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18 20:47:35

언어유희

다자레에서 넘어옴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유머
,
,
,
,
,


파일:나무위키+유도.png  
말장난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카가미네 린의 오리지널 곡에 대한 내용은 말장난(VOCALOID 오리지널 곡)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개요2. 종류3. 예시4. 문서가 존재하는 언어유희5. 번역에서의 언어유희
5.1. 관련 작품
6. 관련 인물7. 대중매체에서
7.1. 캐릭터

1. 개요

1. 이나 글자를 소재로 하는 놀이. 말 잇기 놀이, 어려운 말 외우기, 새말 만들기 따위가 있다.
2. 내용 없는 미사여구나 현학적인 말을 늘어놓는 일.
표준국어대사전
언어유희() 또는 말장난(word play)은 을 소재로 하는 놀이이다. 최근엔 아재개그라는 표현도 자주 보인다. 영어로는 동음이의어나 다의어 등의 소리나 형태를 이용한 말장난을 '펀(pun)'이라고 하며, 일본어로는 '다자레/다쟈레(駄洒落, だじゃれ)'라고 한다.

의미는 다르나 발음이 겹치는 낱말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비슷한 발음 혹은 몬더그린도 포함된다. 이 밖에도 문자에 띄어쓰기가 있는 경우는 띄어쓰기의 적절한 사용으로 언어유희를 만드는 것도 있으며 특히 한자문화권의 경우 파자까지 언어유희의 일종으로 해석한다. 역두문자어도 일종의 언어유희라고 볼 수 있다.

말장난은 상당수의 경우 듣는 사람들로부터 "끄응..." 혹은 "으음..." 하는 고통스러워하는 반응을 이끌어내는데, 이때 말장난을 한 사람이 오히려 으쓱해하는 모습을 보인다는 독특한 특징이 있다. 심지어는 평범하게 같이 웃어주는 것보다 오히려 고통스러워할 때가 더 즐겁다고 말하는 사람들도 있을 정도. 그러나 심리학자들에 따르면 그렇다고 해서 말장난을 하는 사람이 사디스트적인 성격인 건 아니라고 하며, 고통스러워하는 청중들도 내심 그 말장난을 즐기는 심리가 있다고 한다.

2. 종류

3. 예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언어유희/예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문서가 존재하는 언어유희

5. 번역에서의 언어유희

유머외국어로 옮겨지면 망하는 재능 중에 으뜸가는 것이다.
Humor is the first of the gifts to perish in a foreign tongue.
버지니아 울프
번역자들로 하여금 작가와 외국어를 저주하게 하는 원인이 된다. 일부에서는 '번역해도 재미 개뿔 나발도 없고, 원문 남기고 설명을 넣으면 그건 그것대로 추하다'고 평했다.

번역을 해 본 사람만이 아는 고통. 'です(데스)'를 'Death'로 바꿔 쓰는 등이 예로, 이걸 대체 뭐라고 번역해야 할지는 웬만한 베테랑마저도 고민하게 하는 요소가 된다.

