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bd600><tablebgcolor=#fbd600> | 아프리카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감독 |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555555,#aaaaaa | 오토 아도 | 티에리 무유마 | 조나단 맥킨스트리 | 미셸 뒤쉬에르 |
루이스 보아 모르테 | 콜린 벤자민 | 에리크 셸 | 니콜라스 뒤퓌 | |
휴고 브로스 | 에자키 바두 | 마리오 마리니커 | 레즐리 노치 | |
장 피에르 바드 | 토르스텐 슈피틀러 | 나세르 알 하디리 | 로뮈알드 라코톤드라베 | |
패트릭 마베디 | 통 생피에트 | 왈리드 레그라귀 | 기욤 물렉 | |
아미르 압두 | 시키뉴 콘데 | 게르노트 로어 | 디디에 고메즈 다 로자 | |
브라마 트라오레 | 에티엔 은다이라기제 | 리카르도 몬산토 | 파페 티아우 | |
랄프 장 루이 | 라시드 루스테크 | 제임스 아피아 | 아미두 카림 | |
블라디미르 페트코비치 | 페드루 곤살베스 | 알렘세게드 에프렘 | 도미닉 쿠네네 | |
가브러머드흔 하일레 | 폴 푸트 | 호삼 하산 | 헤메드 술레이만 | |
아브람 그랜트 | 후안 미차 | 라울 사부아 | 압두라흐만 오키에 | |
마이클 니스 | 케빈 니카이즈 | 마르크 브리스 | 부비스타 | |
엔긴 프라트 | 스테파노 쿠신 | 에메르스 파에 | 이자크 은가타 | |
세바스티앵 드사브르 | 헤메드 술레이만 (임시 감독) | 다레 니봄베 | 카이스 야쿠비 | |
<colbgcolor=#f7f7f7,#191919> 아시아 | 아프리카 북중미카리브 | 남미 유럽| 오세아니아 | ||||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감독 |
블라디미르 페트코비치의 역임 직책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둘러보기 틀 모음 | |||
대표팀 | ||||
39대 | 55대 | |||
클럽 | ||||
77대 | 44대 |
알제리 축구 국가대표팀 | ||
منتخب الجزائر لكرة القدم | ||
<colbgcolor=#d4d4d4><colcolor=#06a15f> 이름 | 블라디미르 페트코비치 Vladimir Petković | |
출생 | 1963년 8월 15일 ([age(1963-08-15)]세) | |
유고슬라비아 SFR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SR 사라예보주 사라예보시 | ||
국적 | [[스위스| ]][[틀:국기| ]][[틀:국기| ]] | [[크로아티아| ]][[틀:국기| ]][[틀:국기| ]]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틀:국기| ]][[틀:국기| ]] | |
신체 | 키 190cm | |
직업 | 축구 선수 (미드필더 / 은퇴) 축구 감독 | |
소속 | <colbgcolor=#d4d4d4><colcolor=#06a15f> 유스 | FK 사라예보 (1978~1981) |
선수 | FK 사라예보 (1981~1984) 루다르 프리예도르 (1984~1985) FK 사라예보 (1985) NK 코페르 (1985~1986) FK 쿠어 97 (1987~1988) FC 시옹 (1988~1989) FC 마티니스포르 (1989~1990) FK 쿠어 97 (1990~1993) AC 벨린초나 (1993~1996) FC 로카르노 (1988~1989) AC 벨린초나 (1997~1998) SC 부호츠 (1998~1999) | |
감독 | AC 벨린초나 (1997~1998) FC 말칸토네 아뇨 (1999~2004) FC 루가노 (2004~2005) AC 벨린초나 (2005~2008) BSC 영 보이즈 (2008~2011) 삼순스포르 (2011~2012) FC 시옹 (2012) SS 라치오 (2012~2014) 스위스 대표팀 (2014~2021) FC 지롱댕 드 보르도 (2021~2022) 알제리 대표팀 (2024~ ) | |
국가대표 | 없음 |
[clearfix]
1. 개요
스위스의 축구 선수 출신 감독.유고슬라비아 SFR의 사라예보에서 태어났지만 삼중국적자로 스위스, 크로아티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여권을 소지하고 있다.
