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4 16:24:07

공항철도주식회사 2000호대 전동차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공항철도주식회사 2000호대 전동차/현황
,
,
,
,
,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
수도권 광역전철 전동차/현황 보기
(열차번호(코레일) · 열차번호(코레일 제외 노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차량번호 체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파일:공항철도 CI.svg 파일:네오트랜스 로고.svg 파일:김포골드라인SRS 로고.svg
파일:GreatTraineXpress.svg 파일:의정부경전철 로고.svg 파일:용인경량전철_Logo.png }}}}}}}}}
파일:Seoulmetro1_icon.svg 파일:Seoulmetro3_icon.svg 파일:Seoulmetro4_icon.svg
31x000호대
(상세 · 사건 사고)
1000호대
(상세)
3000호대 341000호대
(상세)
파일:GJLine_icon.svg 파일:SBLine_icon.svg 파일:GyeongchunLine_icon.svg
321000호대 331000호대 351000호대 361000호대
파일:GyeonggangLine_icon.svg 파일:SeohaeLine_icon.svg 파일:AREX_icon.svg
371000호대 391000호대 1000호대 2000호대
파일:SinbundangLine_icon.svg 파일:ULine_icon.svg 파일:EverLine_icon.svg 파일:GoldLine_icon.svg
D000호대 U100호대 Y100호대 1000호대
파일:GreatTraineXpress_A.svg
A000호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미개통 전철 전동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SinansanLine_icon.svg 파일:GreatTraineXpress_B.svg 파일:GreatTraineXpress_C.svg 파일:DILine_icon.svg
1000호대 차번 미정 차번 미정 차번 미정
}}}}}}}}} ||
다른 지역 전동차 보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형 표준 전동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표준
모델
도입형
광주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부산교통공사 3000호대 전동차
대전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표준
모델
개수형
인천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대구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
공항철도주식회사 2000호대 전동차
서울 지하철 9호선 9000호대 전동차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 3차분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11><tablebgcolor=#fff,#111> 공항철도주식회사 2000호대 전동차
AREX 2000 Series EMU
}}}
파일:AREX.jpg
차량 정보
<colcolor=#0090d2> 열차 형식 광역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구동방식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편성 6량 1편성
생산량 132량 (총 22편성)
운행 노선 파일:AREX_icon.svg 인천국제공항철도
도입시기 2005 ~ 2006년 (1차분)
2009 ~ 2010년 (2차분)
2017년 (3차분)
2024 ~ 2025년 (4차분)
2030년 (5차분)
미정 (9호선 직결분)
제작사 현대로템
소유기관 공항철도(주)
운영기관
차량기지 용유차량사업소(중정비)
차량번호 201 ~ 222
차량 제원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0090d2> 전장 19,500㎜
전폭 3,120㎜
전고 3,600㎜
궤간 1,435㎜
재질 알루미늄
사용전류 교류 25000V 60㎐
운전보안장치 Alstom Mastria 200 ATP/ATO[1]
제어 방식 현대로템 VVVF-IGBT(IPM)[M]
동력 장치 3상 교류 유도전동기
제동 방식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최고속도 영업 110km/h
설계 110㎞/h[1~3차분], 165㎞/h[4차분]
가속도 3.0㎞/h/s
감속도 3.5㎞/h/s
MT 비 3M 3T (Tc-M-M'-T-M'-Tc)(1~3차분)
4M 2T (Tc'-M-M-M-M-Tc')(4차분)
}}}}}}}}}
1. 개요2. 편성
2.1. 1~3차분2.2. 4차분
3. 차량 정보4. 내부 이미지5. 분류
5.1. 1차분 (2005~2006)5.2. 2차분 (2009~2010)5.3. 3차분 (2017)5.4. 4차분 (2024~2025 예정)5.5. 5차분 (2030 예정)5.6. 9호선 직결분 (미정)
6. 대중매체 등장

[clearfix]

1. 개요

공항철도주식회사 2000호대 전동차인천국제공항철도에서 운행하는 전동차이다. 모든 편성이 용유차량사업소에 배속되어 있다. 제작사는 현대로템이다. 1차 구간 개통에 대비해 201~209편성(9개 편성)을 도입했고, 2차 구간 개통에 대비해 210~220편성(11개 편성)을 추가로 도입했다. 그리고 3차 구간 개통에 대비해 221~222편성(2개 편성)을 도입했고, 추후 최고속도가 150km/h로 증속 예정이라 6량 9편성이 도입 예정이다.

