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10 15:57:37

프랑스-팔레스타인 관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유럽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벨기에 민간기.svg
벨기에
파일:모나코 국기.svg
모나코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파일:코르시카 깃발.svg
코르시카
파일:프랑스 원형.png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안도라 국기.svg
안도라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아메리카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아이티 국기.svg
아이티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도미니카 공화국
파일:도미니카 연방 국기.svg
도미니카 연방
파일:세인트루시아 국기.svg
세인트루시아
파일:그레나다 국기.svg
그레나다
파일: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국기.svg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아프리카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마다가스카르
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
파일:니제르 국기.svg
니제르
파일:감비아 국기.svg
감비아
파일:말리 국기.svg
말리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모리타니
파일:가나 국기.svg
가나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기니비사우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파일:기니 국기.svg
기니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파일:차드 국기.svg
차드
파일:중앙아프리카공화국 국기.svg
중앙아프리카공화국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적도 기니
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
상투메 프린시페
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콩고 공화국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가봉 국기.svg
가봉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
파일:지부티 국기.svg
지부티
파일:세이셸 국기.svg
세이셸
파일:모리셔스 국기.svg
모리셔스
파일:베냉 국기.svg
베냉
파일:코모로 국기.svg
코모로
파일:르완다 국기.svg
르완다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파일:토고 국기.svg
토고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바누아투 국기.svg
바누아투
파일:누벨칼레도니 기.svg
누벨칼레도니
파일:프랑스 원형.png
다자관계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영프독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미국·영국·프랑스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미국·캐나다·프랑스
파일:아프리카 연합 기.svg
아프리카
과거의 대외관계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프랑스-나치 독일 관계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독일 국기.svg
프랑스-바이마르 공화국 관계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청나라 국기.svg
프랑스-청나라 관계
파일:신성 로마 제국 국기(후광 포함).svg
신성 로마 제국
파일:프랑스 국장.svg Politique étrangère de la France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 서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유럽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바티칸 국기.svg
바티칸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아프리카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아메리카 · 오세아니아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다자관계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파일:아랍 연맹 깃발.svg
이스라엘·팔레스타인·아랍권
}}}}}}}}}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프랑스 팔레스타인

1. 개요2. 역사적 관계
2.1. 고대2.2. 중세2.3. 19세기2.4. 20세기2.5. 21세기
3. 공동체4. 관련 기사5. 관련 문서

1. 개요

프랑스팔레스타인의 관계에 대한 문서다. 프랑스는 2025년 7월 25일부터 팔레스타인을 독립국으로 인정했다.

2. 역사적 관계

2.1. 고대

양국은 고대 로마의 속주였다는 역사를 공유한다. 로마 제국 치하에서 팔레스티나 일대에서 유행한 기독교가 갈리아 일대로도 전파되었다.

2.2. 중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예루살렘 왕국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예루살렘 왕국#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예루살렘 왕국#|]]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3. 19세기

팔레스타인은 근세 이래 오스만 제국의 영토였으나 오스만 제국의 국력이 19세기 초반에 메흐메드 알리의 반란으로 급격히 약화된 것을 계기로 프랑스와 러시아 제국이 예루살렘 일대의 기독교도를 보호하겠다는 명분으로 팔레스타인 일대 내정에 개입하기 시작하였다.

1844년 러시아 정교회 소속 대수도사제들이 팔레스타인을 방문하였는데 이를 계기로 러시아 정교회 신자들 사이에서 성지순례가 유행했다. 오데사에서 야파(오늘날의 텔아비브 남부)로 향하는 성지순례 항로가 개설되면서 매년 수천여 명 규모의 정교회 신도들이 예루살렘에 성지순례를 오게 되었다. 당시 러시아 제국은 예루살렘의 정교회 신도들을 보호하는 입장이었고 프랑스는 가톨릭교도들을 보호하는 입장이었기 때문에 19세기에 예루살렘에서 가톨릭 신도들과 정교회 신도들이 싸움이 날 때마다 프랑스와 러시아 사이의 외교 갈등으로 이어졌다. 물론 당시 오스만 제국은 유럽의 환자 소리를 듣던 상황이라서 자기 영토에서 다른 나라 세력이 서로 싸우건 말건 손가락 빨면서 지켜봐야 하는 입장이었다. 1852년 오스만 술탄은 정교회와 가톨릭을 중재하던 중 러시아 제국의 니콜라이 1세의 분노를 사게 되었고 러시아 제국이 오스만 제국을 침공하면서 크림 전쟁이 발발했다. 팔레스타인은 이미 시오니즘 운동 이전부터 세계의 화약고였던 셈이다.

2.4. 20세기

1974년 11월 22일 프랑스는 유엔에서 팔레스타인 해방 기구를 유엔 옵저버로 인정하는 것 관련한 투표에서 기권했던 바 있다.

2.5. 21세기

2023년 11월 11일, 프랑스에서 팔레스타인 지지 시위가 일어났다.# 시위가 격화되면서 프랑스 정부는 팔레스타인 지지 시위를 금지시켰다.#

11월 30일, 서안지구에서 팔레스타인 미성년자 2명이 사망하자 프랑스 정부가 제재를 고려하기로 했다.#

2024년 10월 17일, 마크롱 대통령이 하마스에 인질석방을 촉구했다.#

2025년 2월 5일, 영국과 프랑스, 스페인 3국은 가자 지구는 팔레스타인 소속이며 가자 지구 주민들은 가자 지구에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2월 16일, 마크롱 대통령과 압바스 팔레스타인 자치수반이 전화통화를 하면서 마크롱 대통령이 2국가 해법 지지를 재천명했다.#

3월 30일, 프랑스 정부는 가자 영구휴전, 두국가 해법을 촉구하는 유엔 안보리 결의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4월 11일, 마크롱 대통령이 몇달안에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한다는 발언을 했다.#1#2

4월 25일, 프랑스 정부는 가자 지구에서 115명을 추가로 대피시켰다.#

4월 29일, 프랑스 대학가에서 팔레스타인 지지 시위가 일어났다.#1#2

압바스 팔레스타인 자치수반과 프랑스 외무장관이 만나 회담했다.#

5월 20일, 프랑스 정부가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는 것을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5월 29일, 프랑스 의회에서 팔레스타인 깃발을 든 의원이 15일 출석정지를 당했다.#1#2

6월 5일, 굴복하지않는프랑스 소속 의원들이 의회에 출석할때 팔레스타인 깃발 색깔에 맞춘 옷을 입고 출석했다.#

6월 15일, 프랑스의 한 시청이 팔레스타인 깃발을 게양한 것이 알려지면서 논란이 일어났다.#

6월 28일, 프랑스 정부는 가자지구 구호를 위한 준비가 됐다고 밝혔다.#

7월 12일, 프랑스 난민법원이 유엔 팔레스타인 난민보호기구의 보호를 받지 못한 가자지구 주민에게 처음으로 난민자격을 부여했다.#

7월 13일, 프랑스 의원 2명을 포함한 가자지구 구호선박이 2차 출항을 했다.#

7월 24일, 마크롱 대통령이 팔레스타인을 독립국으로 인정한다고 밝혔다.# 9월 유엔 총회에서 팔레스타인을 독립국으로 인정한다고 계획을 밝히자 이스라엘이 반발했다.# 마크롱 대통령이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한다고 밝혔지만, 사태 해결을 위해서는 더 대담한 행동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3. 공동체

프랑스 내에는 팔레스타인인 공동체가 존재한다.

4. 관련 기사

5.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