolor=#fff> 일시 | 미정 |
당사자 | | 무소속 |
김문수 | 한덕수 |
1. 개요
제21대 대통령 선거 당시 국민의힘 후보 경선 기간 중부터 거론되어 온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와 무소속 한덕수 후보간의 단일화 논의에 대해 서술한 문서. 반명 빅텐트의 일환으로 추진 중이다.2. 타임라인
| |
단일화 시 후보 적합도 (출처: 채널A)[1] |
이후 한덕수 전 국무총리는 2025년 5월 2일,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에서 사퇴한 이후 제21대 대통령 선거 출마를 공식화하며 국민의힘 최종 후보와의 단일화를 예고했다. 단일화 룰에 대한 부분은 국민의힘 측에서 제시하는 안을 따를 것임을 밝혔다.
2025년 5월 3일,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를 꺾고 국민의힘 제21대 대통령 선거 후보로 선출된 김문수 후보는 경선 후보자 시기부터 한덕수와의 단일화 필요성을 반복적으로 언급하며 자신이 대선 후보가 되면 한덕수와의 단일화를 진행할 것임을 예고했다. 김문수의 경선 당선 이후 한덕수가 전화를 걸어 10분 간 당선 축하 인사를 했으며, 한덕수 후보 캠프 측 인사인 이정현 여러분의 캠프 대변인은 "시간이 촉박하기에 빠른 시일 내에 접촉이 이루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
2025년 5월 4일, 국민의힘이 당 선거대책위원회 내에 한덕수 무소속 예비후보와 단일화를 추진하는 기구를 설치한다고 밝혔다.# 또한 두 후보 모두 부처님오신날인 5월 5일에 조계사에서 열리는 봉축법요식에 참석해 이 자리에서 단일화 논의를 시작할 수도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
3. 각 후보의 입장
3.1. 김문수
김문수는 대선 후보 선출 이후 한덕수와의 단일화와 관련하여 쏟아지는 기자들의 질문에 대해 "오늘 후보가 됐는데 바로 단일화를 논하는 것은 이상하다"고 답하였고, 그 외에 "25일까지 단일화 하면 되지 않느냐"고 말하는 등[2] 경선 후보 시절에 적극적으로 단일화를 논하던 것과는 다소 달라진 태도로 한덕수 측과의 온도 차를 보이기도 했다.이를 두고 언론에서는 김문수가 순순히 국민의힘 대선 후보 자리를 한덕수에게 내주지는 않겠다는 뜻을 내비친 것으로 풀이하기도 한다. 실제로도 단일화가 늦어지게 될 경우 불리한 쪽은 전적으로 무소속인 한덕수 측이기 때문에 김문수 측에서 시간 끌기 전략으로 나올 가능성도 점쳐지는 편이다.[3]
2025년 5월 4일 오후 2시경,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 이양수 국민의힘 사무총장 등 국민의힘 지도부가 김문수 캠프를 찾아 한덕수와의 단일화 논의에 본격 착수한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김문수 후보 측은 "선대위 구성이 우선이다. 단일화의 시기와 방식을 논의해 보겠다"는 입장을 완고히 밝히며 조속한 단일화를 촉구하는 국민의힘 지도부 및 한덕수 측의 입장과는 분명하게 선을 긋고 속도 조절에 나섰다.
5월 4일 이루어진 국민의힘 지도부와 김문수 캠프의 회동에서 한덕수 후보와의 단일화 회동이나 방식 등에 대해선 최종 합의에 이르지 못한 것으로 알려진다. 국민의힘 지도부는 선거 공보물 인쇄와 같은 대선 준비 일정을 고려했을 때 2025년 5월 7일까지는 한덕수와의 단일화가 마무리돼야 한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지만 김문수 캠프 측은 전반적으로 이러한 국민의힘 지도부 및 한덕수 캠프 측의 입장과 입장차를 보이고 있다.
