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쿠프 | → | 티뷰론 | → | 투스카니 | → |
벨로스터(1세대)[1] · 아반떼 쿠페 | → | 벨로스터(2세대) · 아반떼 스포츠 | → | 아반떼 N · 아반떼 N Line |
|
|
|
1. 개요
현대자동차에서 2011년부터 2022년까지 생산했던 2+1도어 전륜구동 준중형 해치백 모델이다. 현대자동차의 새로운 브랜드인 PYL의 첫 사용차종이며, 투스카니의 빈 자리를 어느 정도 메우기 위해 출시되었다. 단, 기존 스쿠프부터 티뷰론 - 투스카니의 전륜구동 스포츠 루킹[2] 쿠페의 직접적인 후속 차종으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2. 모델별 설명
2.1. 1세대 (FS, 2011~2018)
| |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현대 벨로스터/1세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현대 벨로스터/1세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2. 2세대 (JS, 2018~2022)[3]
| |
<rowcolor=#ffffff> 1.4T | 1.6T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현대 벨로스터/2세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현대 벨로스터/2세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문제점 및 기타
1~2세대 모두 공통적으로 머플러가 정중앙에 있기 때문에 겨울에 후방카메라 작동 시 머플러에서 나오는 증기 때문에 후방카메라가 잘 보이지 않는다. 구조적으로 어쩔 수 없는 탓인지 현대자동차 측에서 딱히 대응은 없는 상태.4. 기타
- 알파 엔진을 비롯해 현대자동차 엔진 독자개발의 선구자로 평가되는 이현순 前 연구개발 총괄 부회장이 1세대 모델의 최종 출시 과정에서 정몽구 회장과 불협화음 끝에 부회장직에서 물러나게 되었음을 서울고 동문회 유튜브에서 10년 만에 밝히기도 했다. 사연인 즉슨, 2011년 2월 벨로스터 1세대 신차 발표회 하루 전날 당시 정몽구 회장이 이현순 부회장을 불러 신차의 디자인이 마음에 들지 않으므로 스타일링 담당 직원들 모두 줄사표를 받을 것을 지시하자, 이현순 부회장이 ”젊은 감각으로 디자인이 잘 된 모델로 생각하기에 그럴 수 없다”고 정면으로 반박한 끝에 결국 부회장직을 내던진 것으로 밝혀졌다. 실제 2011년 벨로스터 출시 시기가 2월 말에서 3월 초로 연기된 배경이 이러한 어른의 사정 때문이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그의 퇴임 당시 인터뷰 기사를 읽어보면 할많하않의 뉘앙스가 곳곳에서 묻어난다.
- 자가용으로서 노란색(썬플라워)을 도색으로 선택할 수 있다. 벨로스터의 주력 도색은 원래는 주황색이었으나, 주황색은 2015년 이후로 완전히 단종된 도색이다. 사실 벨로스터만이 아닌 코나도 '애시드 옐로우'라는 계통으로 선택할 수 있으나 연두색에 더 가까우며, 벨로스터가 좀 더 순 노랑에 가깝다. 코나와 벨로스터 외에는 2019년 쏘나타 8세대 모델과 베뉴가 유채색으로 노란색이 추가되었다. 개량형인 벨로스터 N은 연청색(퍼포먼스 블루)이 주 도색.
- 미국 시장에서 인기가 괜찮은 편이다. 예전부터 오랫동안 베스트셀러였던 "카마로 - 머스탱 - 챌린저" 머슬카 3형제, 그리고 콜벳, 피아트 500에 이어 미국에서 손에 꼽을정도로 잘 팔리는 스포츠카이다. 참고로 벨로스터의 미국 현지 가격은 토요타 싸이언 시리즈보다 훨씬 비싼고로 단순히 가격이 저렴해서 잘 팔리는 것은 아니다. 쏘울도 미국에서 동급 일제 경쟁차를 다 합친 것의 두배만큼이나 팔릴 정도로 잘 팔리는 것을 보면 아무래도 대한민국과 달리 특이한 차[4]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 기아 레이와는 달리 좌측통행국가[5]용 우핸들 사양이 있으며 주유구는 왼쪽인 채 그대로 두고 뒤쪽 문을 반대로 바꿔서(조수석 방향) 나온다.
