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26 21:11:37

Live Through This

Live Through This의 주요 수상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D35299F0-A94E-4256-858A-16C852ABB793.png파일:Acclaimed-Music-Logo-Dark.png
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명반
236위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b18904><tablebgcolor=#fff,#191919><width=90><#b18904>
파일:external/www.theuncool.com/rs937.jpg
||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
466위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b18904><tablebgcolor=#fff,#191919><width=90><#b18904>
파일:external/www.theuncool.com/rs937.jpg
||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
2003년 466위 ||

파일:롤링 스톤 로고.svg
롤링 스톤 올해의 앨범 (1978년~1999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rowcolor=#fff>19781979
파일:some girls.jpg
파일:937a2fd675b488c90f78795b7d4755a276997b12.jpg
Some GirlsRust Never Sleeps
롤링 스톤스닐 영 & 크레이지 호스
<rowcolor=#fff>19801981198219831984
파일:external/ecx.images-amazon.com/91apLp-DEQL._SL1500_.jpg
파일:external/yanjulia.files.wordpress.com/tumblr_m7di9jioa11qkwthno1_1280.jpg
파일:external/consequenceofsound.files.wordpress.com/bruce-springsteen-nebraska.jpg
파일:1983_murmur.jpg
파일:external/ecx.images-amazon.com/710p7yzLdgL._SL1050_.jpg
London CallingTattoo YouNebraskaMurmurBorn in the U.S.A.
더 클래시롤링 스톤스브루스 스프링스틴R.E.M.브루스 스프링스틴
<rowcolor=#fff>19851986198719881989
파일:little creatures-1985.jpg
파일:R-940123-1175241833.jpeg.jpg
파일:external/assets.rollingstone.com/5750dc077a6e97a342ea2c64f30c9c9a1dafd661.jpg
파일:R-623326-1261014583.jpeg.jpg
파일:8350f17d6fe0f0c3d2fb7c7dfcf9afb49cfb52dd.jpg
Little CreaturesGracelandTunnel of LoveDiesel and DustFreedom
토킹 헤즈폴 사이먼브루스 스프링스틴미드나이트 오일닐 영
<rowcolor=#fff>19901991199219931994
파일:R-867151-1487175197-7925.jpeg.jpg
파일:out of time-1991.jpg
파일:오토매틱포더피플.jpg
파일:external/spectrumculture.com/nirvana-in-utero.jpg
파일:R-367733-1291158726.jpeg.jpg
I Do Not Want What I Haven't GotOut of TimeAutomatic for the PeopleIn UteroLive Through This
시네이드 오코너R.E.M.R.E.M.너바나
<rowcolor=#fff>19951996199719981999
파일:pj-harvey-to-bring-you-my-love.jpg
파일:external/static.stereogum.com/Odelay.jpg
파일:R-954191-1176926887.jpeg.jpg
파일:images fjxjwk.jpg
파일:rage_against_the_machine_the_battle_of_los_angeles_front.jpg
To Bring You My LoveOdelayTime Out of MindThe Miseducation of Lauryn HillThe Battle of Los Angeles
PJ 하비밥 딜런로린 힐레이지 어게인스트 더 머신
''
''
''''
''''
}}}}}}}}}