3.2. 한덕수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덕수 대망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덕수 대망론#|]][[한덕수 대망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한덕수 대망론에 따라 대통령 권한대행인 총리직을 사퇴하고 무소속으로 출마하는 과감한 행보를 보였지만, 동시에 준비 기간 없이 출마를 강행한 탓에 뚜렷한 지지세력도, 충분한 자금도 없는 상황이다. 즉 위에 언급된 것과 같이 아쉬운 것은 한덕수 측일 가능성이 시간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4]
두 후보의 동상이몽 속에 단일화 협상이 결렬되어 각각 따로 대선 후보로 나올 경우 당선 가능성이 더욱 희박해지는 것은 김문수도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김문수 측이 마냥 유리한 상황은 아니다. 단일화 실패 시 과거 이회창-이인제 사례와 같은 보수 공멸의 결과의 책임을 지게 된다는 점에서 구체적인 단일화 룰을 어떻게 도출하냐에 따라 양 후보간의 유불리가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
4. 반응
- 김성열 개혁신당 선대위 대변인[5]은 2012년 새누리당 경선에서 박근혜를 제외한 나머지 후보들은 사실상 들러리로 나온 상황이었음에도 김문수가 판세를 신경쓰지 않고 박근혜의 역린인 최태민과의 부적절한 관계를 전당대회에서 언급하며 강공을 이어가 박근혜의 격노를 불렀다는 일화를 소개하며, 김문수가 겉으로 보이는 것보다 고집과 권력욕이 상당하다는 주장과 함께 김문수-한덕수 단일화가 순탄치 않을 것임을 예측했다. #
5. 단일화에 대한 유불리
상기 언급했듯 단일화에 시간이 끌리면 끌릴수록 한덕수 측이 압도적으로 불리하다. 한덕수가 절호의 컨디션으로 21대 대선을 소화하려면 5월 7일 (국민의힘 선거공보물 인쇄 시작 시점)까지 단일화 협상에 성공해 국민의힘 소속 후보가 되어야 하며, 아무리 늦어도 5월 11일 17시 59분 (후보 등록 마감시간)[6]까지는 단일화가 마무리 되어야 한다.반면 김문수 측은 5월 25일 [7] 까지 단일화에 성공하면 선거에 크게 지장이 없다.
한덕수 입장에서 악재는 이 뿐만이 아니다. 당선을 목표로 하는 대권주자라면 무소속 + 낮은 기호 순번도 충분히 부담스러운 페널티지만 막대한 선거 비용도 큰 부담으로 작용한다. 한덕수보다도 훨씬 큰 대망론을 업고 19대 대선에 출마하려 했던 반기문이 끝내 출마를 포기했던 이유 중 하나가 바로 막대한 선거 비용이었다. 반기문을 추대하려던 관련자에 따르면 거의 하루에 1억 넘는 돈이 깨졌다고 한다. 한덕수가 100억대 자산 보유자여서 이런 선거 비용을 감당할 수 있다는 일부 추측도 있지만, 선거 비용의 극히 대부분은 현금성 자산이다.[8] 이로 인해 대통령 선거운동으로 발생하는 선거 비용은 한덕수보다도 자산이 몇 십배는 많았던 정몽준이나 안철수도 부담스럽다고 털어놓았을 정도였다. 반면 김문수 측은 백 만명에 가까운 국민의힘 책임당원이 지불한 당비와 대선 캠프에서 모금한 선거자금이 있기 때문에 그런 부담이 덜하다.
한덕수가 무소속 후보라는 점도 선거 비용에 대한 부담을 크게 만드는 요소 중 하나다. 한덕수 입장에서는 후보자 등록 이후 김문수에게 단일화를 해준다 해도 그때까지 쏟아부었던 3억원의 기탁금 + 막대한 선거 비용을 절대 반환받을 수가 없다. 왜냐하면 선거 비용 대납을 조건으로 단일화를 한다고 하면 빼도박도 못하는 타 후보 매수로 선거법 위반 직행이기 때문이다. 타 후보 매수는 이재명이 엮여 있는 허위사실 관련 선거법 위반보다도 훨씬 중대한 법 위반으로 여겨진다. 만약 한덕수가 소속정당이 있었다면 선거비용 부담 완화에 대해 편법이 가능했었을 수도 있다. 2022년 대선을 예로 들면, 새로운물결의 김동연 후보는 이재명 후보와 단일화를 하면서 민주당으로의 합당을 약속받았고 결국 흡수합당하여 새로운물결으로 지출했던 선거비용 관련 부채를 민주당이 떠안았고, 국민의당의 안철수 후보는 윤석열과 단일화를 하면서 국민의힘으로의 흡수합당을 조건으로 걸었다. 이 과정에서 그간 국민의당이 지출했던 선거비용으로 인한 부채가 국민의힘으로 넘어가게 된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이 경우에는 단일화 조건이 그동안의 선거비용 대납이 아니라 당의 흡수합병이었기 때문에 합법적으로 선거비용을 단일화의 조건으로 떠넘기기가 가능했던 것이다. 근데 무소속을 국민의힘이 흡수합당할 수는 없는 노릇이기 때문에, 한덕수는 김문수에게 단일화를 해주게 되면 그동안 썼던 선거 비용을 회수할 길이 절대로 없게 되는 것이다. 한덕수가 단일화 없이 무소속으로 완주를 해서 득표율 15%p를 넘기면 선거비용 반환이 가능하겠다만, 만약 그 시나리오에서 김문수+한덕수 득표율이 이재명 득표율보다 높게 되면 한덕수는 그 즉시 1997년의 이인제에 버금가는 보수 역적으로 역사에 남아버리게 되는 거라 부담이 훨씬 큰건 매한가지다.
