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평양 전쟁 당시 연합국에 의해 부여된 일본 소속 기체의 코드네임에 대한 내용은 연합국 코드명 문서 참고하십시오.
[[일본군| 일본군 ]] 日本軍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대일본제국 육군 大日本帝國陸軍 | 대일본제국 해군 大日本帝國海軍 | |||
<rowcolor=#FFF> |
||<-3><tablewidth=100%><bgcolor=#B0313F><tablebgcolor=#FDFEFA,#2D2F34><colcolor=#FFF> 관련 문서 ||
<colbgcolor=#B0313F> 정보·역사 | 검술 · 군가 · 군복 · 계급 · 무기 목록 · 역사 · 대본영 · 연합국 코드명 · 욱일기 · 진수부 · 함대결전사상 · 해군반성회 · 해군선옥론 · 731부대 · 의열공정대 · 해군성 · 육군성 | |
병역 | 일본군의 소집 · 징병제 · 병역법 | |
편제 | 육군 | 관동군 ▤만주군 · 조선군 · 대만군 · 남방군 · 항공총군 · 몽강군 · 화평건국군 · 베트남 제국군 · 인도 국민군 |
해군 | 연합함대 · 제1함대 · 88함대 · 수뢰전대 · 제2 수뢰전대 · 343 해군항공대 | |
무기체계 | 일본군/무기체계 · 일본군/무기체계/원인 · 일본군/무기체계/육군 · 일본군/무기체계/해군 | |
전술 | 반자이 돌격 · 대전차총검술 · 카미카제 · 신멸작전 · 대륙타통작전 | |
인물 | 인물 · 포로 · 전후 패잔병 · 삼간사우 · 삼대오물 · 조선인 일본군 | |
철도 | ▤남만주철도주식회사 · 조선총독부 철도국 | |
교육기관 | 일본육군사관학교 · 일본해군병학교 · 육군대학교 · 육군항공사관학교 · 나카노 학교 · 총력전 연구소 | |
식민지 및 통치기관 | 조선(조선총독부) · 대만(대만총독부) · 가라후토(가라후토청) · ▤관동주(관동청) | |
논란 | 일본군/문제점 · 일본의 전쟁범죄 · 야스쿠니 신사 · 일본군의 육해군 대립 · 일본군 위안부 | |
▤ : 만주국 관련 문서 |
||<-2><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DFEFA,#2D2F34><bgcolor=#B0313F> 장비 둘러보기 틀 ||
일본군 | 기갑차량 · 보병장비 · 화포 · 함선(1차 대전) · 함선(2차 대전) · 항공병기 |
만주군 | 기갑차량 · 보병장비 · 함선(2차 대전) · 항공병기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bgcolor=#B0313F> 관련 틀 ||
}}}}}}}}} ||군가 · 식민지 · 괴뢰국 · 군정청 · 일본군의 전쟁 범죄 |
제2차 세계 대전의 일본 육·해군 항공병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육군 항공대 | 단좌 전투기 | Ki-27, Ki-43 하야부사, Ki-44 쇼키, Ki-61 히엔, Ki-84 하야테, ◈Ki-87, ◈Ki-88, ◈Ki-94, ◈Ki-98, Ki-100, †ⓩKi-162, ◈ⓩKi-200 슈스이, ◈ⓩKi-201 카류, †ⓩKu-4 | |||
복좌 전투기 | Ki-45 토류, ◈Ki-83, Ki-102, ◈Ki-93 | |||||
폭격기 습격기 | BR.20 치코냐, Ki-21, Ki-30, Ki-32, Ki-48, Ki-49 돈류, Ki-51, Ki-67 히류, †Ki-91 | |||||
자살 공격기 | Ki-115 츠루기 | |||||
훈련기 | Ki-9, Ki-6, Ki-17, Ki-55, Ki-54, Ki-79, Ki-86 | |||||
정찰기 | Ki-16, Ki-36, Ki-46 | |||||
해군 항공대 | <colbgcolor=#2f4f2f> 함재기 | <colbgcolor=#2f4f2f> A 함상 전투기 | A5M, A6M 제로센, A7M 렛푸,†20시 갑전투기,†N1K3-A 시덴 카이 二 | |||
B 함상 공격기 | B5M, B5N, B6N 텐잔, B7A 류세이 | |||||
C 정찰기 | C3N, C5M, C6N 사이운,▼D4Y1-C | |||||
D 함상 폭격기 | D1A, D3A, †D3Y 묘조, D4Y 스이세이 | |||||
E 수상정찰기 | E2N, E7K, E9W, E10A, E13A, E14Y, E15K 시운, E16A 즈이운 | |||||
F 수상관측기 | F1M, F1A | |||||
G 육상공격기 | G3M, G4M, G5N 신잔, G8N 렌잔, †G10N 후가쿠 | |||||
H 비행정 | H6K, H8K, H11K 소우쿠 | |||||
※ J 국지전투기 | J1N 겟코, J2M 라이덴, †J3K 17시 국지전투기, ◈J4M 센덴, ◈J5N 텐라이, ◈J6K 진푸, ◈J7W 신덴, †ⓩJ7W2/J7W3 신덴 카이, ◈ⓩJ8M 슈스이, ◈ⓩJ9Y 킷카, ▼N1K-J 시덴, ▼N1K2-J 시덴 카이, ▼N1K3-J 시덴 카이 一, ▼N1K4-J 시덴 카이 三, ▼†A7M3-J 렛푸 카이 | |||||
K 훈련기 | K5Y, K9W 코우요, K10W, K11W 시라기쿠, ▼A6M2-K, ▼M6A1-K 난잔 | |||||
L 수송기 | DC-2, L2D, L3Y, L4M, ▼H6K-L, ▼H8K-L 세이쿠, ▼H11K-L 소우쿠, ▼G5N2-L 신잔 카이 | |||||
M 특수공격기 MX 특수활공기 | MXY-7 오카, ◈(제식명 불명)N 토카, M6A 세이란, D4Y4 스이세이 | |||||
N 수상전투기 | N1K 쿄후, ▼A6M2-N | |||||
P 폭격기 | P1Y 긴가 | |||||
Q 초계기 | Q1W 토카이, Q2M 타이요, †Q3W 난카이 | |||||
R 육상정찰기 | ◈R2Y(세이운, 케이운), ◈ⓩR2Y2 케이운 카이, ▼J1N1-R | |||||
S 야간전투기 | ◈S1A 덴코, ▼J1N-S 겟코, ▼P1Y1-S 바야코, ▼P1Y2-S 쿗쿄, ▼D4Y2-S 스이세이 | |||||
<colbgcolor=#000000> 노획 항공기 | LaGG-3-8, I-16, 투폴레프 SB F2A 버팔로, P-40, B-17(D/E), P-51C, F4U 콜세어, F6F 헬캣, 커티스 BT-32, CW-21, DB-7, 마틴 139 호커 허리케인, 브리스톨 블렌헤임 | |||||
독일로부터 수입한 기체 | 하인켈 72, A7He, AxHe, 하인켈 He 119, 융커스 Ju 87 슈투카, 메서슈미트 Bf 109E-7, 포케불프 Fw 190A-5, 메서슈미트 Me 210 A2, 메서슈미트 Me 410, ⓩ메서슈미트 Me163, †ⓩ메서슈미트 Me 262, †포케불프 Ta 152, †융커스 Ju 390, †V2 미사일 | |||||
글라이더, 무동력기, 미사일 | †Ki-147, †Ki-148, †MXY8 아키구사 | |||||
◈ 시제, 프로토타입 / † 페이퍼 플랜, 수입 실패 / ⓩ 제트 혹은 로켓 엔진 장착기 / ▼ 타 목적 기체를 유용함 ※ 국지전투기: 일본군이 운용했던 본토 방어 및 폭격기 요격 전용 전투기. 요격기 문서 참조. ※ 나무위키에 문서가 없거나 이 틀에 기재되지 않은 일본군의 항공병기 전체 목록은 일본 항공병기 설계안 문서 참조. ※ 연합군(특히 미국)이 대전기의 일본 항공기를 지칭할때 사용했던 코드에 대해서는 연합국 코드명 문서 참조. ※ 템플릿:일본 제국의 항공병기를 참조해 주세요. 전반적인 내용의 개선이 필요합니다.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일본군의 운용장비 | 항공병기 | }}} }}}}}} |
1. 개요
이 문서는 일본에서 개발된 항공병기[1]에 부여되는 코드번호와 코드번호가 부여된 항공기들을 정리한다.일본군의 항공병기는 육군과 해군으로 나눠져서 무기를 개발했기에 이 문서에서도 육군과 해군으로 나눠서 정리한다.