일 도토레(박사님)이라는 별명을 가질 정도로 여러 언어를 구사한다. 붙여 말하자면 세르보크로아트어가 모국어이면서 이탈리아어, 독일어, 프랑스어, 영어, 스페인어, 러시아어를 구사한다. 다만 이중 기자 회견과 경기 후 인터뷰 등 공식 석상에서 제대로 구사할 수 있는 언어는 모국어인 세르보크로아트어, 스위스에서 선수 및 감독으로서 주로 활동했던 지역의 공용어인 이탈리아어, 스위스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독일어로 총 3개 국어를 유창하게 구사한다고 볼 수 있다.
2. 축구인 생활
2.1. 선수 경력
11세 때부터 축구를 시작했으며 미드필더로서 탁월한 재능을 가졌다. 15세가 되던 해에 FK 사라예보 유스팀에 합류했다.같은 팀에서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으며 1985년 친정팀인 사라예보로 돌아와서 첫 번째 리그 우승을 경험한다. 하지만 1987년 유고슬라비아의 붕괴로 스위스로 이주하게 되었으며 팀도 이적할 수밖에 없었다. 이후로 스위스에서 팀을 오가며 선수 생활을 이어갔으며 플레잉 코치를 하다가 1999년을 마지막으로 은퇴했다. 총 275경기 출장, 52골 기록.
한 팀에서 오래 머무르지 않은 저니맨이었다.[1]
2.2. 지도자 경력
은퇴 후 스위스 클럽의 감독직을 맡던 그는 2008년 AC 벨린초나를 이끌로 스위스컵 결승에 진출했다. 그러나 결승전 상대팀이었던 스위스의 최강 FC 바젤에게 1-4로 패배한다. 실력을 인정받은 그는 다음 시즌부터 BSC 영 보이즈에서 감독직을 수행한다. 리그 2위를 차지하는 등 괜찮은 성과를 내던 그는 터키 쉬페르리그의 삼순스포르로 갔지만 그 시즌에 강등당하며 그의 새로운 도전은 1년 만에 막을 내린다.2012년에는 이탈리아 세리에 A의 강호 SS 라치오 감독직을 맡게 되었다. 이듬해 코파 이탈리아 우승이라는 성과를 거두며 부활한 페트코비치는 2014년 브라질 월드컵 직후 그만둔 오트마어 히츠펠트을 대신하여 스위스 대표팀 감독으로 부임한다.
페트코비치의 스위스는 사상 최초로 유로 토너먼트에 올랐지만 폴란드 대표팀을 상대로 그라니트 자카의 뼈아픈 실축 탓에 승부차기 4:5로 패한다. 2018 FIFA 월드컵 유럽지역예선 B조에서 페르난두 산투스가 이끄는 포르투갈 대표팀에 득실차 때문에 조2위로 밀리지만, 플레이오프에서 북아일랜드라는 수월한 상대를 만나 승리하고 본선행을 확정짓는다.