파일:롤링 스톤 로고.svg
롤링 스톤 선정 50대 여성 아티스트 명반
24위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e6001d><tablebgcolor=#e6001d>
파일:타임지 로고 화이트.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미국의 주간지 타임에서 2006년 "대중 음악 역사상 최고의 앨범 100선 (All-TIME 100 Albums)"을 발표했고, 순위 없이 연대순으로 나열되어 있다.
In the Wee Small Hours
프랭크 시나트라
Songs for Swingin' Lovers!
프랭크 시나트라
Here's Little Richard
리틀 리처드
Kind of Blue
마일스 데이비스
King of the Delta Blues Singers
로버트 존슨
Modern Sounds in Country and Western Music
레이 찰스
Live At The Apollo
제임스 브라운
A Love Supreme
존 콜트레인
Highway 61 Revisited
밥 딜런
Otis Blue/Otis Redding Sings Soul
오티스 레딩
Rubber Soul
비틀즈
Pet Sounds
비치 보이스
Blonde on Blonde
밥 딜런
Revolver
비틀즈
I Never Loved a Man the Way I Love You
아레사 프랭클린
The Velvet Underground & Nico
벨벳 언더그라운드 & 니코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비틀즈
Are You Experienced
지미 헨드릭스 익스피리언스
Lady Soul
아레사 프랭클린
At Folsom Prison
조니 캐시
The Beatles
비틀즈
Astral Weeks
밴 모리슨
〈Stand!〉
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
The Band
더 밴드
Abbey Road
비틀즈
Bitches Brew
마일스 데이비스
Moondance
밴 모리슨
Bridge Over Troubled Water
사이먼 앤 가펑클
After the Gold Rush
닐 영
Paranoid
블랙 사바스
John Lennon/Plastic Ono Band
존 레논
Tapestry
캐롤 킹
Sticky Fingers
롤링 스톤스
What's Going On
마빈 게이
Blue
조니 미첼
Who's Next
더 후
Coat of Many Colors
돌리 파튼
Led Zeppelin IV
레드 제플린
Hunky Dory
데이비드 보위
Exile on Main St.
롤링 스톤스
The Rise and Fall of Ziggy Stardust and the Spiders from Mars
데이비드 보위
The Harder They Come
지미 클리프
Talking Book
스티비 원더
〈Call Me〉
알 그린
Goodbye Yellow Brick Road
엘튼 존
〈Red Headed Stranger〉
윌리 넬슨
Born to Run
브루스 스프링스틴
Horses
패티 스미스
Ramones
라몬즈
Songs in the Key of Life
스티비 원더
Hotel California
이글스
Rumours
플리트우드 맥
Never Mind the Bollocks, Here's the Sex Pistols
섹스 피스톨즈
〈One Nation Under a Groove〉
펑카델릭
London Calling
더 클래시
Back in Black
AC/DC
Thriller
마이클 잭슨
The Great Twenty-Eight
척 베리
Legend
밥 말리
Purple Rain
프린스
Stop Making Sense
토킹 헤즈
Master of Puppets
메탈리카
Raising Hell
Run-D.M.C.
Graceland
폴 사이먼
The Joshua Tree
U2
Sign 'O' the Times
프린스
Paid in Full
에릭 B. & 라킴
Document
R.E.M.
It Takes a Nation of Millions to Hold Us Back
퍼블릭 에너미
Straight Outta Compton
N.W.A
Like A Prayer
마돈나
The Stone Roses
스톤 로지스
Paul's Boutique
비스티 보이즈
Out of Time
R.E.M.
〈Star Time〉
제임스 브라운
Ropin' the Wind
가스 브룩스
Nevermind
너바나
The Low End Theory
어 트라이브 콜드 퀘스트
〈Back to Mono (1958–1969)〉
필 스펙터
Achtung Baby
U2
Slanted and Enchanted
페이브먼트
The Chronic
닥터 드레
Live Through This
Ready to Die
노토리어스 B.I.G.
My Life
메리 제이 블라이즈
(What's The Story) Morning Glory?
오아시스
Endtroducing.....
DJ 섀도우
OK Computer
라디오헤드
Time Out of Mind
밥 딜런
Car Wheels on a Gravel Road
루신다 윌리엄스
〈Sunrise〉
엘비스 프레슬리
The Marshall Mathers LP
에미넴
Kid A
라디오헤드
Stories from the City, Stories from the Sea
PJ 하비
Stankonia
아웃캐스트
〈The Anthology: 1947–1972〉
머디 워터스
〈ELV1S: 30 No. 1 Hits〉
엘비스 프레슬리
Portrait of a Legend 1951–1964
샘 쿡
The College Dropout
칸예 웨스트
〈Turn Back the Years〉
행크 윌리엄스
출처 }}}}}}}}}

파일:피치포크 로고.svg파일:피치포크 로고 화이트.svg
피치포크 연대별 최고의 앨범
1990년대 150대 명반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위 2위 3위 4위 5위
파일:Loveless.jpg
파일:The Miseduction Of Lauryn Hill.jpg
파일:okcom.jpg
파일:ExileinGuyville.png
파일:우탱 1집.png
loveless The Miseducation of Lauryn Hill OK Computer Exile in Guyville Enter the Wu-Tang (36 Chambers)
마이 블러디 밸런타인 로린 힐 라디오헤드 리즈 페어 우-탱 클랜
6위 7위 8위 9위 10위
파일:s06.vchsviff.jpg
파일:VelvetRope-1 (1).jpg
파일:Live-Through-This.jpg
파일:external/www.wruw.org/thelowendtheory.jpg
파일:너바나2집.jpg
Homogenic The Velvet Rope Live Through This The Low End Theory Nevermind
비요크 자넷 잭슨 어 트라이브 콜드 퀘스트 너바나
11위부터는 피치포크 1990년대 150대 명반 문서 참조.
''''
''''
''''
}}}}}}}}} ||

