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7:51:44

월병(광동어)

월어병음에서 넘어옴
월병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언어별 로마자 표기법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3492da> 한국어 프랑스식 - 한글학회식 - 예일식 - 48년 문교부식 - 59년 문교부식 - M.R. 식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00년 문광부식 - 김복문식 - 국립국어원식
한세식 - 유만근식 - 양병선식 - 홍승목식 - 86년 북한식 - 파일:북한 국기.svg 97년 북한식 - ISO/TR 11941
일본어 JSL - 훈령식 - 일본식 - 파일:일본 국기.svg 헵번식 - 포르투갈식
표준중국어 우정식 - W.G.식 - 화어통용병음 - 국어라마자 - 주음부호 2식 - 예일식 -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만 국기.svg 한어병음
광동어 월어병음 - 광동어 예일식 표기법 - 광주화병음 -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정부식 -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마카오 정부식
민어 민남어백화자 - 파일:대만 국기.svg 대라병음 - 대어통용병음 - 조주화병음 - 해남병음
객가어 객가어백화자 - 파일:대만 국기.svg 객가어병음 - 객어통용병음 - 객가화병음
아랍어 BGN/PCGN - UNGEGN - 미국 의회도서관식 - 이슬람 백과사전식
페르시아어 미국 의회도서관식 - 이슬람 백과사전식 - 파일:이란 국기.svg UN식
아르메니아어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BGN/PCGN - 미국 의회도서관식 - ISO 9985
조지아어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정부식 - BGN/PCGN - 미국 의회도서관식 - ISO 9984
그리스어 파일:그리스 국기.svg ELOT 743 - 미국 의회도서관식
히브리어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정부식 - ISO 259
힌디어 IAST - 파일:인도 국기.svg 헌터식
티베트어 와일리 표기법 - 장어병음
타이어 ISO 11940 - 파일:태국 국기.svg 왕립학회식
벨라루스어 BGN/PCGN -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정부식 - 라친카 - ISO 9
불가리아어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정부식 - ISO/R 9
러시아어 BGN/PCGN - 파일:러시아 국기.svg GOST 7.79-2000 - ISO 9
우크라이나어 BGN/PCGN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정부식 - ISO/LN 9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ee1c25>상징<colcolor=#000,#fff>양자형기 · 자형화
역사 역사 · 난징 조약 · 영국령 홍콩 · 홍콩일치시기 · 중영공동선언 · 홍콩 반환 · 2014년 홍콩 민주화 운동 · 홍콩 독립운동 · 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 · 홍콩 국가보안법(국가안전수호조례) · 홍콩특별행정구
정치 정치(입법회 · 행정조직) · 일국양제 · 홍콩 행정장관 · 선거(입법회 · 구의회) · 정당(친중파 · 민주파 · 본토파) · 홍콩 기본법
외교 외교(한홍관계 · 본토-홍콩 관계 · 대만-홍콩 관계) · 홍콩 여권 · APEC
경제 경제 · 홍콩 달러 · 아시아의 네 마리 용
국방 국방 · 중국 인민해방군 주홍콩부대
치안 치안 · 홍콩 보안국(홍콩 경무처 · 홍콩 소방처 · 홍콩 정부비행복무대 · 홍콩 징교처 · 홍콩 해관 · 홍콩 입경사무처)
문화 문화 · 홍콩 영화 · 중화권 · 언어 · 광동어(월어병음) · 번체자 · 영어 · 표준 중국어 · 홍콩 축구 국가대표팀 · 홍콩 프리미어 리그
관광 관광 · 구룡채성 · 충킹맨션 · 미드레벨 에스컬레이터
교통 교통 · 강주아오 대교 · MTR · 홍콩 버스 · 캐세이퍼시픽항공 · 캐세이드래곤항공 · 홍콩항공 · 그레이터베이 항공 · 홍콩 익스프레스 · 옥토퍼스 카드 · 홍콩 국제공항 · 카이탁 국제공항
기타 홍콩인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text-align: left''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margin-right:10px; border:1px solid #fff"
[[마카오|[[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height=35&align=left]]]]}}}{{{#!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text-align: left"
[[마카오|{{{#fff '''{{{+1 마카오}}}[br]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089172>상징<colcolor=#000,#fff>깃발 · 연꽃
역사 역사 · 포르투갈령 마카오 · 마카오 반환 · 마카오특별행정구
정치 정치 · 입법회 · 정부 · 행정장관 · 정당
외교 외교(한국-마카오 관계 · 홍콩-마카오 관계 · 마카오-본토 관계) · 마카오 여권
경제 경제 · 마카오 파타카
군사 군사 · 중국 인민해방군 주마카오부대
치안 마카오 보안부대(마카오 치안경찰국 · 마카오 소방국)
문화 문화 · 중화권 · 광동어(월어병음) · 번체자 · 포르투갈어
관광 관광
교통 교통 · 강주아오 대교 · 트랜스맥 · 마카오 TCM · 마카오 경전철 · 마카오 국제공항 · 에어 마카오 · 마카오 패스
기타 마카오인
}}}}}}}}}||

