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26 21:17:24

광주광역시 시내버스/2006년 개편 전 목록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이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ef4123><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파일:광주광역시 휘장_White.svg
광주광역시
}}}
[[틀:광주광역시의 급행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c0000; font-size: 16px"
전체 노선 목록 ⠀·⠀ 2006년 대개편 전 목록

1. 개요2. 일반버스
2.1. 1 (월남동-첨단)2.2. 1-1 (비엔날레-내남) → 111 (도청-내남)2.3. 2 (장등동-봉선동)2.4. 3 (장등동-노대)2.5. 3-1 (장등동-덕남저수지)2.6. 3-2 (장등동-전남학숙) → 80 (비엔날레정문-전남학숙)2.7. 5 (도산동-봉선동)2.8. 6 (살레시오고-도산동)2.9. 7 (매월동-용전)2.10. 8 (장등동-도동)2.11. 8-1 (장등동-이동)2.12. 9 (살레시오고-덕흥동)2.13. 10 (대치-대인광장)2.14. 11 (월남동-신가부영아파트)2.15. 12 (월남동-살레시오고)2.16. 13 (양동교-칠석)2.17. 14 (대인광장-승촌)2.18. 15 (증심사-원광대한방병원)2.19. 16 (비아-양유교)2.20. 17 (상무지구-화순역)2.21. 18 (신창동-원효사) → 1187 (도청역-원효사)2.22. 19 (살레시오고-지산유원지)2.23. 20 (서광주역-장등동)2.24. 21 (송산유원지-지산유원지)2.25. 22 (월남동-매월동)2.26. 23 (도산동-첨단)2.27. 24 (장등동-임정)2.28. 25 (첨단-청옥동)2.29. 25-1 (등촌-대인시장) → 251 (등촌-석곡동사무소)2.30. 25-2(매월동-태령) → 518 (매월동-영락공원입구)2.31. 26 (양유교-송강정)2.32. 27 (증심사-전남공무원교육원)2.33. 28 (동림삼익아파트-동림삼익아파트)2.34. 29 (첨단-남부경찰서)2.35. 30 (매월동-도산동)2.36. 31 (장성와산-첨단)2.37. 32 (광천동-오룡)2.38. 33 (양유교-구소동)2.39. 34 (살레시오고-매월동)2.40. 35 (월남동-첨단)2.41. 36 (매월동-소촌라인아파트)2.42. 37 (매월동-전남공무원교육원)2.43. 38 (매월동-장등동)2.44. 39 (염주사거리-첨단)2.45. 50 (송산유원지-신가부영아파트)2.46. 51 (살레시오고-매월동)2.47. 52 (증심사-각화동)2.48. 53 (도산동-장등동)2.49. 55 (장등동-각화동)2.50. 60 (장등동-송산유원지)2.51. 88 (광천동-첨단)2.52. 90 (도산동-와산)2.53. 91 (금호지구-구소)2.54. 101 (장성마산-경신여고)2.55. 102 (담양수북-담양수북)2.56. 103 (담양대덕-서방시장)2.57. 105 (광주공항-도덕동)2.58. 106 (용봉-송학)2.59. 107 (봉선동-도래)2.60. 108 (도래-대인광장)2.61. 109 (용봉마을-양동시장)2.62. 109-1 (도산동-지산유원지)2.63. 113 (임곡-도산동)2.64. 114 (살레시오고-산정)2.65. 115 (광천동-임곡)2.66. 118 (상무지구-능주)2.67. 120 (평동산단-첨단)2.68. 121 (도산동-동림(마을))2.69. 122 (신가부영아파트-비아농협)2.70. 123 (도산동-장성대곡/월곡)2.71. 125 (장등동-담양연천)2.72. 126 (화순주도리-도청)2.73. 333 (장등동-원광대한방병원)2.74. 385 (매월동-신창호반베르디움)2.75. 387 (매월동-첨단)2.76. 555 (증심사-나주터미널)2.77. 583 (도산동-서광주역)2.78. 666 (상무지구-용전)2.79. 745 (연제현대아파트-연제현대아파트)2.80. 771 (첨단-증심사)2.81. 777 (송산유원지-지산유원지)2.82. 999 (광주공항-도청)2.83. 1001 (송산유원지-증심사)2.84. 2002 (장등동-상무지구)
3. 좌석버스4. 마을버스


1. 개요

이 문서는 2006년 12월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노선 전면 개편 전 노선을 수록한 문서이다.
(노선, 지명 등은 폐선 직전을 기준.)
대개편 당시 노선명이 전면적으로 변경되었으나, 전체적인 운행노선 자체는 비슷한 노선도 있다.
자료는 2002년 노선 자료, 2004년 노선 개편 자료를 토대로 이 문서를 작성하였으나, 중간중간 노선이 바뀐경우는 일부 반영하였다.

참고 : 첨단 종점은 원래 라인7차와 라인8차 사이, 현재의 임방울대로 상에 있었으며(현재의 응암공원 정류장 인근) 당시 첨단지구입구교차로 부터 급격하게 차로가 왕복 2차선으로 줄어들어 광산IC 옆으로 나오는 도로였다. 물론 지금도 이 도로 일부는 존재한다. 구 첨단 종점은 이 급격하게 차로가 줄어드는 구간 한켠에 있었다. 2006년 북구 월출동에 첨단공영차고지가 생겨 구 첨단 종점은 사라졌고, 수완지구가 개발되면서 현재는 흔적을 찾아볼 수 없다. 도청 종점(회차지), 정류장은 현재의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문화전당역이다. 전남도청이 남악으로 이전하기 전까지는 지하철역도 도청역으로 불렸다.

2. 일반버스

2.1. 1 (월남동-첨단)

운행 노선 : 월남동 - 전남대병원 - 도청 - 무등경기장 - 운암3단지 - 첨단

약 20km의 거리를 65분 동안 운행하였으며, 일 30대의 버스로 오전 5:30부터 오후 23:55까지 199.5회 5~6분 간격으로 운행하였다.
1954년 전남방직 학동공장(현 삼익세라믹)과 임동공장을 잇는 노선으로 출발한 버스. 노선명에서 볼 수 있다시피 광주시내버스에서 가장 오래된 노선이었다. 본래 지원동 차고지에서 출발하였으나 월남동 차고지가 완공되자 옮겨 갔으며, 종점도 임동에서 동운동(현 운암1동), 광주보건대, 첨단 차고지 순으로 연장되었다. 2004년 이전에는 임동오거리-광주역-무등경기장-운암동 순으로 다녔으나 2004년 개편 때 임동을 관통하는 것으로 직선화되었다. 말년에는 신창지구를 경유시켰다. 대개편 당시 폐선되었으나 사라진 1번을 되살려달라는 민원에 운림51번 노선이 구 1번 노선과 비슷하게 부활하였다. 90년대에서 2000년대 사이에는 1번과 비슷한 좌석 111이 있었으나 없어졌다.

2.2. 1-1 (비엔날레-내남) → 111 (도청-내남)

운행 노선 : (비엔날레 - 무등경기장 - 요한병원 - 광주역) - 도청 - 용연 - 내남

약 15.6km의 거리를 65분 동안 운행하였으며, 일 2대의 버스로 오전 6:00부터 오후 22:10까지 13회 80분 간격으로 운행하였다.
1번의 가지노선이었으며, 중형버스로 운행되었다.

2004년 1번의 가지노선인 1-1번(용연행), 1-2번(내남행)을 합병하여 번호를 111번으로 바꾸었으며, 2006년에 지원52번으로 바뀌고 노선 길이가 늘어났다.

2.3. 2 (장등동-봉선동)

운행 노선 : 장등동 - 서방시장 - 예술의거리입구 - 전대병원오거리 - 기독병원 - 봉선동

약 18.8km의 거리를 74분 동안 운행하였으며, 일 11대의 버스로 오전 6:00부터 오후 22:30까지 73회 16~47분 간격으로 운행하였다.
중형버스로 운행되었다.
2004년 이전에는 전대사거리 - 광주역 - 산장입구사거리 구간을 지나가고 남부경찰서가 종점이었는데, 2004년 봉선동으로 종점을 옮겼다.
현재의 금남55번이 2004년 개편 전의 2번과 유사하다.

2.4. 3 (장등동-노대)

운행 노선 : 장등동 - 동진맨션 - 조선대 - 롯데백화점 - 월산사거리 - 광주대 - 노대(덕남지선 존재)

약 17.8km의 거리를 71분 동안 운행하였으며, 일 15대의 버스로 오전 6:00부터 오후 22:30까지 86회 11분 간격으로 운행하였다.
중형버스로 운행되었다. 간혹 구형 대형차가 들어가기도 했다.
2004년 이후에는 덕남으로 가던 가지노선 3-1번을 흡수하고 덕남지선이 생겼다.