2. 육군항공대
육군항공대는 초기에 수입이나 라이센스 생산식으로 다른 나라에서 개발된 항공기를 사용하였고, 후에 자체 개발을 한다. 자체적으로 개발한 항공기가 나온 때부터 항공기는 키번호(キ番号)를 부여받았는데 여기서 '키'는 기체의 맨 앞글자인 '기'만 가타카나로 쓴 것이다. 한국에서는 영어권과 마찬가지로 Ki-OO라고 표기하는 경우가 많다.[2] 한국에서 굳이 키OO[3]라고 안읽는 건 T-34를 한국에서 동구권식으로 부르지 않는 것과 같은 이치라고 생각하면 된다.[4]키번호는 120번대까지 정상적으로 부여되다가 전황이 악화되자 특수 목적[5]을 가진 140, 160, 170, 200번대가 따로 만들어진다. 그래서 그 번호대 사이에 있는 기체는 없다.[6] Ku-OO은 글라이더나 글라이더 기반 항공기 종류다.
2.1. 초기
2.2. Ki-1~Ki-50
- Ki-1(キ1): 93식 중폭격기[7]로 채용. 미츠비시사에서 만들었다. Ki-21의 개발과 이탈리아 피아트사의 폭격기인 BR.20의 수입으로 생산이 중단되었고, 이후 전선에서 물러나 연습기로 사용된다.
- Ki-1-II(キ1-II): 93식 중폭격기 2형으로 채용. 93식 중폭격기를 대폭 개조해서 속도를 높였다.
- Ki-2(キ2): 93식 쌍발 경폭격기[8]로 채용.
- Ki-2-II(キ2-II): 93식 쌍발 경폭격기 2형으로 채용. 엔진을 비롯하여 여러 곳을 개조해서 속도를 높였다.
- Ki-3(キ3): 93식 단발 경폭격기로 채용.
- Ki-4(キ4): 94식 정찰기로 채용.
- Ki-5(キ5): 카와사키사에서 만든 시제 전투기, 기체가 원하는 성능을 내지 못해서 시제기 단계로 끝났다. 이후 Ki-28과 Ki-60, 그리고 Ki-61 개발에 활용됐다.
- Ki-6(キ6): 95식 2형 연습기로 채용. 나카지마사에서 만들었다. 주로 정찰기 훈련으로 쓰였고 운송과 연락으로도 쓰였다. 이후 Ki-54로 완전히 퇴역한다.
- Ki-7(キ7): 미츠비시사에서 만든 시제 연습기. 해군의 K3M과 같은 기체다. 육군형으로 시제기 2대만 만들어졌다. 하지만 육군에게는 이미 Ki-6가 있었기에 육군에서는 채용하지 않았다. 반면 해군은 90식 기상 작업 연습기로 채용한다.
- Ki-8(キ8): 나카지마사에서 만든 시제 단발 복좌 전투기, 운영 방안의 불확실성으로 시제기 5대만 만들어졌다. 이후 시제기는 연락용으로만 쓰인다.
- Ki-9(キ9): 95식 1형 연습기로 채용. Ki-9은 대한민국 공군 초기 기체로도 유명하다.
- Ki-10(キ10): 95식 전투기[9]로 채용. 이후 후계기인 Ki-27의 등장으로 퇴역한다.
- Ki-10-II(キ10-II): 95식 전투기 2형으로 채용. 1형에서 여러 곳을 개선했다.
- Ki-10-III(キ10-III):
- Ki-11(キ11): 미츠비시사에서 만든 시제 전투기. 육군형으로는 시제기 5대만 만들어졌다. Ki-10과 경합했지만 불합격했다.[10] 해군에서 A5M과도 경합했지만 또 불합격했다. 이후 민간용으로 쓰인다.
- Ki-12(キ12): 나카지마사에서 만든 시제 전투기. 시제기 1대만 만들어졌다. 수입한 프랑스 드보아틴사의 D.510이 엔진룸에 히스파노 기관포를 장착한 것을 보자 개발했다. 일본 최초로 유압식 착륙 장치를 가지기도 하였기에 일본에 있어서 선진적인 기체였다. 하지만 무게로 인해 운동성이 떨어졌고 일본의 공업력으로는 양산이 힘들다고 판단되어 불합격했다.
- Ki-13(キ13):
- Ki-14(キ14):
- Ki-15(キ15): 97식 사령부 정찰기[11]로 채용. 후계기인 Ki-46의 등장으로 퇴역했다.
- Ki-15-II(キ15-II): 97식 사령부 정찰기 2형으로 채용. 1형에서 엔진을 하26(Ha-26)으로 교체했다.
- Ki-15-III(キ15-III): 엔진을 하102(Ha-102)로 교체하려한 시제기, Ki-46의 시제기가 더 좋은 방향성을 보였기에[12], 양산되지 못했다.
- Ki-16(キ16): 미국 더글라스사의 DC-2를 기반으로 계획된 수송기. 1대도 생산되지 못했다.
- Ki-17(キ17): 95식 3형 연습기로 채용.
- Ki-18(キ18): A5M의 육군형 시제기. 1대만 만들어졌다. A5M과 달리 코토부기 5형 엔진을 장착했다.
- Ki-19(キ19): 나카지마사에서 만든 시제 폭격기. 1대만 만들어졌다. Ki-21과의 경합에서 불합격한다. 이후 시제기 일부는 비무장 상태로 N-19라는 명칭으로 동맹통신사에서 사용됐다.
- Ki-20(キ20): 92식 중폭격기로 채용. 당대 일본에서 만든 항공기들 중 가장 거대했으다. 그러나 개발이 지연되었기에 6대만 생산되고 실전에 나가지도 못했다.
- Ki-21(キ21): 97식 중폭격기[13]로 채용.
- Ki-21-II(キ21-II): 97식 중폭격기 2형으로 채용. 엔진을 하101(Ha-101)로 교체했다.
- Ki-22(キ22): 카와사키사에서 계획한 중폭격기. Ki-19, Ki-21과 경합할 예정이었으나 설계상의 문제로 1대도 생산되지 못한다.
