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4 01:05:13

세르비아-튀르키예 관계

세르비아-터키 관계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 유럽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북마케도니아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파일:코소보 국기.svg
코소보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아메리카 · 오세아니아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다자관계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파일:코소보 국기.svg
세르비아·알바니아·코소보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세르비아·크로아티아·보스니아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세르비아·크로아티아·슬로베니아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파일:코소보 국기.svg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세르비아·코소보·북마케도니아
과거의 대외관계
파일:소련 국기.svg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소련-유고슬라비아 관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중국 대만 국기.svg
중화권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파일:동튀르키스탄 깃발.svg
위구르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유럽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파일:가가우지아 기.svg
가가우지아
파일:몰도바 원형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북키프로스
파일:코소보 국기.svg
코소보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파일:쿠르드족 깃발.svg
쿠르드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시리아 국기.svg 파일:이라크 국기.svg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공화국
아메리카 · 아프리카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다자관계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파일:그리스 국기.svg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UN기.svg
키프로스 5+1 회담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시리아 국기.svg 파일:이라크 국기.svg
튀르키예·시리아·이라크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아랍 연맹 깃발.svg
튀르키예·이란·아랍권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튀르키예·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럽연합
}}}}}}}}}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세르비아 튀르키예
1. 개요2. 역사적 관계
2.1. 근세2.2. 19세기2.3. 20세기2.4. 21세기
3. 대사관4. 문화 교류5. 교통 교류6. 관련 문서

1. 개요

세르비아튀르키예의 관계. 세르비아는 역사적인 이유와 코소보 문제로 인해 튀르키예와 극도로 험악하다.세르비아의 튀르키예의 대한 인식은 단순한 반튀르키예 정도가 아니라 아치에너미라고 봐도 무방할 정도다. [1]

현재 세르비아와 튀르키예 관계는 그리스를 능가할 정도로 극도로 험악하며, 서로에 대한 반감은 한국 2030 세대의 반중 감정, 4050 세대의 반일 감정과는 궤를 달리 한다.

일단 그리스인와 튀르키예인들은 서로 온라인 상에서는 서로 키배로 갖가지 욕설을 주고받더라도 오프라인에서는 서로 좋게좋게 지낸다. 일단 이웃 국가라 인구 이동이 활발하며 하도 같은 나라로서 지낸 기간이 길어 공유하는 문화도 많기 때문.[2] 하지만 세르비아과 튀르키예의 경우는 그것과는 궤를 달리한다. 세르비아인들과 튀르키예인들은 오프라인에서도 나가서도 서로 대놓고 싸운다.

세르비아 내부에 어떤 사회문제 같은 게 대두되면 일단 그 원인으로 튀르키예 탓부터 하기도 한다. 한국에서 뭔가 나쁜 게 있으면 일단 일제 잔재로 몰아가는 것과 비슷한 맥락.

2. 역사적 관계

2.1. 근세

세르비아 왕국오스만 제국에 의해 정복당했다. 오스만 제국의 지배 당시, 세르비아인들은 밀레트 제도하에서 종교의 자유를 제한적으로나마 보장받았지만,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았기 때문에 갈등이 있었다. 오스만 제국 통치자들은 이슬람교를 강요하지는 않았지만, 영향력 있는 자리를 나누어주거나 토지를 무슬림들에게 배분하면서[3] 개종을 조장해왔다.

전통적인 세르비아인 지주 귀족 계급은 합스부르크 제국 방향으로 망명하거나 오스만 제국 치하에서 이슬람으로 개종하였고, 이는 세르비아 사회의 지주귀족 계급이 실질적으로 단절되는 결과를 낳았다 상술한 대로 세르비아인들 중 지주, 행정가들은 오스만 제국의 영향으로 이슬람교로 개종하고, 소작농은 정교회를 고수하는 사회 구조가 수백여 년간 이어지는데, 이는 20세기 세르비아인과 보슈냐크인의 민족 갈등의 기원이 된다.

2.2. 19세기

19세기에 오스만 제국이 약해지면서 러시아 제국범슬라브주의를 내세우며 불가리아세르비아, 몬테네그로를 지원했다. 1804년 세르비아인들이 대대적으로 봉기하였고, 오스만 제국은 해당 봉기를 진압한 이후인 1830년부로 세르비아에 상당한 수준의 자치권을 보장하는 양보를 하였다. 1830년 세르비아 공국 내 무슬림들은 농지 소유권을 잃고 1년이라는 기간 안의 모든 농촌 토지를 세르비아 정교회 신도들에게 매각해야만 했다. 무슬림들은 세르비아 공국 내 오스만 제국이 병영을 유지하고 있는 여섯 개 도시에서만 거주하거나 토지를 보유할 수 있었다. 오스만 제국의 지배 하에서 형성되었던 보슈냐크인 지주 계급은 급속도로 해체되었다. 1817년 당시 5만여 명 규모에 해당하는 세르비아 공국 내 무슬림 인구는 1874년에는 5천여 명 규모로 감소하였다.