2.5. 3-1 (장등동-덕남저수지)

운행 노선 : 장등동 - 광주고 - 과학관 - 대인시장 - 광주일고 - 백운광장 - 광주대 - 덕남

3번 덕남지선. 2004년 3번에 흡수되어 덕남지선 형식으로 남게 된다.

2.6. 3-2 (장등동-전남학숙) → 80 (비엔날레정문-전남학숙)

운행 노선 : 비엔날레정문 - 전남대후문 - 교육대 - 조선대 - 전남대병원오거리 - 기독병원 - 대성여고 - 광주대 - 칠구재 - 전남학숙

중형버스로 운행되었다. 전남학숙 통학버스였던 3-2번(장등동-전남학숙)으로 운행되었으나 80번으로 변경된 것이다. 이후 2006년 대개편 때 번호가 진월177번으로 바뀌고, 백운광장까지 단축되었으나 이후 양동시장역까지 연장되었다. 또한 2013년 부터는 도곡온천까지 연장되었다.

2.7. 5 (도산동-봉선동)

운행 노선 : 도산동 - 서구청 - 전남대병원 - 방림3거리 - 봉선동

약 19.3km의 거리를 67분 동안 운행하였으며, 일 31대의 버스로 오전 5:30부터 오후 22:53까지 197회 5~6분 간격으로 운행하였다. 광송간도로의 패자였던 버스.

2.8. 6 (살레시오고-도산동)

운행 노선 : 살레시오고 - 전남대후문 - 구호전 - 충파 - 양동시장 - 도산동

약 24.3km의 거리를 80분 동안 운행하였으며, 일 28대의 버스로 오전 5:30부터 오후 22:40까지 154회 6~7분 간격으로 운행하였다.

2.9. 7 (매월동-용전)

운행 노선 : 매월동 - CBS방송국 - 김대중컨벤션센터 - 광천터미널 - 광주역 - 용봉국민주택 - 용전(태령)

약 30~33.4km의 거리를 105분 동안 운행하였으며, 일 14대의 버스로 오전 5:30부터 오후 22:15까지 56회 20~23분 간격으로 운행하였다.
중형버스로 운행되었다.
2004년 이전까지는 원광대한방병원까지 운행하였으나, 2004년 매월동 종점이 생기고 나서 매월동까지 단축되었다.

2.10. 8 (장등동-도동)

운행 노선 : 장등동 - 오치한전 - 중흥삼거리 - 임동오거리 - 충파 - 백운광장 - 도동

약 21.7km의 거리를 77~81분 동안운행하였으며, 일 16대의 버스로 오전 6:00부터 오후 22:30까지 84회 11~13분 간격으로 운행하였다.
중앙로 충파 쪽에서 금남로5가역 쪽으로 좌회전이 불가능 하여 도청을 경유했었다. 이는 구 385도 마찬가지. 8번 노선 당시에는 중형버스로 운행되었으며, 2006년 개편 후 진월07번노선과 진월79번 노선이 물려받았다. 다만, 진월07번은 기점이 송암공단으로, 종점이 살레시오고로 변경되었으며, 진월79번은 도동 정류소가 기점이긴 하지만 양동시장이 종점이다. 물론, 진월79번은 2006년 개편 당시 광주역이 종점이었으나, 2011년 개편으로 인해 양동시장으로 단축된 것이다.

2.11. 8-1 (장등동-이동)

운행 노선 : 장등마을 - 장등동종점 - 서방시장 - 구시청(419기념관) - 대인광장 - 광주일고 - 까치고개 - 이동

8번의 가지 노선. 중형버스로 운행되었으며, 2004년 폐선되었다.

2.12. 9 (살레시오고-덕흥동)

운행 노선 : 살레시오고 - 전대후문 - 광주역 - 동진맨션 - 조선대 - 도청 - 발산 - 덕흥동

약 19.3km의 거리를 67분 동안 운행하였으며, 일 16대의 버스로 오전 5:30부터 오후 22:53까지 90여회 10~13분 간격으로 운행하였다.
증형버스로 운행되었다.

2.13. 10 (대치-대인광장)

운행 노선 : 대인광장 - 서방시장 - 동부교육청 - 전남대후문 - 대치

중형버스로 운행되었다. 원래 신창동을 출발해 광주역을 경유하는 노선이었으나, 1997년 개편 때 대인광장으로 단축되었다. 2006년 대개편 때 번호만 용전184번으로 바뀌었으며, 대인시장에서 광주역과 전남대를 순환해서 빠져나갔다. 그러나 이마저도 2011년 개편 때 대인시장 - 금남로4가역 - 금남로5가역 - 동부소방서만 순환하도록 바뀌었다.

2.14. 11 (월남동-신가부영아파트)

운행 노선 : 월남동 - 천변로 - 충파 - 동신대한방병원 - 서강정보대 - 신가부영아파트( - 비아)
중형버스로 운행되었다. 2004년 종점이 비아에서 신가부영아파트로 단축되었다.

2.15. 12 (월남동-살레시오고)

운행 노선 : 월남동 - 전남대병원 - 산수오거리 - 문화초교 - 문흥라인아파트 - 삼각호반아파트 - 살레시오고

약 22km의 거리를 80분 동안 운행하였으며, 일 14대의 버스로 오전 5:30부터 오후 22:40까지 75.5회 13~15분 간격으로 운행하였다.
처음에는 문화동종점까지 운행했다가, 문흥지구-일곡지구 개발 당시 살레시오고까지 가는 것으로 연장되었다. 당시에는 대형버스가 투입되었으며, 배차도 준수한편이었다. 그러나 2006년 대개편 때 지선노선으로 전환 및 중형버스가 투입되었으며, 용전-장등동으로 기종점이 연장, 단축되며 용전86번이 되었다. 이후 효령노인복지타운까지 연장되었다. 예전에 비하면 배차가 많이 늘어났다.

2.16. 13 (양동교-칠석)

운행 노선 : (비엔날레 - 신안교 - 광주역 - )양동교 - 광천터미널 - 서창동사무소 - 칠석

중형버스로 운행되었다. 2004년 기점이 비엔날레에서 양동교로 단축되었고, 2006년 대촌69번으로 변경되었다.

2.17. 14 (대인광장-승촌)

운행 노선 : (살레시오고 - 일동초교 - 전대사대부중 - 말바우시장 - )대인시장 - 충파 - 백운광장 - 포충사 - 승촌

약 32.3km의 거리를 90분 동안 운행하였으며, 일 5대의 버스로 오전 6:00부터 오후 22:00까지 23.5회 35~40분 간격으로 운행하였다.
2004년 개편 때 대형노선에서 중형노선으로 강등되었고 살레시오고 - 대인광장 구간이 단축되어 순환노선이 되었으며, 2006년부터 대촌70번으로 바뀌었다.

2.18. 15 (증심사-원광대한방병원)

운행 노선 : 증심사 - 도청 - 닭전머리 - 백운광장 - 동성고 - 원광대한방병원

초창기(7~80년대)에는 그와 비슷한 15-1(증심사-노대)가 같이 있었으나 이를 흡수(당시에는 증심사-송암공단). 04년 이전에는 광주대교를 건너 구동체육관 앞을 지나가기도 했다. 이후 풍암지구, 매월동으로 연장되었다가 개편 당시 원광대한방병원으로 또 연장되었다. 2006년 개편 당시 지원53번이 일부 구간을 계승하였으나 지원52번으로 통합되었다.

2.19. 16 (비아-양유교)

운행 노선 : 첨단지구 - 비아 - 용산교 - 건국동사무소 - 문화예술회관 - 무등경기장 - 광천파출소 - 양유교( - 염주체육관 - 매월동)

용전, 월출동을 지났으며, 첨단단지 개발 전에 101번, 114번과 더불어 쌍암동, 월계동 지역을 운행했었다. 2004년 이전까지는 현재 매월26번의 광천파출소-매월동 루트와 비슷하게 매월동까지 운행하였으나, 2004년 개편때 양동시장까지만 가는 노선으로 단축되었으며, 2006년 대개편 때는 첨단을 기종점으로 하여 양산동을 한바퀴 돌고 나오는 노선이 되었다. 이후 첨단 - 송암공단 노선으로 바뀌었으며, 2014년 개편부터는 시립제2요양병원까지 가게 되었다. 용전~문화전당역 구간은 구 19번과 같아졌으며, 전대병원 - 동성고 구간은 구 38번과 같아졌다. 사실상 구 19번과 구 38번이 다시 살아났다고도 볼 수 있다.

2.20. 17 (상무지구-화순역)

운행 노선 : 상무지구 - 광천터미널 - 무등경기장 - 광주역 - 광주고 - 도청 - 화순역

1971년부터 운행을 시작한 광주발 화순행 버스 트리오(17,117,118)의 원조격 노선. 2006년 개편 때 지원150번이 되어 시내구간이 전대병원까지 단축되었으나, 2007년 전남여고까지 연장되었고(구 17번의 시내구간은 대신 지원151번이 가져간다.) 2017년 지원152번과 통합된다.

