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2 15:26:19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영어에 대한 내용은 TOP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555><bgcolor=#555><color=#fff>🛠️ 공구 및 공작기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9%; min-height: 2em"
{{{#!folding ⠀[ 수공구 ]⠀
{{{#!wiki style="margin: -5px 0"
<colbgcolor=#eee,#333>절단 · 커터칼 · 볼트 커터
파괴망치(슬레지해머 · 장도리) · 도끼 · · 쇠지렛대 · 송곳 · 곡괭이
조각 · · 자귀 · 오스터
조립스크루드라이버 · 렌치(몽키스패너 · 파이프렌치 · 육각렌치 · 래칫 렌치 · 토크 렌치) · 결속기
고정클램프 · 바이스
접착 · 마감실리콘건 · 순간접착제 · 테이프(절연 테이프 · 청테이프 · 덕트 테이프) · 대패 · 사포
플라이어펜치 · 롱노즈 플라이어 · 락킹 플라이어 · 워터펌프 플라이어 · 니퍼 · 스트리퍼
기타헤라 · 멀티툴 · 스위스 아미 나이프 ·
}}}
}}}
}}}
⠀[ 동력공구 ]⠀
||<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eee,#333>
전기톱 · 직쏘 · 컷쏘 · 밴드쏘 · 스크롤쏘 · 홀쏘 · 원형톱(마이터쏘, 테이블쏘) · 멀티커터
드릴해머드릴 · 매거진 드릴 · 드릴링 머신 · 코어 드릴
조립임팩트 렌치 · 임팩트 드라이버 · 타카 · 네일건 · 리벳 건
절단그라인더 · 고속절단기 · 유압 절단기 · 초음파 절단기 · 플라즈마 절단기
접착 · 마감 용접기 · 인두기 · 글루건 · 3D 펜 · 샌더 · 세척기
조각라우터 · 로터리 툴
파괴착암기
동력원공기압축기 · 발전기 · 진공 펌프
⠀[ 계측기기 ]⠀
||<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eee,#333>길이 · 각도
(줄자 · 직각자 · 삼각자) · 버니어 캘리퍼스 · 마이크로미터(내경 마이크로미터 · 깊이 마이크로미터) · 틈새 게이지 · 레이저 거리 측정기 · 각도기 · 수평기
부피·질량·무게저울 · 유량계 · 수면계
시간시계
속도속도계 · 타코미터
전기전압계 · 전류계(검류계) · 주파수계 · 저항계(접지 저항계 · 절연 저항계) · 전력계(전력량계 · 역률계) · 멀티미터(후크미터) · 스펙트럼 분석기 · 오실로스코프 · 검전기 · 통전시험기
온도온도계(수은 온도계 · 적외선 온도계 · 체온계 · 습도계) · 열화상카메라
광학광도계 · 편광계
토크 게이지 · 압력계(기압계)
형상삼차원 측정기
조도조도계
방사능가이거 계수기 · 서베이미터
기타IoT 센서류
기준원기
⠀[ 공작기계 ]⠀
||<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eee,#333>범용기계
선반 · 밀링 머신
CNC터닝센터 · 머시닝 센터 · 3D 프린터 · 레이저 커터
}}}


1. 개요2. 역사3. 모양 및 종류
3.1. 수공구3.2. 전동공구
4. 기타 용도
4.1. 무기4.2. 사형
4.2.1. 사용하는 캐릭터
4.3. 의료 현장4.4. 악기
5. 언어별 명칭6. 여담

1. 개요

금속판이나 쇠줄 표면 등에 삐죽삐죽한 톱니를 만들어 물건을 자르거나 켜는데 사용하는 공구의 총칭. 우리말로 나뭇결의 수직 방향으로 베는 것을 '자르다'라고 하고, 나뭇결 방향으로 베는 것은 '켜다'라고 한다.