파일:logo-indiehoy.webp
Indiehoy 선정 1990년대 50대 명반
14위

파일:1001 Albums You Must Hear Before You Die.jpg
[[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파일:1000 Recordings To Hear Before You Die.jpg
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레코딩
1000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bbb><tablebgcolor=#fff,#191919><tablecolor=#800080><width=90>
파일:All-Time_Top_1000_Albums_(1st_Edition).jpg
|| 올 타임 탑 1000 앨범
468위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bbb><tablebgcolor=#fff,#191919><width=90><#b18904>
파일:All-Time_Top_1000_Albums_(1st_Edition).jpg
|| 올 타임 탑 1000 앨범
1998년 468위 ||

파일:nme500album.jpg
NME 선정 500대 명반
84위

파일:paste-300-albums.jpg
Paste 선정 300대 명반
60위

파일:빌보드 로고.svg파일:빌보드 로고 흰색.svg
'''
빌보드 선정 위대한 앨범 커버들
[[https://| 빌보드 선정 위대한 앨범 커버들]]
'''

}}} ||
Live Through This
파일:Live-Through-This.jpg
<colbgcolor=#191A21><colcolor=#EFCBD7> 발매 1994년 4월 12일
녹음 1993년 10월 8일 ~ 30일
장르 그런지
재생 시간 38:16
곡 수 12곡
프로듀서 폴 Q. 콜데리, 숀 슬레이드
스튜디오 트리클롭스 스튜디오
레이블 DGC

1. 개요2. 상세3. 트랙리스트
3.1. Violet3.2. Miss World3.3. Plump3.4. Asking for It3.5. Jennifer's Body3.6. Doll Parts3.7. Credit in the Straight World3.8. Softer, Softest3.9. She Walks on Me3.10. I Think That I Would Die3.11. Gutless3.12. Rock Star
4. 참여자5. 여담

[clearfix]

1. 개요

1994년 4월 12일에 발매된 의 정규 2집.

2. 상세

1993년 후반에 녹음된 이 앨범은 세련되지 않은 하드코어 펑크 장르를 구사했던 데뷔 앨범과 달리 세련된 곡 구조를 들려준다. 밴드의 보컬인 코트니 러브는 "우리에게 소프트 엣지가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에게 충격을 주고 싶었다."고 했다.

앨범의 모든 곡은 코트니 러브가 작사했으며, 작곡은 코트니 러브, 홀의 기타리스트였던 에릭 얼랜드슨이 맡았다. 편곡은 홀에 새로 영입된 노이즈 록 밴드 Janitor Joe 출신의 베이시스트 크리스틴 파프와 공동 작업했다.

앨범은 폴 큐 콜데리, 숀 슬레이드가 프로듀싱 했으며 스콧 리트, 제이 마시스가 믹싱했다. 가사는 사랑의 아름다움과 모성, 여성에 대한 폭력, 반 엘리트주의가 모티브가 되었으며, 앨범 제목은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의 인용문[1]에서 따왔다.

미인대회바비 인형을 풍자한 앨범 아트가 상당히 유명하다. [2] 모델 레이라니 비숍이 출연했으며 엘렌 폰 운베르트가 촬영했다.