香港語言學學會粵語拼音方案(粵拼)/ The Linguistic Society of Hong Kong Cantonese Romanisation Scheme (Jyutping)
1. 개요
1.1. 기원
2. 표기법
2.1. 성모(聲母, initials)2.2. 운모(韻母, finals)2.3. 성조(聲調, tones)2.4. 붙여 쓰기와 띄어쓰기
3. 공식 사이트
  • 복사용: ¹ ² ³ ⁴ ⁵ ⁶ [1] ⁷ ⁸ ⁹ [2]

1. 개요

광동어(월어)의 발음을 정확히 전사하기 위해 고안된 로마자 표기법(병음). 정식 명칭은 홍콩어언학학회(홍콩언어학회) 월어병음방안이고 줄여서 월병(Jyutping, '윗핑' 내지 '윗펭'[3]에 가깝게 발음됨)이라고 한다.

근래에 광동어 발음을 정확히 전사하고자 할 때 월병으로 쓰는 경우가 많다. 그 다음으로 많이 쓰이는 표기법은 광동어의 예일식 로마자 표기법이다. 물론 홍콩과 마카오 사람들이 본인의 인명을 적을 때 쓰는 관행적 표기나 홍콩 정부가 지명 표기 등에 사용하는 로마자 표기법(홍콩 정부 월어병음)은 월병이나 예일식과 다소 거리가 있다.[4] 광둥성 정부에서 쓰는 광동병음방안(광동어판)도 이질감이 심하다.

월병에서 제일 헷갈리게 하는 문자가 j이다. 영어식 발음에 이끌려 \[dʒ\](ㅈ)으로 읽기 쉬우나 국제음성기호이탈리아어, 독일어 등과 같이 [j](반모음 '이')를 나타낸다. z, c 표기도 헷갈리는 편인데, 표준 중국어 발음을 적는 한어병음의 설치음(舌齒音) 표기와 동일하다. 단 월병에서는 한어병음의 j, q, x 같은 설면음(舌面音) 표기는 없다. 어차피 광동어에서는 설면음이 설치음이 구개음화변이음이기 때문이다.

1.1. 기원

월병이 나오기 전에는 황석릉(黃錫凌)이 만든 간이 국제음성기호가 있으며, 지금도 광동어 음이 수록된 홍콩의 자전에 널리 쓰이고 있다. 1990년에 이를 컴퓨터 환경에 맞게 개량한 것이 교육학원 병음방안(教育學院拼音方案)이다. 약칭으로는 교원식(教院式)이라고 하며, 입성운까지 모두 고려해 성조를 9개로 계산했다. 예를 들어 粵語는 Jyt⁹jy⁵[5]라고 표기하는 식이다.

하지만 dz, ts[6] 같은 성모가 병음을 적는데 자리를 많이 차지하며, 성조를 9개로 표기해서 배우기 어렵고 비효율적이었다. 그리고 성조 숫자를 위 첨자로 입력하기가 쉽지 않았다. 결국 1993년에 홍콩어언학학회가 교원식을 수정하여 만든 로마자 표기법인 월병이 대표적인 광동어 발음 표기법으로 자리잡게 된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4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4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2. 표기법

맨 위에 적은 로마자가 월병 표기이고, [ ] 안은 국제음성기호, 한자는 해당 음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한자를 가리킨다.