2. 역사

파일:Egyptian_Bronze_Saw_1350BC.jpg
톱이 등장하는 역사상 최초의 기록은 고대 이집트다. 이르면 BC 32세기 경까지 거슬러 올라가는데, 청동으로 만들었고 나무나 돌을 자르는 공구로 썼으며 종종 톱으로 사람을 잘라서 사형한 사례도 있었다.[1]

파일:아크로티리 톱.jpg
가장 오래된 유물로는 BC 17세기 경의 그리스 아크로티리 유적지에서 발견된 청동 톱이 있다. 학자들은 신석기 시대때부터 톱과 같은 역할/혹은 톱의 선조격인 석기도 있었다고 추정한다.

그리스 신화에서는 다이달로스(크레테 미궁을 만든)의 조카 탈로스 또는 페르딕스가 톱을 발명했다는 이야기가 있고, 로마 시대에는 BC 3세기 경부터 이미 본격적이고 전문적인 제재소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것도 나무가 아니라 석가공 전문.

중국에서는 유명한 목공 공수반(기원전 5~6세기경)이 궁성을 만드는데 쓸 목재가 부족해서 산을 오르다 넘어질뻔 하면서 풀을 잡았는데 풀결의 날 때문에 상처가 난 걸 보고 풀의 결을 본떠 쇠를 다듬어서 최초의 톱을 만들었다고 전해진다.

파일:718fO9WkulL._AC_UF894,1000_QL80_.jpg
주로 유럽과 중국/한국에서는 탕개톱 혹은 프레임쏘(frame Saw) 형태의 몸체 틀이 있는 톱을 많이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3. 모양 및 종류

크게 손으로 움직이는 톱과 기계로 톱날을 움직이는 기계톱으로 구분되며, 그 용도(주로 자르는 물건)에 따라 톱날의 형태가 매우 다양하다. 톱의 절삭력은 단순히 삐죽삐죽한 이빨 형태의 날 뿐만 아니라, 단면으로 봤을때 톱날 끝부분이 좌우로 벌어진 날어김(Kerf) 구조인 것 또한 중요하다. 절단 부위를 넓게 벌리고 톱밥이 끼지 않게 만들어서 절삭력을 유지시켜 준다. 영미권에서는 톱날의 모양에 따라 수공구도 크게 Back saw와 Frame saw로 구분을 하는데, 여기서는 종류별로만 분류한다.

