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
1. 개요2. 역대 기록3. 1934 FIFA 월드컵 이탈리아4. 1938 FIFA 월드컵 프랑스5. 1950 FIFA 월드컵 브라질1954 스위스 월드컵 ~ 1958 스웨덴 월드컵7. 1962 FIFA 월드컵 칠레8. 1966 FIFA 월드컵 잉글랜드9. 1970 FIFA 월드컵 멕시코 ~ 1974 FIFA 월드컵 서독10. 1978 FIFA 월드컵 아르헨티나
5.1. 13강 조별리그 미국전 - 3 : 1 승5.2. 13강 조별리그 칠레전 - 2 : 0 승5.3. 13강 조별리그 잉글랜드전 - 1 : 0 승5.4. 4강 결선리그 우루과이전 - 2 : 2 무5.5. 4강 결선리그 브라질전 - 1 : 6 패5.6. 4강 결선리그 스웨덴전 - 1 : 3 패
6. 10.1. 16강 조별리그
11. 1982 FIFA 월드컵 스페인12. 1986 FIFA 월드컵 멕시코12.1. 24강 조별리그 브라질전 - 0 : 1 패12.2. 24강 조별리그 북아일랜드전 - 2 : 1 승12.3. 24강 조별리그 알제리전 - 3 : 0 승12.4. 16강전 덴마크전 - 5 : 1 승12.5. 8강전 벨기에전 - 1 : 1 무(PSO 4 : 5 패)
13. 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13.1. 24강 조별리그 우루과이전 - 0 : 0 무13.2. 24강 조별리그 대한민국전 - 3 : 1 승13.3. 24강 조별리그 벨기에전 - 2 : 1 승13.4. 16강전 유고슬라비아전 - 1 : 2 패
14. 1994 FIFA 월드컵 미국14.1. 24강 조별리그 대한민국전 - 2 : 2 무14.2. 24강 조별리그 독일전 - 1 : 1 무14.3. 24강 조별리그 볼리비아전 - 3 : 1 승14.4. 16강전 스위스전 - 3 : 0 승14.5. 8강전 이탈리아전 - 1 : 2 패
15.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16.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16.1. 32강 조별리그 슬로베니아전 - 3 : 1 승16.2. 32강 조별리그 파라과이전 - 3 : 1 승16.3. 32강 조별리그 남아프리카 공화국전 - 3 : 2 승16.4. 16강전 아일랜드전 - 1 : 1 무 (PSO 3 : 2 승)16.5. 8강 대한민국전 - 0 : 0 무(PSO 3 : 5 패)
17. 2006 FIFA 월드컵 독일17.1. 32강 조별리그 우크라이나전 - 4 : 0 승17.2. 32강 조별리그 튀니지전 - 3 : 1 승17.3. 32강 조별리그 사우디아라비아전 - 1 : 0 승17.4. 16강전 프랑스전 - 1 : 3 패
18.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18.1. 32강 조별리그 스위스전 - 0 : 1 패18.2. 32강 조별리그 온두라스전 - 2 : 0 승18.3. 32강 조별리그 칠레전 - 2 : 1 승18.4. 16강전 포르투갈전 - 1 : 0 승18.5. 8강전 파라과이전 - 1 : 0 승18.6. 4강전 독일전 - 1 : 0 승18.7. 결승전 네덜란드전 - 1 : 0 승
19.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20.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20.1. 32강 조별리그 포르투갈전 - 3 : 3 무20.2. 32강 조별리그 이란전 - 1 : 0 승20.3. 32강 조별리그 모로코전 - 2 : 2 무20.4. 16강전 러시아전 - 1 : 1 무(PSO 3 : 4 패)
21.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1. 개요
스페인의 역대 월드컵 전적에 대한 기록이다.2. 역대 기록
스페인은 역대 월드컵 랭킹 7위를 기록중이다.FIFA 월드컵 통산 전적 서열: 7위
★④
연도 | 결과 | 순위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1930년 우루과이 | 불참 | ||||||||
1934년 이탈리아 | 8강[1] | 5위 | 4 | 3 | 1 | 1 | 1 | 4 | 3 |
1938년 프랑스 | 기권[2] | ||||||||
1950년 브라질 | 4위[결승리그] | 10 | 6 | 3 | 1 | 2 | 10 | 12 | |
1954년 스위스[4] | 본선 진출 실패[16개국] | ||||||||
1958년 스웨덴 | |||||||||
1962년 칠레 | 조별리그[6] | 12위 | 3 | 3 | 1 | 0 | 2 | 2 | 3 |
1966년 잉글랜드 | 조별리그[7] | 10위 | 3 | 3 | 1 | 0 | 2 | 4 | 5 |
1970년 멕시코 | 본선 진출 실패[16개국] | ||||||||
1974년 서독 | |||||||||
1978년 아르헨티나 | 조별리그[9] | 10위 | 4 | 3 | 1 | 1 | 1 | 2 | 2 |
1982년 스페인 | 12강[10] | 12위 | 5 | 5 | 1 | 2 | 2 | 4 | 5 |
1986년 멕시코 | 8강 | 7위 | 10 | 5 | 3 | 1 | 1 | 11 | 4 |
1990년 이탈리아 | 16강 | 10위 | 7 | 4 | 2 | 1 | 1 | 6 | 4 |
1994년 미국 | 8강 | 8위 | 8 | 5 | 2 | 2 | 1 | 10 | 6 |
1998년 프랑스 | 조별리그[11] | 17위 | 4 | 3 | 1 | 1 | 1 | 8 | 4 |
2002년 한국/일본 | 8강[12] | 5위 | 11 | 5 | 3 | 2 | 0 | 10 | 5 |
2006년 독일 | 16강[13] | 9위 | 9 | 4 | 3 | 0 | 1 | 9 | 4 |
2010년 남아공 | 우승[14] | 1위 | 18 | 7 | 6 | 0 | 1 | 8[15] | 2 |
2014년 브라질 | 조별리그[16] | 23위 | 3 | 3 | 1 | 0 | 2 | 4 | 7 |
2018년 러시아 | 16강[17] | 10위 | 6 | 4 | 1 | 3 | 0 | 7 | 6 |
2022년 카타르 | 16강 | 13위 | 5 | 4 | 1 | 2 | 1 | 9 | 3 |
2026년 북미 | ? | ? | ? | ? | ? | ? | ? | ? | ? |
합계 | 우승(1회) | 16회(16/22[18]) | 105 | 63 | 30 | 15 | 18 | 99 | 72 |
3. 1934 FIFA 월드컵 이탈리아
3.1. 16강전 브라질전 - 3 : 1 승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1934 FIFA 월드컵 이탈리아/1라운드#s-3|3]]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1934 FIFA 월드컵 이탈리아/1라운드#|]][[1934 FIFA 월드컵 이탈리아/1라운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2. 8강전 이탈리아전 - 1 : 1 무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1934 FIFA 월드컵 이탈리아/8강#s-2|2]]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1934 FIFA 월드컵 이탈리아/8강#|]][[1934 FIFA 월드컵 이탈리아/8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3. 8강전 재경기 이탈리아전 - 0 : 1 패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1934 FIFA 월드컵 이탈리아/8강#s-6|6]]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1934 FIFA 월드컵 이탈리아/8강#|]][[1934 FIFA 월드컵 이탈리아/8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 1938 FIFA 월드컵 프랑스