- 1세대 홈페이지다.
- 평택시흥고속도로 투스카니 고의사고 사건을 일으킨 투스카니 차주에게 이 차량으로 보상을 해준다고 한다. 당초 투스카니를 수리해주려 했으나 차주가 손상 정도가 적다며 사양하자 벨로스터를 주기로 했다.
- 강남 납치 살해 사건의 가해자의 차량이다. 기종은 1세대 1.6 GDI 모델.
- 한 유튜버가 N룩으로 튜닝된 2세대 벨로스터로 스즈메의 문단속에 나온 장소들을 성지 순례를 하면서 화제가 되고 있다.
- 2015년 7월 타미야가 TT-02 섀시를 기반으로 한 벨로스터 터보 RC(무선조종) 차량을 출시했다. 그동안 아카데미과학 등 국내 업체를 통해 제네시스 쿠페, i20 WRC 등이 RC화된 적은 있지만 해외 제조사가 국산차를 RC화한 것은 벨로스터가 처음. i20 WRC가 성능 떨어지는 섀시와 제한적인 스케일(1:14)로 반응이 저조한 것과 달리 벨로스터 터보는 어느 정도 기본기가 갖춰진 TT-02의 성능과 바디 범용성으로 인기를 얻을 것으로 예상된다.
- 카봇 스카이의 모델도 벨로스터이며, 이쪽은 특수기동차량 버전도 있다. 참고로 스카이의 특수기동차량 버전 모형은 실제 벨로스터와 달리 앞부분에 차량 제압용 범퍼가 장착되었다. 물론 그거 빼면 실제 벨로스터의 디자인을 유지한 채 현대차 로고를 카봇 마크로 바꾼 형태였지만, 2020년에 재판한 모형은 완전히 달라졌다. 그것도 자가용까지 포함.
- 토미카가 한국에 진출할 때 기념으로 출시한 모델이 YF 쏘나타와 1세대 벨로스터이다. 현재는 단종되었다. 그 외 다이캐스트 모형은 중국 업체의 1:18스케일, 현대브랜드컬렉션 1:38스케일, PREMIUM X 브랜드의 1:43스케일, Shadow 브랜드의 1:64스케일 등이 존재한다. 그중 Shadow제는 벨로스터 터보 사양이다.
5. 미디어
5.1. 게임
- 아이폰용 모바일 게임인 벨로스터HD 라는게임이 있다.[6]
- 2014년 4월 15일 EA의 모바일 레이싱 게임 "리얼 레이싱 3" 에 터보 모델이 등장했다. 가격은 부담없는 R$22000. 그런데 맨 처음 주는 닛산 실비아보다도 한참 딸리는 데다가 수리 시간은 4배나 더 길다. 게임 자체가 실차 성능을 최대한 따르려는 점을 감안하면 국산 스포티 모델이 갈 길이 얼마나 먼지 실감할 수 있다. 다만 벨로스터 터보와 동급이라 할 만한 엔트리급 스포츠카가 단 한 종도 없다는 점은 감안할 것.
- 모바일 게임 아스팔트 7: 히트에 제네시스 쿠페와 함께 등장했다.
- CSR Racing 2에서 1세대 터보 R 스펙 모델과 아크 퍼포먼스에서 튜닝한 모델이 등장한다.
- 포르자 모터스포츠 중 4, 5, 7에서 등장한다. 7에서는 2세대 모델로 N형과 같이 출시되며 현대가 디트로이트 모터쇼에서 두모델을 공개함과 동시에 무료 카팩 형식으로 배포되었다.
- 포르자 호라이즌 2 - 벨로스터 터보가 등장한다.
- 포르자 호라이즌 4 - 벨로스터 N이 등장한다.
- 포르자 호라이즌 5 - 벨로스터 N이 등장한다.
