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keepall> 대한민국 제21대 대통령 선거 | |
| |
<colbgcolor=#f0f0f0,#191919><colcolor=#005ba6,#59b3ff> 후보 | 대권주자 · 후보 경선 (더불어민주당 / 후보 · 국민의힘 / 후보 · 민주노동당) · 후보 선거 (국민의힘 · 개혁신당) · 최종 후보 |
여론조사 | 여론조사 (가상대결) · 후보 확정 후 여론조사 · 출구조사 |
변수 | 변수 (지역별 · 정당별 · 세대별) |
결과 | 개표 결과 (지역별 · 정당별 · 세대별) |
지역별 (수도권 · 강원도 · 충청권 · 호남권 · 대경권 · 동남권 · 제주도 · 재외선거) | |
정당별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 · 개혁신당 · 민주노동당) | |
기타 | 타임라인 · TV 토론회 · 친명 빅텐트 (내란종식 원탁회의 · 이재명-김재연 단일화) · 반명 빅텐트 (김문수-한덕수 단일화론 · 김문수-이준석 단일화론) · 사회대전환 연대회의 |
사건 사고 | 논란 및 사건 사고 · 김문수 후보 교체 시도 사건 · 투표용지 외부 반출 논란 |
대한민국의 주요선거 |
내란종식 민주헌정수호 새로운 대한민국 원탁회의 참여 정당 | ||||
| | | | |
내란종식 민주헌정수호 새로운 대한민국 원탁회의 | ||
파일:원탁회의 출범식.jpg | ||
<colbgcolor=#f5f5f5,#2d2f34> 정당 | 더불어민주당 조국혁신당 진보당 기본소득당 사회민주당 | |
형성 | 2025년 2월 19일 | |
대표 | | 정청래 (제8대) |
| 조국 (비대위) | |
| 김재연 (제3대) | |
| 용혜인 (제4대) | |
| 한창민 (초대) |
1. 개요
2025년 2월 19일, '내란 종식'과 '민주 헌정 수호'를 명목으로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에 따른 조기 대선에서 국민의힘의 재집권을 저지하기 위하여 기본소득당, 더불어민주당, 사회민주당, 조국혁신당, 진보당의 5개 원내야당이 공동으로 출범한 연대체제 겸 정당연합이다.[1]언론에서는 반계엄, 범진보, 반윤, 빅텐트가 이루어졌다고 평가했다.# 실제로도 소위 친명 빅텐트의 핵심을 원탁회의 소속 5당이라고 보는 관측이 있다.
공동 선언문에 “대선 직후 교섭단체 요건 완화를 마무리한다”라는 문구가 포함되어, 정권 교체 후 더불어민주당과 진보 정당들의 연립정부 구성을 염두에 둔 것으로 언론은 보고있다.
2. 의의
진보정당과 민주당계 정당이 중도사퇴가 아닌 방식으로 후보 단일화에 성공한 최초의 사례이다. 민주통합당[2] 시절부터 시도되어 온 진보정당과의 '야권연대'가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체제에서 드디어 이루어진 것이다.# # #3. 현재 상황
3.1. 조국혁신당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때 '지민비조'(지역구는 민주당, 비례대표는 조국혁신당)론을 내걸었던 정당으로서 제20대 대통령 선거의 재림을 겪지 않기 위해 단일화 가능성이 높다. 게다가 유력 후보였던 조국이 의원직 상실형을 받으면서 이 가능성은 높아졌다.결국 2025년 4월 27일 무공천은 물론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 지지 선언을 하게 되었다.
공식 당론은 아니지만 당원과 지지자들 사이에서는 '이이다조'를 내세우고 있다. 대선 주자로 '이번에는 이재명 다음 번에는 조국'이라는 뜻이다.
3.2. 진보당
진보4당으로 불리는 정당 중 유일하게 더불어민주당과의 연합으로 원내에 진출하고, 이전부터 NL 계열이 민주진보연합을 주장해 온 만큼 민주당과의 단일화 가능성도 꽤 높았던 정당이다.또한 경선 결과 김재연이 선출되면서 단일화 가능성은 더 높아졌으며, 결국 아래의 단일화를 통해 불출마 및 민주당 지지 선언을 하게 되었다.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재명-김재연 단일화#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재명-김재연 단일화#|]]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3. 기본소득당
아래의 사회민주당, 진보당과 같이 더불어민주연합의 구성체로서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이후 민주당과 공조과 활발했다.출마 유력 후보가 오준호밖에 없는 만큼[3], 새 인물을 추대하거나 불출마 가능성이 높았다.
5월 7일, 이재명 민주당 후보를 공식 지지하기로 결정했다. 용혜인 대표는 "기본소득당과 저 용혜인은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를 기필코 지켜내겠다"며 "압도적 정권교체를 통해 민주헌정을 수호해야 한다"고 강한 지지 의사를 밝혔다. #
3.4. 사회민주당
정의당에서 참여계(친민주) + 통연 온건파(친노회찬)가 독립해서 만든 정당으로, 정의당 당내에 있을 때도 민주당과의 공조를 주장하던 세력이였던 만큼, 민주당과 공조가 활발했다.출마 유력 후보는 한창민이였지만 4월 17일에 이재명 지지 선언을 하게 되었다.