이런 언어유희의 처리는 보통 4가지이다.
  1. 그냥 그대로 직역해 놓은 다음에 각주 등으로 '이건 이러이러한 말장난입니다' 하는 식으로 설명해 놓는 식이다. 독자들이 이해하기는 쉽지만 별로 재미가 없다. 그래도 '아 그랬구나 재밌는데 번역은 못할 만하네' 정도로 이해하고 넘어가기도 한다. 외국인 입장에서는 해당 언어의 어휘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기도 하다. 주로 책 등 느리게 볼 수 있어 이해하기가 쉬운 매체에서 사용한다.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가 대표적인 예시.
  2. 운이 좋아 딱 맞는 단어를 발견하거나 엄청난 센스로 한국어로 적절하게 번역해 놓는 경우다. 진짜 적절하게 번역된 경우는 개념번역/초월번역으로 칭송받지만, 이도저도 아닌 그냥 개드립이 되면 재미가 전혀 없게 된다. 혹은 아예 원작하고는 다른 언어유희, 즉 번역가가 창작한 내용이 들어가기도 하는데 이것도 재미와는 별개로 호불호가 좀 갈린다. 하여튼 잘만 하면 칭송받겠지만 정말 악소리나게 어려운 작업이다. 그나마 소설처럼 문자로만 된 매체에서는 아예 뜯어고쳐도 내용에 큰 지장만 없으면 괜찮으나, 화면 상황에도 맞춰야 하는 애니메이션만화, 영화에선 초고난도이다. 실제로 투니버스에서 방영한 《닌자보이 란타로》는 각종 일본어 발음을 이용한 말장난들이 자주 나오는 작품으로, 번역가가 센스 넘치는 번역으로 유명한 윤강비라 대부분 잘 넘어갔으나, 도저히 안 된 것도 있어서 결국 등장인물이 들고 있는 물품을 바꿨을 정도(치즈 조각 → 조약돌, 마늘도장)로 고생했다. 번역가를 괴롭히는 수입
  3. 그냥 언어유희 자체를 지우는 경우다. 대개 각주를 달기도 뭐하고 번역해도 이도저도 아니게 될 때, 데드라인이 짧고 관객들이 빠르게 이해할 수 있어야 하는 영화 자막, 또는 각주를 달 공간이 부족한 만화책의 언어유희를 이렇게 처리하는 경우가 많다. 1번보다는 깔끔하고 내용상 중요한 게 아니라면 큰 문제도 없긴 하나, 원작의 재미를 해쳤다는 이유로 1번보다 나쁘게 평가하기도 한다.

번역 말고도 다른 문제가 있는데, 언어의 사회성역사성과 관련 있는 문제이다. 규범대로는 언어유희가 성립되지만 사람들은 언어유희로 생각하지 않을 수도 있고, 특히 규정 변경으로 말미암아 어떤 단어가 비표준어가 되었거나 단어의 뜻이 달라졌거나 축소되면 등의 내용에 쓰인 단어를 다른 표현으로 개정해야 하나 기존 내용에 언어유희가 있으면 문제가 생긴다. 언어유희에는 그다지 알맞지 않은 예이지만, 규정이 바뀌어 문장 '돈과 용서를 빌어'를 '돈을 빌리고 용서를 빌어'로 개정해야 하는 식이다.[1] 반대로 규범대로는 언어유희가 성립되지 않지만 언어유희로 생각할 수도 있다. 관련 내용은 자주 틀리는 한국어 문서와 틀렸다고 오해하기 쉬운 한국어 문서를 참고하기 바란다.

언어유희를 적절하게 번역하는 실력 있는 번역가는 오덕들에게서 추앙받는다. 현정수, 금정, 윤강비, 곽형준, 이승원 등이 꼽힌다.

물론 운 좋게도 고민할 필요없이 둬도 되는 말장난도 더러 있긴 하다. 한 예로, 은혼의 '신센구미'는 한자한국 한자음만으로 읽으면 '진선조', '신센구미'를 직역하면 '진선짬'이다.[2] '신선조'와 달라 동음이의어 말장난은 되지 않지만 '신선조'에 획 하나 더 긋는 말장난으로 처리해 간단하게 넘길 수 있다.하지만 번역가 설은미는 걍 신센구미라 직역하고 넘겼다. 영어권 쪽 예시로는 '방화벽'을 뜻하는 'firewall'을 가지고 불(fire)과 연관짓는 말장난이 있으며, '방화'라는 단어가 불을 막는다는 의미와 불을 지른다는 의미를 동시에 가지고 있기 때문에 직역을 해도 의미가 비슷하게 전달된다.