2.21. 18 (신창동-원효사) → 1187 (도청역-원효사)

운행 노선 : (신창동 - 운암3단지 - 신안동사무소 - 광주역 - )도청역 - 전남여고 - 농장다리 - 산수오거리 - 전망대 - 4수원지 - 충장사 - 원효사

오전 6:30부터 오후 22:00까지 운행하였다.
원래 18번은 신창동에서 출발하는 노선이었으며, 777번도 원효사까지 갔기 때문에 배차간격이 40~50분 정도로 길었다. 그러나 IMF 이후 좌석버스 노선이 폐선되거나 일반으로 전환될때 777번도 대상이 되어 지산유원지까지 단축되고, 이 때 18번도 도청역까지만 운행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 노선이 이때 1187번으로 바뀐 것이다. 2006년 대개편 때도 노선명이 바뀌지 않았지만, 광주역까지 연장되었으며 이후 광천동, 덕흥동까지 연장되었다. 참고로 777번이 원효사를 더이상 가지 않는 시점부터 현재까지 유일하게 원효사까지 가는 노선이다.

2.22. 19 (살레시오고-지산유원지)

운행 노선 : 살레시오고 - 용전 - 건국동 - 무등경기장 - 도청 - 산수오거리 - 지산유원지

약 20.8km의 거리를 60분 동안 운행하였으며, 일 14대의 버스로 오전 5:30부터 오후 23:00까지 100.5회 10~12분 간격으로 운행하였다.
777번과 더불어 지산유원지에 들어갔던 노선이었으며, 첨단95번의 용전-문화전당역 구간이 구 19번을 이어받고 있다고 볼 수 있다.

2.23. 20 (서광주역-장등동)

운행 노선 : 서광주역 - 서구문화센터 - 쌍촌시영아파트 - 화정중흥파크 - 양동시장 - 도청 - 두암지구 - 장등동

약 19.8km의 거리를 81분 동안 운행하였으며, 일 31대의 버스로 오전 5:30부터 오후 22:39까지 166회 6분 간격으로 운행하였다.
현재 금호36번 노선과 매우 비슷하다. 광주 시내버스에서 수요가 많은 노선 중 하나였으며, 거의 비슷한(화정중흥파크 대신 광천터미널 경유) 경로로 운행하는 888번 좌석버스가 1999년까지 운행한 적도 있었다. 두암지구가 개발되고 문화동, 장등동으로 노선이 연장되었으며, 금호지구 역시 개발되고 서광주역이 생기며 현재의 노선과 비슷하게 되었다. 다만 20번 시절에는 만호마을과 유스퀘어를 경유하지 않았고, 터미널은 앞서 말한 좌석버스 888번이 경유했다. 그렇게 2006년 대개편때 지하철과 중복된다는 이유로 폐선되었다가, 기존 승객들의 엄청난 반발로 다시 생겨난 노선이다. 특히 20번이 폐선되었을 때 두암지구에서 금남로, 양동시장으로 가는 노선이 없는 점이 큰 이유가 되었다.

2.24. 21 (송산유원지-지산유원지)

운행 노선 : 송산유원지 - 영광통 - 상무역 - 쌍촌시영아파트 - 터미널 - 무등경기장후문 - 임동사무소 - 광주역 - 광주고 - 서남동사무소 - 산수오거리 - 지산유원지

2004년 폐선. 중형버스 위주로 운행했으며 상무대로 대신 하남대로를 통해 가던 777번이 이 노선의 좌석버스 버전이었다. 드라마 오월의 청춘에도 나왔다.[1]

2.25. 22 (월남동-매월동)

운행 노선 : 월남동 - 도청 - 신우아파트 - 화정역 - 월드컵경기장 - 매월동
지원45번이 일부 구간 계승하고 있다.

2.26. 23 (도산동-첨단)

운행 노선 : 도산동 - 상무지구 - 광주종합버스터미널 - 무등경기장 - 산동교 - 비아 - 첨단

오전 6:00부터 오후 22:30까지 운행하였다.
2004년 전까지는 서구청 - 충파 - 증심사 구간으로 운행되던것을, 광주종합버스터미널 - 송정리로 변경하였다. 현재에는 매월16번 노선이 비슷하게 이어가고 있으며, 비아 구간을 없애고 바로 첨단으로 들어가고 있으며 송정리 구간도 없애고 금호지구를 경유하여 매월동까지 운행하고 있다.

2.27. 24 (장등동-임정)

운행 노선 : 장등동 - 무등도서관 - 대인광장 - 서부경찰서 - 상공회의소 - 백운광장 - 임정(이동지선 존재)

2004년 전까지는 장등동 - 구시청 - 대인광장 - 서구청 - 터미널 - 화정주공 - 송암공단으로 운행되었는데, 2004년 종점을 임정까지 연장하고 8-1의 폐선으로 버스가 들어가지 않게 된 이동까지 다니는 지선을 따로 운행하기도 했다.

2.28. 25 (첨단-청옥동)

운행 노선 : 첨단 - 산동교 - 무등경기장 - 상공회의소 - 백운광장 - 충파 - 청옥동

2006년 대개편 때 풍암06번이 이 노선과 비슷한 경로(장등동 - 충파 - 신우아파트)로 지나긴 했으나, 이 노선의 존재의의였던 신창동 - 운암동 - 월산4,5동 - 백운동 구간은 2007년 지원152번의 진흥고 연장으로 이루어졌고, 2011년 152번의 시내구간이 수완12번으로 분리되어 지금에 이른다.

2.29. 25-1 (등촌-대인시장) → 251 (등촌-석곡동사무소)

운행 노선 : 등촌 - 신촌 - 석곡동사무소( - 장등동 - 대인시장)

25번의 가지 노선 중 하나. 원래는 대인시장을 넘어 쌍촌동까지 25-2번을 따라 운행하던 노선이었으나 대인시장까지 단축되었고, 2004년 장등동까지 단축되다가 1년 후에는 등촌 - 신촌 - 석곡동사무소라는 10분짜리 미니노선이 되었다. 2006년 석곡87로 바뀌면서 2004년 개편 직전의 25-1번과 비슷하게 부활했다.

2.30. 25-2(매월동-태령) → 518 (매월동-영락공원입구)

운행 노선 : 매월동 - 서구문화센터 - 상무중 - 무등시장 - 충파 - 무등도서관 - 공원묘지 - 영락공원입구

오전 6:00부터 오후 22:10까지 운행하였다.
원래 쌍촌동-태령동 간을 운행하던 25-2번이었다. 금호지구가 생긴 후 연장되고 이후 매월동까지 연장되었으며, 2004년에 518번으로 변경되었으며 2006년 대개편 당시 노선명이 그대로 살아남았고 종점이 상무지구로 바뀌어 518과 관련된 지역을 운행하는 노선이 되었다.

2.31. 26 (양유교-송강정)

운행 노선 : (장등동 - 충파 - )양유교 - 발산교 - 문예회관 - 건국동사무소 - 송강정

아주 예전에는 장등동 - 충파 - 발산 - 송강정으로 운행하는 근성노선이었으나, 2002-3년을 전후로 충파 - 장등동 노선이 잘려나갔고, 2004년에는 양동시장까지 또 한번 단축되었다. 그리고 2006년에는 번호만 용전84로 변경.

2.32. 27 (증심사-전남공무원교육원)

운행 노선 : 증심사 - 전남대병원 - 전남여고 - 동강대 - 무등도서관 - 오치한전 - 전남공무원교육원

약 12.5km의 거리를 49분 동안 운행하였으며, 일 24대의 버스로 오전 5:30부터 오후 23:00까지 202회 5~6분 간격으로 운행하였다.
지금의 운림54번 그대로다. 2006년 대개편 때 번호만 지원54로 바뀌었으며, 2011년에 권역번호만 운림으로 바뀌어 운림54로 계속 이어지고 있다. 27번 당시에는 똥차집합소였는데 개편이 이루어지면서 번호 변경, 지선 - 간선 전환, 저상버스 투입이 이루어 지며 현재는 차급이 괜찮은 편이다. 2006년 대개편 때도 간선급 노선 중 유일하게 노선 변화 없이 그대로 살아남았다.

2.33. 28 (동림삼익아파트-동림삼익아파트)

운행 노선 : 동림삼익아파트 - 운암3단지 - 전남대사거리 - 광주역 - 충파 - 신세계백화점 - 무등경기장 - 동림삼익아파트

중형버스로 운행하였으며, 1990년대 중반까지는 신창동 - 충효동 간을 운행하는, 구 18번의 백업노선이었다.
동림3지구에 삼익아파트가 들어서면서 1997년경부터 동림삼익아파트로 들어가게 되었다. 그러나 극악의 배차간격 때문에 불편은 여전했으며, 2004년 개편때 충효동 구간을 전부 없애버렸다. 충효동은 125번이 대신 들어갔고, 28번은 순환노선으로 바뀌었다. 이후 2006년 대 개편때는 충파 이후 구간을 없애고 도청 회차로 변경되었으며, 배차간격이 조밀해졌다. 그러나 구 1번구 19번이 다시 생기며 점점 배차가 늘어나게 되었다. 이후 2011년 개편때 시내구간 변경이 있었다.