내전으로 인하여 기권했다.5. 1950 FIFA 월드컵 브라질
5.1. 13강 조별리그 미국전 - 3 : 1 승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1950 FIFA 월드컵 브라질/2조#s-3|3]]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1950 FIFA 월드컵 브라질/2조#|]][[1950 FIFA 월드컵 브라질/2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2. 13강 조별리그 칠레전 - 2 : 0 승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1950 FIFA 월드컵 브라질/2조#s-4|4]]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1950 FIFA 월드컵 브라질/2조#|]][[1950 FIFA 월드컵 브라질/2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3. 13강 조별리그 잉글랜드전 - 1 : 0 승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1950 FIFA 월드컵 브라질/2조#s-6|6]]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1950 FIFA 월드컵 브라질/2조#|]][[1950 FIFA 월드컵 브라질/2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4. 4강 결선리그 우루과이전 - 2 : 2 무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1950 FIFA 월드컵 브라질/결선 리그#s-3|3]]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1950 FIFA 월드컵 브라질/결선 리그#|]][[1950 FIFA 월드컵 브라질/결선 리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5. 4강 결선리그 브라질전 - 1 : 6 패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1950 FIFA 월드컵 브라질/결선 리그#s-4|4]]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1950 FIFA 월드컵 브라질/결선 리그#|]][[1950 FIFA 월드컵 브라질/결선 리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6. 4강 결선리그 스웨덴전 - 1 : 3 패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1950 FIFA 월드컵 브라질/결선 리그#s-6|6]]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1950 FIFA 월드컵 브라질/결선 리그#|]][[1950 FIFA 월드컵 브라질/결선 리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 1954 스위스 월드컵 ~ 1958 스웨덴 월드컵
2회 연속으로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7. 1962 FIFA 월드컵 칠레
7.1. 16강 조별리그 체코슬로바키아전 - 0 : 1 패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1962 FIFA 월드컵 칠레/조별 리그 3조&4조#s-1.2|1.2]]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1962 FIFA 월드컵 칠레/조별 리그 3조&4조#|]][[1962 FIFA 월드컵 칠레/조별 리그 3조&4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2. 16강 조별리그 멕시코전 - 1 : 0 승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1962 FIFA 월드컵 칠레/조별 리그 3조&4조#s-1.4|1.4]]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1962 FIFA 월드컵 칠레/조별 리그 3조&4조#|]][[1962 FIFA 월드컵 칠레/조별 리그 3조&4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3. 16강 조별리그 브라질전 - 1 : 2 패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1962 FIFA 월드컵 칠레/조별 리그 3조&4조#s-1.5|1.5]]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1962 FIFA 월드컵 칠레/조별 리그 3조&4조#|]][[1962 FIFA 월드컵 칠레/조별 리그 3조&4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8. 1966 FIFA 월드컵 잉글랜드
8.1. 16강 조별리그 아르헨티나전 - 1 : 2 패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1966 FIFA 월드컵 잉글랜드/조별 리그 1조&2조#s-2.2|2.2]]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1966 FIFA 월드컵 잉글랜드/조별 리그 1조&2조#|]][[1966 FIFA 월드컵 잉글랜드/조별 리그 1조&2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8.2. 16강 조별리그 스위스전 - 2 : 1 승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1966 FIFA 월드컵 잉글랜드/조별 리그 1조&2조#s-2.3|2.3]]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1966 FIFA 월드컵 잉글랜드/조별 리그 1조&2조#|]][[1966 FIFA 월드컵 잉글랜드/조별 리그 1조&2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8.3. 16강 조별리그 서독전 - 1 : 2 패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1966 FIFA 월드컵 잉글랜드/조별 리그 1조&2조#s-2.6|2.6]]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1966 FIFA 월드컵 잉글랜드/조별 리그 1조&2조#|]][[1966 FIFA 월드컵 잉글랜드/조별 리그 1조&2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9. 1970 FIFA 월드컵 멕시코 ~ 1974 FIFA 월드컵 서독
또 2회 연속으로 지역예선에서 탈락했다.(...)10. 1978 FIFA 월드컵 아르헨티나
10.1. 16강 조별리그
스페인은 16강 조별리그에서 탈락(10등)하였다.#!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1978 FIFA 월드컵 아르헨티나#s-5.1.3|5.1.3]]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1978 FIFA 월드컵 아르헨티나#|]][[1978 FIFA 월드컵 아르헨티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1. 1982 FIFA 월드컵 스페인