2.1. 성모(聲母, initials)

|| ||<-2> 양순 || 순치 ||<-2> 치경 || 경구개 ||<-4> 연구개 || 성문 ||
파열 b p d t g k gw kw
[p] [pʰ] [t] [tʰ] [k] [kʰ] [kʷ] [kʷʰ]
마찰 f s h
[f] [s] [h]
파찰 z c
[ʦ] [ʦʰ]
비음 m n ng
[m] [n] [ŋ]
접근 w l j
[w] [l] [j]
  • 중국어의 많은 방언과 달리 광동어에서는 w \[w\], j \[j\]가 운모(韻母)의 일부인 운두(韻頭) 즉 개음(介音)이 아니라 어두 자음인 성모로 취급된다. 따라서 이 발음을 모음으로 취급하는 다른 중국어 방언과 달리 영어처럼 자음 취급하는 게 합리적일 수 있다.
    • 더불어 광동어에는 gw \[kʷ\], kw \[kʰʷ\] 같은 원순성(圓脣性)이 수반된 연구개음이 존재한다.
  • 광동어의 예일식 로마자 표기법, 광동병음(광동어판), 시드니 라우 표기법 등과 마찬가지로 무성 무기 파열음파찰음영어유성음 기호를 할당하고, 무성 유기 파열음과 파찰음에 영어의 무성음 기호를 할당하고 있다.[7] 표준중국어의 한어병음, 통용병음 등과 같고,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이나 광동어의 관행적 표기 및 홍콩 정부 월어병음 등과 차이가 난다.
  • 광동어의 예일식 표기법, 시드니 라우 표기법 등과 마찬가지로 구개음화는 표기에 반영하지 않는다. 표준중국어의 통용병음과 같고, 광동병음(광동어판)이나 표준중국어의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한어병음과 다른 부분이다.

2.2. 운모(韻母, finals)

|| aa
\[aː\]
沙 || aai
\[aːi̯\]
徙 || aau
\[aːu̯\]
梢 || aam
\[aːm\]
三 || aan
\[aːn\]
山 || aang
\[aːŋ\]
坑 || aap
\[aːp̚\]
圾 ||aat
\[aːt̚\]
剎 || aak
\[aːk̚\]
客 ||
ai
\[ɐi̯\]
西
au
\[ɐu̯\]
am
\[ɐm\]
an
\[ɐn\]
ang
\[ɐŋ\]
ap
\[ɐp̚\]
at
\[ɐt̚\]
ak
\[ɐk̚\]
e
\[ɛː\]
ei
\[ei̯\]
eu
\[ɛːu̯\]
掉*
em
\[ɛːm\]
舐*
eng
\[ɛːŋ\]
ep
\[ɛːp̚\]
夾*
ek
\[ɛːk̚\]
i
\[iː\]
iu
\[iːu̯\]
im
\[iːm\]
in
\[iːn\]
ing
\[eŋ\]
ip
\[iːp̚\]
it
\[iːt̚\]
ik
\[ek̚\]
o
\[ɔː\]
oi
\[ɔːy̯\]
ou
\[ou̯\]
on
\[ɔːn\]
ong
\[ɔːŋ\]
ot
\[ɔːt̚\]
ok
\[ɔːk̚\]
u
\[uː\]
ui
\[uːy̯\]
un
\[uːn\]
ung
\[oŋ\]
ut
\[uːt̚\]
uk
\[ok̚\]
oe
\[œː\]
eoi
\[ɵy̯\]
eon
\[ɵn\]
oeng
\[œːŋ\]
eot
\[ɵt̚\]
oek
\[œːk̚\]
yu
\[yː\]
yun
\[yːn\]
yut
\[yːt̚\]
m
\[m̩\]
ng
\[ŋ̍\]
  • 광동어에서 단운모 \[ɐ\]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월병에서 운모 부분이 a 단독으로 표기될 일은 없다.[8]
  • m과 ng은 성절(成節) 자음으로서 단독으로 쓰일 수 있다.
  • 위 표에서 한자 옆에 *가 쳐져 있는 운모는 비표준 구어에서만 나타나는 발음을 의미한다.[9]
  • 개요에서 설명했듯이 ng, k가 운미(韻尾)로 오면 운복(韻腹)인 모음 부분의 실제 음가가 변하지만 i의 경우 바뀐 발음을 표기에 반영하지 않고 기저 음운 그대로 표기한다. 같은 맥락에서 z, c, s의 구개음화도 표기에 반영하지 않는다.
    • 하지만 하나의 기저 음운인 oe/eo에 대해서는 구분이 있다. \[œː\]로 발음되면 oe로 적고 \[ɵ\]로 발음되면 eo로 적는다. 단운모거나 ng 또는 k가 운미로 올 경우 모음 부분이 이렇게 발음돼 철자가 oe로 적힌다.[10]
  • 성모가 없을 경우(영성모·零聲母), i나 yu로 시작하는 운모 앞에 j를 붙이고, u로 시작하는 운모 앞에 w를 붙인다. 참고로 \[yː\] 발음은 기저 음운과의 관계가 /j/ + /uː/ → /y/ (또는 /ɥ/) + /uː/ → \[yː\]라고 분석한 탓에 yu로 적되 성모가 없을 경우 j까지 추가하는 방식으로 표기하는데 사실 경제성은 떨어지는 결정이다. 다만 위 표에는 없는 /j/ + /uː/ → \[juː\]~\[jo\]가 되는 경우도 있는데 이건 성모 j \[j\] + u가 성절 모음인 운모가 결합한 것으로 약간 구조가 다르며 발음도 다르기에 철자로도 ju로 적어 구분한다. 예를 들면 育은 성조를 제외하고는 juk으로 적히며 \[jok̚\]으로 읽힌다.[11]