2.34. 29 (첨단-남부경찰서)

운행 노선 : 첨단 - 롯데칠성 - 고려고 - 광주역 - 서부경찰서 - 신세계백화점 - 월산5동 - 남부경찰서

34번과 더불어 시내 구간만 운행하는 노선 중 최고의 근성노선으로 이름을 날렸다. 원래는 살레시오고가 종점이었는데, 2000년을 전후하여 일곡동 구간(일곡사거리-일곡초교-일신초교-일동초교)을 그대로 둔 채 첨단까지 연장되면서 노선이 급격히 늘어나 근성노선이 되었고, 2004년에 일곡동 구간이 없어지고 2006년 개편 후 첨단30번이 비슷하게 운행하다 결국 근성을 포기하고 노선을 첨단30번, 송암31번으로 쪼갠다.

2.35. 30 (매월동-도산동)

운행 노선 : 매월동 - 대광여고 - 동부소방서 - 광주역 - 광신대교 - 송정주공 - 도산동

222번의 원조 노선. 2004년 이전에는 예술의거리입구 - 도산동 구간이 222번과 완전히 같았으나, 2004년 광주역 이후 광주고 대신 중흥6거리를 지나가도록 노선이 살짝 바뀌었다. 1997년 개편 때는 이 노선의 좌석 버전으로 563번(300번)이 신설되었으나 얼마 후 사라졌다. 도산동~대인시장 구간은 송정98번이 계승하고 있다.

2.36. 31 (장성와산-첨단)

운행 노선 : 와산 - 임곡 - 하남공단 - 비아 - 첨단

중형버스로 운행되었다. 2004년 이전에는 비아 - 첨단으로 가지 않고 하남에서 신가, 광천파출소, 임동, 광주역을 거쳐 광주 동쪽 끝 지산유원지까지 가던(+여기에 사창 지선까지 있었다.) 근성노선이었으나, 2004년 첨단까지 단축되고, 2006년 번호만 임곡91번으로 바뀌었다.

2.37. 32 (광천동-오룡)

운행 노선 : 오룡 - 와산 - 임곡 - 하남공단 - 신가동 - 광주역 - 양동시장역 - 유스퀘어 - 광천동

중형버스로 운행되었다. 1998년 이전에는 지원동까지 운행했으며, 2006년에 번호만 변경. 다른 임곡발 노선은 2004년 개편 때 전부 칼질을 당했지만, 이 노선은 그대로 살아남았고, 현재까지도 광주에 몇 남지 않은 근성노선이 되었다.

2.38. 33 (양유교-구소동)

운행 노선 : 구소 - 서창파출소 - 매월동 - 원광대한방병원 - 양유교( - 돌고개 - 터미널 - 광천동)

중형버스로 운행되었다. 2004년 이전에는 양동을 지나 광천동까지 운행했으나 2004년 단축되었다.

2.39. 34 (살레시오고-매월동)

운행 노선 : 살레시오고 - 용봉국민주택 - 동강대후문 - 법원 - 농장다리 - 도청 - 양동시장 - 화정남초교 - 신암마을 - 매월동

29번과 더불어 광주 시내구간 대표 근성노선으로 이름을 날렸다. 29번보다도 기사의 피로도는 더 심각했는데, 이것 때문에 신형차량들이 대거 다니곤 했다. 봉선동 골목길을 제외하고는 길이 넓기라도 했던 29번[2]과는 달리 전대 상대 쪽문, 법원 뒤쪽 지산동, (현재 송암74번이 지나는) 화정주공 - 화정남초교 - 염주럭키아파트 구간 등 좁은 골목길을 대형버스로 운행해야 했기 때문. 그만큼 사람이 많이 타기도 했지만. 게다가 이런 노선의 편도 운행 시간을 100분으로 설정해 기사들이 시간에 많이 쫓기기도 했다.

2006년 노선 개편 때 공중분해되어 일곡동 - 용봉동 - 전대후문 구간은 노선을 많이 쳐내고 나서 금남56번(현 419번)에, 동강대후문 - 법원 구간은 운림35번에, 도청 - 매월동 구간은 금남59번에 이어졌고, 법원 - 도청 구간은 없어져 구 20번이 부활하게 되는 계기가 된다. 그리고 이 노선에서 골목길 구간을 어느 정도 깔끔하게 하면 송암74번과 유사해진다.

2.40. 35 (월남동-첨단)

운행 노선 : 월남동 - 조선대 - 교육대 - 신안교 - 박물관입구 - 롯데칠성 - 첨단

원래는 양산초등학교까지 운행했으나, 2004년 첨단까지 연장되었다.
월남동-교대 구간은 지원15번이, 조선대~경신여고 구간은 순환01번이 이어받는다.

2.41. 36 (매월동-소촌라인아파트)

운행 노선 : 매월동 - 월드컵경기장 - 터미널 - 양동시장 - 전대사거리 - 공구의거리 - 월곡시장 - 영광통 - 소촌라인A

소촌, 하남, 신가 일대를 이어주고 이 지역과 터미널, 양동을 이어주던 노선. 2006년 이 노선이 없어지자 이 노선의 소촌 - 하남 - 신가구간을 그대로 복붙한 마을버스가 생기기까지 한다. 풍암사거리-터미널 구간은 송암47번이 이어받았으나, 2014년 송암74와 노선을 맞교환하면서 노선이 달라진다.

2.42. 37 (매월동-전남공무원교육원)

운행 노선 : 매월동 - 동성고 - 월산5동 - 시교육청 - 터미널 - 신안동사무소 - 용봉3교 - 전남공무원교육원
2004년 이전에는 용봉천 대신 전대후문을 경유하였다. 현재 '동성고 - 터미널' 구간은 첨단30번을 분리해서 만든 노선인 송암31번이 이어받았다.

2.43. 38 (매월동-장등동)

운행 노선 : 매월동 - 동성고 - 남광교 - 동부소방서 - 광주역 - 북구청 - 문화초교 - 장등동
일부 구간은 금남55번, 첨단95번가 물려받았다.

2.44. 39 (염주사거리-첨단)

운행 노선 : (장등동 - 무등도서관 - 북구청 - 양동시장 - 화정주공 - )염주사거리 - 월곡시장 - 안청 - 첨단

오전 5:30부터 오후 22:12까지 13분 간격으로 운행하였다.
원래 대형버스로 운행하였으며, 29번과 더불어 장거리 노선 중 하나로 2004년 개편 전까지 장등동에서 첨단까지 U자를 그리며 빙 돌아가는 노선이었다. 종점은 안청동이었으나, 비아, 첨단까지 연장되었다. 2004년 개편 당시 장등동에서 염주사거리 구간이 사라졌으며, 2006년 대개편 당시 첨단20으로 간선버스 전환이 되었다. 이때부터 하남산단과 사암로 내 굴곡 구간이 사라지고 월드컵경기장까지 노선이 연장되었다. 그러나 2007년 개편 때 지선버스로 전환 및 하남산단 내 경로가 변경되었으며, 이로 인해 더이상 대형버스가 투입되지 않는다. 그리고 2017년 개편이 이루어질때 다시 송정주공을 경유하며 2006년 개편전과 사암로 굴곡 구간이 같아졌다.

2.45. 50 (송산유원지-신가부영아파트)

운행 노선 : 송산유원지 - 공항입구 - 터미널 - 서부서 - 양동시장 - 신안교 - 산동교 - 신가부영A
초창기에는 호대광산캠퍼스 - 신창동이었으나 연장됨, 물론 세부 루트는 2004년 1차 개편 당시 변화가 있었다(충파, 무등경기장 미경유)

2.46. 51 (살레시오고-매월동)

운행 노선 : 살레시오고 - 전대후문 - 백림약국 - 조선대 - 봉선동 - 동성고 - 매월동

처음에는 살레시오고-방림동-봉선동으로 운행하였다가 송암공단, 매월동 순으로 연장되었다. 2004년 광주 버스 중 최초로 저상버스를 도입했다. 현재는 일곡28번으로 운행 중.

2.47. 52 (증심사-각화동)

운행 노선 : 증심사 - 조선대 - 교육대 - 동부교육청 - 전대후문 - 문화중 - 각화동

중형버스로 운행되었다. 2006년 개편 당시 장등동-도청으로 단축되고 문흥2동 구간이 조정되어 문흥80번이 되었고, 대체 노선이 아니었던 운림35번 또한 종점이 지원동에서 증심사로 바뀐 후 선형이 비슷해졌다.