11.1. 24강 조별리그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1982 FIFA 월드컵 스페인#s-6.1.5|6.1.5]]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1982 FIFA 월드컵 스페인#|]][[1982 FIFA 월드컵 스페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1.2. 12강 조별리그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1982 FIFA 월드컵 스페인#s-6.2.2|6.2.2]]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1982 FIFA 월드컵 스페인#|]][[1982 FIFA 월드컵 스페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2. 1986 FIFA 월드컵 멕시코
12.1. 24강 조별리그 브라질전 - 0 : 1 패
1986 FIFA 월드컵 멕시코 D조 제1경기 1986. 06. 01. (일) 12:00 (UTC-6) | ||
에스타디오 할리스코 (멕시코, 과달라하라) | ||
주심: | ||
| 0 : 1 | |
- | 득점자 | 62' 소크라치스 |
관중: 35,748명 |
12.2. 24강 조별리그 북아일랜드전 - 2 : 1 승
1986 FIFA 월드컵 멕시코 D조 제4경기 1986. 06. 07. (토) 12:00 (UTC-6) | ||
에스타디오 트레스 데 마르소 (멕시코, 사포판) | ||
주심: | ||
| 1 : 2 | |
46' 콜린 클라크 | 득점자 | 1' 에밀리오 부트라게뇨 18' 훌리오 살리나스 |
관중: 28,000명 |
12.3. 24강 조별리그 알제리전 - 3 : 0 승
1986 FIFA 월드컵 멕시코 D조 제5-1경기 1986. 06. 12. (목) 12:00 (UTC-6) | ||
에스타디오 테크놀로히코 (멕시코, 몬테레이) | ||
주심: | ||
| 0 : 3 | |
- | 득점자 | 15', 68' 라몬 칼데레 70' 엘로이 |
관중: 23,980명 |
12.4. 16강전 덴마크전 - 5 : 1 승
1986 FIFA 월드컵 멕시코 16강 제8경기 1986. 06. 18. (수) 16:00 (UTC-6) | ||
에스타디오 라 코레히도라 (멕시코, 케레타로) | ||
주심: | ||
| 1 : 5 | |
33' 에스페르 올센 | 득점자 | 43', 56', 80', 88' (PK) 에밀리오 부트라게뇨 68' 안도니 고이코에체아 |
관중: 38,500명 |
12.5. 8강전 벨기에전 - 1 : 1 무(PSO 4 : 5 패)
1986 FIFA 월드컵 멕시코 8강 제4경기 1986. 06. 22. (일) 16:00 (UTC-6) | ||
에스타디오 쿠아우테목 (멕시코, 푸에블라) | ||
주심: | ||
| 1 : 1 A.E.T. (P.S.O. 4:5) | |
85' 후안 세뇨르 | 득점자 | 35' 얀 쾰레만스 |
관중: 45,000명 |
승부차기 | ||||
스페인 | 4 : 5 | 벨기에 | ||
선축 | 후축 | |||
후안 세뇨르 | | 1 | | 니코 클라에센 |
13. 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
13.1. 24강 조별리그 우루과이전 - 0 : 0 무
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 E조 제1경기 1990년 6월 13일 17:00(UTC+1) | ||
스타디오 프리울리 (이탈리아, 우디네) | ||
주심: 헬무트 콜 (오스트리아) | ||
| 0 : 0 | |
스페인 | 우루과이 | |
- | 득점자 | - |
관중: 35,713명 |
13.2. 24강 조별리그 대한민국전 - 3 : 1 승
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 E조 4경기 1990년 6월 17일 일요일 21:00 (UTC+1) | ||
스타디오 프리울리 (이탈리아, 우디네) | ||
주심: | ||
관중: 32,733명 | ||
| 1 : 3 | |
| | |
43' (FK) 황보관 (A. 최순호) | | 23', 61', 81' 미첼 곤살레스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E조#s-1.4|1.4]]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E조#|]][[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E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3.3. 24강 조별리그 벨기에전 - 2 : 1 승
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 E조 제5-1경기 1990년 6월 21일 17:00(UTC+1) | ||
스타디오 마르칸토니오 벤테고디 (이탈리아, 베로나) | ||
주심: 후안 카를로스 로우스타우 (아르헨티나) | ||
| 2 : 1 | |
스페인 | 벨기에 | |
26' 미첼(PK) 38' 알베르토 고리츠 | 득점자 | 29′ [[파트릭 페르푸르트|{{{#000000 파트릭 페르푸르트}}}]] |
관중: 35,950명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E조#s-1.5|1.5]]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E조#|]][[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E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3.4. 16강전 유고슬라비아전 - 1 : 2 패
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 16강 제6경기 1990년 6월 26일 17:00(UTC+1) | ||
스타디오 마르칸토니오 벤테고디 (이탈리아, 베로나) | ||
주심: 아론 슈미트후버 (서독) | ||
| 1 : 2 | |
스페인 | 유고슬라비아 | |
84' 훌리오 살리나스 | 득점자 | 78′, 93' [[드라간 스토이코비치|{{{#000 드라간 스토이코비치}}}]] |
관중: 35,500명 |
14. 1994 FIFA 월드컵 미국
14.1. 24강 조별리그 대한민국전 - 2 : 2 무
1994 FIFA 월드컵 미국 C조 2경기 1994년 6월 17일 금요일 18:30 (UTC-6) | ||
코튼 볼 (미국, 댈러스) | ||
주심: 페테르 미켈센 (덴마크) | ||
관중: 56,247명 | ||
| 2 : 2 | |
| | |
85' (FK) 홍명보 90' 서정원 | | 51' 훌리오 살리나스 55' 혼 안도니 고이코에체아 |
- | | 25' 미겔 앙헬 나달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호호/1994 FIFA 월드컵 미국/스페인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호호/1994 FIFA 월드컵 미국/스페인전#|]][[김호호/1994 FIFA 월드컵 미국/스페인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4.2. 24강 조별리그 독일전 - 1 : 1 무
1994 FIFA 월드컵 미국 C조 3경기 1994년 6월 21일 화요일 15:05 (UTC-5) | ||
