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colbgcolor=#bf1400> 존덕정
문화재청에서 제작한 3D 영상. 폄우사, 관람정, 승재정과 같이 소개한다.
1 . 개요2 . 이름3 . 역사4 . 구조5 . 여담 [clearfix]창덕궁 후원 에 있는 정자 이다. 관람지 권역 에서 가장 화려하고 규모가 큰 정자이다. <colbgcolor=#bf1400> 관람지 권역. 왼쪽부터 폄우사, 존덕정, 관람정, 승재정이다.
'존덕(尊德)' 뜻은 '덕 (德)을 높이다(尊)'이다. 임금 이 덕을 존중하는 마음으로 훌륭한 정치 를 하라는 마음을 담았다.헌종 때 지은 《궁궐지》에 따르면, 1644년(인조 22년)에 지었다. 첫 이름은 '육면정(六面亭)'이었으나 훗날 '존덕정(尊德亭)'으로 고쳤다. 이후 불타거나 훼손되지 않은 채 오늘에 이른다. <colbgcolor=#bf1400> 왼쪽은 《동궐도》의 존덕정(붉은 원 안), 오른쪽은 《조선고적도보》의 존덕정
}}} || <colbgcolor=#bf1400> 존덕정 북쪽 연못
건물 북쪽에
연못 이 있다. 《
동궐도 》를 보면 원래는 반월 모양의 연못 반월지(半月池)와 사각형의 연못으로 나누어져 있었다. 그러나 나중에 두 연못을 합쳐 하나로 만들어 현재에 이른다.
}}} || <colbgcolor=#bf1400> 존덕정 돌다리
존덕정 동편으로
시내 가 지난다. 그 위에
돌다리 를 세웠다.
아치 위와 옆에 석축을 쌓고 그 위에 돌기둥을 올렸다. 그리고 돌기둥 위에는 돌란대를, 돌기둥 하단에는 판석을 끼웠다. 돌란대와 판석 사이에는 하엽동자기둥을 두어
난간 을 구성했다.
}}} || <colbgcolor=#bf1400> 존덕정 조형물
돌다리 동남쪽에 돌로 만든 조형물이 있다. 총 6단으로, 맨 윗단에는
연꽃 을 조각했다. 그 아래로 2, 3, 4단은 둥글게 만들었고 단 사이마다 구슬 모양을 새겨넣었다. 5단에는 잎사귀문을 조각했다. 제일 아랫단은 8각으로 만들었으며 덩굴과 모란을 새겼다.
}}} || <colbgcolor=#bf1400> 존덕정 일영대
돌다리와 존덕정 사이에 일영대(日影臺)가 있다. 일영대는
해시계 를 올려놓으려고 만든 대로, 원래는 그 위에 해시계가 있었으나 지금은 대만 남았다.
헌종 때 지은 궁궐지에 따르면 원래는 돌다리의 남쪽에 있었다고 하나 지금은 북쪽에 있다.
총 네 단으로, 제일 아랫단은 8각이나 최대한 둥글게 만든 흔적이 보인다. 위로 올라갈수록 면적이 넓어진다. 밑에서 2, 3째 단에는
구름 을 새겼고, 제일 윗 단에는 연덩굴을 조각했다. 윗단 상부에는 홈이 파여있는데 해시계를 놓았던 흔적이다.
1층 목조 건물 로 동남향(東南向)이다. 하지만 지붕 을 이중으로 만들어 마치 2층처럼 보이게 했다. 6각형이다. 안에 6개의 기둥 을 두고 바깥쪽에 18개의 기둥을 두었다. 안쪽기둥은 두껍고, 바깥기둥은 얇다.# 지붕 은 육모지붕이다. 처마 는, 아랫층은 홑처마, 윗층은 겹처마로 만들었다. 보통 홑처마를 만들 땐 서까래를 둥글게 만들지만, 존덕정의 홑처마 서까래는 네모난 것이 특징이다. 추녀마루는 기와 로 마감했고 지붕 꼭대기에는 청동 으로 만든 절병통을 얹었다.공포 는 초익공이며 주두는 원형이다. 단청 은 모로단청으로 칠했다. 기둥 은 원형이고 주춧돌 은 6각형이다. 북쪽은 연못과 맞닿아 있기에 북면에는 주춧돌대신 세로로 긴 돌 기둥을 연못 바닥에 맞닿게 만들었다. 그래서 마치 연못에 발 담그고 있는 것 같은 모습이다.현판 은 걸려있지 않다. 단, 헌종 시기에는 헌종이 직접 써서 걸었다고 한다. }}} || <colbgcolor=#bf1400> 존덕정 난간
각 기둥 하단부마다
난간 을 설치했다. 다만,
건물 로 들어가는 서남면, 남면, 동남면 부분에는
기둥 양 옆에 짧게 난간을 두었다. 난간의 모양은 바깥기둥과 안쪽기둥에 설치한 것이 다르다. 안쪽 기둥의 난간은 평난간으로, 풍혈을 뚫은 궁판을 두고 그 위에 난간기둥과 돌란대를 둔 형태이다. 바깥기둥의 난간은 '만(卍)'자 형 교란으로, 그 위에 하엽동자 모양의 난간기둥과 돌란대를 얹은 형태이다.