- Car Parking Multiplayer에 등장했다. 여담으로 이 게임에선 유일한 국산차다.[7]
- 3D운전교실의 팬이 만든 게임인 3D운전게임에 1세대 터보 모델이 추가 될 예정이었지만 시청자의 도움으로 신형 벨로스터 N 모델을 받아 게임에 현대 벨로스터 N 모델이 추가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3D운전게임/차량 목록 문서 참고.
5.2. 기타
- SBS 드라마 시티헌터에서 이윤성(이민호)이 1세대 기본형 파란색 모델을 타고 다녔으며, 4화에서 버스하고 사고 난 이후 회색 모델을 타고 다닌다. 이와 연계된 광고도 방영되었다.
- 무한도전의 장기 프로젝트인 무한도전 스피드 레이서에서 유재석과 정준하가 레이싱용으로 개조된 마스터즈급 벨로스터 터보를 운전했다.[8] 예선에서는 유재석을 제외한 나머지는 전부 무난하게 완주에 성공했지만 유재석이 타고 있던 벨로스터는 트러블이 너무 심해서[9] 1랩 완주-피트인-다시 1랩-피트인의 반복만을 하다가 결국 최하위권 랩타임으로 공식적으로는 예선탈락. 결승전에서는 차량을 바꾼 유재석이 충돌사고로, 정준하가 엔진 과열로 전원 리타이어. 무한도전 멤버들을 가르쳤던 권봄이 멘토도 엔진 과열로 탈락했고, 이미 벨로스터의 과열 문제는 이미 여러 곳에서 이야기가 나올 정도로 그 악명이 널리 퍼진 상황. 무한도전 이전에도 터보 오너들의 불평불만이 계속해서 이어지는 상황이었는데 무한도전이 그 단면을 보여줬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10]
- 헬로 카봇에 등장하는 카봇 스카이의 모델이기도 하다.
- 레이 도노반 시즌4 5화에 등장한다.
- 앤트맨과 와스프에서 2세대 벨로스터가등장한다. 실제 영화상에서는 주인공들이 이동 중에 벤츠 스프린터를 더 많이 사용하지만, 후반부에 루이스가 몰면서 나름 대활약하며 결말에도 등장한다. 영화 개봉에 앞서 현대차 측에서는 방송광고를 내놨고, 국내에서도 영어 내레이션 그대로 방송이 나갔다.[11]
- KBS 드라마 세상에서 제일 예쁜 내 딸에서 돌담길출판사 편집장 김우진(기태영 분)의 차로 2세대 벨로스터 1.6T 차량이 등장한다. 슈팅스타 색상의 풀옵션으로 보이며 강미혜(김하경 분)가 선루프를 열고 아주 좋아하는 모습이 방영되기도 했다.
- 이말년씨리즈 124화에서 알바가 바리스타를 잘못 알아들어 바티스타,밸로X타,발리스타로 알아듣는 개그가 있는데, 여기서 벨로스터는 밸로X타는 밸로(별로).. 라고 깠다.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30%" {{{#!folding [ 연대별 구분 ] {{{#!wiki style="color: #000; margin:-6px -1px -10px" | 회색 글씨: 단종 차량 | |||||||
<colbgcolor=#002c5f><colcolor=#fff><rowcolor=#fff> | 승용 · SUV · RV · 승합 | 버스 | 트럭 | |||||
1960년대 | 코티나 · 포드 20M | R버스 | 포드 D 시리즈 | |||||
1970년대 | 포니 · 그라나다 · HD1000승합 | 메르세데스-벤츠 O302 · 메르세데스-벤츠 O303 · HD버스 · RB버스 · D버스 · DK버스 | HD1000트럭 · 바이슨 · 대형트럭 | |||||
1980년대 | 프레스토 · 포니엑셀 · 엑셀 · 스텔라 · 쏘나타 · 그랜저 · 그레이스 · 미쓰비시 프레시스 | 코러스 · FB버스 · 에어로버스 | 포터 · 마이티 | |||||
