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041e42> | 롯데 자이언츠 2025 시즌 내야수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2 고승민 · 3 신윤후 · 9 정훈 · 13 전민재 · 14 최항 · 16 김민성 · 30 이호준 · 33 손호영 · 51 나승엽 · 52 노진혁 · 53 박승욱 · 60 한태양 · 67 강성우 · 105 최민규 · 108 박지훈 · 111 이태경 · 112 유태웅 · 116 이주찬 · 121 김동규 | ||
최종 편집: 2025년 1월 17일 | |||
프런트 | 코칭스태프 | 투수 | 포수 | 내야수 | 외야수 | 군 입대 선수 | 등록 선수 | 육성선수 | 응원단 | |||
다른 KBO 리그 팀별 명단 둘러보기 | }}}}}}}}} |
노진혁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NC 다이노스 등번호 31번 | ||||
팀 창단 | → | <colbgcolor=#af917b><colcolor=#00275a> 노진혁 (2012) | → | 이현곤 (2013~2014) | |
NC 다이노스 등번호 52번 | |||||
신창명 (2012) | → | 노진혁 (2013~2014) | → | 오정복 (2015~2015. 6. 21.) | |
NC 다이노스 등번호 7번 | |||||
오정복 (2014) | → | 노진혁 (2015) | → | 강민국 (2016) | |
NC 다이노스 등번호 52번 | |||||
김선규 (2017~2017. 7. 25.) | → | 노진혁 (2017. 9. 23.~2022) | → | 윤형준 (2023~2024) | |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52번 | |||||
나원탁 (2021~2022) | → | 노진혁 (2023~) | → | 현역 |
<colbgcolor=#041e42><colcolor=#fff> 롯데 자이언츠 No.52 | |||
노진혁 盧珍赫|Noh Jin-hyuk | |||
출생 | 1989년 7월 15일 ([age(1989-07-15)]세) | ||
광주직할시 서구 (現 광주광역시 남구) | |||
국적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
학력 | 광주대성초 - 광주동성중 - 광주동성고 - 성균관대 | ||
신체 | 184cm|80kg|O형 | ||
포지션 | 유격수, 3루수 | ||
투타 | 우투좌타 | ||
프로 입단 | 2012년 특별 지명 (전체 20번, NC)[1] | ||
소속팀 | NC 다이노스 (2012~2022) 롯데 자이언츠 (2023~) | ||
병역 | 상무 피닉스 야구단 (2015년 12월 21일~2017년 9월 20일) | ||
계약 | 2023 - 2026 / 50억 원[계약내용] | ||
연봉 | 2024 / 6억 원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fff" | ||
등장곡 | 싸이 - 〈That That〉[3] | ||
{{{-2 {{{#!folding [ 이전 등장곡 보기 ] | |||
응원가 | B-One - 〈The future〉[가사][5] | ||
{{{-2 {{{#!folding [ 이전 응원가 보기 ] | |||
링크 | |||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041e42><colcolor=#fff> 가족 | 배우자 손희령(2014년 12월 13일 결혼 ~ 현재) 딸 노서영(2015년생) 아들 노형준(2018년생) | |
MBTI | ESFJ | ||
에이전트 | 리코스포츠에이전시 | ||
후원사 | 뉴발란스[6] | }}}}}}}}} |
[clearfix]
1. 개요
롯데 자이언츠 소속 내야수.NC 다이노스의 창단 멤버로, 1군 진입 첫해에 주전 유격수로 활약했으나 손시헌의 영입과 부진, 군복무로 유망주 시기 동안 2군을 전전하며 보냈다. 군복무를 마치고 본격적으로 맞이한 2018 시즌부터 꾸준히 주전으로 활약하며 프랜차이즈 선수가 되었고 우승도 경험하였다. 2022 시즌 후 FA로 롯데 자이언츠에 이적하였다.