한 편 세르비아 공국의 밀로시 오브레노비치는 헤르체고비나 지역과 코소보 지역의 세르비아인 정교회 신도들이 자국 내로 이주하도록 장려하였다. 세르비아 공국 내 무슬림 인구는 감소하는 가운데, 정교회 인구는 자연증가와 이민으로 증가하고, 다른 한편으로 헤르체고비나와 코소보의 정교회 신도들이 이민가면서 코소보의 무슬림 인구 비중은 더 증가하기 이르렀다.

1877년 제12차 러시아-튀르크 전쟁에서 오스만 제국이 패배하고 오스만 제국이 세르비아의 완전한 독립을 승인하면서 세르비아도 오스만 제국의 지배에서 벗어났다. 오스만 제국의 지배에서 벗어난 세르비아는 정교회 부흥 정책 그리고 공교육을 통해 오스만 제국의 문화적 영향을 일소하기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추가로 세르비아 내 무슬림 인구 25~30만여 명 가량이 학살되었고, 난민 상당수가 오스만 제국의 콘스탄티니예로 유입되었다.

2.3. 20세기

1913년 발칸 전쟁의 결과 세르비아 왕국은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북마케도니아 일대를 정복하고 영토로 편입하였다.

제1차 세계 대전이 일어나면서 러시아 제국세르비아를 지원하기 위해 참전했다. 오스만 제국도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는데,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러시아 제국과 오스만 제국은 혁명으로 몰락하고 신생 소련튀르키예가 생겨났다. 세르비아는 유고슬라비아 왕국이 되면서 튀르키예와 공식 수교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 유고슬라비아공산주의 국가가 되자 정치적으론 사이가 좋지 못했다. 튀르키예는 북대서양 조약 기구에 가입하면서 유고슬라비아를 견제했다. 80년대에 동구권에서 민주화 운동이 일어나면서 유고슬라비아는 분열의 조짐을 보였다.

90년대에 유고슬라비아 전쟁이 일어나자 튀르키예도 유고슬라비아 전쟁에 개입했다. 코소보에서 학살이 발생하자 나토군은 세르비아를 공습했고 튀르키예군도 코소보에 주둔했다.

2.4. 21세기

세르비아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을 당시에 억압도 있었기 때문에 갈등이 존재한다. 튀르키예 드라마에 대해선 세르비아 측에서 방영에 대해 반대하는 목소리도 존재하는 등 갈등이 있다.[4]

튀르키예 내에도 소수의 세르비아인들이 거주하고 있다. 일부 세르비아인들은 오스만 제국의 지배 당시 이슬람교로 개종하기도 했다. 반대로 세르비아 내에도 소수의 튀르키예인들이 거주하고 있는데, 이들은 튀르키예식 이름을 세르보크로아트어식으로 변형시킨 아흐메토비치(Ahmetović), 베고비치(Begović),[5] 하지치(Hadžić), 후세이노비치(Husejnović) 등의 성씨를 쓰고 있다.

2023년 튀르키예-시리아 대지진이 발발하자 세르비아는 튀르키예에 구조대를 파견하였다.#

3. 대사관

앙카라에 주 튀르키예 세르비아 대사관, 베오그라드에 주 세르비아 튀르키예 대사관이 있다.

4. 문화 교류

세르비아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을 당시, 문화에서 오스만 제국의 영향을 받기도 했다. 그리고 세르비아어오스만어에서 일부 차용어가 존재한다. 세르비아에서도 역사적인 악연과는 별개로 튀르키예 드라마가 인기를 끌고 있다.

5. 교통 교류

양국의 주요도시를 잇는 직항편이 있으며 상호 무비자 입국이 가능하다. 무비자에 더해 EU 내지는 메르코수르처럼 신분증 무비자 입국을 추진하려는 움직임도 있다. # 양국 신분증 모두 주변국 교류를 위해 ICAO Doc 9303 규격을 이미 채용해놓은 상태라 대상국 확대에 어려움이 없다.

6. 관련 문서



[1] 당장 우리에게 잘 알려진 리무브 케밥부터가 크로아티아튀르키예를 비방하는 내용이다.[2] 한일관계에 대입하면 이해하기 쉽다. 물론 한국이 일제에 지배당한 기간은 40년 정도에 불과(...?)했지만.[3] 오스만 제국은 이크타(Iqta)라는 군역에 의한 토지 수조권 분급 제도를 통해 시파히나 예니체리들에게 정복지를 분배하였다.[4] 김대중 정부 이전 한국에서 일본 대중문화가 애니메이션을 제외하면 금기시되었던 것과 비슷한 맥락이다.[5] 이 성씨가 축약된 형태는 베기치(Begić)이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 이제트베고비치(Izetbegović), 하지하피즈베고비치(Hadžihafizbegović)와 같은 꼴로 다양하게 쓰이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