2. 편성

  • 차량의 방향은 동서남북의 방위가 아니라 서울 쪽으로 들어오느냐 아니냐가 기준이다.
  • 일부 차량은 앞뒤가 바뀐 상태이다.[5]

2.1. 1~3차분

공항철도주식회사 2000호대 전동차 조성
(1~3차분)
<colcolor=#0090d2> ↑ 상행 (서울역 방면)
21## (1) Tc(축전지, 공기압축기, SIV)
22## (2) M(공기압축기, 주변환장치, 인버터)
23## (3)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인버터)
24## (4) T(공기압축기)
27## (5)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인버터)
28## (6) Tc(축전지, 공기압축기, SIV)
↓ 하행 (검암[검암]서울역↔검암 운행만 존재한다.]·인천공항2터미널 방면)

2.2. 4차분

공항철도주식회사 2000호대 전동차 조성
(4차분)
<colcolor=#0090d2> ↑ 상행 (서울역 방면)
21## (1) TC1'(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축전지, 공기압축기, SIV)
22## (2) M1(주변환장치, 인버터)
23## (3) M2(주변환장치, 인버터)
24## (4) M2A(주변환장치, 인버터)
27## (5) M1A(주변환장치, 인버터)
28## (6) TC2'(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축전지, 공기압축기, SIV)
↓ 하행 (검암[검암]·인천공항2터미널 방면)

3. 차량 정보

  • 같은 노선에서 운영되는 직통열차와는 달리 통근형 전동차라서 도시철도와 같은 방식으로 운행된다. 좌석도 일반 도시철도에 쓰이는 롱시트이다.
  • 한국형 표준 전동차의 사양을 따라 제작됐지만 차폭과 길이가 길어지고 4량에서 6량으로 늘어나는 등 일부 규격에서 차이가 있다.
  • 모든 201~222편성에 수하물 임시보관대가 설치되어 있다. 임시보관대는 당초 2~3차분인 210~222편성에만 설치됐으나 현재 1차분에도 추가 설치됐다.
  • 임산부 배려석에는 공항철도의 마스코트 중 하나인 나르 인형이 묶여 있었다.[8] 임산부가 아닌 사람이 앉아있는 타 노선과 달리 임산부 배려석을 비워놓는 데에 많은 도움이 되고 있었다. 하지만 현재는 청결 문제로 인해 제거했다.
  • 초기부터 지금까지 양 끝단만 파랗고 나머지는 은색, 흰 줄 3선이 그어져있는 도색을 사용 중인데, 이는 공항철도주식회사 CI를 응용한 도색이다.
  • 현재 모든 차량의 전조등이 LED로 교체됐고, 객실 내 CCTV가 설치됐으며, 공기질 개선장치도 설치됐다.

4. 내부 이미지

파일:AREX_일반객차내부.png
행선기 교체 전
파일:공철1차분실내.jpg
행선기 교체 후

5. 분류

도입 연식에 따라 4차로 분류된다.
  • IPM이 적용된 IGBT는 녹색 배경이다.
<rowcolor=#ffffff> 분류 제어방식 도입
<colcolor=#ffffff><colbgcolor=#0090D2> 1차분 VVVF
IGBT
현대로템
2005~2006년 (9편성)
2차분 2009~2010년 (11편성)
3차분 2017년 (2편성)
4차분 2024~2025년 (9편성)

5.1. 1차분 (2005~2006)

파일:20222222.jpg
<rowcolor=white> 203편성

인천국제공항철도 김포공항역 ~ 인천국제공항역(現 인천공항1터미널역) 구간 개통을 위해 도입된 차량이다.
파일:공항철도 패찰절도 철싸대.jpg
2005년에 도입된 201~209편성에 주식회사 로템이 아닌 현대로템이 써 있는 패찰이 붙어 있는데 누군가가 열차 내부에 있는 모든 로템 패찰을 전부 뜯어가서 새로 붙인 것이다.[10]

현재 전 편성 내부의 LED 행선기가 LCD로 교체됐다.[a] 공항철도는 역간거리가 길기 때문에 역간 이동 시간을 표시한다. 기존 LED를 LCD로 교체한 것으로, 3차분 LCD와 다르게 가로로 길다.

도입한 지 20년을 코앞으로 바라보는 열차인데도 상태가 좋고 외관과 내부도 깔끔한 편이다.