2.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노진혁/선수 경력 |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상무 야구단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
아마추어 시절 |
2.1. 수상 경력
| ||
노진혁의 KBO 리그 수상 경력 | ||
2017 | 2017 KBO 준플레이오프 | 3차전 데일리 MVP |
2020 | 2020 한국시리즈 | 우승 |
노진혁의 아마추어 시절 수상 경력 | ||
2011 | 전국대학야구 하계리그전 | 타점상 |
2011 | 제45회 대통령기 전국대학야구대회 | 수훈상 |
2011 | 제4회 KBO총재기 전국대학야구대회 | 도루상 |
3. 플레이 스타일
3.1. 타격
[kakaotv(404949298)] |
2019 시즌 노진혁의 홈런 모음 |
선구안으로 출루하기보다는 일발장타를 노리는 스타일로, 초구 적극성이 2020 시즌 기준 34.7%로 꽤 높은 편이고 타석당 삼진 비율도 매년 20%[13] 정도로 높다. 그러나 커리어 하이를 기록한 2020 시즌에는 썩 괜찮은 선구안을 보여주었고 타석 경험이 쌓이면서 노련함이 더해졌는지 절대출루율(IsoD) 역시 매년 상승하고 있다.[14]
은근히 클러치 히터이다. 커리어 하이를 경신한 2020 시즌 득점권 타율 0.351을 기록하며 팀내 득점권 타율 순위에서 양의지, 박민우 바로 다음이었는데, 특히 주자 만루 상황에서 17타수 10안타(3홈런) 28타점 타율 0.588 OPS 1.867이라는 미친 성적을 거뒀다. 그러니까 한 시즌에 그랜드 슬램을 세 번이나 때려낸 것이다.
현 시점 타격면에서 가장 큰 단점은 좌상바라는 것. 좌완 상대 OPS가 2018년 0.623 2019년 0.604 2020년 0.583으로 전반적인 타격성적에 비해 상당히 저조한 편이다.[15]
롯데 이적 후 2023년에는 그래도 일말의 타격감이 남아있었으나, 2024년 ABS 도입 이후 완벽하게 몰락해버렸다. 존 자체에 제대로 적응하지 못하고 있으며, 고질적인 허리 부상으로 좋은 스윙도 안 나오는 모양새.
3.2. 수비
노진혁의 안정적인 수비 |
백핸드로 처리한 병살[16] |
팬들에겐 늘 믿고 보는 안정적인 수비력을 자랑하지만, 유격수 포지션에서 1000 이닝 가까이 소화한 첫 해인 2020 시즌에는 아주 가끔씩 어처구니없는 실책들을 저질러 팬들을 뒷목잡게 만들기도 했다. 그래도 900이닝 이상 소화한 유격수 중에는 마차도(98.4%)와 비슷한 필딩율 98.3%(유격수 리그 2위)를 기록하면서 안정적인 타구처리를 보여주었다. 깜짝 놀랄만한 호수비나 넓은 수비범위를 선보이진 않더라도 마치 팀 선배 손시헌이 떠오를 만한 안정감과 견고함을 보여주고 있다.[18]
그러나 허리 부상으로 내내 고생을 한 2021 시즌 이후 실책 개수가 폭등하고 레인지 자체가 더 줄어들면서, NC 팬들 사이에서는 노진혁을 '유격수 포지션으로는 더이상 힘들다'고 보는 시선도 늘어나고 있다.[19] 그 해 부상으로 엔트리에서 말소된 이후 재빠르게 노진혁의 공백을 메꾼 김주원이 2022 시즌에는 완전히 주전 유격수 자리를 꿰차면서 노진혁은 2022 시즌 후반기 경기에서 주로 3루수로 출장했고, 수비 부담이 줄어들면서 타격 면에서도 이득을 봤다. 물론 때때로 박민우가 휴식으로 빠진다거나 할 때 간간히 유격수 수비를 보는 데는 무리가 없으며 이따금씩 호수비를 선보이고 있다.
롯데 이적 후 첫 해인 2023년에는 거의 유격수로만 출장하고 있으며, 우려와 다르게 안정적인 수비를 보여주고 있다. 2024년에는 좁아진 수비범위로 인해 주로 3루수나 1루수로 출전한다.