- Ki-23(キ23): 후쿠다사에서 개발한 글라이더. 시제기가 불합격했다. 해군에서도 시험했으나 역시 불합격했다. 이후 민간용이 된다.
- Ki-24(キ24): 독일 슈나이더사의 연습용 글라이더 그루나우 9(Grunau 9)을 기반으로 한 기체. 정식 채용된 이후[14] 100여대가 생산되어 연습기로 쓰이고 민간용으로 쓰이기도 했다.
- Ki-25(キ25): 독일 Schempp-Hirth사의 글라이더 괴핑겐 Gö 9(Göppingen Gö 3)을 기반으로 한 시제 글라이더, 시제기 2대만 만들어졌다. 문제가 있어서 채용에는 실패하고 이후 연습용으로 쓰이다가 중일전쟁 발발로 연구가 중단됐다.
- Ki-26(キ26): 이시카와사[15]에서 만든 시제 연습용 글라이더, 시제기 1대만 만들어졌다. 중일전쟁 발발로 개발이 끝났다.
- Ki-27(キ27): 97식 전투기로 채용.
- Ki-28(キ28): 카와사키사에서 만든 시제 전투기. 시제기 1대만 만들어졌다. Ki-5와 마찬가지로 수랭식 엔진을 장착한 것이 특징이다. 이후 Ki-60, Ki-61의 개발에 활용됐다.
- Ki-29(キ29): 타치카와사에서 계획한 경폭격기, 계획 심사 단계에서 Ki-30에게 져서 불합격했다.
- Ki-30(キ30): 97식 경폭격기로 채용.
- Ki-31(キ31): 나카지마사에서 계획한 경폭격기, 계획 심사 단계에서 Ki-30에게 져서 불합격했다.
- Ki-32(キ32): 98식 경폭격기로 채용.
- Ki-33(キ33): 미츠비시에서 만든 시제 전투기. 시제기 2대만 만들어졌다. Ki-18에서 엔진을 바꾸고 폐쇄형 콕핏을 가졌다. Ki-27과의 경합에서 불합격했다.
- Ki-34(キ34): 97식 수송기로 채용.
- Ki-35(キ35): 미츠비시사에서 계획한 직접 협동 정찰기, Ki-36의 시제기가 주문되자 개발 취소되었다. 실물은 만들지 않았다.
- Ki-36(キ36): 98식 직접 협동 정찰기로 채용.
- Ki-37(キ37): 나카지마사에서 계획한 쌍발 복좌 전투기, Ki-38, Ki-39과 함께 기초 설계에서 개발이 끝났다. 실물은 만들지 않았다.
- Ki-38(キ38): 카와사키사에서 계획한 쌍발 복좌 전투기, 목업만 만들어졌다. 이후 Ki-45로 개발이 이어진다.
- Ki-39(キ39): 미츠비시사에서 계획한 쌍발 복좌 전투기, Ki-37, Ki-38과 함께 기초 설계에서 개발이 끝났다. 실물은 만들지 않았다.
- Ki-40(キ40): 나카지마사에서 계획한 사령부 정찰기, 실물은 만들지 않았다.
- Ki-41(キ41):
- Ki-42(キ42):
- Ki-43(キ43): 1식 전투기 하야부사[16]로 채용.
- Ki-43-II(キ43-II): 1식 전투기 2형 하야부사로 채용. 엔진을 하115(Ha-115)로 프로펠러를 3엽으로 교체했다.
- Ki-43-III(キ43-III): 1식 전투기 3형 하야부사로 채용. 엔진을 하115-II(Ha-115-II)로 교체했다.
- Ki-44(キ44): 2식 단좌 전투기 쇼키[17]로 채용.
- Ki-44-II(キ44-II): 2식 단좌 전투기 2형 쇼키로 채용. 엔진을 하109(Ha-109)로 교체했다.
- Ki-44-III(キ44-III): 나카지마사에서 만든 시제 전투기, Ki-84의 성능이 더 좋았기에 개발이 중지된다.[18] 시제기 1대만 만들어졌다. 엔진을 하145(Ha-145)로 교체했다.
- Ki-45(キ45)[19]: 2식 복좌 전투기 토류로 채용.
- Ki-45-II(キ45-II)[20]: 카와사키사에서 계획한 복좌 전투기, 개발 중 단좌 전투기로 개발 방향이 변경되어 Ki-96으로 개발이 넘어간다.
- Ki-46(キ46): 100식 사령부 정찰기[21]로 채용.
- Ki-46-II(キ46-II): 100식 사령부 정찰기 2형으로 채용. 엔진을 하102(Ha-101)로 교체했다.
- Ki-46-III(キ46-III): 100식 사령부 정찰기 3형으로 채용. 엔진을 하112-II(Ha-112-II)로 교체하고 배기구를 개수했다.
- Ki-46-IV(キ46-IV): 미츠비시사에서 만든 시제 사령부 정찰기. 엔진을 하112-II루(Ha-112-IIru)로 교체하고 여러곳을 개수했다. 시제기 1대만 만들어졌다.
- Ki-47(キ47): 미츠비시사에서 계획한 경폭격기, Ki-48이 먼저 완성되어 취소됐다.
- Ki-48(キ48): 99식 쌍발 경폭격기[22]로 채용.
- Ki-48-II(キ48-II): 99식 쌍발 경폭격기 2형으로 채용. 엔진을 하115(Ha-115)로 교체했다.
- Ki-49(キ49): 100식 중폭격기 돈류[23]로 채용.
- Ki-49-II(キ49-II): 100식 중폭격기 2형 돈류로 채용. 엔진을 하109(Ha-109)로 교체했다.
- Ki-49-III(キ49-III): 나카지마사에서 만든 시제 중폭격기. 엔진을 하117(Ha-117)로 교체했다. 시제기 6대만 만들어졌다.
- Ki-50(キ50): 특이하게도 3개의 기종에 번호가 부여됐다. 1. 미츠비시사에서 계획한 중폭격기, 설계 심사에서 떨어졌다.[24] 2. 독일 융커스사의 Ju 90을 수입했을 시의 부여된 계획 번호[25], 그러나 협상 실패로 수입하지 못했다. 3. Ki-49의 시제 공중 급유기, 시제기 단계에서 끝났다.
2.3. Ki-51~Ki-100
- Ki-51(キ51): 99식 습격기로 채용.
- Ki-52(キ52): 나카지마사에서 만든 경폭격기, 해군의 D3N과 같은 기체다. 해군에서 D3N이 D3A와의 경합에서 불합격한 후 육군이 급강하 폭격이 가능한 기체를 찾을 때 검토하면서 붙인 기종 번호다. 육군이 급강하 폭격 기능이 충분한 기체들을 보유하면서 취소됐다.
- Ki-53(キ53): 나카지마사에서 계획한 다좌 전투기[26], 계획으로 그쳤다.
- Ki-54(キ54): 1식 쌍발 고등 연습기로 채용.
- Ki-55(キ55): 99식 고등 연습기로 채용.
- Ki-56(キ56): 1식 화물 수송기로 채용.
- Ki-57(キ57): 100식 수송기[27]로 채용.
- Ki-57-II(キ57-II): 100식 수송기 2형으로 채용. 엔진을 하102(Ha-102)로 교체하고 날개를 강화했다.
- Ki-58(キ58): Ki-49-II에서 폭격 장비를 폐지하고 무장을 강화한 다좌 전투기, 시제기 3대만 만들어졌다.