1990년대 | 아토스/쌍트로(1세대) · 아토스 프라임 · 엑센트/베르나 · 엘란트라/아반떼(1세대) · 마르샤 · 다이너스티 · 에쿠스 · 스쿠프 · 티뷰론 · 갤로퍼 · 싼타모 · 트라제 XG · 스타렉스 | 카운티 · 에어로타운 · 에어로시티 | 중형트럭 · 슈퍼트럭 | |||||
2000년대 | i10 · 클릭 · i20 · i30 · 쏘나타 NFC · 투스카니 · 제네시스 · 제네시스 쿠페 · 라비타 · 투싼(ix35) · 싼타페 · 테라칸 · 베라크루즈 · 앙트라지 · 닷지 브리사 · 기아 천리마 | 슈퍼 에어로시티 · 그린시티(구 글로벌900) · 카운티 Ⅲ · 유니버스 | 리베로 · 메가트럭 · 뉴파워트럭 · 트라고 | |||||
2010년대 | 이온 · 블루온 · HB20 · XCENT · 위에둥 · 아이오닉 · i40 · 미스트라 · 아슬란 · 벨로스터 · 아반떼 쿠페 · ix20 · 크레타 · 맥스크루즈 · 쏠라티 · 코나 · 레이나 · 넥쏘 · 라페스타 · 팰리세이드 · 베뉴 | 블루시티 · 유니시티 · 일렉시티 · H500 버스 | 엑시언트 · H350 · 루이웨/홍투 · 파비스 | |||||
2020년대 | 아우라 · 포레스트 · 쿠스토 · 베이온 · 아이오닉 5 · 스타리아 · 알카자르 · 싼타크루즈 · 캐스퍼/인스터 · 스타게이저 · 아이오닉 6 · 무파사 · 엑스터 · 아이오닉 9 · 일렉시오예정 · 아이오닉 2예정 · EA1C예정 | 모던 PUV · 일렉시티 이층버스 · 일렉시티 타운 | ST1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30%" {{{#!folding [ 차급별 구분 ] {{{#!wiki style="color: #000; margin:-6px -1px -10px" | <colbgcolor=#002c5f><rowcolor=#fff><colcolor=#fff>차급 | 생산 차량 | 단종 차량 | |
승용차 | ||||||||
경차 | i10 · 아우라 | 아토스 · 블루온 · 이온 · 쌍트로 · XCENT | ||||||
소형차 | 엑센트 · i20 · HB20 | 포니 · 엑셀 · 프레스토 · 클릭 · 베르나 · 닷지 브리사/기아 천리마 · 미쓰비시 프레시스 · 레이나 · 닷지 애티튜드 | ||||||
준중형차 | 아반떼 · i30 | 포드 코티나 · 엘란트라 · 아반떼 쿠페 · 벨로스터 · 위에둥/셀레스타 · 라페스타 | ||||||
중형차 | 쏘나타 · 아이오닉 6 | 코티나 · 스텔라 · 마르샤 · i40 · 쏘나타 NFC · 모인카 · 미스트라 | ||||||
준대형차 | 그랜저 | 포드 20M · 그라나다 · 아슬란 · 다이너스티 · 제네시스 | ||||||
대형차 | - | 에쿠스 | ||||||
스포츠카 | - | 스쿠프 · 티뷰론 · 투스카니 · 제네시스 쿠페 | ||||||
SUV | ||||||||
경형 SUV | 캐스퍼 · 엑스터 | - | ||||||
소형 SUV | 베뉴 · 코나 · 크레타 · 알카자르 · 베이온 · 인스터 · 아이오닉 2예정 | - | ||||||
준중형 SUV | 투싼 · 아이오닉 5 · 무파사 · 일렉시오예정 | - | ||||||
중형 SUV | 싼타페 · 넥쏘 | 갤로퍼 | ||||||
준대형 SUV | 팰리세이드 · 아이오닉 9 | 테라칸 · 베라크루즈 · 맥스크루즈 | ||||||
픽업트럭 | ||||||||
소형 픽업트럭 | 싼타크루즈 | 픽업 · 포드 코티나 픽업 | ||||||
MPV | ||||||||
소형 MPV | - | 라비타 · ix20 | ||||||