2.3. 성조(聲調, tones)

|| 성조
이름 || 음평
(陰平) || 음상
(陰上) || 음거
(陰去) || 양평
(陽平) || 양상
(陽上) || 양거
(陽去) || 고음입
(高陰入)[12] || 저음입
(低陰入)[13] || 양입
(陽入) ||
성조
번호
1 2 3 4 5 6 1(7) 3(8) 6(9)
성조
소릿값
˥ 55 / ˥˧ 53 ˧˥ 35 ˧ 33 ˨˩ 21 / ˩ 11 ˩˧ 13 ˨ 22 ˥ 5 ˧ 3 ˨ 2
한자
分/詩 粉/史 訓/試 焚/時 奮/市 份/是 忽/識 發/錫 佛/食
월병
표기
fan1/si1 fan2/si2 fan3/si3 fan4/si4 fan5/si5 fan6/si6 fat1/sik1 faat3/sek3 fat6/sik6
  • 예일식과 달리 성조 부호를 음절 뒤에 숫자를 써서 나타낸다.[14] 단 성조 분류는 월병의 전신인 교원식에서 썼던 1~9성 체계가 아니라 예일식처럼 1~6성 체계를 따라 입성(入聲)인 7~9성을 각각 1, 3, 6성으로 간주해 표기한다.
    • 교원식, 광동병음방안(숫자로 성조 부호를 표기할 경우), 시드니 라우 로마자 표기법이나 표준 중국어 발음을 기재하는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등과 달리 성조 숫자를 위 첨자(¹, ² 등)로 쓰지 않고 일반적인 크기의 숫자(1, 2 등)으로 표기한다. 컴퓨터 입력의 편의를 위한 조치이다. 다만 일부 문헌에서는 일반적인 숫자가 아닌 성조를 나타낸 보조 부호임을 강조하기 위해 위 첨자로 바꿔 표기한 경우가 있긴 하다.
    • 그런데 1성의 경우 차이가 현격한 변이음이 있어서 ˥ 55와 ˥˧ 53(또는 학자에 따라 ˥˨ 52로 표현)의 두 종류로 발음될 수 있는데[15] 월병에서는 이 둘의 차이를 반영하지 않아 그냥 1로만 적는다.[16]
  • 성조 체계는 홍콩의 광동어를 기준으로 하는데, 운미(韻尾)가 k, t, p로 끝나는 입성(入聲)은 월병에서 별도의 성조로 취급하지 않지만 위 표에서는 예시를 위해 구분해 놓았다.
  • 위 표에서 '성조 소릿값'은 국제음성기호의 성조 기호와 여기에 대응되는 수치(數値)를 숫자로 기재한 것이다.

2.4. 붙여 쓰기와 띄어쓰기

예일식이나, 표준중국어 발음을 표기할 때 적용하는 한어병음 정사법 기본 규칙과 마찬가지로 음절이 아닌 단어별로 띄어쓰기를 하며 한 단어 안에서는 음절 경계의 구분 없이 그냥 이어 쓴다. 월병은 음절 뒤에 일반적인 크기의 숫자로 성조를 일일이 표기하기 때문에 이음줄(-)이나 어깻점(' 또는 ’) 등이 필요 없다. 성조를 생략한 간략 표기 시에는 어차피 성조 숫자 뿐만 아니라 기본 로마자 이외의 보조 부호는 하나도 안 쓰도록 하고 있어서 역시 쓰일 일이 없다. 음절 경계에 관해 혼동의 여지가 있어도 성조 기호 생략 시 그냥 구분하지 않는다. 아니면 일부 변종 월병 표기에서는 그냥 음절별로 띄어쓰기도 하며, 이 경우 단어 경계를 나타내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지만 음절 경계에 절대 혼동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긴 하다.