솔저 필드 (미국, 시카고) | ||
주심: 필리페 카바니 (우루과이) | ||
| 1 : 1 | |
| | |
48' 위르겐 클린스만 | | 14' 혼 안도니 고이코에체아 |
경기 하이라이트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1994 FIFA 월드컵 미국/C조#s-4|4]]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1994 FIFA 월드컵 미국/C조#|]][[1994 FIFA 월드컵 미국/C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4.3. 24강 조별리그 볼리비아전 - 3 : 1 승
1994 FIFA 월드컵 미국 C조 5-1경기 1994년 6월 27일 월요일 15:05 (UTC-5) | ||
솔저 필드 (미국, 시카고) | ||
주심: 로드리고 바디야 (코스타리카) | ||
| 1 : 3 | |
| | |
67' 에르윈 산체스 | | 19' (PK) 펩 과르디올라 66', 70' 호세 루이스 카미네로 |
경기 하이라이트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1994 FIFA 월드컵 미국/C조#s-6|6]]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1994 FIFA 월드컵 미국/C조#|]][[1994 FIFA 월드컵 미국/C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4.4. 16강전 스위스전 - 3 : 0 승
1994 FIFA 월드컵 미국 16강 제2경기 1994년 7월 2일 16:30(UTC-5) | ||
로버트 F. 케네디 메모리얼 스타디움 (미국, 워싱턴) | ||
주심: 마리오 판더르 엔더 (네덜란드) | ||
| 3 : 0 | |
스페인 | 스위스 | |
15′ 페르난도 이에로 74′ 루이스 엔리케 86′ 치키 베히리스타인(PK) | 득점자 | - |
관중: 53,121명 |
14.5. 8강전 이탈리아전 - 1 : 2 패
1994 FIFA 월드컵 미국 8강 제1경기 1994년 7월 9일 12:00(UTC-5) | ||
폭스보로 스타디움 (미국, 폭스보로) | ||
주심: 산드로 풀 (헝가리) | ||
| 1 : 2 | |
스페인 | 이탈리아 | |
58′ 호세 루이스 카미네로 | 득점자 | 25' 디노 바조 88′ 로베르토 바조 |
관중: 53,400명 |
15.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
15.1. 32강 조별리그 나이지리아전 - 2 : 3 패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 D조 제2경기 1998년 6월 13일 14:30(UTC+1) | ||
스타드 드 라 보주아르 (낭트, 프랑스) | ||
주심: 에스판디아르 바하르마스트 (미국) | ||
| 2 : 3 | |
스페인 | 나이지리아 | |
20′ 페르난도 이에로 46' 라울 곤살레스 | 득점자 | 24′ 무티우 아데포주 73' 안도니 수비사레타(O.G) 77′ 선데이 올리세 |
관중: 35,500명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D조#s-3|3]]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D조#|]][[1998 FIFA 월드컵 프랑스/D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5.2. 32강 조별리그 파라과이전 - 0 : 0 무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 D조 제4경기 1998년 6월 19일 21:00(UTC+1) | ||
스타드 조프루아 기샤르 (생테티엔, 프랑스) | ||
주심: 이언 매클라우드 (남아프리카공화국) | ||
| 0 : 0 | |
스페인 | 파라과이 | |
- | 득점자 | - |
관중: 30,600명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D조#s-5|5]]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D조#|]][[1998 FIFA 월드컵 프랑스/D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5.3. 32강 조별리그 불가리아전 - 6 : 1 승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 D조 제5-1경기 1998년 6월 24일 21:00(UTC+1) | ||
스타드 펠릭스 볼라르 (랑스, 프랑스) | ||
주심: 마리오 판 데르 엔더 (네덜란드) | ||
| 6 : 1 | |
스페인 | 불가리아 | |
5' 페르난도 이에로(PK) 18' 루이스 엔리케 53', 80' 페르난도 모리엔테스 88' 게오르기 바체프(O.G) 90' 키코 | 득점자 | 56' 에밀 코스타디노프 |
관중: 38,100명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D조#s-6|6]]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D조#|]][[1998 FIFA 월드컵 프랑스/D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6.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16.1. 32강 조별리그 슬로베니아전 - 3 : 1 승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B조 2경기 2002.06.02.(일) 20:30 (UTC+9) | ||
광주월드컵경기장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서구) | ||
주심: | ||
| 3 : 1 | |
스페인 | 슬로베니아 | |
44′ 라울 곤살레스 74′ 후안 카를로스 발레론 87′ 페르난도 이에로(PK) | 득점자 | 82′ 세바스티안 치미로티치 |
관중: 28,598명 | ||
경기 최우수 선수: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B조#s-3|3]]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B조#|]][[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B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6.2. 32강 조별리그 파라과이전 - 3 : 1 승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B조 3경기 2002.06.07.(금) 18:00 (UTC+9) | ||
전주월드컵경기장 (대한민국, 전라북도 전주시) | ||
주심: | ||
| 3 : 1 | |
스페인 | 파라과이 | |
53′, 69' 페르난도 모리엔테스 83′ 페르난도 이에로(PK) | 득점자 | 10′ 카를레스 푸욜(O.G) |
관중: 24,000명 | ||
경기 최우수 선수: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B조#s-4|4]]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B조#|]][[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B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6.3. 32강 조별리그 남아프리카 공화국전 - 3 : 2 승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B조 5-1경기 2002.06.12.(수) 20:30 (UTC+9) | ||