준중형 MPV | 스타게이저 | 싼타모 | ||||||
중형 MPV | 쿠스토 | 트라제 XG | ||||||
준대형 MPV | - | 앙트라지 | ||||||
대형 MPV | 스타리아 | 스타렉스 | ||||||
캠핑카 | - | 포레스트 | ||||||
상용차 | ||||||||
소형버스 | 쏠라티 | 그레이스 · HD1000 | ||||||
준중형버스 | 카운티 · 모던 PUV | D버스 · 코러스 · 카운티 Ⅲ | ||||||
중형버스 | 일렉시티 타운 | 에어로타운 · 그린시티 | ||||||
준대형버스 | 슈퍼 에어로시티 · 일렉시티 · H500 버스 | R버스 · DK버스 · RB버스 · HD버스 · FB버스 · 에어로시티 · 블루시티 · 유니시티 | ||||||
대형버스 | 유니버스 · 유니버스 FCEV ·일렉시티 이층버스 | 메르세데스-벤츠 O302 · 메르세데스-벤츠 O303 · 에어로버스 | ||||||
소형트럭 | 포터 · H350 · ST1 | HD1000 · 리베로 | ||||||
준중형트럭 | 마이티 | - | ||||||
중형트럭 | 루이웨/홍투 · 파비스 | 바이슨 · 대형트럭 · 중형트럭 · 슈퍼트럭 · 메가트럭 | ||||||
준대형트럭 | 뉴파워트럭 | - | ||||||
대형트럭 | 엑시언트 | 마루 · 트라고 | }}}}}}}}} }}} | |||||
|
[1] 직접적인 후속은 아니다.[2] 성능이 일반적인 스포츠카들보다 낮기에 스포츠 루킹 카라고 불렸다.[3] 일반 사양은 2020년 12월에 먼저 단종되었다.[4] 사실 특이하기 보다는 한국과 상황이 달라서 그런 것으로 쏘울은 북미에서 박스카로 취급하는데 경쟁 박스카 중 가장 크고 가격도 합리적이어서 보통 인생 첫 차로 자주 추천되는 스테디셀러이다. 또한 벨로스터는 저가이면서 성능도 괜찮아 스팅어와 함께 가성비 좋은 스포츠카로 인식돼서 잘 나가는 것이다. 반대로 한국에선 여전히 스포티한 성능을 지닌 자동차 수요가 낮고 게다가 거의 안 팔리는 해치백이라 그런 것이다. 똑같이 대호평을 받은 K3 GT도 비슷한 이유로 안 팔리는 상황이다.[5] 호주, 뉴질랜드,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브루나이, 남아공, 레소토, 세이셸[6] 업데이트를 안해서 iOS 10까지 설치 할 수 있다.[7] 1세대 터보 모델[8] 처음부터 모두가 운전한것은 아니고, 한체급 아래인 챌린지급 차량을 타고 기록한 랩타임을 바탕으로 상위 2명만 맛보기 운전을 허락 받았다. 랩타임에선 유재석 1위, 정형돈 2위를 했는데 정형돈은 수동운전을 할 수 없어서 3위겸 수동운전이 가능한 정준하가 대신 탑승. 이후에도 KSF 출전할 때 유재석 정준하가 이 차량을 타고 출전하였다.[9] 사고로 엔진룸이 크게 손상되어서 그렇다. 정비사들이 내내 수리에 메달렸지만 그게 그렇게 쉽게 고쳐지지 않았다.[10] 참고로 2015년 시점에서는 오토뷰 기사 말고 다른 실험글이나 기사들이 전부 삭제된 상태이며, 이 항목 또한 이미 리그베다 위키 시절에 현기빠들의 손을 거쳐 관련 내용들이 삭제된 전적이 있다.[11] 한국에서 방송될 때 광고 끝부분은 국제판을 따라갔는데, 미국판처럼 현대차 로고가 줌인으로 등장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한 페이드인으로 등장했지만, 대신 잘 어레인지된 현대차 징글이 흘러나왔다. 미국판 광고에서는 현대차 징글 없이 광고가 끝났다. 미국 광고, 국제판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