4. 둘러보기
대한민국 민주진영 관련 문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00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nopad> 주요 정당 | ||||||||||||
| | ||||||||||||
정청래 | 조국(비대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집권 정부 | 장면 내각 · 국민의 정부 · 참여정부 · 문재인 정부 · 이재명 정부 | |||||||||
<colcolor=#fff,#fff> 인물 | 대통령 | 윤보선 · 김대중 · 노무현 · 문재인 · 이재명 | |||||||||||
부통령 | 김성수 · 장면 | ||||||||||||
대통령 후보 | 신익희 · 조병옥 · 허정 · 송요찬 · 유치송 · 정동영 | ||||||||||||
국무총리 | 장면 · 김석수 · 고건 · 이해찬 · 한명숙 · 이낙연 · 정세균 · 김부겸 · 김민석 | ||||||||||||
국무위원 | 장면 내각 · 국민의 정부 · 참여정부 · 문재인 정부 · 이재명 정부 | ||||||||||||
소속 정치인 | 국회의원 · 광역자치단체장 · 기초자치단체장ㆍ당대표 | ||||||||||||
정파 | 친명 | 친명 (비명) · 박주민계 · 정동영계 | |||||||||||
친노/친문 | 친문 (비문) · 친노 (비노) 정세균계 · 안희정계 · 양승조계 · 조국계 | ||||||||||||
동교동계 | 동교동계 · 호남계 | ||||||||||||
중도 | 김한길계 · 손학규계 · 이낙연계 | ||||||||||||
진보 | 민평련 · 박원순계 | ||||||||||||
정당연대 | 더불어시민당(진보) · 더불어민주연합(진보) · 중도민주 인터내셔널 · 진보동맹(진보) · DJP연합(보수) · 평화와 정의의 의원 모임(진보) · 내란종식 원탁회의(탈이념) | ||||||||||||
역사 | 제1공-제4공 · 제5공-문민 · 국민-참여 · 이명박 · 박근혜 · 문재인-윤석열 · 이재명 · 계파 역사 | ||||||||||||
관련 정당 | 민주평화당 · 소나무당 · 열린민주당 · 새미래민주당 | ||||||||||||
다른 진영 관련 문서 (진보 · 제3지대 · 보수) |
대한민국 진보진영 관련 문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000,#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bgcolor=#00a44d> 주요 정당 | |||||||||||
| | | | | | |||||||
김재연 | 용혜인 | 한창민 | 이백윤 · 고유미 | 이상현 · 김찬휘 | 권영국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인물 | 대통령 후보 | 조봉암 · 서민호 · 김철 · 홍숙자 · 백기완 · 권영길 · 김영규 · 금민 · 이정희 · 김소연 · 김순자 · 심상정 · 김선동 · 오준호 · 이백윤 · 김재연 · 권영국 | |||
주요 당대표 | 김혜경 · 천영세 · 조준호 · 노회찬 · 조승수 · 나경채 · 현린 · 용혜인 · 천호선 · 여영국 · 이정미 · 하승수 · 이성윤 · 김종훈 · 김창한 · 이상규 · 나도원 · 이종회 · 윤희숙 | |||||||||||
소속 정치인 | 국회의원 · 당대표 | |||||||||||
정파 | 평등파 | 중앙파 · 현장파 · 노동정치연대 · 평등사회네트워크 · 새진보통합연대 · 모멘텀 · 전환 · 노동자계급정당 추진위원회 · 노동자연대 · 전국노동조합협의회 | ||||||||||
자주파 | 국민파 · 인천연합 · 울산연합 · 사람과세상 · 광주전남연합 · 경기동부연합 · 겨레하나 · 또다른플랜 | |||||||||||
기타 | 국민모임 · 21세기 · 참여계 · 세계녹색당 · 사회당계 · 새로운진보 | |||||||||||
정당연대 | 진보동맹 · 사회주의 인터내셔널 · 한국진보연대 · 그린뉴딜 포럼(정의당·녹색당·미래당 공동캠페인) · 반기득권 공동정치선언 · 민주노총·진보정당 연석회의 · 노동자민중 사회주의 좌파 공동투쟁본부 · 정치개혁연합 (해체) · 평화와 정의의 의원 모임 (해체) · 녹색정의당 · 새진보연합 · 더불어민주연합 · 신호등 · 내란종식 민주헌정수호 새로운 대한민국 원탁회의 · 민주노동당 | |||||||||||
역사 | 제1공-노태우 · 문민-이명박 · 박근혜-문재인 · 윤석열-현재 | |||||||||||
다른 진영 관련 문서 (민주당계 · 제3지대 · 보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