코트니 러브에 의하면 베이시스트와 드러머가 밴드에서 나간 후 자신과 에릭 얼랜드슨은 1992년 4월, LA의 카페인 Jabberjaw[3]에서 오디션을 열어 드러머 패티 스킴멜을 새로 영입하고 LA에서 리허설을 하기 시작했는데 하필이면 이 때 LA 폭동이 일어나서 밴드는 본거지를 시애틀로 옮겨야만 했다고 한다. 2집에 수록된 곡이 완성본의 결과물로 다듬어진 것은 1993년에 가입한 베이시스트 크리스틴 파프의 영향이 컸지만 대다수의 곡들은 크리스틴 파프가 밴드에 가입하기 전에 이미 데모를 녹음해 놓은 상태였다고 한다. 가사는 그 전에 자신이 쓴 메모나 일기에서 가져온 것이 많다고 힌디. 일례로 앨범의 첫 트랙 Violet의 가사는 Gish 투어 중이던 빌리 코건과 영국에서 같이 시간을 보낸 후 자신에게 신경을 쓰지 않는 빌리에게 실망한 채로 미국으로 돌아온 코트니가 쓴 메모가 바탕이 되었고 Doll Parts의 가사는 너바나Nevermind를 녹음 중이던 스튜디오 근처에서 살고 있던 코트니가 커트 코베인을 처음 보고 잘생긴 외모에 반해서 커트에게 접근했을 때 커트의 시니컬한 반응을 본 후 쓴 일기가 바탕이 되었다고 한다.
기타리스트 에릭 얼랜드슨은 "밴드는 앨범 제작 기한이 다할 때 까지 음악 작업을 멈추지 않았다. 왜나하면 결과물이 아무리 좋아 보여도 어딘가에는 부족한 곳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앨범에 12곡이 수록된 것은 레코딩 마감 기한까지 완성한 곡이 12곡이었기 때문이다."라고 밝혔다.

드러머 패티 스킴멜은 앨범을 녹음한 Triclops Sound Studios[4]의 직원들이 밴드 멤버들에게 중독성이 치명적이기로 악명높은 마약 크리스탈 메스를 풍부하게 제공하였으며 밴드 멤버들은 크리스탈 메스를 하면서 녹음에 임했다고 회고했다. Miss World는 베이시스트 크리스틴 파프와 자신이 크라스탈 메스에 취한 채로 베이스와 드럼 트랙을 녹음했다고. 또한, 에릭 얼랜드슨을 제외한 여성 멤버들은 앨범 녹음 당시 모두 헤로인에 중독되어 있었다고 한다.

3. 트랙리스트

3.1. Violet


3.2. Miss World


3.3. Plump


3.4. Asking for It


3.5. Jennifer's Body


3.6. Doll Parts


3.7. Credit in the Straight World


3.8. Softer, Softest


3.9. She Walks on Me


3.10. I Think That I Would Die


3.11. Gutless


3.12. Rock Star


4. 참여자

5. 여담

  • 커트 코베인이 스튜디오를 방문하는 동안 Asking for it의 백 보컬을 해주었다. 2절 간주 악절과 노래 끝부분에서 코트니 러브의 목소리 뒤로 커트의 목소리가 들린다. 하지만 앨범에 수록될 때는 삭제된 것으로 추정된다.
  • 빌보드 200에서 52위를, 연말 차트에선 86위를 기록하였다.


[1] As God is my witness, as God is my witness they're not going to lick me. I'm going to live through this and when it's all over, I'll never be hungry again. No, nor any of my folk. If I have to lie, steal, cheat or kill. As God is my witness, I'll never be hungry again.[2] 러브는 미인대회에 나가 온갖 고생에 성상납까지 해야 하는 미인대회 모델들의 현실을 다루려고 했다고 밝혔다. "I wanted to capture the look on a woman's face as she's being crowned... this sort of ecstatic, blue eyeliner running, kind of 'I am, I am—I won! I have hemorrhoid cream under my eyes and adhesive tape on my butt, and I had to scratch and claw and fuck my way up, but I won Miss Congeniality!" 출처: Lankford, Ronald (2009). Women Singer-Songwriters in Rock: A Populist Rebellion in the 1990s. Lanham, Maryland: Scarecrow Press.[3] 카페이기도 하지만 인디 락 밴드들에게 공연 무대를 제공한 업소이기도 했다. 1997년에 폐점.[4] 애틀란타에 위치한 스튜디오로 빌리 코건스매싱 펌킨스의 2집 앨범 Siamese Dream을 녹음한 곳이다. 홀이 해당 스튜디오를 사용한 것도 빌리 코건이 코트니 러브에게 이 스튜디오를 녹음 장소로 추천했기 때문이다. 빌리 코건이 Triclops Sound Studios에서 앨범을 녹음한 이유는 시카고와 멀리 떨어진 스튜디오를 사용하여 당시 헤로인에 중독되어 있던 밴드의 드러머 지미 체임벌린이 시카고의 마약 딜러들과 접촉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였다. 이 스튜디오는 스매싱 펌킨스의 라이브 앨범 Earphoria 앨범 아트에도 등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