대전월드컵경기장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 ||
주심: | ||
| 3 : 2 | |
스페인 | 남아프리카공화국 | |
4′, 56' 라울 곤살레스 45+1′ 가이즈카 멘디에타 | 득점자 | 31′ 베네딕트 매카시 53′ 루카스 라데베 |
관중: 31,024명 | ||
경기 최우수 선수: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B조#s-6|6]]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B조#|]][[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B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6.4. 16강전 아일랜드전 - 1 : 1 무 (PSO 3 : 2 승)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16강 4경기 2002.06.16.(일) 20:30 (UTC+9) | ||
수원월드컵경기장 (대한민국, 경기도 수원시) | ||
주심: | ||
| 1 : 1 (PSO 3 - 2) | |
스페인 | 아일랜드 | |
8′ 페르난도 모리엔테스 | 득점자 | 90′ 로비 킨(PK) |
관중: 38,926명 | ||
경기 최우수 선수: |
승부차기 | ||||
국가 | | | ||
점수 | 3 | 2 | ||
순서 | 후축 | 선축 | ||
1 | 페르난도 이에로 | O | 로비 킨 | O |
2 | 루벤 바라하 | O | 매튜 홀랜드 | X (오버) |
3 | 후안프란[19] | X (골대 밖) | 데이비드 코놀리 | X (골키퍼 선방) |
4 | 후안 카를로스 발레론 | X (골대) | 케빈 킬베인 | X (골키퍼 선방) |
5 | 가이즈카 멘디에타 | O | 스티브 피넌 | O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16강#s-2.4|2.4]]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16강#|]][[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16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6.5. 8강 대한민국전 - 0 : 0 무(PSO 3 : 5 패)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8강 3경기 2002년 6월 22일 토요일 15:30 (UTC+9) | ||
광주월드컵경기장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서구) | ||
주심: | ||
관중: 42,114명 | ||
| 0 : 0 A.E.T. (PSO 3 : 5) | |
| | |
- | | - |
경기 다시 보기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
경기 최우수 선수: |
승부차기 | ||||
GK: 이케르 카시야스 | 3 : 5 | GK: 이운재 | ||
후축 | 선축 | |||
페르난도 이에로 | | 1 | | 황선홍 |
루벤 바라하 | | 2 | | 박지성 |
사비 에르난데스 | | 3 | | 설기현 |
호아킨 산체스 | (골키퍼 선방) | 4 | | 안정환 |
- | 5 | | 홍명보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히딩크호/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스페인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히딩크호/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스페인전#|]][[히딩크호/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스페인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7. 2006 FIFA 월드컵 독일
17.1. 32강 조별리그 우크라이나전 - 4 : 0 승
2006 FIFA 월드컵 독일 H조 제1경기 2006년 6월 14일 15:00(UTC+1) | ||
첸트랄 슈타디온 (독일, 라이프치히) | ||
주심: 마시모 부사카 (스위스) | ||
| 4 : 0 | |
스페인 | 우크라이나 | |
13′ 사비 알론소 17′, 48'(PK) 다비드 비야 81′ 페르난도 토레스 | 득점자 | - |
- | 퇴장자 | 47′ 블라디슬라우 바슈크 |
관중: 43,000명 | ||
Man of the Match: [[차비 에르난데스|{{{#000000 차비 에르난데스}}}]] (스페인)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06 FIFA 월드컵 독일/H조#s-2|2]]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06 FIFA 월드컵 독일/H조#|]][[2006 FIFA 월드컵 독일/H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7.2. 32강 조별리그 튀니지전 - 3 : 1 승
2006 FIFA 월드컵 독일 H조 제4경기 2006년 6월 19일 21:00(UTC+1) | ||
고틀리프 다임러 슈타디온 (독일, 슈투트가르트) | ||
주심: 카를루스 이우제니우 시몽 (브라질) | ||
| 3 : 1 | |
스페인 | 튀니지 | |
71′ 라울 곤살레스 76′, 90+1'(PK) 페르난도 토레스 | 득점자 | 8′ 자우하르 음나리 |
관중: 52,000명 | ||
Man of the Match: [[사비 알론소|{{{#000000 사비 알론소}}}]] (스페인)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06 FIFA 월드컵 독일/H조#s-5|5]]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06 FIFA 월드컵 독일/H조#|]][[2006 FIFA 월드컵 독일/H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7.3. 32강 조별리그 사우디아라비아전 - 1 : 0 승
2006 FIFA 월드컵 독일 H조 제5-1경기 2006년 6월 23일 16:00(UTC+1) | ||
프리츠 발터 슈타디온 (독일, 카이저슬라우테른) | ||
주심: 코피 코지아 (베냉) | ||
| 1 : 0 | |
스페인 | 사우디아라비아 | |
36′ 후아니토 | 득점자 | - |
관중: 46,000명 | ||
Man of the Match: [[후아니토|{{{#000000 후아니토}}}]] (스페인)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06 FIFA 월드컵 독일/H조#s-6|6]]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06 FIFA 월드컵 독일/H조#|]][[2006 FIFA 월드컵 독일/H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7.4. 16강전 프랑스전 - 1 : 3 패
2006 FIFA 월드컵 독일 16강 제8경기 2006년 6월 27일 21:00(UTC+1) | ||
니더작센 슈타디온 (독일, 하노버) | ||
주심: 로베르트 로세티 (이탈리아) | ||
| 1 : 3 | |
스페인 | 프랑스 | |