5.1. 관련 작품

6. 관련 인물

7. 대중매체에서

  • 춘향전: 변사또 왈 "문 들어온다, 바람 닫아라. 물 마르다, 목 들여라."
  • 만화 《슬램덩크》에서, 강백호가 '덩크(ダンク, 단쿠)'라는 농구용어를 구별하지 못해서 '탱크(タンク, 탄쿠)'처럼 비슷한 표현으로 대응하는 것. 이쪽에서는 아주 전형적이다. 목수(大工, 다이쿠)로 알아듣기도 했는데 탱크의 경우에는 한국어로도 통하는 만큼 무난하게 번역했지만 목수는 도저히 언어유희를 살리며 번역이 안되는 관계로 목수와 덩크가 뭔 관계인지 의아하게 만들기도 했다. 그냥 말로 장난만 쳤다면 얼렁뚱땅 넘길 수 있지만 강백호가 목수 변장을 하고 나왔으니.
    • 한 술 더 떠서 애니메이션에서는 50번째 실연에 의기소침해 있던 강백호가 상대 여학생이 농구부 남학생을 좋아한다며 거절했던 트라우마 때문에 농구(바스켓토)와 발음과 음절 수가 겹치는 단어인 다이어트(다이엣토), 비스켓(비스켓토), 바그다드(바그닷도)만 들어도 노발대발하는 장면이 나왔다.
  • 식물 vs 좀비 2에선 대부분의 식물들의 이름과 도감설명이 온통 언어유희로 점철되어 있다.[16] 미치광이 데이브와 타임머신 페니의 만담에도 언어유희가 매번 등장한다.[17]
  • 명탐정 코난아가사 히로시 박사는 언어유희 퀴즈를 좋아해서 소년 탐정단에게 자주 낸다. 당연히 일본어를 알아야 이해 가능한 것들이라 타국에선 가차없이 잘라 버리지만 스토리와 연계되는 중요한 것은 최선을 다해 번역한다.
  • 웹툰작가 메가쑈킹의 작품들은 언어유희가 아주 진국이다.
  • 유희왕 ZEXAL은 월드 챔피언십 등 유희왕 관련 게임에서 알게 모르게 이어지던 코나미오마주/말장난에 대한 집념이 그야말로 폭발한 작품으로, 주요 카드군인 넘버즈부터 주인공이 쓰는 몬스터들에 조역 단역들이 쓰는 수많은 몬스터들에게 온갖 장인정신으로 말장난을 넣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No./말장난 문서 참고.
  • 어노잉 오렌지 오렌지에 사람 얼굴합성한 전설의 그 UCC. 과일들을 말로 괴롭히면서 내뱉는 언어유희가 참으로 끝내주게 짜증난다.
  • 따끈따끈 베이커리 중반 모나코컵 무렵부터 나타나는 동음이의어를 이용한 말장난 개그.[18]
  • 킬미, 힐미의 신세기가 회의 중 "오리진 너는 별로. 내 마음로..."라는 낙서를 한다.
  • 부장님이나 선임, 상사 등 자기보다 높으신 분 캐릭터들이 높은 확률로 시전한다. 이 때는 재미없어도 무조건 웃어야 하는게 암묵의 룰.
  • 복면가왕에서도 말장난성 닉네임을 심심찮게 찾아볼 수 있다. 드렁작은 타이거나 나 오늘 감 잡았어, 이 밤의 끝을 잡고 등.
  • 크레용 신짱의 '일루미네이션을 보러 가요' 에피소드는 단역 캐릭터명부터 단역 캐릭터의 일부 대사까지 말장난으로 이루어져 있다.
  • 따개비 한문숙어에서는 연상기억법을 응용한 언어유희로 숙어를 다시 한 번 말하는 장면이 많다.
  • 게임 컵헤드는 모든 캐릭터들에게 언어유희가 들어간 것이 특징으로 캐릭터마다 각자의 모습이나 성격 등을 상징하는 언어유희가 등장한다. 그러나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한국어 번역판의 질은 좋지 못한 편이다.
  • 게임 도미네이션즈에서 CL3V3R-G1RL(Clever Girl), G00D-80Y(Good Boy)로 로봇공학 유닛들이 언어유희로 등장한다.