2018 FIFA 월드컵 본선 32강 E조에 배정이 되었고 브라질 대표팀에 이어 16강행을 노리고 있다. 다른 상대가 코스타리카, 세르비아여서 페트코비치 감독 입장에서는 정상적인 플레이만 된다면 16강행은 수월할 것으로 보인다. 이후 3월 평가전에서는 24일에 그리스, 28일에 파나마와 경기를 했는데 각각 1:0, 6:0으로 이겼다. 본선경기 직전 6월 4일에 펼쳐진 스페인을 상대로는 1:1 무승부를 거두었다. 6월 9일에 펼쳐진 일본전에서는 2:0으로 승리하였다. 이후 개막한 본선무대에서는 브라질과 1:1 무승부를 거두고, 세르비아에게 2:1 역전승을 거두었다. 코스타리카전에서는 2:2 무승부를 기록했지만 1승 2무 조 2위로 16강에 올라서 스웨덴을 맞이한다. 그러나 스웨덴전에서는 에밀 포르스베리에게 결승골을 헌납하며 1:0으로 패배했다.(16강 14위)
유로 2020에서는 24강 조별리그에서 웨일즈와 이탈리아에게 힘을 쓰지 못하며 조 3위로 어렵게 16강에 진출했는데 16강에서 놀랍게도 우승 후보 중 하나이자 지난 대회 준우승국 프랑스를 승부차기 끝에 잡아내고 스위스를 유로 최초로 8강에 진출시켰다! 스페인과 만난 8강에서는 한 명이 퇴장 당한 상태에서도 작정하고 잠가버려 승부차기까지 끌어갔으나, 키커들이 부담감을 이겨내지 못하고 연달아 실축하면서 결국 여정을 멈추고 말았다.(8강 7위)
한편 박주영에게 할리우드 액션을 펼쳤다가 한국인들에게 항의를 받자 인종차별성 폭언을 내뱉은 걸로 유명한 미첼 모르가넬라를 다시 국가대표팀에 뽑고자 했으나 자국 여론의 반발이 너무 거세 무산되었다.
유로 2020 이후 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와 감독직 링크가 있었으나, 7월 27일(현지시간), 장루이 가세가 떠나면서 공석이 된 FC 지롱댕 드 보르도 감독으로 부임하였다.
그러나 시즌이 시작되자 리그 24경기에서 4승에 그친 데 이어 매경기마다 대량 실점을 하는 등 졸전을 거듭해 최하위로 추락했다. 결국 23라운드 랭스를 상대로 0-5 참패를 당한 이후 수뇌부에 의해 경질된 것으로 알려졌고 다음 경기부터 야로슬라프 플라실 코치가 감독 대행을 맡았다.
이후 FC 샬케 04와 폴란드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후보로 거론됐으나 두 팀으로부터 정식 선임되지 못한 채 한동안 야인 생활을 이어 갔었다.
위르겐 클린스만 경질 이후 새 외국인 감독으로 한국 팬들 사이에서 이름이 언급되고 있다. 중국 축구 국가대표팀이 거액으로 그를 데려가려 한다는 이야기도 있다. 그에 앞서 빠르게 차기 감독을 찾고 있는 알제리 축구 국가대표팀도 그를 노리고 있다.
2024년 2월 29일, 알제리 축구 국가대표팀의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알제리 축구협회로부터 요구 받은 목표는 2025 네이션스컵 4강과 2026 북중미 월드컵 본선 진출이라고 한다.
2.3. 사단
- 수석 코치
- 안토니오 마니콘[2]
[[이탈리아| ]][[틀:국기| ]][[틀:국기| ]] (2012~2022)
3. 둘러보기
{{{#!wiki style="color:#DDBF83;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181818" | <colbgcolor=#ddbf83> A조 | 스타니슬라프 체르체소프 | 후안 안토니오 피치 | 엑토르 쿠페르 | 오스카르 타바레스 |
B조 | 페르난두 산투스 | 페르난도 이에로 | 에르베 르나르 | 카를로스 케이로스 | |
C조 | 디디에 데샹 ★ | 베르트 판마르베이크 | 리카르도 가레카 | 오게 하레이데 | |
D조 | 호르헤 삼파올리 | 헤이미르 하들그림손 | 즐라트코 달리치 ☆ | 게르노트 로어 | |
E조 | 치치 | 블라디미르 페트코비치 | 오스카르 라미레스 | 믈라덴 크르스타이치 | |
F조 | 요아힘 뢰프 | 후안 카를로스 오소리오 | 얀네 안데르손 | 신태용 | |
G조 | 로베르토 마르티네스 | 에르난 다리오 고메스 | 나빌 말룰 | 가레스 사우스게이트 | |
H조 | 아담 나바우카 | 알리우 시세 | 호세 페케르만 | 니시노 아키라 | |