2.48. 53 (도산동-장등동)

운행 노선 : 도산동 - 광주여대 - 신가동 - 신세계백화점 - 월산5동 - 남광주농협 - 조선대 - 두암타운 - 문흥1동사무소 - 장등동

일 22대의 버스로 오전 5:30부터 오후 22:25까지 105회 9~11분 간격으로 운행하였다.
1990년대 중반에 생긴 노선으로 엄청난 근성 노선이자 장거리 노선이었다. 신설 당시 최후의 프런트엔진 버스가 투입되었을 정도였으며, 원래 문흥지구가 종점이었던 것을 장등동 차고지가 생긴 후 문흥지구를 돌고 장등동까지 연장되었다. 2006년 대개편 때 사라졌으며 당시까지 광주의 5개 구 전부를 거치는 몇 안되는 노선 중 하나였다. 장등동 - 남광주농협 구간은 진월17번이 이어받았다.

2.49. 55 (장등동-각화동)

운행 노선 : 장등동 - 북부경찰서 - 문화예술회관 - 임동 - 전남여고 - 서방시장 - 각화동

그 당시 얼마 없었던 순환버스. 기종점이 같지는 않지만 장등동과 각화동은 거의 근처이다. 금남55번랑 무관하고 일부 구간은 문흥53번문흥39번가 계승

2.50. 60 (장등동-송산유원지)

운행 노선 : 장등동 - 오치한전 - 북구청 - 서방사거리 - 롯데백화점 - 상무대로 - 금호타이어 - 송산유원지

약 27.9km의 거리를 83분 동안 운행하였으며, 일 20대의 버스로 오전 5:30부터 오후 22:37까지 104회 9~11분 간격으로 운행하였다.
나주 160번을 견제하기 위해 만들었던 노선이다. 특히 2004년 버스위치정보 시스템을 최초로 도입한 노선이며, 천연가스버스가 최초로 투입된 노선이다. 반면 160번은 일반요금을 받는 고급좌석버스로 경쟁하였다.

2.51. 88 (광천동-첨단)

운행 노선 : 광천동 - 상공회의소 - 남광주농협 - 조선대 - 교육대 - 경신여고 - 산동교 - 첨단

광천동에서 출발해 1순환로를 반시계방향으로 돌다 동운고가에서 북문대로로 직진하여 그대로 첨단으로 가던 노선.

신설 초창기(1988년)은 순환형이었고 그 이후 정방향으로 바뀌면서 신창동 연장, 그 이후 첨단지구 개발로 첨단까지 연장되었다.

1순환도로 구간 대부분은 광주 버스 봉선27광주 버스 순환01이 계승했다. 단 01번은 북문대로 쪽으로는 가지 않고, 상무지구와 풍암·금호지구까지 가느라 순환 반경이 커지긴 했다.

2.52. 90 (도산동-와산)

운행 노선 : 도산동 - 광주송정역 - 영광통 - 광주실고 - 우산동사무소 - 광주여대 - 장수동 - 직업훈련원 - 비사동 - 와산

약 20km의 거리를 60분 동안 운행하였으며, 일 1대의 버스로 오전 6:00부터 오후 21:20까지 6.5회 155분 간격으로 운행하였다.
동화운수에서 중형버스로 운행하던 공영버스 노선이다. 2004년 개편 때 구 50번대신 등임동과 박호동을 거쳐 송산유원지를 들어갔다 나오도록 조정하고, 2006년 대개편에는 번호만 임곡290번으로 바꿔 여전히 동화운수에서 위탁운행하는 공영노선이다.

2.53. 91 (금호지구-구소)

운행 노선 : 금호지구 - 서구문화센터 - 상무중 - 상무역 - 서창입구 - 동하 - 서창파출소 - 농막 - 화장 - 학촌 - 구소

약 16.8km의 거리를 50분 동안 운행하였으며, 일 1대의 버스로 오전 6:00부터 오후 21:30까지 7.5회 130분 간격으로 운행하였다.
동화운수에서 중형버스로 운행하던 공영버스 노선이다. 당시 금호지구 한국아파트까지만 운행하였으나, 2006년 대개편 때 번호만 대촌270번으로 바꾸고 매월동까지 연장하였다. 여전히 동화운수에서 위탁운행하는 공영노선이다.

2.54. 101 (장성마산-경신여고)

운행 노선 : 장성마산 - 남면사무소 - 비아 - 신창동 - 운암3단지 - 경신여고
중형버스로 운행되었다. 1번의 시외/오지 버전. 원래는 지원동 종점까지 다녔으나, 차츰 대인광장 회차, 경신여고 회차로 단축되었다.

2.55. 102 (담양수북-담양수북)

운행 노선 : 수북 - 봉산 - 공원묘지입구 - 무등도서관 - 동부소방서 - 대인광장/대인광장 - 광주역 - 북구청 - 31사단 - 대치 - 수북
중형버스로 운행되었다.
순환노선이긴 했지만, 실상은 구 102번(수북 - 봉산 - 대인광장 - 양림동 - 봉선동. 2번의 시외버스 버전), 구 110번(수북 - 대치 - 대인광장 - 송암공단. 10번의 시외버스 버전.) 두 노선을 1997년 개편 때 합쳐놓아 운영했다. 대인광장에서 출발 시간을 맞춰서 운행.

2.56. 103 (담양대덕-서방시장)

운행 노선 : 담양대덕 - 창평 - 고서 - 장등동 - 서방시장

중형버스로 운행되었다. 3번의 시외버스 버전. 원래 송암공단에서 출발하는 노선이었으나, IMF 때 대인광장으로 단축, 2004년에 서방시장까지로 단축되었다. 2006년 대개편 때 번호만 두암181번으로 바뀌었다.

2.57. 105 (광주공항-도덕동)

운행 노선 : (장등동 - 두암초교 - 대인시장 - 양동시장 - 서석고 - 상무대로 - )광주공항 - 송정리역 - 평동우체국 - 명화동 - 삼도동 - 도덕동

중형버스로 운행되었다. 5번의 오지노선 버전. 원래 봉선동-천변로-양동시장-상무대로-도덕동 구간으로 운행하다 문화동 쪽으로 연장되어 장등동 - 두암주공입구 - 대인시장 - 서석고 - 도덕동 구간을 운행했으며, 송학지선과 광암지선이 있었다. 그러나 2004년 개편 때 송학지선은 106번으로 넘기고, 광암지선은 폐선되었으며 105번은 공항-삼도동사무소로 단축되었다. 이후 2006년 대개편 때 광산구 마을버스 790번으로 전환되었지만, 얼마 못가 적자로 폐선되었다. 이로 인해 2007년 송정97번이 생겼으며, 광암지선의 종점이던 복림마을까지 연장되었다. 현재 유일하게 삼거동 일대를 운행하고 있는 노선이다.

2.58. 106 (용봉-송학)

운행 노선 : 용봉 - 유림 - 공군부대 - 송정서초교 - 평동우체국 - 평동서초교 - 연동 - 도야 - 삼도남초교 - 송학

중형버스로 운행되었다. 6번의 오지노선 버전. 원래 일곡마을[3] - 용봉마을[4]을 운행하였으며 1996년부터 21번의 오지노선 버전으로 변화하여 증심사-용봉마을을 운행하던 장거리 근성노선 중 하나였다. 이후 2004년 개편 때 105번 송학지선을 통합하였으며, 시내 구간은 1001번으로 떨어져 나가 용봉-송학 구간만 운행하게 되었다. 2006년 대개편 당시 번호만 송정96번으로 바뀌었으며, 2017년 개편 때 동산마을을 경유하고 대산삼거리를 종점으로 지정하였다.

2.59. 107 (봉선동-도래)

운행 노선 : 도래 - 남평 - 칠석 - 포충사 - 대성여고 - 구 남구청 - 봉선동

원래는 도래 - 백운광장 - 대인광장 - 서방사거리 - 경신여고 - 양산동 - 신용동 복룡마을(현 신용주공A 인근) 구간을 운행하다가 1999년에 봉선동으로 단축되었다. 중형버스로 운행되었으며, 2004년 폐선되었다.

2.60. 108 (도래-대인광장)

운행 노선 : 도래 - 남평 - 포충사 - 대성여고 - 까치고개 - 대인광장

중형버스로 운행되었다. 8번의 시외버스 버전. 원래는 남평에서 대인광장을 지나 충파 - 각화동까지 가던 노선이었는데, 2004년 107번을 통합하여 노선이 변화하였다. 이후 번호만 대촌170번으로 변경.