5.2. 2차분 (2009~2010)

파일:20240821_180617.jpg
<rowcolor=white> 215편성

인천국제공항철도 김포공항역 ~ 서울역 구간 연장에 대비하여 도입됐다.
  • 211~212편성의 21##, 23##, 27## 칸에는 221~222편성처럼 좌우 2열에 추가로 손잡이를 부착했다.[13]
  • 현재 전 편성 내부의 LED 행선기가 LCD로 교체됐다.[a] 공항철도는 역간거리가 길기 때문에 역간 이동 시간을 표시한다. 기존 LED를 LCD로 교체한 것으로, 3차분 LCD와 다르게 가로로 길다.
  • 전두부 타원형 A'REX 로고 바로 아래에 영문(Airport Expreess)이 추가되었다.
  • 이 차량부터는 인천역에서 바지선을 이용해 반입하지 않고 수색연결선을 이용하여 반입하기 시작했다.
이 차량들에 대한 호평이 상당히 많다. 2024년 기준으로 운행을 시작한지 15년가량 된 차량임에도 불구하고 잔고장도 없고 관리 상태도 매우 뛰어나 아직도 신차같다는 것이 대다수의 의견이다.[15]

5.3. 3차분 (2017)

파일:1601881900636.jpg
<rowcolor=white> 222편성

인천국제공항철도 인천공항1터미널역 ~ 인천공항2터미널역 구간 연장에 대비하여 도입됐다.
  • 객실 출입문 상단 노선도가 컬러모니터이고 객실 통로 상단에 제작사인 현대로템의 신형 패찰이 부착됐다. 또한, 손잡이 봉이 중앙 1열이었던 이전 도입분과 다르게 좌우 2열로 개선됐다. 또한, 이전 도입분과 다르게 내부 및 안내방송도 변경됐으며 내부 편성표 역시 기존에 쓰이던 공항철도의 편성표와 색상부터 다르다.[17]
  • 도입 당시부터 LCD 안내기가 설치되어 있다.
  • 외관상으로 기존 1~2차분과 큰 차이가 없으나 현직들 사이에선 평이 좋지 않다. 인천공항의 지분이 크다보니 차량 구입 당시 예산 절감을 하여 운전실 제어대에 자동 안내방송을 선택할 수 있는 장치가 없고 운전실에서 객실 내 cctv를 볼 수가 없어 종착역 도착 시 객실 내 잔류승객 여부를 확인할 수 없고, 온도 조절이나 냉난방 민원이 들어올 시 처리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수동운전 시 제동이 상당히 밀려 기존 차와 달리 제동을 쎄게 잡아야한다.
<rowcolor=white> 편성 갑종회송일자 운행개시일 출발지 도착지
<colcolor=#0090d2> 221 2017년 5월 30일 2017년 7월~11월 진해선 신창원역 수색[18]
222 2017년 7월 7일 2017년 11월

5.4. 4차분 (2024~2025 예정)

파일:공철목업.jpg
목업
파일:공철 새삥차 내부.jpg
목업내부
공항철도 공식 영상

인천국제공항철도 차내 혼잡도 증가를 대비하기 위한 순수 증차분이다.[20]

2022년 9월 28일부터 10월 10일까지 150㎞/h 증속 사양의 혼잡도 완화를 위한 추가 도입분 전동차의 디자인 투표를 실시하였다.[21] 3안 공통으로 통근형 전동차보다 KTX-이음에 가까운 유선형 전두부 디자인이 특징이다. 스프링 손잡이도 공통적으로 들어가 있다.[22] 그리고 주요 제작사양이 공개됐는데, 이는 전두부 형상 및 운전실 길이는 공항철도와 협의 및 승인을 거치기로 되어 있다. MT비의 경우, 3M3T에서 4M2T로 변경된다(중간차 전량 동력차 구조).[23] 단 해당 차량의 경우 공항철도 증속 사업이 완료될 때까지는 기존과 동일하게 최고속도 110km/h로 영업 운행할 예정이다. 또한 일반석이 6석으로 줄어들었으나 좌석 폭이 넓어졌다. 노약자석 창문이 상부개폐식에서 통유리로 변경됐으며 운전실 전용 에어컨도 추가됐다. 팬터그래프 방식은 KTX-이음에서 쓰는 싱글암 팬터그래프 방식으로 제작될 예정이고 일반열차임에도 출입문이 직통열차처럼 플러그인 방식으로 바뀐다.

2022년 11월 1일에 디자인 외내부 모두 2안으로 확정됐다.[24]

2023년 5월 25일부터 29일까지 해당 증차분 차량의 목업이 검암역에 전시됐다.[25] 목업에서는 왼쪽 손잡이와 오른쪽 손잡이의 디자인이 달랐는데, 이는 디자인 선호도 조사를 위해 서로 다른 디자인을 적용해 놓은 것이다. 이는 다른 것들도 마찬가지였다. 실차에서는 디자인이 하나로 통일된다. 확인 결과 삼각형 손잡이로 결정되었다.