또 모든 정치권 대망론을 업고 나오는 후보의 공통점은 대망론이 언론에 거론되기 시작하는 시점에 지지율이 가장 높고 막상 단일화에 근접했을 때가 저점을 찍는다는 것이다. 이는 2002년 정몽준, 2012년 안철수, 2017년 반기문이 모두 겪은 공통사항이기도 하다. 언론에서 단독으로 출마해도 경쟁력이 있다고 불을 지펴서 대선에 나오고 막상 단일화를 하려고 하니까, 대망론으로 쌓여 있던 지지도가 이미 기성 양대정당 주요 후보 측으로 죄다 옮겨간 것이다. 2002년 정몽준은 갈수록 지지율이 노무현으로 넘어가서, 2012년 안철수는 갈수록 지지율이 문재인으로 넘어가서, 2017년 반기문은 반문재인 빅텐트 선두주자가 점점 안철수가 되어가서 결국 출마를 포기해야 했다.
6. 효과가 있는가?
단일화 명분 중 하나는 한덕수 후보가 호남(전북 전주)·관료 출신이어서 국민의힘 약세 지역과 중도층 표심 흡수에 강점이 있지 않겠느냐 였는데, 한덕수의 지지율을 보면 호남 지역과 중도층에서 그리 높지 않게 나오고 있다. 한덕수의 지지율은 주로 보수층, 국민의힘 지지층에서 높게 나오고 있는데, 한 여론조사 전문가는 김문수와 한덕수가 "지지층을 나눠 갖는 관계"라면서 확장성에 문제가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또한 이른바 한덕수 후보로 시작된 보수 호남대망론에 관해서도 과연 대선을 정말 이길 수 있는 전략인지에 대해 회의적인 분석도 있다. 영남과 호남의 인구는 각각 영남은 1245만, 호남은 490만이다. 애초에 민주당의 영남 공략은 자신들의 본진인 호남만으로는 대선을 이길 수 없다는 경험을 무려 세번이나 김대중 대통령을 찍어주며 했기 때문에[9] 전략적으로 이후 대선에서는 영남을 공략하고자 PK출신 노무현과 문재인, TK출신인 이재명을 지지하는 것인데, 영남의 입장에서는 이미 자기들 힘으로 대통령을 당선시킬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인구 수를 가지고 있다보니 굳이 490만 호남을 뺏어올만한 가치를 못느끼는 것이다. 그래서 한덕수로 단일화가 된다한들, 유의미하게 민주당의 안방인 호남지역의 표를 뺏어와서 당선된다는 전략은 지금으로써는 회의적인 것이다.
7. 관련 문서
8.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0px" | <tablebordercolor=#E61E2B><tablebgcolor=#E61E2B> | 김문수 관련 문서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E61E2B,#ddd> 일생 | 일생 | |
정책 | 경기순환버스 · GTX | ||
21대 대선 | 제21대 대통령 선거 대통령 선거 후보 경선 · 승리캠프 · 대통령 선거 공약 · 한덕수와의 후보 단일화 | ||
비판 및 논란 | 비판 및 논란 도지삽니다 | ||
기타 | 자유통일당 · 자유공화당 · 김문수TV · 차명진 · 대권주자로서의 장단점 |
{{{#!wiki style="margin:-10px" | <tablebordercolor=#808080> | 한덕수 관련 문서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808080,#fff> 생애 | <colbgcolor=#fff,#1c1d1f>생애 · 한덕수 권한대행 체제 (한덕수 국무총리 탄핵 심판) | |
가족 | 조부 한규철 · 아버지 한병호 | ||
21대 대선 | 제21대 대통령 선거 여러분의 캠프 · 장단점 · 대망론 · 18룡 · 김문수와의 후보 단일화 | ||
비판 및 논란 | 비판 및 논란 대통령 몫 헌법재판관 지명 논란 | ||
기타 | 총리-여당 당정협력 담화 | ||
별도 문서가 없는 평가 및 논란은 해당 주제 관련 문서 참고 한덕수 권한대행 체제와 관련된 문서는 틀:한덕수 권한대행 체제 참고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E61E2B,#E61E2B><colcolor=#FFF> 역사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 |