- Ki-59(キ59): 1식 수송기로 채용. 그러나 채용 당시 구식이었으며, Ki-54의 수송기형이 더 좋은 성능을 가졌기에, 시제기 포함 20대만 생산됐다.
- Ki-60(キ60): 카와사키사에서 만든 시제 전투기, Ki-61과 차이점이라면 독일에서 수입한 DB-601A를 그냥 장착했다. 속도는 우수했지만 나머지 비행 성능에서 문제가 발생되었고, DB-601A 엔진의 양산에 어려움있었기에, 시제기 3대만 만들어졌다.
- Ki-61(キ61): 3식 전투기 히엔[28]으로 채용.
- Ki-61-II(キ61-II)[29]: 3식 전투기 2형 히엔으로 채용. 엔진을 하140(Ha-140)으로 교체했다.
- Ki-61-III(キ61-III): 카와사키사에서 만든 시제 전투기. 캐노피를 물방울형으로 교체했다.[30]
- Ki-62(キ62): 나카지마사에서 계획한 전투기, 이미 나카지마가 Ki-43을 만들고 있었기에 계획 자체가 사라진다.
- Ki-63(キ63): 나카지마사에서 계획한 전투기, 설계는 완료되었지만 이미 Ki-44가 있었기에 계획은 중지됐다가 Ki-44-III의 개발로 이어지는 형태가 된다.
- Ki-64(キ64): 카와사키사에서 만든 시제 전투기, 당시 전투기 제작의 최신 기술들을 많이 도입하였으나, 목표 성능치가 너무 높았고 개발이 부진했다. 시제기 1대만 만들어졌다. 그마저도 시험 중 손상을 입었다.
- Ki-65(キ65): 미츠비시사가 계획한 전투기/공격기, 육군이 14시 국지전투기(J2M 라이덴의 시제안)에 흥미를 보였지만 요구조건이 오락가락해서 미츠비시사는 당시에 J2M의 개발로 바빴기에 개발계획자체가 잘 짜이지 못했고, 결국 개발 부진 정리로 사라졌다.[31]
- Ki-66(キ66): 카와사키사에서 만든 시제 급강하 폭격기, 카와사키사는 Ki-48의 성능 향상이 더 낫다고 판단하고 불합격시켰다. 후에 주익은 Ki-96 개발에 쓰이게 된다. 시제기 6대만 만들어졌다.
- Ki-67(キ67): 4식 중폭격기 히류로 채용.
- Ki-67-II(キ67-II): 미츠비시사에서 만든 시제 중폭격기. 엔진을 하214(Ha-214)로 교체했다. 시제기 2대만 만들어졌다.
- Ki-68(キ68): 나카지마사에서 계획한 중폭격기, 해군의 G5N과 같은 기체다. 설계와 개발이 카와사키사로 넘어가서 Ki-85가 된다.
- Ki-69(キ69): Ki-67을 개조한 다좌 전투기, 계획이 중지됐다.
- Ki-70(キ70): 타치카와사에서 만든 시제 정찰기. 육군이 너무 많은 것을 요구했기에 중량이 늘어났고 그로 인해 요구 성능도 떨어졌다. 어떻게든 성능을 맞추기 위해 엔진과 주익을 바꾼 3호기를 만들었지만 Ki-46-III이 더 좋은 성능을 보이자 개발이 중지됐다. 시제기 3대만 만들어졌다.
- Ki-70-II(キ70-II): 타치카와사에서 계획한 정찰기. 엔진을 하211루(Ha-211ru)로 교체하려 했다. Ki-70과 함께 개발이 중지됐다.
- Ki-71(キ71): 시제 습격기, 정찰기. Ki-51을 개조하는 계획이었다. 여러가지를 손봤지만 성능 개선이 미미하였고 항공기 운영 방침이 바뀌었기에 채용되지 않았다. 시제기 3대만 만들어졌다.
- Ki-72(キ72): Ki-36의 성능 향상을 위해 계획한 기체.
- Ki-73(キ73): 미츠비시사에서 계획한 정찰기, 계획으로만 그친다.
- Ki-74(キ74): 타치카와사에서 만든 시제 정찰폭격기, 11대 이상이 만들어졌다. 실전 배치 준비중 종전이 왔다.
- Ki-74-II(キ74-II): 타치카와사에서 계획한 중폭격기. Ki-74의 크기를 키우고 엔진을 하211루(Ha-211ru)로 교체하려 했다.
- Ki-75(キ75): 구상 단계에서 계획이 중지된 전투기, 구상에 따르면 폭격기 호위를 목적으로한 원거리형 복좌 전투기라고 한다. Ki-67과 함께 운용할 계획이었다. 구상에서 끝났기에 설계도 없다.
- Ki-76(キ76): 3식 지휘연락기로 채용.
- Ki-77(キ77): 아사히 신문의 의뢰로 타치카와사에서 만든 기체, 통칭은 A-26[32]이다. Ki-74와 일부 부품을 공유했다. 2대가 만들어졌다. 1대는 시험 비행 중 실종되었고[33], 나머지 1대는 장거리 비행으로 세계급 기록을 세웠다. 이후 전황 악화로 미군에 노획된다, 시험을 위해 항공모함에 실려 미국으로 가나 수송 중 입은 손상으로 방치되다가 스크랩 처리된다.
- Ki-78(キ78): 카와사키에서 만든 시제 고속기, 통칭은 켄산이다. 어디까지나 초고의 비행 성능을 내는 게 목적이었기에 시험 비행 몇번으로 그쳤고, 그후로 방치되다가 스크랩 처리된다. 시제기 1대가 만들어지고, 1대 더 만들던 중이었다.
- Ki-79(キ79): 2식 고등 연습기로 채용.
- Ki-80(キ80): Ki-49의 무장을 강화한 지휘관기, 시제기 2대만 만들어졌다.
- Ki-81(キ81): Ki-48의 무장을 강화한 지휘관기, 시제기 단계로 끝났다.
- Ki-82(キ82): 시제 중폭격기, 목업 단계에서 끝났다.
- Ki-83(キ83): 미츠비시사에서 만든 쌍발복좌 중전투기. 일본군이 만든 전투기들 중 가장 빠른 속력을 자랑했다. 미군에서의 시험 결과도 좋게 나왔다.
이후 미국으로 옮겨지지만 그곳에서의 시험은 알려진 게 없고 소각되었다고 한다. 시제기 4대만 만들어졌다. - Ki-84(キ84): 4식 전투기 하야테로 채용.
- Ki-84-II(キ84-II): 나카지마사에서 계획한 전투기. Ki-84의 일부를 목재 개질로 교체하려 했다.
- Ki-84-III(キ84-III): 나카지마사에서 계획한 전투기. Ki-84에 터보 차저를 장착하려 했다.
- Ki-85(キ85): Ki-68의 설계와 개발이 넘어와서 카와사키사에서 계획한 중폭격기, 목업으로 시험한 결과 성능 부족으로 계획이 중단된다.
- Ki-86(キ86): 4식 기본 연습기로 채용.
- Ki-87(キ87): 나카지마사에서 만든 시제 전투기, 과급기를 달아 고고도에서의 성능 향상을 목표했다. 기동성도 안정적이었고, 종전 당시 완성도 못하거나 시험 비행 실패한 다른 시제기들과 달리 5회의 시험 비행을 마친 상태였다. 시제기 1대만 만들어졌고, 1대 더 만들던 중이었다.