플러그인 도어, 싱글암 팬터그래프, 코니컬 고무스프링 대차가 아닌 요댐퍼가 달린 링크암 대차[26]를 사용했다는 점에서 해당 차량이 AUTS의 양산형으로 추정된다는 주장도 존재한다.[27]
#초도편성 제작중

반입에 대한 갑종회송은 2024년 하반기에 할 확률이 높다.
<rowcolor=white> 편성 갑종회송일자 운행개시일 출발지 경유지 도착지
<colcolor=#0090d2> 223 2024년 11월 28일 예정 도입 예정 진해선
신창원역
경전선
진례역
충북선
오송역
224 2024~2025년 예정 수색직결선
수색역
용유차량기지선
용유차량사업소
225
226
227
228
229
230
231

5.5. 5차분 (2030 예정)

공항철도의 150km/h 증속 사업의 마무리를 위하여 기존 110km/h급 전동차의 대차를 위해 도입될 열차이다. # 아직 도입 계획과 제작사 모두 미정이지만 기존 4차분의 사양을 그대로 따라갈 가능성이 높다.

이 차량이 도입되면, 기존에 운행하던 전동차들 중 2017년에 반입된 3차분은 도입 13년만에 조기 퇴역하게 된다.
<rowcolor=#ffffff> 편성 갑종회송일자 운행개시일 출발지 경유지 도착지
201 미정 미정 - - -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5.6. 9호선 직결분 (미정)


서울 지하철 9호선과의 직결 운행을 대비해 도입 예정이며, 총 9개 편성[28]이 직교류 겸용으로 도입될 예정이다. 발주시기는 아직 연구용역 단계라 미정이다.

당초 2019년에 발표된 계획에 의하면 직교류 겸용으로 제작되는 것 외에는 9호선 소속 4편성, 공항철도 소속 4편성이 도입될 예정이었고, 공항철도 소속 차량 역시 9호선 소속 차량과 동일한 디자인 및 사양으로 도입한 뒤 9호선 측에 관리를 위탁할 계획이 있었다.[29][30] 또한 공항철도 구간에서는 일반열차로, 9호선 구간에서는 급행으로만 운행하게 된다. 교류/직류 절환장치(ADS)의 경우 절연구간 통과시 자동으로 절환되는 방식을 사용할 예정이다.[31]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49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49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6. 대중매체 등장

  • 영화 의 마지막 장면에서 등장했다.
  • KB국민은행 광고에 등장한 적 있으며 국민은행 도색을 입혀서 출연했다. 이는 위에서 알 수 있듯 공항철도의 지분을 국민은행이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1] Distance to Go 방식[M] IPM 2레벨 / 1C4M 제어, 미쓰비시 소자 기반이다.[1~3차분] [4차분] [5] 직통열차와 다르게 통근형 전동차에 해당해서, 고정편성이 아니어도 영업운전에 큰 문제는 없다.[검암] 검암역에서 종착하는 계통은[검암] [8] 해당 이미지, 출처: 네이버[M] [10] 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철도(지하철) 갤러리[a] 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모노레일 마이너 갤러리[M] [13] 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모노레일 마이너 갤러리[a] [15] 이는 비슷하거나 조금 이른 시기 도입된 9호선 1차분과 2호선 2차분, 3호선 1차분도 해당된다.[M] [17] 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철도(지하철) 갤러리[18] 수색역인지 수색차량사업소인지 확인불가[M] [20] 「공항철도 차내 혼잡도 완화 위해 2025년까지 54량 추가 투입」, 브릿지경제, 2022-01-07[21] 공항철도, 신규차량 디자인 선호도 조사, 2022년.[22] 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모노레일 마이너 갤러리[23] 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모노레일 마이너 갤러리[24] 「"이것은 비행기인가, 열차인가?"」, 철도경제, 2022-11-02[25] 「베일 벗은 공항철도 신규 전동차…2025년 본격 투입」, 연합뉴스, 2023-05-25[26] 목업의 그림에는 기존 전동차 대차들과는 확연히 다른 대차가 그려져 있었다.[27] 사실 위 조건들은 GTX-A 차량도 충족하는 조건이지만, GTX-A 차량은 내장재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기술 기반이 통근형 전동차AUTS 보다는 간선형 전동차에 가까운 물건이다.[28] 「9호선-공항철도 직결사업, 개통까지 첩첩산중」, 중부일보, 2024-05-20[29] 실제로 공항철도 직결을 대비해 김포차량사업소의 일부 검수선은 교류전원 급전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30] 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철도(지하철) 갤러리[31] 출처 : 조달청 입찰공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