2.61. 109 (용봉마을-양동시장)

운행 노선 : 용봉마을 - 도산동 - 송정리역 - 신야촌 - 농막 - 포충사 - 인성고 - 무진중 - 양동시장( - 광주역 - 전남여고 - 조선대 - 지산유원지)

약 39km의 거리를 100분 동안 운행하였으며, 일 1대의 버스로 오전 6:20부터 오후 21:30까지 4.5회 225~240분 간격으로 운행하였다.
중형버스 1대로 운행되었다. 원래 도산동-지산유원지 간을 운행하는 엄청난 장거리 노선이었다. 2004년 개편 때 용봉마을 - 양동시장 노선으로 바뀌었다. 원래 도산동 - 매월동으로 단축하려 했으나 106번이 단축되면서 이렇게 된것이다. 2006년 대개편때 번호만 송정99번으로 바뀌었다. 2011년 마을버스 710번이 운행을 중단하자 일부 시간대 마곡을 들어갔다 나왔으며, 2018년 근로기준법 개정으로 전 시간대 마곡을 경유한다. 그리고 2017년 2월 개편때 대촌동주민센터까지만 다니기로 단축되었지만, 두달만에 다시 환원되었다. 여담으로 용봉에서는 오후 6:50에 막차가 출발하며, 이는 현재도 광주 시내버스에서 가장 이른 막차시간 타이틀을 지니고 있다.

2.62. 109-1 (도산동-지산유원지)

운행 노선 : 도산동 - 송정리역 - 세하동 - 인성고 - 무진중 - 양동시장 - 광주역 - 조선대 - 지산유원지

중형버스로 운행되었으며, 2004년 폐선되었다. 신야촌 구간을 지나던 109번 대신 이 노선은 세하동을 경유하는 노선이었다.

2.63. 113 (임곡-도산동)

운행 노선 : 임곡 - 본량 - 호남대광산캠퍼스 - 영광통 - (공항입구 - 상무지구입구 - 서석고 - 양동시장 - 광주역 - 산수5거리 - 지산유원지)

중형버스로 운행되었다. 원래는 영광통에서 광송간도로로 진입해 상무지구입구 - 서석고 - 양동시장 - 광주역 - 산수5거리 - 지산유원지까지 가는 근성노선이었으나, 2004년 도산동까지 단축하였다. 이후 번호만 임곡90번으로 변경.

2.64. 114 (살레시오고-산정)

운행 노선 : 산정 - 첨단우리은행 - 롯데칠성 - 살레시오고

중형버스로 운행되었다. 첨단지구가 개발되기 전부터 양산 - 첨단을 잇던 노선. 2004년 이전에는 양산동에서 구 19번과 비슷하게 광주역 - 대인광장까지 갔으나, 2004년 살레시오고까지 단축되고, 2006년 번호를 첨단193으로 변경. 일곡10번이 생기기 이전에는 일곡동에서 첨단을 바로 갈 수 있는 유일한 버스였다.

2.65. 115 (광천동-임곡)

운행 노선 : 광천동 - 유동사거리 - 서구청 - 등림 - 임곡

1998년 박호동과 등임동을 들어가던 113번 등임지선을 떼어 115번을 만들었다. 무려 오후 6시50분이면 막차가 끊겨 광주에서 가장 이른 막차 시간 타이틀을 가지고 있었으며, 중형버스로 운행되었다. 이후 2004년 개편때 폐선되었으며, 50번이 하루 3번 박호동까지 들어갔다 나오기로 되었다. 2006년 대개편으로 50번의 박호동, 등임동 역할은 임곡290번이 대신하고 있다.

2.66. 118 (상무지구-능주)

운행 노선 : 상무지구 - 터미널 - 월산5동 - 백운우체국 - 충파 - 동구청 - 화순읍 - 능주

광주발 화순행 트리오의 일원. 터미널 - 백운광장까지 화순교통 버스와 비슷하게 가다가 시내를 들러 화순읍, 능주까지 가던 버스였다. 2006년 대개편 때 노선이 전대병원까지 잘렸다가 민원에 의해 연장이 되었는데, 그게 구 25번과 유사하게 연장되어 화순 능주에서 첨단 직전의 신창동 진흥고까지 가는 초장거리 노선이 탄생한다. 결국 시내구간을 수완12번으로 분리하고 152번은 전남여고 - 광주역 - 전대정문까지 가는 것으로 변경된다.

2.67. 120 (평동산단-첨단)

운행 노선 : 평동산단 - 공군부대 - 파랑새예식장 - 송정IC - 광산중 - 월곡시장 - 삼성아파트 - 신가동 - 신가중 - 보훈병원 - 첨단

약 21.6km의 거리를 55분 동안 운행하였으며, 일 2대의 버스로 오전 6:20부터 오후 21:30까지 14회 70분 간격으로 운행하였다.
중형버스로 운행되었다. 90년대에 송정리와 하남공단을 이어주는 통근버스의 역할로 신설되었다. IMF 전 광주 시내버스 노선은 대부분 한결같이 근성노선을 자랑했지만, 이 노선은 상당히 짧은 구간만을 운행했다. 원래 소촌공단까지만 운행하였지만, 하남공단, 비아, 첨단까지 연장되었다. 사실 정류장 수는 많이 증가하지 않았으며, 광산구 북부권역에 새로운 택지지구 개발로 인구가 증가하였지만 IMF의 여파로 투입대수가 2대로 줄어들어 배차간격이 35분에서 70분까지 벌어지는 등 첨단-송정리간 심각한 교통불편이 야기되었다. 때문에 1999년 11월 더이상 버티지 못한 광산구는 마을버스 70번과 75번을 개설하였으며, 광주시내버스운송사업조합이 면허처분취소청구 행정 소송까지 벌였으나 대법원에서 기각하였다. 이후 2004년 개편 때 하남산단 대신 신가지구와 신창지구, 평동산단을 경유하게 되었으며, 배차간격이 15~20분까지 좁혀졌다. 그렇게 2006년 대개편 때 첨단40으로 이어지고 있다.

2.68. 121 (도산동-동림(마을))

운행 노선 : 도산동 - 송정리역 - 금호타이어 - 호남대광산캠퍼스 - 송산교 - 북성 - 명도삼거리 - 평림 - 신촌 - 양곡 - 화산

약 21km의 거리를 45분 동안 운행하였으며, 일 2대의 버스로 오전 6:20부터 오후 21:30까지 16회 60분 간격으로 운행하였다.
동화운수에서 중형버스로 행하던 공영버스 노선이다. 2004년 개편 때 123번이 흡수되었으며, 2006년 대개편 때 번호만 송정296번으로 바꿔 여전히 동화운수에서 위탁운행하는 공영노선이다.

2.69. 122 (신가부영아파트-비아농협)

운행 노선 : 신가부영A - 흑석사거리 - 하남공단 - 비아농협

중형버스로 운행되었다.

2004년 신설되었다. 이후 번호가 첨단92로 변경되고, 수완지구까지 들어갔다가 지금은 다시 흑석사거리까지 단축되었다.

2.70. 123 (도산동-장성대곡/월곡)

운행 노선 : 도산동 - 호남대광산캠퍼스 - 동백훈련장 - 도덕동 - 용호 - 화산 - 장성대곡/월곡

중형버스로 운행되었으며, 2004년 121번에 흡수되어 폐선되었다.

2.71. 125 (장등동-담양연천)

운행 노선 : 장등동 - 광주병원 - 전대후문 - 교육대 - 장원초교 - 충장사 - 소쇄원 - 담양연천

중형버스로 운행되었다. 2006년 번호만 충효187번으로 변경되었다.

2.72. 126 (화순주도리-도청)

운행 노선 : 주도리 - 화순역 - 화순읍 - 지원동사무소 - 도청

중형버스로 운행되었다. 17, 117, 118번 트리오보다는 조금 늦게 생겼다. 초기에는 살레시오고 - 전대 - 광주고 구간으로 운행했으나 단축. 현재는 폐선된 구 지원150번과 노선이 비슷하다. 현재 지원150번은 지원152번과 통폐합이 되어 152번이 현구간을 대체하고 있다. 화순주도리 노선은 화순 버스 220번 운행한다.

2.73. 333 (장등동-원광대한방병원)

운행 노선 : 원광대한방병원 - 신암마을 - 동성고 - 전대병원 - 도청 - 광주역 - 전대후문 - 광주병원 - 문흥지구 - 장등동

구 38번의 좌석버스 버전으로 신설되었다가 1999년 일반시내버스로 전환되었고, 2004년 폐선되었다.
장등동-전대사거리 구간은 광주 버스 진월17, 광주 버스 문흥18이, 동성고-도청 구간은 광주 버스 첨단95가 이어받았다.

2.74. 385 (매월동-신창호반베르디움)

운행 노선 : 매월동 - 신암마을 - 백운우체국 - 충파 - 양동시장 - 터미널 - 광신대교 - 운남삼성아파트[5] - 신창호반베르디움

중형버스로 운행하였다. 광주 버스 북구777이 나타나기 이전 광암교 하부도로를 이용한 노선.