28′ 다비드 비야 (PK) | 득점자 | 41′ 프랑크 리베리 83′ 파트리크 비에라 90+2′ 지네딘 지단 |
관중: 43,000명 | ||
Man of the Match: [[파트리크 비에라|{{{#000000 파트리크 비에라}}}]][22] (프랑스)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06 FIFA 월드컵 독일/16강#s-10|10]]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06 FIFA 월드컵 독일/16강#|]][[2006 FIFA 월드컵 독일/16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8.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
18.1. 32강 조별리그 스위스전 - 0 : 1 패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 H조 제2경기 2010년 6월 16일 16:00(UTC+2) | ||
모지스 마비다 스타디움 (남아프리카 공화국, 더반) | ||
주심: 하워드 웹 (잉글랜드) | ||
| 0 : 1 | |
스페인 | 스위스 | |
- | 득점자 | 52' 젤손 페르난드스 |
관중: 62,453명 | ||
Man of the Match: 젤손 페르난드스 (스위스)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H조#s-3|3]]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H조#|]][[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H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8.2. 32강 조별리그 온두라스전 - 2 : 0 승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 H조 제4경기 2010년 6월 21일 20:30(UTC+2) | ||
엘리스 파크 스타디움 (남아프리카 공화국, 요하네스버그) | ||
주심: 니시무라 유이치 (일본) | ||
| 2 : 0 | |
스페인 | 온두라스 | |
17', 51' 다비드 비야 | 득점자 | - |
관중: 54,386명 | ||
Man of the Match: 다비드 비야 (스페인)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H조#s-5|5]]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H조#|]][[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H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8.3. 32강 조별리그 칠레전 - 2 : 1 승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 H조 제5-1경기 2010년 6월 25일 20:30(UTC+2) | ||
로프터스 버스펠트 스타디움 (남아프리카 공화국, 프리토리아) | ||
주심: 마르코 로드리게스 (멕시코) | ||
| 2 : 1 | |
스페인 | 칠레 | |
24' 다비드 비야 37' 안드레스 이니에스타 | 득점자 | 47' 로드리고 미야르 |
- | 퇴장자 | 37′ 마르코 에스트라다 |
관중: 41,958명 | ||
Man of the Match: 안드레스 이니에스타 (스페인)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H조#s-6|6]]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H조#|]][[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H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8.4. 16강전 포르투갈전 - 1 : 0 승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 16강 제8경기 2010년 6월 29일 20:30(UTC+2) | ||
그린 포인트 스타디움 (남아프리카 공화국, 케이프타운) | ||
주심: 엑토르 발다시 (아르헨티나) | ||
| 1 : 0 | |
스페인 | 포르투갈 | |
63' 다비드 비야 | 득점자 | - |
- | 퇴장자 | 89′ 히카르두 코스타 |
관중: 62,955명 | ||
Man of the Match: 차비 에르난데스 (스페인)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16강#s-9|9]]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16강#|]][[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16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8.5. 8강전 파라과이전 - 1 : 0 승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 8강 제4경기 2010년 7월 3일 20:30(UTC+2) | ||
엘리스 파크 스타디움 (남아프리카 공화국, 요하네스버그) | ||
주심: 카를로스 바트레스 (과테말라) | ||
| 1 : 0 | |
스페인 | 파라과이 | |
83' 다비드 비야 | 득점자 | - |
관중: 55,359명 | ||
Man Of the Match: 안드레스 이니에스타 (스페인)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8강#s-6|6]]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8강#|]][[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8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8.6. 4강전 독일전 - 1 : 0 승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 4강 제2경기 2010년 7월 7일 20:30(UTC+2) | ||
모지스 마비다 스타디움 (남아프리카 공화국, 더반) | ||
주심: 커셔이 빅토르 (헝가리) | ||
| 1 : 0 | |
스페인 | 독일 | |
73′ 카를레스 푸욜 | 득점자 | - |
관중: 38,294명 | ||
Man of the Match: [[차비 에르난데스|{{{#000000 차비 에르난데스}}}]] (스페인)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준결승#s-3|3]]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준결승#|]][[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준결승#|]]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8.7. 결승전 네덜란드전 - 1 : 0 승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 결승전 2010년 7월 11일 20:30(UTC+2) | ||
사커 시티 스타디움 (남아프리카 공화국, 요하네스버그) | ||
주심: 하워드 웹 (잉글랜드) | ||
| 1 : 0 (서든데스 연장전) | |
스페인 | 네덜란드 | |
116′ 안드레스 이니에스타 | 득점자 | - |
- | 퇴장자 | 109′ 욘 헤이팅아 |
관중: 84,490명 | ||