3.3. 주루 및 기타
다만 주루에는 자신이 없어 통산 도루가 8개에 불과하며 도루 실패가 13개이다. 본인 스스로도 "특출나진 않지만 고루고루 잘한다고 생각하는데 딱 하나 부족한 것이 주루"라고 우스갯소리로 얘기했을 정도.# 그러나 1군 데뷔 시즌인 2013년 인사이드 더 파크 홈런을 쳐낸 적이 있을 정도로 발이 느리지 않고, 주루RAA도 리그 전체에서 상위권이다. 즉, 도루 시도가 적을 뿐 일단 출루만 하면 황당한 주루플레이로 점수를 까먹거나 하는 일은 거의 없지만 갑작스런 도루 등으로 변수를 창출하는 플레이에는 능하지 않다.그러나 롯데 이적 이후로 2023년 5월 기준 7개나 성공하는 모습을 보이며 주루 면에서도 부족함을 지워나가고 있다.
아마추어 시절부터 구사했던 손목과 허리를 순간적으로 강하게 꺾는 타격폼과 역방향 송구를 자주 하는 유격수 포지션 특성 상 허리 부상을 고질병으로 안고 있어 NC 시절 팀 동료였던 내야수 박석민이나 박민우처럼 약간의 유리몸 기질이 있다. 30대 이후로는 매년 여기저기 부상을 겪으며 몇 차례씩 부상자 명단에 오르곤 하면서 타격감도 함께 급격히 내려가는 경우가 많은데, 이렇게 불안한 내구성이 야수로서의 노진혁의 평가를 깎아먹는 주 요인이 되고 있다.
4. 여담
자세한 내용은 노진혁/여담 문서 참고하십시오.5. 관련 문서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bordercolor=#041e42> | 관련 문서 노진혁 Noh Jin-Hyuk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선수 경력 | |
아마추어 경력 | ||
NC 다이노스 NC Dinos | ||
2012년 ㆍ 2013년 ㆍ 2014년 ㆍ 2015년 상무 피닉스 야구단 ㆍ 2017년 ㆍ 2018년 ㆍ 2019년 2020년 ㆍ 2021년 ㆍ 2022년 | ||
FA | ||
롯데 자이언츠 Lotte Giants | ||
2023년 · 2024년 | ||
기록 | ||
연도별 주요 성적 | ||
평가 | ||
플레이 스타일 | ||
기타 | ||
여담 · 유돈노 · 분류 |
노진혁 관련 틀 | ||||||||||||||||||||||||||||||||||||||||||||||||||||||||||||||||||||||||||||||||||||||||||||||||||||||||||||||||||||||||||||||||||||||||||||||||||||||||||||||||||||||||||||||||||||||||||||||||||||||||||||||||||||||||||||||||||||||||||||||||||||||||||||||||||||||||||||||||||||||||||||||||||||||||||||||||||||||||||||||||||||||||||||||||||||||||||||||||||||||||||||||||||||||||||||||||||||||||||||||||||||||||||||||||||||||||||||||||||||||||||||||||||||||||||||||||||||||||||||||||||||||||||||||||||||||||||||||||||||||||||||||||||||||||||
| ||||||||||||||||||||||||||||||||||||||||||||||||||||||||||||||||||||||||||||||||||||||||||||||||||||||||||||||||||||||||||||||||||||||||||||||||||||||||||||||||||||||||||||||||||||||||||||||||||||||||||||||||||||||||||||||||||||||||||||||||||||||||||||||||||||||||||||||||||||||||||||||||||||||||||||||||||||||||||||||||||||||||||||||||||||||||||||||||||||||||||||||||||||||||||||||||||||||||||||||||||||||||||||||||||||||||||||||||||||||||||||||||||||||||||||||||||||||||||||||||||||||||||||||||||||||||||||||||||||||||||||||||||||||||||