다른 정당과의 관계 | |||
전당대회 | 1차 · 2차 · 3차 · 4차 · 5차 | ||
선거 | 지지 기반 | ||
20대 대선 | 경선 · 선거대책본부 · 국민캠프 · 살리는 선거대책위원회 · 정권교체동행위원회 · 결과 | ||
8회 지선 | 선거대책위원회 · 공직후보자 기초자격평가 · 결과 | ||
22대 총선 | 공천 갈등 · 중앙선거대책위원회 · 결과 | ||
21대 대선 | 경선 · 결과 | ||
비판 및 논란 | 비판 및 논란 (행보 관련) | ||
관련 단체 | 여의도연구원 · 청년의힘 | ||
미래통합당 · 국민의당 · 시대전환 · 국민의미래 | |||
기타 | 보수주의 · 국제민주연합 · 국민의힘 마이너 갤러리 · 나는 국대다 (1회 · 시즌2 · 2회) · 국민의힘 해산 청원 · 국민의힘 중앙당사 | ||
관련 틀 | 역대 대표 · 역대 원내대표 · 지도부 · 상임고문단 · 계파 분류 · 제21대 국회의원 · 제22대 국회의원 | }}}}}}}}} |
[1] 국민의힘 후보 경선 기간 중에 조사된 여론조사로, 여기서 본선 후보로 선출된 김문수 후보와의 적합도 차이가 29.1%p로 가장 적게 조사되었다. 단 해당 화면의 여론조사는 전체 응답자 대상이 아닌 단일화에 찬성한 응답자들 대상의 표본을 떼낸 조사다. 이 조사는 채널A가 여론조사업체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2025년 4월 26일 전국 성인 남녀 1,012명을 대상으로 1대1 전화면접조사로 실시됐고, 표본오차는 95%로, 신뢰수준에 ±3.1%p이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2] 후보 등록 마감일은 11일, 투표용지 인쇄 시작일은 25일. 11일을 넘길시 한덕수가 기호 2번을 달고 나오는 것이 불가능해지며, 25일을 넘길시 김문수나 한덕수가 사퇴하더라도 투표용지에는 사퇴 표기 없이 투표소 앞 안내문을 통해서만 사퇴가 공표된다.[3] 다만 본인이 경선에서 단일화를 위해 뽑아달라고 수 차례 얘기했던 만큼 이는 믿고 지지해준 당원들에 대한 배신으로 비춰질 수 있다.[4] 이는 완주했을 경우, 무소속 후보로서 금전적인 문제와 정치적인 책임 문제에서 한덕수 후보가 자유로울 수 없기 때문이다. 대선은 규모가 매우 크기 때문에 재벌이 아닌 이상 개인의 자금으로 선거운동을 진행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한덕수가 표를 갈라먹은 비율이 이재명 김문수와의 표차보다 크다면 그야말로 20대 대선에서 심상정 후보가 받았던 비판보다 더욱 강한 책임을 물으려고 할 것이기 때문이다.[5] 과거 18대 대선 경선 당시 김문수 캠프 소속 의원의 보좌진 출신이다.[6] 이 시간이 넘을 때까지 단일화에 실패하면 한덕수는 21대 대선에서 절대 기호 2번을 달 수가 없다.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온갖 원외정당 후보들보다도 낮은 최하순위에 준하는 기호를 받고 선거운동을 해야 한다.[7] 이 이후에 사퇴하는 후보는 투표지에 명단이 남게 된다. 물론 본투표일에 극히 임박했을 때 사퇴하지 않는 이상 투표지에는 '사퇴'라는 표시가 남게 되어 투표일에 선거권자는 해당 후보가 사퇴한 후보임을 알 수가 있다. 그렇더라도 꿋꿋이 사퇴 글씨 위에다 표를 찍는 무효표가 매 선거마다 상당히 나오기 때문에 이 시한을 넘을 때까지 단일화를 하지 못하는 건 김문수 입장에서도 부담스럽다.[8] 부동산 포함 5억원의 재산을 가진 중산층을 상상해보면 된다. 그 사람의 집이 하루 자고 일어날 때마다 500만원씩 가치가 떨어지는 것과, 그 사람의 통장에서 매일 500만원의 돈이 빠져나가는 것 중에서는 후자가 압도적으로 부담이 크다.[9] 김대중 대통령은 4번째로 당선될 때, 김종필과 연합을 통해 충청도 공략과 일부 민정계 인사들의 포용으로 조금이나마 올라간 영남지지율, 그리고 이인제 후보의 완주가 크게 작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