- Ki-87-II(キ87-II): 나카지마사에서 계획한 전투기. 엔진을 하217(Ha-217)로 교체하려 했다.
- Ki-88(キ88): 카와사키사에서 계획한 전투기, P-39를 닮은 것이 특징이다. 이미 생산중인 Ki-61보다 속도가 좀더 나을 거라고 예상되었기에 개발이 중지된다. 목업 단계에서 끝났다.
- Ki-89(キ89): 개발 지시 단계에서 계획이 중지된 폭격기,[34] 카와사키사에 개발 지침을 내릴 예정이었다. 후에 Ki-119란 명칭으로 비슷한 개발 지침이 내려져 Ki-119를 재개발된 Ki-89로 보는 견해도 있다.
- Ki-90(キ90): 특이하게도 2개의 기종에 번호가 부여됐다. 1. 미츠비시사에서 계획한 시제 폭격기, Ki-67의 후계기를 목표로 했으며 급강하 폭격이 가능할 것을 엄두했다. 독일 융커스사의 Ju-88 A-4의 설계를 참고할 예정이었다. 설계 단계에서 계획이 중지됐다. 2.독일 융커스사의 Ju 90을 수입했을 시의 부여된 계획 번호[35], 그러나 협상 실패로 수입하지 못했다.
- Ki-91(キ91): 카와사키사에서 계획한 중폭격기, Ki-85의 계획 중지에 따라 개발이 시작됐다. 실물 크기 목업으로 한 실험 결과는 만족스러웠다고 한다. 시제기 2대를 만들 계획이었으나 전황 악화로 개발이 중지된다.
- Ki-92(キ92): 타치카와사에서 만든 시제 수송기, 전황 악화로 심사가 미루어지다가 종전으로 개발이 중지된다. 시제기 1대만 만들어졌다.
- Ki-93(キ93): 카와사키사에서 만든 시제 공격기(습격기), Ki-51의 후계기를 목표로 했다. 시험 비행 중 사고로 손상됐고, 공습으로 파손[36]된 채로 종전을 맞았다. 시제기 2대만 만들어졌고. 1대 더 만들던 중이었다. 1대는 시험 비행 중 파손, 1대는 무장 장착 중이었다.
- Ki-94(キ94)[37]: 타치카와사에서 계획한 전투기, 여러가지 문제가 있다고 판단돼 개발이 중지된다. 실물 크기 목업만 만들어졌다.
- Ki-94-II(キ94-II): 타치카와사에서 만든 시제 전투기. 문제가 많아 실용성이 불투명한 Ki-94-I을 Ki-87처럼 재래식 구조로 만드는 것으로 방향성을 돌렸다. 종전으로 개발이 중지된다. 시제기 2대만 만들어졌다.[38]
- Ki-95(キ95): 미츠비시사에서 계획한 사령부 정찰기, Ki-83을 개조하기로 계획했다. Ki-46의 후계기를 목표로 했다. Ki-83의 개발 지연과 전화의 악화 등 의 이유로 개발이 중단된다.
- Ki-96(キ96): 카와사키사에서 만든 시제 쌍발 복좌 전투기[39], Ki-45개의 성능 향상을 목표로 했다. 쌍발 복좌 전투기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개발이 중단되고, 이후 설계는 쌍발 복좌 습격기 Ki-102와 Ki-108을 만드는 데 이용된다. 시제기 3대만 만들어졌다.
- Ki-97(キ97): 미츠비시사에서 계획한 쌍발 수송기, Ki-67의 설계를 기초로 했으며, 목재를 사용하기로 하였다. 전황 악화로 개발이 중지된다.
- Ki-98(キ98): 만슈사에서 계획한 습격기와 전투기, Ki-51의 후계기를 목표로 했으나 미군의 폭격에 대항할 요격기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계획이 변경된다. 폭격으로 개발이 지연되다가 소련의 만주 침공이 일어나자 제작중이던 기체와 설계 도면을 소각한다.
- Ki-99(キ99): 미츠비시사에서 계획한 전투기, 개발 부진으로 설계 단계에서 계획이 중지된다.
- Ki-100(キ100): 5식 전투기[40]로 채용.
- Ki-100-II(キ100-II): 5식 전투기 2형으로 개발. Ki-100-I 을형[41]에서 엔진을 하112-II루(Ha-112-IIru)로 교체했다. 종전으로 개발이 중지된다. 시제기 3대만 만들어졌다.
2.4. Ki-101~230
- Ki-101(キ101): 나카지마사에서 계획한 야간 전투기, 해군의 S1A와는 엔진만 다른 기체다. 종전으로 개발이 중지된다.
- Ki-102(キ102): 4식 습격기, 5식 복좌 전투기, 5식 쌍발 습격기[42]로 채용.
- Ki-103(キ103): Ki-83의 공격기(습격기)형, 계획으로 끝났다.
- Ki-104(キ104): Ki-94-I의 공격기(습격기)형, Ki-94-I의 개발 중지로 함께 중지된다.
- Ki-105(キ105): 일본국제항공공업에서 만든 시제 수송기, Ku-7-II에 엔진을 장착한 기체다. Ku-7-II의 2호기를 개조해서 시제기를 만들었다. 제식 채용 절차는 없었지만, 양산이 예정됐다. 9대[43]만 만들어졌다. 종전을 맞자 모두 소각한다. 연합군 코드명은 Buzzard.
- Ki-106(キ106): 나카지마사에서 만든 시제 전투기, 알루미늄 합금 부족으로 Ki-84를 목재 재질로 만들려고했지만 여러 문제를 가지고 있었고, 결국 채용에서 탈락한다. 10대만 만들어졌다.
- Ki-107(キ107): 도쿄항공에서 만든 시제 연습기, 채용되어 양산[44]되었지만 도쿄항공의 양산 능력 부족으로 46대[45]만 만들어졌다. 기체 평가에 대해선 성능이 양호했다는 설과 부족했다는 설도 있다. 또한 Ki-105의 개발에 도움이 됐다는 평가가 있다.
- Ki-108(キ108): Ki-102의 시제 고고도 요격기형. 시험 비행까지 완료했다. 이후 공습으로 시제기들이 파손됐고 종전을 맞자 모두 소각한다.2대[46]만 생산됐다.
- Ki-109(キ109): Ki-67의 요격기 개조형. 처음에는 37 mm급 기관포[47]를 장착할 계획이었다가 75 mm 88식 반야전 고사포의 항공 무기형인 호501(Ho-501)을 장착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또한 로켓을 보조 엔진으로 쓰려했지만 실험으로 그쳤다. 그러나 떨어지는 고공 성능으로 요격 능력도 떨어졌고 본토항전을 목적으로 보존하다가 종전을 맞았다. 이후 1대를 제외하고는 소각되었고, 남은 1대는 미군이 실험에 사용했다. 그러나 실험 기록은 미확인이다. 또한 그 실험기로 쓰인 1대도 미확인이다. 시제기를 제외하고 22대만 만들어졌다.
- Ki-110(キ110): 전쟁 말기의 물자부족으로 Ki-54의 수송기형을 목재 재질로 만들려고한 시제 수송기, 폭격으로 도면, 기체, 자료가 모두 소실 됐고, 종전까지 회복하지 못했다.
- Ki-111(キ111): 일본국제항공공업에서 계획한 수송기, 처음 계획과 달리 전황 악화로 Ku-8-III을 대형화할 계획으로 바뀌었다. 양산이 예정되었지만 Ku-8-III의 미완성으로 실물조차 만들어지지 않았다.