노진혁의 수상 경력 / 역임 직책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반지 | |||||||||||||||||||||||||||||||||||||||||||||||||||||||||||||||||||||||||||||||||||||||||||||||||||||||||||||||||||||||||||||||||||||||||||||||||||||||||||||||||||||||||||||||||||||||||||||||||||||||||||||||||||||||||||||||||||||||||||||||||||||||||||||||||||||||||||||||||||||||||||||||||||||||||||||||||||||||||||||||||||||||||||||||||||||||||||||||||||||||||||||||||||||||||||||||||||||||||||||||||||||||||||||||||||||||||||||||||||||||||||||||||||||||||||||||||||||||||||||||||||||||||||||||||||||||||||||||||||||||||||||||||||||||||
2020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315288> | NC 다이노스 역대 주장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ffffff> 2012 | 2013~2014 | 2015~2016 | 2017 | 2018 |
김동건 | 이호준 | 이종욱 ☆ | 박석민 → 손시헌 | 손시헌 → 박석민 | |
<rowcolor=#ffffff> 2019 | 2020~2021 | 2022 | 2023 | 2024 | |
나성범 → 박민우 | 양의지 ★ | 노진혁 → 양의지 | 손아섭 | 손아섭 → 박민우 | |
<rowcolor=#ffffff> 2025 | |||||
박민우 |
}}} ||
[1] NC 다이노스 창단에 따른 지원책으로 2라운드와 3라운드 사이에 다섯 명을 특별 지명.[계약내용] 계약금 22억 원 / 연봉 총액 24억 원 / 옵션 4억 원[3] 2022년부터 사용했으며, 2023년 시즌 초에 Apink의 〈NoNoNo〉를 사용했으나 추후 다시 변경되었다.[가사] 롯데 노진혁~ 롯데 노진혁 오오오~ 안타 홈런 오오오 오오오오~ 안타 홈런 오오오 오오오오~ (×2) 롯데 노진혁~[5] 2023년 초기 버전의 가사는 안타 안타였으나 추후 본인이 가사에 너무 안타만 있다고 밝힌 게 이유인지 안타 홈런으로 변경되었다.[6] 뉴발란스 코리아 후원.[7] 인터뷰 [배중현의 야구 톺아보기] 22.4도까지 올라간 노진혁의 스윙, 장타가 터진다[8] 특히 빠른 볼은 몸쪽 높은 코스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코스를 장타로 만들어낼 수 있다. 2019 시즌 포심패스트볼 구종 타율이 0.346에 달했을 정도.[9] 2019 시즌 노진혁의 장타율 0.454는 장타율 0.435를 기록한 거포 김재환과 이대호보다도 높은 기록이다. 유격수로만 따지면 김하성(0.491)에 이은 2위. 2018년 주로 3루수로 출장하며 장타율 0.431을 기록했는데, 유격수를 서면서도 예년보다 더 향상된 것이다.[10] 2019 시즌 홈런 13개는 19개를 기록한 김하성에 이은 유격수 2위 기록이며, 타석당 홈런 비율도 3.33%로 유격수로서는 최상위권의 비율이었다.[11] 손시헌도 갭파워를 지녀 팬들에게 농담식으로 거포 유격수라 불렸는데, 노진혁은 2018 시즌 이래로 3시즌 연속 두자릿수 홈런을 달성해 2009, 2015 두 시즌 두자릿수 홈런을 기록한 손시헌을 넘었다. 실제로 상무 제대 이후로는 손시헌보다 나은 장타력을 선보이고 있다.[12] 2020 시즌 기준 타율 오지환 0.300 > 노진혁 0.274 / 출루율 오지환 0.362 > 노진혁 0.356 / 장타율 노진혁 0.480 > 오지환 0.461 / OPS 노진혁 0.836 > 오지환 0.823 / wOBA 노진혁 0.370 > 오지환 0.368 / wRC+ 오지환 119.9 > 노진혁 113.4 등.[13] 주전급으로 활약했던 2013년 23.0%, 2018년 20.1%, 2019년 20.5%, 2020년 21.9%.[14] 2018년 0.054 → 2019년 0.061 → 2020년 0.082. BB/K 역시 2018년 0.36 → 2019년 0.39 → 2020년 0.46으로 꾸준히 상승 중.[15] 다만 2022년 좌완 상대 OPS 0.783으로 개선된 모습을 보였다.[16] 2020년 6월 30일 창원 롯데전. 영상 이제는 이 두 영상에 모두 나오는 롯데 자이언츠로 가게 되었다.[17] 클래식 스탯인 실책 개수 자체도 2018 시즌 15개로 팀 1위를 기록했다가, 2019 시즌 5개로 급감하며 매우 향상된 모습을 보였다.[18] 손시헌이 NC 이적 후 6년간 꾸준히 기록했던 필딩율 97~98%에 뒤쳐지지 않고 있다. 애초에 실책 자체가 적은 편.[19] 특히 이는 2021년 신인 내야수 김주원이 주전 유격수급으로 발돋움한 점이 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