3.1. 수공구

파일:외날 일본톱.jpg
  • 외날톱: 주변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톱이다. 물체를 당겨서 절단하는 방식이고, 과거에는 칼과 같이 손잡이와 일체형이었으나 현대에 들어서면서 톱날과 손잡이를 더욱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방식으로 개량되었다. 사실은 이같은 당기는 톱은 동아시아에서 옛부터 쓰였으나 일본이 근대화에 먼저 성공하고 대량생산을 하면서 서양에도 먼저 알려지면서 영어로는 Japanese handsaw라는 명칭[2]으로 많이 통한다. 전통적인 서양톱은 밀어서 썰고 절단하는 방식이다. 이 외날톱은 모양과 형태, 목적에 따라 더 상세히 분류되며, 개중 대표적인 것은 등대기톱 등이 있다.
파일:접톱 KOMELON US-210K.jpg
  • 접이식 톱(접톱): 외날톱의 휴대용 형태다. 반으로 접어서 보관할 수 있어서 휴대성이 매우 좋기 때문에 제초나 조경, 건설현장에서 자주 쓰이는 편이다. 캠핑에서도 즐겨 쓰인다.
파일:양날 일본톱.jpg
파일:양날톱 구조.jpg
  • 양날톱: 예전보다는 덜하지만 그래도 공사현장에서 자주 쓰이는 톱이다. 아직도 한국과 일본 회사에서 생산중이며, 큰 특징은 톱의 양날이 다르게 연마되어, 목적에 따라 돌려 쓸 수 있다는 것이다. 한쪽 날은 절단을 위해 톱날의 각도가 빳빳하게 서있고 더 거친데 반해, 반대쪽 날은 각도가 완만하고 목재의 손상을 덜 가게 연마되어있는 식이다. 보통 전자를 절단날, 후자를 켜는 날이라고 한다. 물체를 수직으로 자를 때는 절단날을, 수평으로 반듯하게 자를 때는 켜는 날을 사용한다.
파일:33T0801-pax-rip-saw-f-59.jpg
파일:Hand-Saws-Header-768x512.webp
  • 서양톱: 한국에서는 잘 안 쓰이기 때문에 한국인들은 주로 외국 마술쇼, 특히 절단 마술을 할 때 자주 보게 되는 톱이다. 멀티툴에 포함된 톱도 제조사 국적이 국적이다보니 대부분 이렇게 생겼다. 영어로는 Rip saw, Cross cut saw라고 한다. 한국에서는 그냥 서양톱으로 불리운다. 일본의 톱과 달리 밀어서 써는 방식이다. 사용자의 체중을 보다 더 많이 실을 수 있어 운동에너지 전달력이 좋아 크고 두꺼운 부재를 자를 때에 좋다. 세밀한 작업을 할 때도 쓸 수 있지만, 손잡이가 짧고, 마모량이 크다. 부재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정밀하게 비교적 정밀하게 자르는 것이 크로스컷(Crosscut), 조금더 빠른 절단 속도를 추구하는 것을 립(Rip)으로 구분한다. 한국식으로는 켜는 것과 자르는 것 정도의 구분.
파일:Keyhole-saw.jpg
  • 꼬리톱: 아주 세밀한 틈과 모양을 절단하기 위해 쓰는 톱. 영어로는 Pad saw, Keyhole saw라고 하는데 이름 그대로 문손잡이의 홈이나 실린더 구멍 등을 딸 때 자주 쓰이고 그 외에도 조그마한 홈을 파야 할 때 쓰인다.
파일:활톱.jpg
  • 활톱: 형상이 활과 같고 톱의 모양이 활시위 같다고 해서 동서양 모두 활톱(Bow saw)이라고 부른다. 활톱은 크기와 모양에 따라 종류가 많은데, 사진의 것은 한국 전통 활톱인 탕개톱이다.[3] 혼자서 쓸 수도 있고 양쪽에서 당겨서 2명이서 같이 쓸 수도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크든 작든 전부 탕개톱이나 활톱으로 구분하나, 서양에서는 이보다 크기가 더 크면 아예 투맨쏘(Two man saw)라는 정말 단순한 이름으로 부른다.
파일:fratsaw.jpg
  • 줄톱: 활톱의 한종류. 모양을 내기 어려운 부분을 가공하는 목공예 용도로도 쓰이지만, 주로 금속을 절단할 때 많이 쓰인다. 영어에서는 Frame saw로 분류되며 줄톱 및 활톱의 종류가 많아 줄톱으로 구분되는 것도 광범위하다.

3.2. 전동공구

파일:홀쏘.jpg

4. 기타 용도

4.1. 무기

톱날형 무기도 드물지 않게 있다. 톱니칼처럼 서레이션 효과를 노리고 칼날을 물결치는 형상으로 만든 것인데, 실제 고대 켈트족의 창인 랜시아(Lancea)나 중세의 플랑베르주처럼 날이 들쭉날쭉한 무기들은 상처가 복잡해져 회복이 더뎌지는 효과가 있었다고 한다. 참고로 톱날 구조의 무기로는 그렇게 깔끔하게 잘리지는 않으며, 베어낸다기 보다는 '찢어버린다'는 표현이 더 적합할 정도이다.

