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02 20:05:25

창덕궁 검서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
대보단
건무문 광지문 수문
청의정 태극정 농산정 옥청문
농포
소요암 옥류천
소요정 수문
취한정
수복방 신선원전 진설청
괘궁정 취규정
재실
능허정
의효전 사가정 청심정 천향각
몽답정 산단
백운사
천성동 태청문
청연각
존덕정
외삼문 폄우사 척뇌당
관람정
한려청 반도지
승재정
부군당
반빗간 태일문
통벽문 우신문 농수정
연경당 선향재
국출신직소 수인문 장양문
장락문
창덕궁 애련정 수궁
어수당 애련지
불로문
석거문 금마문 영춘문
운경거 의두합
희우정 천석정
서향각 주합루
어수문
사정기비각 부용지 영화당 춘당대 서총대
부용정
요금문 수문장청 서소 개유와 열고관
창송헌 수정전 가정당
수궁 습취헌 집상전
영모당
생물방 경복전 경훈각 징광루 함원전
소주방 청향각
숙경재 의풍각 융경헌 대조전 흥복헌
수랏간 관리합
만수전 태화당 재덕당 정묵당 요휘문 경극문 창경궁
경추문 수문장청 보경당 선평문 양심합 여춘문 병경문
함양문
서북 진설청 내재실
선원전
서남 진설청 동남 진설청
만수문 건중문 희정당 자선재 영안문
양지당 만안문 관광청 선정전 유덕당 건인문
책고 인정전 관물헌 석유실 어휘문
봉모당 억석루 연경문 만복문 향실 선정문 성정각 보춘정 양성재 중희당 칠분서 해당정 수방재 연영합 평원루 취명문
운한문 영의사 예문관 서방색 소주방 선화문 자시문 삼삼와 승화루 한정당 보화문
숭범문 선전관청 장방 영현문 전의사 취운정 협문
훈국초관인직소 이문원 검서청 약방 내삼청 광범문 대전장방 내반원 낙선재 석복헌
훈국초관인직소 홍문관 당후(승정원)문서고 궁방 사옹원 등촉방 대은원 수강재
훈국군파수직소 정청 육선루
악기고
승정원 상서성 연영문 협양문 무예청 장락문 주명문
남소
위장청
인정문 +양사(사간원) 공상청 사알방 누국
수문장청 금천교 진선문 숙장문 건양문 일영대
금호문 결속색
정색
내병조
(창덕궁관리소)
호위청 상서원 배설방 금위군번소 패장직소 별감방 전루 문기수번소 저승전 낙선당
무비사
의장고
전설사 빈청
(어차고)
진수당 장경각 계방
수문장청돈화문 수문장청 교자고 상의원 치미각 시민당 군옥재 춘방 등룡문
원역처소 수문장청 전루 별감방 등촉방 배설방 훈국군번소 사주문
단봉문 종묘북신문+
경복궁 · 창덕궁 · 창경궁 · 덕수궁 · 경희궁
}}}
}}}}}}}}}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사적 제122호 창덕궁
<colbgcolor=#bf1400> 창덕궁 검서청
昌德宮 檢書廳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99 (와룡동 2-71번지)
건축시기 1781년 (창건 추정)
2004년 (복원)
파일:external/www.heritagechannel.tv/se2013112917542.jpg
<colbgcolor=#bf1400> 검서청[1]
문화재청에서 제작한 3D 영상
1. 개요2. 역사3. 구조4. 대중매체에서

[clearfix]

1. 개요

창덕궁 궐내각사 구역에 있는 건물이다. 규장각의 부속 건물이다. 원래 이름은 대유재(大猷齋)였다. 대유잼이 아니다

규장각 검서관들의 사무실, 당직실이었다. 검서관은 규장각에서 사관을 도와 책을 교정하거나 책 원본을 똑같이 베끼는 일을 하던 관리였다.

2. 역사

파일:동궐도 검서청.png
<colbgcolor=#bf1400> 《동궐도》의 검서청 일대. 붉은색 원 안이 검서청이다.
원래 이름인 대유재(大猷齋)로 적어두었다.
정조는 즉위 직후인 1777년(정조 1년)에 창덕궁 후원에다 주합루를 짓고 그곳에 규장각을 두었다. 그러나 규장각의 규모가 커져서 주합루에 많은 문서를 보관하기 힘들자, 1781년(정조 5년)에 옛 오위도총부 자리에 규장각 청사를 새로 지어 이전시켰다.