2.75. 387 (매월동-첨단)

운행 노선 : 매월동 - 동성고 - 백운우체국 - 시교육청 - 터미널 - 운암3단지 - 산동교 - 방통대 - 첨단

첨단-문예회관 구간은 광주 버스 매월16이, 광덕고-동성고 구간은 광주 버스 진월77이 계승

2.76. 555 (증심사-나주터미널)

운행 노선 : 증심사 - 전남대병원 - 도청역 - 양동시장역 - 광송간도로 - 송정리역 - 동신대 - 나주터미널

약 33.5km의 거리를 80분 동안 운행하였으며, 일 31대의 버스로 오전 5:30부터 오후 22:30까지 137회 7~8분 간격으로 운행하였다.
원래 555번은 좌석버스였다. 1983년 광주 최초의 시내좌석버스로서 5번 버스와 유사하게 도산동-증심사 구간을 운행하였다가, 1997년 개편때 3자리수 노선번호 개편으로 511번으로 바뀌었다가 1998년에 다시 환원되었다. 광송간을 이동하던 대표적인 버스 노선 중 하나였으며 수요도 많았다. 한편 동신대 학생들의 민원으로 1996년 나주터미널까지 연장되었는데 광주역까지만 다니던 나주 160번도 문흥지구까지 연장했다. 문제는 160번이 고급좌석버스(BH115E, 에어로 스페이스 LD)를 투입하면서도 일반요금을 받은 것이다. 결국 IMF때 많은 시내좌석버스들이 일반으로 전환되거나 폐선된것처럼 555번도 2001년 11월 일반버스로 전환되었다. 타 좌석버스 노선보다는 10개월 늦게 전환되긴 했다. 그뿐만 아니라 광송간도로를 같이 다니던 666번은 노선이 단축되었고, 지하철이 개통하면서 광송간 도로의 경쟁은 승자와 패자가 완벽하게 드러나게 되었다. 더구나 광주는 준공영제 도입으로 더이상 피터지는 경쟁을 할 필요성이 없어졌으며, 이때부터 나주-광주간 시내버스는 모두 구간요금을 받기 시작했다. 그렇게 2006년 대개편 때 송정196으로 번호를 바꿔 시내까지 더 이상 들어가지 않고 도산동까지만 운행되었다. 이후 잉여노선으로 남아 상무02, 송정39번과 통합되었다 다시 살아남아, 하남지역 교통편리성을 위해 노선이 연장되었다. 계속해서 수완지구 개발로 하남산단체육공원까지 노선이 연장되고 2017년 개편때 동신대학교(정렬사사거리) ~ 진곡산단을 운행하는 진곡196번으로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된다.

2.77. 583 (도산동-서광주역)

운행 노선 : 도산동 - 파랑새예식장 - 시청 - 쌍촌시영A - 신우아파트 - 동성고 - 송원대 - 서광주역

1997년 개편 때 신설된 노선. 중형버스로 운행되었다.

2.78. 666 (상무지구-용전)

운행 노선 : 상무지구 - 운천저수지 - 신암마을 - 까치고개 - 충파 - 무등도서관 - 북부경찰서 - 용전

원래 구 6번의 좌석버스 버전으로 출발한 노선. 원래는 충파 이후 양동시장을 거쳐 광송간도로를 통해 송정리까지 가던 버스였으나 2001년 일반버스로 전환될 때 상무지구까지 단축되었고, 풍암지구가 개발이 되자 상무대로를 통해서 상무지구를 가던 것을 풍암지구 - 운천저수지를 들르는 것으로 2004년 노선을 조정했다. 이후 상무지구 - 충파 구간은 지원45번으로 이어진다. 일곡-오치 구간은 광주 버스 일곡38이 가져간다.

2.79. 745 (연제현대아파트-연제현대아파트)

운행 노선 : 연제현대A - 일곡지구 - 오치한전 - 전대후문 - 광주역 - 무등경기장 - 문예회관 - 도교육청 - 고려고 - 연제현대A

오전 6:00부터 오후 22:00까지 26분 간격으로 운행하였다.

첨단2지구가 조성되기 전 현재는 첨단2지구 방면으로 넓게 뚫린 양일로 도로가 당시에는 연제동 현대아파트 앞에서 도로가 끊겨있었고, 바로 앞 삼거리가 종점이었다. 당시에는 이 노선 덕에 연제동 주민들이 구도심으로 이동하기가 수월했었다.

2004년 이전에는 연제현대A - 전대후문 - 산장입구사거리 - 서구청 - 서석고 - 상무지구입구 - 도산동으로 가는 구 6번의 백업노선이었다. 2004년 순환노선으로 조정되었다가 2006년 개편때 폐지되었다. 현재 연제동에는 용전과 운암동을 오가는 용전85번이 들어가게 되었다.

2.80. 771 (첨단-증심사)

운행 노선 : 첨단 - 전자공고 - 산동교 - 문화예술회관 - 신안교 - 북구청 - 말바우시장 - 풍향시장 - 산수오거리 - 조선대 - 홍림교 - 증심사

약 24.3km의 거리를 65분 동안 운행하였으며, 일 20대의 버스로 오전 5:30부터 오후 22:55까지 130회 8~9분 간격으로 운행하였다.

1997년 개편 때 29번의 분할 노선으로 탄생했고, 2006년 번호를 봉선27번로 바꾸고 학동 대신 강 건너 봉선동으로 가도록 노선을 조정했다.

2.81. 777 (송산유원지-지산유원지)

운행 노선 : 송산유원지 - 호남대광산캠퍼스 - 중앙초교 - 광주여대 - 신가동 - 서강정보대입구 - 광천파출소 - 임동오거리 - 도청 - 조선대 - 지산유원지

약 38.3km의 거리를 93분동안 운행하였으며, 일 14대의 버스로 오전 5:30부터 오후 22:27까지 67회 16~18분 간격으로 운행하였다.
구 21번의 좌석버스 버전이었다. 본디는 호대광산캠퍼스 - 공항입구 - 상무지구입구 - 화정주공 - 월산4동 - 충파 - 도청 - 조선대 - 산수5거리 - 원효사였지만 2001년 일반버스로 변경되면서 상무대로 대신 하남대로를 경유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상무대로 경유 노선은 2004년 1001번이 생기면시 대체한다.

2.82. 999 (광주공항-도청)

운행 노선 : 공항 - 상무지구 - 터미널 - 도청

2002년 공항버스 1000번이 생기기 전 공항버스 역할을 했던 노선. 버스조합에서 차출한 버스를 토대로 노선을 운영하다 광주광역시에서 따로 입찰을 하여 1000번으로 이어지게 된다.

2.83. 1001 (송산유원지-증심사)

운행 노선 : 송산유원지 - 영광통 - 김대중컨벤션센터 - 시청 - 운천저수지 - 쌍촌시영아파트 - 월산마을 - 라인효친 - 증심사

원래 106번의 노선 일부였으며, 증심사 - 용봉마을을 운행하는 장거리 근성노선이었지만,[6] 2004년 개편 때 시내구간인 증심사-송정리 구간을 분리시켰다. 당시 1001번의 유래는 서석대와 입석대에서 떠오르는 해의 모양을 형상화 했다고 알려져 있다. 2006년 대개편 때 상무지구-송산유원지 구간을 없애고 지원50번으로 바뀌었다. 2011년 권역번호가 조정되며 운림50번으로 바뀌었다.

2.84. 2002 (장등동-상무지구)

운행 노선 : 장등동 - 문산중 - 용봉현대1차아파트 - 무등경기장 - 임동 - 양동시장 - 서구청 - 터미널 - 상무지구

2004년 신설되었다. 용봉지구를 관통하던 버스.

3. 좌석버스

3.1. 117 (상무지구-화순사평)

운행 노선 : 상무지구 - 상무라인아파트 - 시청 - 광천터미널 - 도청 - 전남대병원 - 소태역 - 화순전남대병원 - 동면 - 화순사평

약 43.8km의 거리를 80분동안 운행하였으며, 일 17대의 버스로 오전 5:30부터 오후 22:10까지 90회 11~12분 간격으로 운행하였다.
1963년에는 동복까지 운행하는 노선도 있다고 전해진다. 1971년 너릿재터널 개통 이후 광주-화순간 이동 편리를 위해 운행을 시작하였으며, 1997년 3자리 수 노선번호 개편당시 좌석버스로 전환되었다. 그래서 이 노선은 시계외요금을 받지 않고 좌석요금을 받을 수 있었다. 이후 1998년 3자리수 번호들이 다시 원래대로 돌아왔을때도 계속 좌석버스로 살아남았고, IMF를 거치며 많은 시내좌석버스 들이 입석으로 전환되거나 폐선 되었지만 아래 나올 222번과 계속 살아남았다. 이후 2004년 화순전남대병원이 개원하면서 화순전대병원을 경유하는 것 말고는 큰 변화가 없었던 노선이었다. 그러나 2006년 대개편으로 지원151번으로 노선명이 변경되고 준공영제의 여파로 상무지구-남광주역 구간이 사라졌다. 그러나 화순에서 광주 시내까지 한번에 들어가지 못하는 불편으로 구 17번 노선 시내 구간과 비슷한 구간으로 연장하였다. 그러나 이미 2006년 개편으로 중형버스가 투입되고 노선이 초라해진 상태였다. 이후 2017년 개편 때 동림삼익아파트 - 화순전남대병원로 변경되고 일부 회차만 사평까지 운행하게 되었다. 그리고 2018년부터는 운암산코오롱하늘채아파트까지 노선이 연장되었으며, 2019년부터 228번으로 노선명이 바뀌었다.