다만 이런 서레이션 날이 실용성이 얼마나 있었는지는 미심쩍다는 말도 있다. 플랑베르주 칼날을 가진 레이피어의 경우, 레이피어가 원래 찌르는 무기라는 점을 감안하면 일부러 플랑베르주 칼날을 만드는 것은 무의미하다. 양손검형 플람바드의 경우, 곧은 날의 쯔바이핸더로 한 방 맞으나 양손검 플람바드로 한 방 맞으나 죽는 것은 거기서 거기. 게다가 서레이션 칼날이 제대로 절단력을 발휘하려면 칼날을 대고 밀거나 당기는 자르는 톱질하는 동작이 필요한데, 검술에서 이런 동작을 취할 수 있는 상황은 매우 제한적이다. 상처 조금 더 벌리려고 전투 중에 슬근슬근 톱질할 이유가 없다. 그냥 힘껏 내리쳐서 죽여버리고 말지.
때문에 서레이션 칼날을 지닌 도검류는 화려한 외형을 살린 의장용에 가까운 무기이거나, 혹은 칼날끼리 맞닿은 상태로 패리를 할때 울퉁불퉁한 칼날에 걸려 상대의 칼이 쭉 미끄러져 들어오지 못하게 만드는 방어 기제라는 설도 있다.

창작물에서는 톱이나 톱을 기반으로 한 무기를 주무기로 사용하는 인물들이 상당히 등장하는데, 대부분 이들은 산적이나 용병 등 제도권과는 조금 거리가 있는 편이며 무기를 사용하는 방식도 특이한 무기의 형태를 이용한 변칙적인 용법이 주가 된다.

무기처럼 손에 들 수 있는 동력톱/전기톱은 공포물에서 무기로 자주 사용된다. 픽션이니까 그만큼 티가 나지 않지 현실에서 무기로 사용하는 것은 상당히 위험하다. 자칫 잘못하면 상대는 물론 자신도 영구적인 손상을 입을 수 있기 때문.

4.2. 사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톱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2.1. 사용하는 캐릭터

톱날 형태의 무기도 포함한다.

4.3. 의료 현장

를 자르거나 제거하는 데 쓴다. 무동력으로 사람이 직접 써는 경우에는 쇠톱이나 칼톱의 형태를 하고 있으며, 외부 동력을 공급받아 왕복으로 자르는 톱은 개두나 개흉술같이 섬세한 동작이 요구되는 경우에 쓰인다.

사람들이 전기톱 하면 흔히 생각하는 길쭉한 전기톱도 원래는 정형외과용 장비로 발명된 것이다.

4.4. 악기


악기로도 사용할 수 있다. 테레민휘파람을 섞은 듯한 특유의 사이키델릭한 음색 덕분에 대중음악에도 자주 쓰이는데 머큐리 레브의 Deserter's Song 앨범이 유명하다. 국내에서는 김건모의 '사랑이 떠나가네'의 전주로 사용되었다. 톱밴드의 참가자인 아이씨사이다도 톱 연주를 선보인 바 있다.

5. 언어별 명칭

<colbgcolor=#ddd,#222> 언어별 명칭
한국어
이탈리아어 Sega
스페인어 Sierra
영어 Saw[7]
에스페란토 Segilo

6. 여담

만능 수리공 매니에서는 이 이 모티브인 캐릭터가 나온다.

[1] 고대부터 중세까지 내려온 처형법 중의 하나였다. 보통 세로 방향으로 2등분하거나 가로 방향으로 참수하는 방식이 가장 많이 보인다.[2] 더 정확하게는 Japanese handsaw single edge[3] 흥부전에서 박 타는 장면 삽화에 많이 나온다.[4] 때문에 가까이 잡히는 컷에서 보면 일반적인 톱과 달리 날이 불규칙적이다.[5] 심지어 투검용 독단검에도 톱날이 달려있다.[6] 원형 톱으로, 브롤의 팔을 절단할 때 사용했다.[7] 실제 발음은 /sɔ:/, 즉 '쏘오' 에 가깝다. 영어에서 -aw-, -au- 등은 모두 ɔ: 발음이다.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표기하면 '' 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