3. 공식 사이트

이곳에서 표준 중국어광동어 월병으로 변환 가능하다.

[1] 사실 월병에서는 성조 숫자를 일반적인 글씨 크기로 1~6을 써서 나타내기 때문에 원칙적으로 위 첨자가 쓰이지 않는다. 다만 월병의 변종 표기 중에 간혹 성조 숫자를 위 첨자로 쓰는 일이 있어서 복사용 문자로 정리해 놓았다.[2] 입성을 7~9성으로 취급하는 변종 표기가 있을 수 있어서 여기에 7~9에 대응되는 위 첨자를 추가한다.[3] 광동어에서는 운미(韻尾)가 ng이나 k일 경우 모음 부분의 발음이 원래의 기저 음운보다 저설(低舌)이거나 전설(前舌)인 모음으로 바뀌는 경향이 있다. 월병은 변화된 발음이 아닌 기저 음운을 기준으로 표기한다.[4] 예를 들어 ci나 zi로 쓰는 것을 인명이나 지명에서는 tsz로 쓴다.[5] 월병으로는 Jyut6jyu5.[6] 월병의 z, c에 해당한다. 예를 들면 zoeng1(張)을 교원식에서 dzoeng¹으로, can4(陳)을 tsan⁴으로 적는 식이다. ts는 광동어의 관행 표기법(다만 ch가 더 널리 쓰인다),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심지어 헵번식 로마자 표기법에도 널리 쓰이는 자모이다.[7] 단 월병, 예일식, 시드니 라우 표기법의 경우 성모만 이런 원칙이 적용되고, 입성(入聲) 운미(韻尾)로 쓰일 때는 g, d, b가 아닌 k, t, p로 적는다. 한국어를 표기하는 현행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과 비슷하다. 반면 광동병음에서는 입성 운미도 g, d, b로 적는다.[8] 예일식의 경우, 철자의 편의를 위해 단운모 \[aː\]만 예외적으로 aa가 아니라 a로 적게 하고 있다.[9] 예일식에서는 해당 운모들을 적을 방법을 제공하지 않는다. \[ɛːm\], \[ɛːp̚\] 운모를 굳이 예일식에서 적으려면 응용하여 em, ep으로 적을 수 있겠지만(월병과 동일), \[ɛːu̯\] 운모는 예일식에서 적을 방법이 딱히 없다. 왜냐면 예일식에서 eu는 \[œː\]~\[ɵ\] 발음을 나타내는 철자로 이미 할당돼 있기 때문에 이것과 충돌하기 때문이다.[10] 원래 월병의 전신인 교원식에서는 oe로 통일해서 적었는데 무슨 이유에서인지 월병에서 구분이 생겼다.[11] 사실 광동어에서는 월병에서 jyu와 ju로 적히는 발음은 운미(韻尾)와의 조합에서 상보적 분포를 하여 서로 겹치지 않는다. 그래서 예일식에서는 양자를 구분하지 않고 yu로 동일하게 표기한다. 하지만 광동어 입문자가 예일식으로 학습할 경우 yu를 봤을 때 실제 발음을 헷갈릴 우려가 있다.[12] 또는 음입(陰入).[13] 또는 중입(中入).[14] 예일식의 성조 부호는 ˉ(macron), `(grave accent), ´(acute accent), h로 성조를 나타낸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고.[15] 홍콩에서는 대개 양자의 구분을 의식하지 않는다고 하고, 광저우에서는 점점 후자가 소멸해 전자로 통합되는 추세이지만 극히 일부 한자들은 여전히 전자로 발음할 때와 후자로 발음할 때를 구분한다고 한다. 예를 들어 衫(셔츠)과 三(셋) 모두 월병으로 saam1이라고 적지만 광저우에서는 衫를 전자처럼 읽고, 三을 후자처럼 읽는 식이다.[16] 예일식에서는 둘의 구분이 필요할 경우 구분해서 적을 방법이 있다. 예일식 표기에서 전자는 성절 모음 위에 ˉ(macron)을 긋고 후자는 `(grave accent)를 긋는다. 예일식에서는 1성의 두 발음을 구분할 필요가 없을 경우 대개 전자로 통일한다. 직전 주석에서 설명했듯이 광저우 방언에서 후자가 소멸하여 전자로 통합되는 추세이지만 극히 일부 한자들은 여전히 양자를 구분하는데, 예일식에서는 衫(셔츠)를 sāam, 三(셋)을 sàam으로 구분할 수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