7.1. 캐릭터


[1] 남한에서도 '빌다'를 돌려주기로 하고 얼마 동안에 가져다 쓴다는 뜻으로도 썼지만 1988년에 이 뜻이 '빌리다'로 넘어갔고, 이 '빌다'는 비표준어가 되었다. 문화어/어휘대조도 참고.[2] 여담으로, 한자를 일본 한자음 그대로 읽으면 '신센소'다.[3] 유머 시리즈 5초 후 의외의 결말 시리즈에서 일본어 말장난이 꽤 나온다.[4] 독일어의 여러 언어유희를 한국어판에서 못 살려서 미안하다는 번역가의 사과문이 책의 뒤쪽 옮긴이의 말에 있다.[5] 조선 시대 언어유희로 수많은 디스를 남긴 이 분야의 대가 중 한명이다. 사실 디스보다는 좀 이상한 쪽이긴 하지만[6] 미국코미디언으로 미국에선 말장난 개그 하면 가장 먼저 떠올리는 사람이다. '크로스비'는 언어유희의 단어로도 쓰이고 있다.[7] 코미디 하우스 '노브레인 서바이버'에만 해당하며 스피드퀴즈 코너에 정답과 비슷한 발음으로 틀린다.[8] 최근 마리텔냉부에서 아재개그를 하며 요리한다.[9] 불가리아인인데 한국인 뺨칠 정도의 한국어 언어유희를 자주 선보인다.[10] 퀴즈 육감대결 내에만 해당하며 정답과 비슷한 단어로 장난을 치는 경우가 많았다. 예: 피지-피자, 치질-처칠[11] 언어유희가 안 들어가는 곡이 들어가는 곡보다 적다. 심지어 진지한 곡도 가끔은 들어간다.[12] 중학생 때부터 언어유희를 좋아해 친구들을 웃기고 다녔다고 한다. 아재개그라는 말을 들으면 상당히 자존심이 상하며, 조기축구회 아저씨와 이동국을 비교하는 것과 똑같다고 생각한다고.[13] 상호확증파괴의 개념을 제안할 때 의도적으로 그 약자가 MAD가 되도록 Mutually Assured Destruction이라 명명했다.[14] 위에서 언급한 [E]작곡가다(...).[15] 단체곡, 개인곡의 가사뿐만 아니라 평소 말할 때에도 언어유희를 자주쓰는 편. 어릴 적 장래희망시인이었기에 언어적인 쪽으로 연구를 많이 했다고 한다.[16] 하지만 미국식 유머라 영어를 잘 해도 재미가 별로 없는 경우도 많다.[17] 페니: 이 좀비들은 위장(Camouflage)을 하고 있어요. 미치광이 데이브: 그래, 낙타 위장(Camel-flage)을 하고 있군.[18] 타이야키(붕어빵)을 만들었는데 타이식(타이시키) 마사지로 개그를 이끌어내려고 한다. 재미도 없으며 번역가도 포기하고 주석으로 도배를 했다. 이는 작가가 억지로 만화를 더 그려야 했기 때문.[19] 네이버 해외축구 어그로.[20] "손타란-We have intruder!! 10대 닥터-In-through-the-window?"와 "Are you my mommy? / Are you my mummy?"와 "Wibly Wobly Timey Wimey" 등등 언어유희의 표본이다. 사실 Who라는 이름 자체도 언어유희다.[21] 심지어 자신의 언어유희를 설명까지 한다! 다만 드라마 CD 이외의 매체에선 이 언어유희 개그가 나오지 않는다.[22] 이쪽은 영어를 못해서 영어를 비슷한 발음의 일본어로 바꾼다.[23] 사실 나중에 나와 다쟈레로 유명해진 카에데보다 훨씬 심하다. 말하는 도중 조금씩 말장난을 꺼내는 카에데와는 달리, 얘네는 시도 때도 없이 말장난을 날린다.[24] 심지어 고유 스킬명까지 언어유희로 이루어져 있는 진성 언어유희 구사자이다.[25] 개그가 상대를 공격하는 기술인 아주 드문 케이스. 나타의 개그를 들으면 일부 면역이 있는 자들을 빼면 5분 뒤에 터져 죽게 된다.[26] 언어유희로만 만든 캐릭터송이 있는데, 이게 한국어로 치면 '바나나를 먹으면 반하나?' 따위를 3분 동안 부르는 노래.[27] 신강고 시나리오 중에서 "가면을 쓴 가면이한테 가면 되겠군"이 그 대표이다.[28] 말 끝마다 포켓몬의 이름을 붙이며 끝말잇기 마냥 계속 끝말에 포켓몬이름을 이어나간다. 대충 예를 들자면 알겠습니다부니로우츠보트, 안녕하세요가램프라이츄 라거나. 물론 진짜 이 대사를 한 건 아니고 예시다.[29] 애초에 직업부터가 코미디언이다. 하지만 아재개그는 사석에서만 남발한다고. 그리고 이 셋으로 구성된 유닛의 리더이다.[30] 정작 담당 성우는 다자레를 몹시 싫어하는 성우로 유명하다.[31] 내는 퀴즈 대부분이 말장난식 퀴즈다. 그런데 어떤 극장판에선 이 장난식 퀴즈가 중요한 키워드로 나왔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