- Ki-112(キ112): 미츠비시사에서 계획한 폭격기, 엔진에 대한 문제로 개발이 지연되자 계획이 중지됐다.
- Ki-113(キ113): 알루미늄 합금 부족으로 Ki-84를 강철 재질로 만들려고한 시제 전투기, 위의 Ki-106처럼 여러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48] 시제기 1대만 엔진 미장착으로 만들어졌다.
- Ki-114(キ114): 특이하게도 2개의 기종에 번호가 부여됐다.1. 실용화가 지연된 Ki-74-II대신 Ki-74를 개조해서 장거리 공격[49]을 목표로한 폭격기, 그러나 종전을 맞았다. 2. Ki-92를 목재 재질로 만들려고한 시제 수송기.
- Ki-115(キ115): 생산성을 중시한 단발 단좌 폭격기로 계획되었으나 설계 변경으로 특공 전용기가 된다.
- Ki-116(キ116): 만슈사에서 만든 Ki-84의 생산 전환형으로 엔진, 프로펠러, 주익 등 을 바뀠다. Ki-84보다 성능이 더 좋은 면도 있다고 추정된다. 소련의 만주 침공이 일어나자 제작중이던 기체와 설계 도면을 소각한다.
- Ki-117(キ117): Ki-84의 엔진과 주익을 고친 기체, 설계 단계에서 종전을 맞았다. Ki-84-N이라고도 한다.
- Ki-118(キ118):
- Ki-119(キ119): 카와사키사에서 계획한 전폭기, Ki-100의 동체를 기반으로 했다. 전황의 악화로 개발이 부진했다. 실물 크기 목업만 만들어졌다.
- Ki-120(キ120):
- Ki-121(キ121):
- Ki-122(キ122):
- Ki-123(キ123):
- Ki-124(キ124):
- Ki-125(キ125):
- Ki-126(キ126):
- Ki-127(キ127):
- Ki-128(キ128):
- Ki-129(キ129):
- Ki-140(キ140):
- Ki-141(キ141):
- Ki-142(キ142):
- Ki-143(キ143):
- Ki-144(キ144):
- Ki-145(キ145):
- Ki-146(キ146):
- Ki-147(キ147): 미츠비시사에서 만든 공대지 유도폭탄, 이호 1형갑 무선유도탄이란 이름으로 실험됐다. 800 kg급의 폭탄을 장착했다. 폭탄 투하를 위한 모기로는 Ki-67을 사용했다. 무선장비의 문제로 실험으로 그친다.
- Ki-148(キ148): 카와사키사에서 만든 공대지 유도폭탄, 이호 1형을 무선유도탄이란 이름으로 실험됐다. 300 kg급의 폭탄을 장착했다. 폭탄 투하를 위한 모기로는 Ki-48을 사용했으며 Ki-102 또한 사용할 예정이었다. 실험은 성공적인 편[50]이었는 데, 하필이면 조종에 실패한 실험탄 하나가 온천 여탕에 직격하는 바람에 '에로폭탄'이라는 애칭이 붙었다.(...) 이후 공장이 공습으로 파괴돼 실전에 사용되지 못한다. 시제탄을 포함하고 180대가 만들어졌다.[51][52]
- Ki-149(キ149):
- Ki-160(キ160):
- Ki-161(キ161):
- Ki-162(キ162): He 162의 면허생산형으로 타치카와에서 생산할 예정되었으나, 전쟁이 끝날 때까지 완성되지 못하고 취소되었다.
- Ki-163(キ163):
- Ki-164(キ164):
- Ki-165(キ165):
- Ki-166(キ166):
- Ki-167(キ167): 특이하게도 2개의 기종에 번호가 부여됐다. 1. 비공식적으로 Ki-67에 사쿠라단(桜弾)[53]을 장착한 공격기. 쉽게 말해서 특공기다. 대형 폭탄을 장착하기 위해 방어 기총을 모두 제거하고 승무원을 4명으로 줄였으며 연료도 줄였다. 9대 이상이 완성됐다. 2. 계획한 연습기.
- Ki-168(キ168):
- Ki-169(キ169):
- Ki-170(キ170):
- Ki-171(キ171):
- Ki-172(キ172):
- Ki-173(キ173):
- Ki-174(キ174): 특이하게도 2개의 기종에 번호가 부여됐다. 1. 비공식적으로 Ki-48-II을에게 주어진 계획 번호. 2. 타치카와사에서 계획한 경폭격기.
- Ki-175(キ175):
- Ki-176(キ176):
- Ki-177(キ177):
- Ki-178(キ178):
- Ki-179(キ179):
- Ki-200(キ200): 미츠비시사에서 만든 시제 로켓기, 해군형은 J8M이다. 통칭은 슈스이.
- Ki-201(キ201): 나카지마사에서 계획한 제트 전투폭격기, 시제기조차 완성되지 못하고 종전이 왔다. 통칭은 카류.
- Ki-202(キ202): Ki-200에서 엔진을 교체하고 순항용 로켓을 장착하려 했다, 게획으로 그쳤다.
- Ki-230(キ230): 해외에서와 일본에서의 주장이 다르다. 해외에서는 Ki-115의 해군형인 토카에게 육군이 준 번호라고 보고, 일본에서는 아예 존재하지 않는다고도 본다.
2.5. Ku 시리즈
- Ku-1(ク1):
- Ku-2(ク2):
- Ku-3(ク3):
- Ku-4(ク4): 카야바에서 계획한 글라이더 기반 성층권 램제트 요격기.
- Ku-5(ク5):
- Ku-6(ク6): A-40과 유사한 글라이더형 공수전차. 전차는 케니를 기반으로 하여 미츠비시, 글라이더는 마에다사에서 제작했다.
- Ku-7(ク7): 하고 경전차를 수송 가능한 글라이더.
- Ku-8(ク8):
- Ku-9(ク9):
- Ku-10(ク10):
- Ku-11(ク11):
- Ku-12(ク12):
- Ku-13(ク13): 슈스이활공기로 채용. 해군의 MXY8과 같은 기체다. Ki-200의 글라이더형으로 훈련기로 사용됐다.
- Ku-14(ク14):
2.6. 기타
3. 해군 항공대
3.1. 초기
3.2. 함상전투기(A)
- A1N: 3식 함상전투기로 채용.
- A2N: 90식 함상전투기로 채용.
- A3M
- A3N
- A4N: 95식 함상전투기로 채용.
- A5M: 96식 함상전투기로 채용.
- A6M: 0식 함상전투기로 채용.
- A7He: 수입한 He 112에 붙은 명칭.
- A7M: 미츠비시에서 만든 시제 함상전투기, 통칭은 렛푸.
- A8M: 미츠비시에서 계획한 함상전투기, 통칭은 리쿠후.
3.3. 함상공격기(B)
- B1M: 13식 함상공격기로 채용.
- B2M: 89식 함상공격기로 채용.
- B3Y: 92식 함상공격기로 채용.
- B4M: 미츠비시사에서 만든 시제 함상공격기,
- B4N: 나카지마사에서 만든 시제 함상공격기,
- B4Y: 96식 함상공격기로 채용.
- B5M: 97식 2호 함상공격기[54]로 채용, 주력기보다는 보조기 목적으로 채용됐다.
- B5N: 97식 1, 3호 함상공격기[55]로 채용.