역대 대회의 참가 감독 1930 | 1934 | 1938 | 1950 | 1954 | 1958 1962 | 1966 | 1970 | 1974 | 1978 | 1982 1986 | 1990 | 1994 | 1998 | 2002 | 2006 2010 | 2014 | 2018 | 2022 | }}}}}}}}} |
UEFA 유로 2016 참가 감독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FFFFFF, #FFFFFF)" {{{#!wiki style="color: #000;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000" | <colbgcolor=#002661> A조 | 디디에 데샹 ☆ | 앙겔 요르더네스쿠 | 잔니 데 비아시 | 블라디미르 페트코비치 |
B조 | 로이 호지슨 | 레오니트 슬루츠키 | 크리스 콜먼 | 얀 코자크 | |
C조 | 요아힘 뢰프 | 미하일로 포멘코 | 아담 나바우카 | 마이클 오닐 | |
D조 | 비센테 델 보스케 | 파벨 브르바 | 파티흐 테림 | 안테 차치치 | |
E조 | 마르크 빌모츠 | 안토니오 콘테 | 마틴 오닐 | 에리크 함렌 | |
F조 | 페르난두 산투스 ★ | 헤이미르 하들그림손 라르스 라예르베크 | 마르셀 콜러 | 베른트 슈토르크 | |
역대 대회의 참가 감독 1960 | 1964 | 1968 | 1972 | 1976 | 1980 1984 | 1988 | 1992 | 1996 | 2000 | 2004 2008 | 2012 | 2016 | 2020 | 2024 |
UEFA 유로 2020 참가 감독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FFFFFF, #FFFFFF)" {{{#!wiki style="color: #000;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000" | <colbgcolor=#24B0C6> A조 | 셰놀 귀네슈 | 로베르토 만치니 ★ | 롭 페이지 | 블라디미르 페트코비치 |
B조 | 카스페르 히울만 | 마르쿠 카네르바 | 로베르토 마르티네스 | 스타니슬라프 체르체소프 | |
C조 | 프랑크 더부르 | 안드리 셰브첸코 | 프랑코 포다 | 이고르 앙겔로프스키 | |
D조 | 가레스 사우스게이트 ☆ | 즐라트코 달리치 | 스티브 클라크 | 야로슬라프 실하비 | |
E조 | 루이스 엔리케 | 얀네 안데르손 | 파울루 소자 | 슈테판 타르코비치 | |
F조 | 마르코 로시 | 페르난두 산투스 | 디디에 데샹 | 요아힘 뢰프 | |
역대 대회의 참가 감독 1960 | 1964 | 1968 | 1972 | 1976 | 1980 1984 | 1988 | 1992 | 1996 | 2000 | 2004 2008 | 2012 | 2016 | 2020 | 2024 |
[1] 길어도 3~4년 내에는 꼭 다른 팀으로 이적했다.[2] Antonio Manicone #. SS 라치오부터 FC 지롱댕 드 보르도 시절까지 함께 다녔던 코치다. 현재는 이란 축구 국가대표팀의 수석코치로 재직 중이다.
분류
- 1963년 출생
- 사라예보 출신 인물
- 유고슬라비아의 남자 축구 선수
- 스위스의 남자 축구 선수
- 미드필더
- 1981년 데뷔
- 1999년 은퇴
- FK 사라예보/은퇴, 이적
- FC 코페르/은퇴, 이적
- FC 시옹/은퇴, 이적
- AC 벨린초나/은퇴, 이적
- 스위스의 남자 축구 감독
- 크로아티아의 남자 축구 감독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남자 축구 감독
- AC 벨린초나/역대 감독
- FC 루가노/역대 감독
- BSC 영 보이즈/역대 감독
- 삼순스포르/역대 감독
- FC 시옹/역대 감독
- SS 라치오/역대 감독
- 스위스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FC 지롱댕 드 보르도/역대 감독
- 알제리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참가 감독
- UEFA 유로 2016 참가 감독
- UEFA 유로 2020 참가 감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