}}} ||<width=268> || <colbgcolor=#bf1400> 존덕정 장식틀과 낙양각 <colbgcolor=#bf1400> 존덕정 교창
서남쪽, 남쪽, 동남쪽 칸의 창방에는 연꽃과 덩굴, 기하학적인 문양의 장식 틀을 두고 그 밑에
박쥐 모양의 낙양각을 두었다. 그러나 서북쪽, 북쪽, 동북쪽 칸의 창방 밑에는 교창을 두어 다르게 만들었다.
}}} || <colbgcolor=#bf1400> 존덕정 보개천장에 걸린 용 조각
남쪽과 북쪽의
기둥 4개 위에 대들보를 2개 얹었고 그 위에 대들보를 잡아주는 간보를 설치했다. 그리고 대들보와 간보 위에 포대공을 두어 중도리를 받치게 했다. 중도리에는 6각형 모양의 우물반자를 설치하고 그 안의 보개천장에
청룡 과
황룡 을 마치 살아 움직이는 듯이 조각해 걸었다.
# 반자를 제외한 나머지 천장은 서까래가 보이는 연등천장이다. 각 모서리의 서까래는 부챗살 모양의 선자연 형태이다.
실내 바닥은 마루 인데 안쪽과 바깥쪽이 다르다. 안쪽 바닥은 우물마루로 깔았으나 바깥 바닥은 장마루로 깔았다. }}} || <colbgcolor=#bf1400> 《만천명월주인옹자서》 판
북쪽 칸에
정조 가 쓴 《만천명월주인옹자서》 판을 걸어놓았다.
盛世娛遊化日長 (성세오유화일장)
태평성세에 즐겁게 놀며 덕화(德化)의 날은 기니
羣生咸若春風暢(군생함약춘풍창)
온갖 백성 교화되어 봄바람 화창하네
庶俗一令趨壽域 (서속일령추수역)
뭇 백성들 한결같이 태평성대로 나아가게 하고
從官皆許宴蓬山 (종관개허연봉산)
근신(近臣)들도 모두가 봉래산 잔치에 허락 받았네
艶日綺羅香上苑 (염일기라향상원)
고운 봄날 비단 치마는 상림원(上林苑)에 향그럽고
沸天簫鼓動瑤臺 (비천소고동요대)
하늘까지 치솟는 피리소리 · 북소리는 요대(瑤臺)를 뒤흔드네
존덕정 주련 시
안쪽기둥의 바깥쪽에 주련을 걸었다. 주련에는 위에 있는 시 를 적어놓았다. }}} || <colbgcolor=#bf1400> 존덕정에서 사진을 찍은 대한제국 황태자 의민태자(영친왕) 이은(가운데), 일본 황태자 요시히토(왼쪽), 일본 황족 아리스가와노미야 다케히토 친왕(오른쪽)
1907년(
융희 원년)에 일본
요시히토 황태자(훗날의 다이쇼 덴노) 가
방한 하여
창덕궁 에 들렀을 때
의민태자(영친왕) 과 함께 존덕정에서 찍은 사진이 남아있다.
}}} || <colbgcolor=#bf1400> 〈창덕궁 달빛기행〉 영상
〈창덕궁 달빛기행〉 코스 중 한 곳이다.
}}} || <colbgcolor=#bf1400> 문화재청에서 제작한 '창덕궁 후원에서 만나는 한권의 책' 행사 홍보 영상. 시기는 2016년 가을이다.
2010년부터
문화재청 에서 매년
봄 과
가을 에 여는 '창덕궁 후원에서 만나는 한권의 책' 행사 장소로 사용한다. 정자 내부에 책을 비치해두어
시민 들이 후원의 경치를 보며
독서 할 수 있게 한다. 행사 기간은 일정하지 않으나 대략 4월 중순 ~ 5월 중순(봄), 10월 중순 ~ 11월 중순(가을)이다. 창덕궁 후원 입장료만 내면 별도로 들어가는 돈은 없다. 2020년에는
코로나 19 사태로 진행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