- B6N: 함상공격기 텐잔으로 채용.
- B7A: 함상공격기 류세이로 채용.
- B8A: 아이치사에서 계획한 함상공격기, 통칭은 모쿠세이.
3.4. 함상정찰기(C)
- C1M: 10식 함상정찰기로 채용.
- C2N1: 포커식 육상정찰기로 채용.
- C2N2: 포커식 수상정찰기로 채용.
- C3N: 97식 함상정찰기로 채용.
- C4A: 아이치사에서 계획한 함상정찰기,
- C5M: 95식 육상정찰기로 채용.
- C6N: 함상정찰기 사이운으로 채용.
3.5. 함상폭격기(D)
- D1A1: 94식 함상폭격기로 채용.
- D1A2: 96식 함상폭격기로 채용.
- D2N: 나카지마사에서 만든 시제 함상폭격기,
- D2Y
- D3A: 99식 함상폭격기로 채용.
- D3N: 나카지마사에서 만든 시제 함상폭격기,
- D3Y
- D4Y: 함상폭격기 스이세이로 채용.
- D5Y
3.6. 수상정찰기(E)
- E1Y: 14식 수상정찰기로 채용.
- E2N: 15식 수상정찰기로 채용.
- E3A: 90식 1호 수상정찰기로 채용.
- E4N: 90식 2호 수상정찰기로 채용.
- E5K
- E5Y
- E6Y: 91식 수상정찰기로 채용.
- E7K: 94식 수상정찰기로 채용.
- E8A: 아이치사에서 만든 시제 수상정찰기,
- E8K: 카와니시사에서 만든 시제 수상정찰기,
- E8N: 95식 수상정찰기로 채용.
- E9W: 96식 소형수상기로 채용.
- E10A: 96식 수상정찰기로 채용.
- E10K: 카와니시사에서 만든 시제 수상정찰기,
- E11A: 98식 수상정찰기로 채용.
- E11K: 카와니시사에서 만든 시제 수상정찰기,
- E12A: 아이치사에서 만든 시제 수상정찰기,
- E12K: 카와니시사에서 계획한 수상정찰기,
- E12N: 나카지마사에서 만든 시제 수상정찰기,
- E13A: 0식 수상정찰기로 채용.
- E13K: 카와니시사에서 만든 시제 수상정찰기,
- E14W
- E14Y: 0식 소형수상기로 채용.
- E15K: 수상정찰기 시운으로 채용.
- E16A: 수상정찰기 즈이운으로 채용.
3.7. 수상관측기(F)
3.8. 육상공격기(G)
- G1M: 93식 육상공격기
- G2H: 95식 육상공격기로 채용.
- G3M: 96식 육상공격기로 채용.
- G4M: 1식 육상공격기로 채용.
- G5N: 나카지마사에서 만든 시제 육상공격기, 통칭은 신잔.
- G6M: 미츠비시사에서 만든 시제 익단원호기[56], G4M의 화력과 방어력을 강화한 기체다. 성능상에 문제가 있어서 채용되지 못하고 훈련기와 수송기로 전환된다.
- G7M: 미츠비시사에서 계획한 육상공격기, 통칭은 타이잔.
- G8N: 나카지마사에서 만든 시제 육상공격기, 통칭은 렌잔
- G9K
- G10N: 나카지마사에서 계획한 육상공격기, 통칭은 후가쿠.
3.9. 비행정 (H)
- H1H: 15식 비행정으로 채용.
- H2H: 89식 비행정으로 채용.
- H3H: 90식 1호 비행정
- H3K: 90식 2호 비행정
- H4H: 91식 비행정으로 채용.
- H5Y: 99식 비행정으로 채용.
- H6K: 97식 비행정으로 채용.
- H7Y: 해군항공기술창에서 만든 시제 비행정,
- H8K: 2식 비행정으로 채용.
- H9A: 2식 연습용 비행정으로 채용.
- H10H: 히로해군공창에서 계획한 비행정.
- H11K : 카와니시사에서 계획한 비행정, 통칭은 소우쿠.
3.10. 국지전투기[57](J)
- J1N: 국지전투기 겟코로 채용.
- J2M: 국지전투기 라이덴으로 채용.
- J3K: 카와니시사에서 계획한 국지전투기.
- J4M: 미츠비시사에서 계획한 국지전투기, 통칭은 센덴.
- J5N: 나카지마에서 만든 시제 국지전투기, 통칭은 텐라이.
- J6K: 카와니시사에서 계획한 국지전투기, 통칭은 진푸.
- J7W: 큐슈사와 해군항공기술창에서 만든 시제 국지전투기, 통칭은 신덴.
- J8M: 미츠비시사에서 만든 시제 국지전투기, 육군의 Ki-200과 같은 기체다. 통칭은 슈스이.
- J9N/J9Y: 통칭은 킷카.
3.11. 연습기(K)
- K1Y
- K2Y
- K3M
- K4Y
- K5Y
- K6K
- K6W
- K7M
- K8K
- K8P
- K8W
- K9W
- K10W
- K11W
3.12. 수송기(L)
- L1N
- L2D
- L3Y
- L4M
- L5
- L6
- L7P
3.13. 특수공격기(M)[58]
- M1
- M2
- M3
- M4
- M5
- M6A: 특수공격기 세이란으로 채용.
3.14. 특수기(MX)
- MXJ1
- MXY1
- MXZ1
- MXY2
- MXY3
- MXY4
- MXY5
- MXY6
- MXY7: 특수기 오카로 채용.
- MXY8: 특수기 아키구사로 채용. 육군의 Ku-13과 같은 기체다.
- MXY9
- MXY10
- MXY11
3.15. 수상전투기(N)
- N1K: 수상전투기 쿄후로 채용.
3.16. 육상폭격기(P)
- P1Y: 육상폭격기 긴가로 채용.
- P2
- P3Y:
3.17. 육상초계기(Q)
- Q1W: 육상초계기 토카이로 채용.
- Q2M: 미츠비시사에서 계획한 육상초계기, 설계가 거의 완성되고 목업 단계에 있었으나 종전으로 계획이 중지됐다. 통칭은 타이요.
- Q3W: 해군에서 계획한 육상초계기, K11W를 대잠초계기로 개조하려 했다. 종전으로 계획이 중지됐다. 통칭은 난카이.
3.18. 육상정찰기(R)
- R1Y: 해군항공기술창에서 계획한 육상전찰기, 통칭은 교운.
- R2Y: 해군항공기술창에서 만든 시제 17식 육상정찰기, 통칭은 세이운.
- R2Y1: 해군항공기술창에서 만든 시제 18식 육상정찰기, 통칭은 케이운.
3.19. 야간전투기(S)
- S1A: 아이치사에서 만든 시제 야간전투기, 통칭은 덴코.