Man of the Match: [[안드레스 이니에스타|{{{#000000 안드레스 이니에스타}}}]] (스페인)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결승#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결승#|]][[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결승#|]]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9.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
19.1. 32강 조별리그 네덜란드전 - 1 : 5 패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 B조 1경기 2014년 6월 13일 금요일 16:00 (현지 시각 기준)[23] | ||
아레나 폰치 노바 (브라질, 사우바도르) | ||
주심: 니콜라 리촐리 (이탈리아) | ||
관중: 48,173명 | ||
| 1 : 5 | |
| | |
26' (PK) 샤비 알론소 | | 43', 71' 로빈 반 페르시 52', 79' 아르연 로번 64' 스테판 더프레이 |
경기 다시 보기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
Man of the Match: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B조/스페인 vs 네덜란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B조/스페인 vs 네덜란드#|]][[2014 FIFA 월드컵 브라질/B조/스페인 vs 네덜란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9.2. 32강 조별리그 칠레전 - 0 : 2 패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 B조 4경기 2014. 06. 18.(수) 16:00(UTC-3) | ||
이스타지우 두 마라카낭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 ||
주심: [[마크 가이거|{{{#000000 마크 가이거}}}]] (미국) | ||
| 0 : 2 | |
스페인 | 칠레 | |
- | 득점자 | 19' 에두아르도 바르가스 43' 샤를레스 아랑기스 |
Man Of the Match: [[에두아르도 바르가스|{{{#000000 에두아르도 바르가스}}}]] (칠레) | ||
관중 수 : 74,101명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B조#s-5|5]]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B조#|]][[2014 FIFA 월드컵 브라질/B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9.3. 32강 조별리그 호주전 - 3 : 0 승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 B조 5-1경기 2014. 06. 23.(월) 13:00(UTC-3) | ||
아레나 다 바이샤다 (브라질, 쿠리치바) | ||
주심: 나와프 슈크랄라 (바레인) | ||
| 3 : 0 | |
스페인 | 호주 | |
36' 다비드 비야 69' 페르난도 토레스 82' 후안 마타 | 득점자 | - |
Man Of the Match: [[다비드 비야|{{{#000000 다비드 비야}}}]] (스페인) | ||
관중 수 : 39,375명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B조#s-6|6]]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B조#|]][[2014 FIFA 월드컵 브라질/B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0.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20.1. 32강 조별리그 포르투갈전 - 3 : 3 무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B조 2경기 2018.06.15.(금) 21:00(UTC+3) | ||
피시트 올림픽 스타디움 (러시아, 소치) | ||
주심: 지안루카 로키 (이탈리아) | ||
| 3 : 3 | |
스페인 | 포르투갈 | |
24', 55' 디에고 코스타 58' 나초 페르난데스 | 득점자 | 4'(PK),44', 88'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
Man of the Match: 크리스티아누 호날두(포르투갈) | ||
관중 : 43,866명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B조#s-4|4]]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B조#|]][[2018 FIFA 월드컵 러시아/B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0.2. 32강 조별리그 이란전 - 1 : 0 승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B조 4경기 2018.06.20.(수) 21:00(UTC+3) | ||
카잔 아레나 (러시아, 카잔) | ||
주심: 안드레스 쿠냐 (우루과이) | ||
| 1 : 0 | |
스페인 | 이란 | |
53' 디에고 코스타 | 득점자 | - |
Man of the Match: 디에고 코스타(스페인) | ||
관중: 42,718명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B조#s-6|6]]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B조#|]][[2018 FIFA 월드컵 러시아/B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0.3. 32강 조별리그 모로코전 - 2 : 2 무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B조 5-2경기 2018.06.25.(월) 20:00(UTC+2) | ||
칼리닌그라드 스타디움 (러시아, 칼리닌그라드) | ||
주심: 라브샨 이르마토프 (우즈베키스탄) | ||
| 2 : 2 | |
스페인 | 모로코 | |
18' 이스코 90+1' 이아고 아스파스 | 득점자 | 13' 칼리드 부타이브 82' 유세프 엔 네시리 |
Man of the Match: 이스코(스페인)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B조#s-8|8]]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B조#|]][[2018 FIFA 월드컵 러시아/B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0.4. 16강전 러시아전 - 1 : 1 무(PSO 3 : 4 패)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16강 3경기 2018.07.01.(일) 17:00(UTC+3) | ||
루즈니키 스타디움 (러시아, 모스크바) | ||
주심: 비욘 카이퍼스 (네덜란드) | ||
| 1 : 1 (PSO 3 - 4) | |
스페인 | 러시아 | |
11' 세르게이 이그나셰비치 (OG) | 득점자 | 40' 아르템 쥬바 (PK) |
Man of the Match: 이고르 아킨페프(러시아) | ||
관중: 78,011명 |
승부차기 | ||||
국가 | | | ||