자연스럽게 규장각 검서관들 또한 새 규장각으로 옮겨 근무했다. 이들이 사무보고 당직설 곳이 필요해서 만든 게 대유재이다. 다만, 건물 자체는 정조 시기 이전부터 있었으며#, 기존의 건물을 보수, 개조한 것이다.# 이름은 검서관 유득공이 짓고 현판의 글씨는 정지검이 썼다.

이후 정조선원전대보단을 참배하기 전날에 여기서 묵었고, 철종연경당에서 보관하던 역대 임금들이 쓴 글들을 이곳으로 옮겨오기도 했다. 순종 시기에 이름을 검서청으로 바꾸었다.
파일:고궁0565.jpg
<colbgcolor=#bf1400> 일제강점기 철거 및 개조 후 모습을 담은 엽서[2]
일제강점기일제가 헐었다가 문화재청에서 2000년 ~ 2004년에 복원했고 2005년부터 일반에 개방하여 오늘에 이른다.

3. 구조

  • 창덕궁 금천 바로 옆에 있다. 그래서 금천의 아름다운 풍경을 바로 볼 수 있는 곳이다. 아마 연구에 지친 관리들을 위해 그렇게 지은 듯 하다. 기존의 규장각이었던 주합루도 창덕궁 후원에 있어 그곳에서도 멋진 경치를 감상할 수 있었다. 비록 주합루 경관에 비할 바는 아니지만, 그래도 관원들에게 좋은 풍광을 보여주려는 배려를 살펴볼 수 있다. 근데 너무 차이난다
  • 지붕은 팔작지붕, 처마는 겹처마, 공포는 이익공[4]이다. 창방과 장여 사이에 소로를 두었다. 용마루와 내림마루, 추녀마루는 기와로 마감했다. 용두와 취두, 잡상은 없다. 지붕 측면의 합각은 나무판으로 마감했다.

파일:검서청 내부구조.png}}} ||
<colbgcolor=#bf1400> 검서청 내부 구조
정면 5칸, 측면 2칸으로 원래는 10칸이나, 내부를 다시 나누었기에 실질적으로는 총 12칸이다. 각 칸의 구성은 윗 그림을 참조.

파일:검서청 난간.png}}} ||
<colbgcolor=#bf1400> 검서청 난간[5]
중앙의 3칸 짜리 툇마루가 건물로 출입하는 현관 역할을 한다. 툇마루 기둥 가장자리에는 난간을 설치했다. 난간의 모양은 윗 사진을 참조.
  • 출입칸을 제외한 나머지 칸의 하단부에는 전부 머름을 설치했다. 온돌방 외벽은 중방을 두고 위에는 , 아래엔 창문을 설치한 모습이다. 온돌방 뒷면은 문선을 두고 문선 안에 창을, 나머지는 벽을 둔 형태이다. 나머지 마루방의 겉면은 전부 띠살창이다. 교창은 없다.
  • 서쪽과 동쪽 끝 칸은 누마루이다. 서쪽 누마루의 주초석은 짧지만, 동쪽 누마루는 창덕궁 금천과 바로 맞닿아있기 때문에 주초석이 굉장히 길다. 동쪽 누마루의 이름은 동이루(東二樓)이다. 동이루 바깥으로 쪽마루를 깐 뒤 그 가장자리에 난간을 설치했다. 모양은 툇마루 난간과 같다.
  • 대청에서 온돌방과 동이루로 가는 문은 분합문이다. 위, 아래 한지를 바르고 중간에 팔각형의 빗살창이 있는 모습이다. 단, 동이루 쪽 분합문의 하단에는 머름이 있는데 온돌방 쪽에는 없다.

4. 대중매체에서

넷플릭스 드라마킹덤 2》에서 나왔다. 정확히는 검서청 건물이 아니고, 검서청 뒤편 석축 하단부에 있는 수로가 등장했다. 의녀 서비(배두나 분)가 지하 감옥에서 탈출할 때, 이 수로를 통해 밖으로 나갔다.#

[1] 사진 출처 - 문화유산채널: 문화유산 여행, 〈역사의 길 창덕궁 (사적 제122호)〉.[2] 사진 출처 - 국립고궁박물관.[3] 보통 전통 건축에선 단층으로 표현한다.[4] 창방과 직접 만나 보를 받치는, 쇠서(소 혀 모양의 자재)를 두 겹으로 낸 공포.[5] 사진 출처 - 문화포털: 디자인 문양 〈창덕궁 검서청 난간〉.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 (이전 역사)
문서의 r4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