3.20. 기타
4. 참고 문헌
陸海軍試作戦闘機(저자: 古峰文三)日本陸軍試作機物語(저자: 刈谷正意)
日本陸軍機キ番号カタログ(저자: 橋立伝蔵)
幻の新鋭機(저자: 小川利彦)
日本航空機大図鑑1910年-1945年(저자: 小川利彦)
航空機の原点 精密図面を読む10 日本陸軍戦闘機編(저자: 松葉稔)
間に合わなかった軍用機(저자: 大内健二)
帝国陸海軍 軍用機ガイド 1910-1945(저자: 安東亜音人)
日本の戦闘機 陸軍編(저자: 秋本実)
日本航空機総集〈第1巻〉三菱篇, 〈第2巻〉愛知・空技廠篇, 〈第3巻〉川西・広廠篇, 〈第4巻〉川崎篇, 〈第5巻〉中島篇, 〈第6巻〉輸入機篇, 〈第7巻〉立川・陸軍航空工廠・満飛・日国篇, 〈第8巻〉九州・日立・昭和・日飛・諸社篇(저자: 野沢正)
Japanese Aircraft of the Pacific War(저자: Francillon, Ph.D., René J)
JAPANESE AIRCRAFT Code Name & Designations(저자: Robert C. Mikesh)
Warplanes of the Second World War V.1, 2, 3(저자: Green, William)
WW2 Aircraft Fact Files: Japanese Army Fighters Part.1, 2(저자: Green, William과 Gordon Swanborough)
Japanes Guided Missiles(저자: U.S. Naval Technical Mission to Japan)
[1] 1차 세계대전~2차 세계대전 간[2] 비슷하게 육군항공대에서 사용한 기관포의 경우 기관포의 맨뒷글자 '포'만 가타카나로 써서ホOO(호OO, Ho-OO)으로 표기했다.[3] 영미권에서도 그냥 '케이''아이'-OO로 읽는다.[4] 그래도 자료에 따라서 키OO로 읽는 사람들도 있으니 무조건 이상하다고 보진 말자.[5] 로켓기나 제트기부터 특공기까지[6] 실질적으로 저 번호대에도 번호가 부여된 경우가 적어 공백이 많다. 그래도 추가적인 작성을 위해 그 공백들을 지워놓진 않았다.[7] 2형 채용 이후부터는 Ki-1-I(キ1-I) 93식 중폭격기 1형.[8] 2형 채용 이후부터는 Ki-2-I(キ2-I) 93식 중폭격기 1형.[9] 2형 채용 이후부터는 Ki-10-I(キ10-I) 95식 전투기 1형.[10] 속도는 단엽기인 Ki-11이 더 우수했지만 복엽기인 Ki-10은 선회력이 좋아서 격투전에서 더 유리했고 당시까진 격투전을 중시하였기에 Ki-10이 이겼다.[11] 2형 채용 이후부터는 Ki-15-I(キ15-I) 97식 사령부 정찰기 1형.[12] Ki-46이 쌍발기인 점도 작용했다.[13] 2형 채용 이후부터는 Ki-21-I(キ21-I) 97식 중폭격기 1형.[14] 정식 채용되었지만 OO식 OO기 형태의 명칭이 없다.[15] 후에 타치카와사로 개명[16] 2형 채용 이후부터는 Ki-43-I(キ43-I) 1식 전투기 1형 하야부사.[17] 2형 채용 이후부터는 Ki-44-I(キ44-I) 2식 단좌 전투기 1형 쇼키.[18] 사실상 개발이 중지됐기 보다는 Ki-84의 개발로 넘어갔다.[19] 정확히 말하면 Ki-45는 채용에 실패하고 Ki-45를 개조한 Ki-45개(キ45改)가 2식 복좌 전투기 토류로 채용된다.[20] Ki-45개의 성능을 높이기 위한 것이었기에 정확히 말하면 Ki-45-II가 아니라 Ki-45개-II(キ45改-II)이다.[21] 2형 채용 이후부터는 Ki-46-I(キ46-I) 100식 사령부 정찰기 1형.[22] 2형 채용 이후부터는 Ki-48-I(キ48-I) 99식 쌍발 경폭격기 1형.[23] 2형 채용 이후부터는 Ki-49-I(キ49-I) 100식 중폭격기 1형.[24] 미츠비시사는 이미 Ki-21을 개량하고 있었기에 신형 중폭격기 개발에 관심이 없었다.[25] Ki-90도 부여됐다.[26] 일반적인 전투기들과 달리 폭격기 편대 근처에서 직접 엄호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크기도 쌍발기 이상으로 상당히 크게 계획되었다.[27] 2형 채용 이후부터는 Ki-57-I(キ57-I) 100식 수송기 1형.[28] 2형 채용 이후부터는 Ki-61-I(キ61-I) 3식 전투기 1형 히엔.[29] 정확히 말하면 Ki-61-II은 날개 교체에 따른 문제로 채용에 실패하고 Ki-61-I의 날개를 그대로 사용한 Ki-61-II개(キ61-II改)가 3식 전투기 2형으로 채용된다.[30] 원래 계획은 Ki-61-II의 개발 성공 후 1,500마력짜리 액랭식 엔진 하240(Ha-240)을 장착하는 것이었으나 Ki-61-II의 부진과 Ki-100의 개발로 방향이 틀어졌다.[31] 라이덴은 개발 초기에 해군이 제시한 요구조건을 달성하기 힘들어서 큰 난항을 겪었다. 거기에다가 일본군의 육해군 대립때문에 같은 시제안을 기반으로 해도 육군 요구사항을 따로 맞춰야 했기 때문에 연구가 불발된 것.[32] 미국의 A-26과 아무 상관도 없고, A는 아사히 신문의 앞자리 'A'에 26은 황기 2600년의 '26'이다.[33] 전시중의 일이었기에 조사가 불가능했다.[34] 급강하 폭격기란 말도 있다.[35] Ki-50도 부여됐다.[36] 완파라는 말도 있다.[37] Ki-94-II(キ94-II)의 개발 이후부터는 Ki-94-I(キ94-I).[38] 1대는 4엽 프로펠러를, 다른 1대는 6엽 프로펠러를 장착했다.[39] 시작은 Ki-45-II의 개발이 넘어왔기에 복좌 전투기였으나 1호기 설계 이후 단좌 전투기로 바뀐다. 그래서 1호기는 캐노피의 형태가 다르다.[40] 2형 개발 이후부터는 Ki-100-I(キ100-I) 5식 전투기 1형.[41] Ki-100-I의 갑형과 을형을 나누는 정설은 없지만 캐노피를 물방울형으로 교체한 것으로 보는 이론이 지배적이다.[42] 비공식 통칭들이다, 공식 약칭은 5식쌍이라 5식 쌍발 습격기가 공식이라는 말도 있다.[43] 10대란 말도 있다.[44] 정식 채용되었지만 OO식 OO기 형태의 명칭이 없다.[45] 42대 혹은 45대란 말도 있다.[46] Ki-102를 개조한 기체와 Ki-108개도 합쳐서 4대라고 하기도 한다.[47] 시험을 했다는 말도 있고 계획으로만 끝났다는 말도 있어 무장이 정확하지 않다.[48] 오히려 강철이 부족해 생산하기 어려웠다.[49] 무려 목표가 뉴욕이었다.[50] 70~80%의 명중률을 보였다.[51] 모기로 사용할 Ki-67은 10대가 개조됐다고 한다.[52] 이후에 이호 1형병 자동 추미(추적) 유도탄도 개발됐는데, 키번호는 받지 못했다.[53] 특공용 대형 항공 폭탄[54] 개칭으로 97식 함상공격기 61형이 된다.[55] 개칭으로 97식 함상공격기 11, 12형이 된다.[56] 육군의 다좌 전투기와 비슷하게 편대를 엄호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57] 일본군이 운용했던 본토 방어 및 폭격기 요격 전용 전투기이며, '육상전투기'라고 표기하는 경우도 있다.[58] 특수공격기이긴 하지만 특공이 주목적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