점수 | 3 | 4 | ||
순서 | 선축 | 후축 | ||
1 | 안드레스 이니에스타 | O | 표도르 스몰로프 | O |
2 | 제라르 피케 | O | 세르게이 이그나셰비치 | O |
3 | 코케 | X (골키퍼 선방) | 알렉산드르 골로빈 | O |
4 | 세르히오 라모스 | O | 데니스 체리셰프 | O |
5 | 이아고 아스파스 | X (골키퍼 선방) | - | -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16강#s-6|6]]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16강#|]][[2018 FIFA 월드컵 러시아/16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1.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21.1. 32강 조별리그 코스타리카전 - 7 : 0 승
알투마마 스타디움 (카타르, 도하) | ||
주심: 무함마드 압둘라 하산 무함마드 (아랍에미리트) | ||
| 7 : 0 | |
스페인 | 코스타리카 | |
11' 다니 올모 21' 마르코 아센시오 31'[[페널티킥|{{{#00f (PK)}}}]], 54' 페란 토레스 74' 가비 90' 카를로스 솔레르 90+2' 알바로 모라타 | 득점자 | - |
Player of the Match: 가비(스페인) | ||
관중: 40,013명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E조#s-6|6]]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E조#|]][[2022 FIFA 월드컵 카타르/E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1.2. 32강 조별리그 독일전 - 1 : 1 무
알바이트 스타디움 (카타르, 알코르) | ||
주심: 대니 마켈리 (네덜란드) | ||
| 1 : 1 | |
스페인 | 독일 | |
62' 알바로 모라타 | 득점자 | 83' 니클라스 퓔크루크 |
Player of the Match: 알바로 모라타(스페인) | ||
관중: 68,895명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E조#s-8|8]]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E조#|]][[2022 FIFA 월드컵 카타르/E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1.3. 32강 조별리그 일본전 - 1 : 2 패
칼리파 인터내셔널 스타디움 (카타르, 도하) | ||
주심: 빅터 고메스 (남아프리카 공화국) | ||
| 1 : 2 | |
스페인 | 일본 | |
11' 알바로 모라타 | 득점자 | 48' 도안 리츠 51' 다나카 아오 |
Player of the Match: 다나카 아오(일본) | ||
관중: 44,851명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E조/일본 vs 스페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E조/일본 vs 스페인#|]][[2022 FIFA 월드컵 카타르/E조/일본 vs 스페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1.4. 16강전 모로코전 - 0 : 0 무(PSO 0 : 3 패)
에듀케이션 시티 스타디움 (카타르, 아라얀) | ||
주심: 페르난도 라팔리니 (아르헨티나) | ||
| 0 : 0 | |
스페인 | 모로코 | |
- | 득점자 | - |
관중: 44,667명 |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
Player of the Match: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16강#s-10|10]]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16강#|]][[2022 FIFA 월드컵 카타르/16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 당시에는 전 경기가 토너먼트였다. 8강전에서 이탈리아와 비긴 후 재경기 끝에 탈락.[2] 스페인 내전으로 인해 기권.[결승리그] 4강(풀리그 방식)에서 1무 2패 4위, 2010년 우승 이전까지 최고의 성적이었으며, 당시에는 지금과 같은 토너먼트 방식이 아닌 4강 풀리그 방식이었고 당시에는 8강전없이, 13강 조별리그에서 1위를 한 상위 4개의 팀들이 4강 결승리그에 진출하는 방식이었다. 스페인은 4강 결승리그에서 우루과이와 2:2로 비기고 브라질, 스웨덴에게 1:6, 1:3으로 패하면서 1무 2패 월드컵 4위로 마무리하였다.[4] 터키와의 1954년 월드컵 지역예선경기에서 1승 1패로 동률이 되어 동전 던지기로 인해 탈락. 1차전에서 4:1로 승리하고 2차전에서 0:1로 졌는데 그 때 골득실 제도가 있었다면 54월드컵 16개국 본선에 진출이 가능했을 것이다.[16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6] 16강 조별리그[7] 16강 조별리그[16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9] 16강 조별리그[10] 이 당시는 2라운드가 12강 이었으며, 12강 토너먼트가 아닌 12강 조별리그였으며 결국 스페인은 12강 조별리그에서 탈락하였고 월드컵 12위로 탈락하여 다음라운드인 4강 진출에 실패했다.[11] 32강 조별리그 당시 나이지리아에 패하고 파라과이에 비긴 것이 원인이었고, 전체 17위로 32강 조별리그 탈락했다.[12] 32강 조별리그를 3전 전승으로 통과하고 16강에서 아일랜드에게 승부차기 혈투 끝에 승리했으나, 8강전에서 개최국 대한민국을 만나 경기력은 시종일관 압도했으나 지독하게도 골 운이 따르지 않은 끝에 120분간 0:0을 유지하다 승부차기에서 패배 탈락[13] 32강 조별리그를 3전 전승으로 통과했으나, 16강에서 대회 준우승팀이자 힘겹게 올라온 프랑스에게 1:3으로 져서 탈락.[14] 티키타카를 위시한 패싱축구로 전세계 축구의 흐름을 바꿔놓았던 장본인. 유로 우승국은 월드컵에서 부진한다는 징크스를 깨고 우승했다. 역대 최저득점과 최저실점 우승국이다. 티키타카를 빙자한 신종 늪 축구[15] 우승국의 최저득점 종전 기록은 1938년 이탈리아와 1966년 잉글랜드, 그리고 1994년 브라질의 11골이다.[16] 32강 조별리그 첫 경기에서 4년전 결승 상대였던 네덜란드에 1:5 대패. 디펜딩 챔피언 사상 최다실점 패배에 두 경기만에 탈락이 확정된 최초의 디펜딩 챔피언이다.[17] 32강 조별리그에서 1승 2무였지만 골득실 우세로 1위로 진출했으나, 16강에서 개최국 러시아에게 승부차기 패배[18] 월드컵 본선 진출 비율[19] 우리가 아는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의 레전드가 아닌 동명이인이다.[20] 대한민국의 키커 5명은 우연일수도 있지만 키커 5명 전원이 모두 월드컵 본선에서 골을 넣은 경험이 있는 선수들로 선정되었으며, 이 중 홍명보를 제외한 나머지 4명은 이 대회에서 이미 득점을 기록했던 선수들이다.[21] 이케르 카시야스의 옆구리를 스치고 골라인 통과.[22] 비에라는 스페인의 아라고네스 감독과 시비를 붙기도 하였다. 비에라의 반칙에 대해 아라고네스 감독이 항의하자 손가락으로 가리키며 조용히 하라는 손짓을 하는 패기를 보였다.[23] 대한민국 시각 기준 2014년 6월 14일 토요일 0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