3.2. 222 (도산동-봉선동)

운행 노선 : 도산동 - 광주송정역 - 광주여대 - 흑석사거리 - 신가동 - 광주역 - 도청 - 전남대병원 - 방림삼거리 - 봉선동

약 28.3km의 거리를 80분동안 운행하였으며, 일 25대의 버스로 오전 5:30부터 오후 22:40까지 129회 7~8분 간격으로 운행하였다.
구 30번의 좌석버스 버전. 1995년 이전 당시에는 무등경기장을 지나지 않았으며, 동운고가를 넘어 경신여고 - 전남대사거리 - 광주역 구간으로 운행하였다. 또한 지금의 송정98번이 조선대 공과대학을 지나가지만 222번은 전남대병원 - 남광주역 구간으로 운행했다. 방림동을 구비구비 돌았던 골목길 투어는 현재는 봉선37번이 계승하여 이어지고 있다. 시내좌석버스로 운행했기 때문에 요금이 비쌌지만, 광산구 운남동, 하남에서 시내까지 한번에 갈 수 있는 노선이었기 때문에 인기가 좋았다. 사실 2000년대 개편이 이루어지기 전까지 광송간 버스를 빼면 광산구 - 광주 다른 4개구 간의 교통이 매우 낙후해 있었다. 봉선동 종점이 사라지고 용산지구에 차고지가 생기자 용산지구까지 연장되었다. 위에 변경된 구간을 제외하고는 지금까지 거의 같은 노선으로 운행하고 있으며 중간에 915번으로 노선명이 변경된 적이 있었다. 다만 2006년 대개편 당시 폐선되었다가 2007년에 부활하였으며, 사실상 222 - 915 - 222 - 송정98로 계속해서 역사가 이어지고 있다.

4. 마을버스

4.1. 70 (평동산단-첨단롯데마트)

운행 노선 : 평동산단 - 공군부대후문 - 파랑새예식장 - 영광통 - 민방위교육장 - 정광고입구 - 광주여대 - 하남주공 - 월곡시장 - 위마트 - 신가사거리 - 흑석사거리 - 대우전자 - 도촌교 - 비아소방서 - 과기원 - 남부대 - 첨단롯데마트

광산구 북부(첨단, 하남, 신가) 지역의 새로운 택지지구 개발로 인구가 증가하였지만 IMF의 여파로 광산구 남북을 잇던 120번의 투입대수가 2대로 줄어들어 배차간격이 35분에서 70분까지 벌어지는 등 첨단-송정리간 심각한 교통불편이 야기되어, 1999년 11월 더이상 버티지 못한 광산구가 개설한 마을버스 노선이다. 광주고속버스가 배차간격 15~20분으로, 개설 당시 운남지구를 들렸다 지선노선에 한하여 경유하는 형태였다. 그리고 월곡1동 골목길과 하남주공 뒷편 골목길 투어도 했으나 직선화 된후 다니지 않는다. 2000년대 초 광주시내버스운송사업조합이 면허처분취소청부 행정 소송까지 벌였으나 대법원에서 기각하였다. 당시 70번 마을버스는 120번과 불과 57%인 19km만 중복된 구간이었으며, 주민 불편을 해소하기 위한 노선이므로 적법하다는 판결을 받아 계속 운행할 수 있었다. 이후 120번은 2004년 시내버스 개편 때 신창지구 - 신가지구 쪽으로 노선이 바뀌어으며, 2006년 시내버스 대개편에 따라 700번으로 바뀌었다. 2014년 첨단2지구까지 연장되었으며, 첨단단지 내 일부 노선이 바뀌고 수완지구를 경유하게 되었다.

4.2. 70-1 (평동산단-콜럼버스시네마)

70번과 광주여대까지 동일한 노선을 운행하였다가 이후 콜럼버스시네마 하남점 인근까지 운행하였다. 그렇게 2006년 시내버스 대개편때 번호만 701번으로 바뀌었으며, 2014년에 대반초교에서 수완증흥S-클래스2차로 바로 가는 경로로 바뀌었고, 700번이 수완양우내안애를 경유하는 것으로 바뀌는 대신 701번은 성덕마을을 경유하여 첨단 우편집중국까지 운행하기로 연장되었다. 이후에는 700번이 가천아파트를 미경유 하는 이유로 경유하게 되며, 2015년 11월말부터는 우편집중국까지 가지 않고, 수완지구대 - 수완하나중입구 - 수완중 경로로 변경되었다.

4.3. 72 (송광중-무역회관)

운행 노선 : 송광중 - 송정5일장 - 정광고입구 - 광산중 - 무역회관

4.4. 72-1 (서호-광산중)

운행 노선 : 서호 - 동곡 - 송정리역 - 광주자동화설비고 - 광산중

본덕동 서호마을에서 출발해 우산동까지 운행했던 마을버스 노선으로, 1~2시간 간격으로 운행하였을 뿐만 아니라 특별 구간요금을 받았었다.

4.5. 75 (송정서초교-첨단)

운행 노선 : 송정서초교 - 영광통 - 송정공원 - 우산주공 - 광주여대 - 월곡2동사무소 - 신가동 - 중흥아파트 - 산동교 - 전자공고 - 첨단

배차간격 15~30분 간격으로, 120번의 지나치게 긴 배차간격으로 송정리~첨단간을 운행하기 위해 70번 마을버스와 더불어 개설된 노선으로, 구민버스가 운행한 노선이다. 70번 마을버스가 하남산단을 경유한것과 다르게, 이 노선은 송정공원 바로 앞 도로를 관통해 지나갔고, 신가중흥1차~산동교간 영산강 둑방길을 타고 갔었다. 당시 신가지구를 경유하여 지금의 목련로382번길(중흥2차 아파트 옆길)을 경유해 중흥1차 아파트 옆 좁은 경사로 길을 따라간후 영산강 둑방길인 현재의 풍영정길을 운행하였다. 미세한 차이로 산동교를 앞에두고 교량하부도로를 이용해 1번 국도를 타고 첨단방면으로 갔기 때문에 북구 땅을 밟지 않았다. 그래서 당시 동림동에서 송정리를 가려면 도보를 산동교를 건너 이 버스를 타는 경우도 있었다. 그러나 2000년대 초중반 영산강 둑방길 구간과 신창동~산동교 구간이 전부 잘려나가 은혜학교 - 교통방송 - 첨단사거리 - 남부대학교 - 신창초교 - 진흥교 - 보건대후문 - 신가중학교 - 신가주공아파트 - 금구중 - 월곡시장 쪽으로 노선이 변경되었다. 2006년 시내버스 대개편으로 750번으로 바뀌었으나 구민버스 부도로 폐지되었다. 폐지 이후에는 광주 버스 첨단40이 2000년대 초중반 바뀐 구간을 이어받아 운행하고 있다.

4.6. 77 (연산-호산병원)

운행 노선 : 연산 - 금연삼거리 - 평동초교 - 용동 - 지죽동 - 영광통사거리

연산 - 영광통 구간을 운행하던 광산구 마을버스 77번이었으며, 2006년 시내버스 대개편 때 번호만 770번으로 바뀌었다가 승객 감소 등을 이유로 폐선되었다. 이후 연산동 구간 교통불편으로 2008년 송정93번이 신설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4.7. 78 (봉정-호산병원)

운행 노선 : 봉정-명화동-동산-평동-장록-영광통사거리

평동에 있는 광산구 내 오지 마을들과 송정리를 왕복하던 마을버스로, 2006년 시내버스 대개편 당시 번호만 780번으로 바뀌었다. 그러나 운행회사인 영신운수 부도로 인해 폐선되었다.

4.8. 02-1

서구에서 운행되던 마을버스로 금호버스가 운행하였다.

4.9. 02-3

서구에서 운행되던 마을버스로 금호버스가 운행하였다.


[1] 옥의 티가 있는데 폐선 전까지는 구 도청을 절대 경유하지 않았다.[2] 5번에 비해서는 높았고, 34번에 비해서는 차급이 낮은 편이었다.[3] 살레시오고 회차지가 아니라 지금의 국제고 자리.[4] 일곡지구, 매곡동, 오치동 개발 전부터 운행을 담당.[5] 신설 당시는 송암공단 - 운남삼성A 이후 풍암지구(매월동) - 신가부영A[6] 여기서 말하는 용봉마을은 광산구 용봉마을로서 바로 나주시 경계와 맞닿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