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3 03:10:47

불복하는 프랑스


파일:프랑스 상원 로고.svg 파일:프랑스 국민의회 로고.svg 프랑스 공화국 의회
원내 구성
{{{#!wiki style="margin:0px -10px"
{{{#!folding [ 상원 교섭단체 구성 ]
파일:프랑스 공화당 상원 교섭단체 로고.png 파일:프랑스 사회당 상원 교섭단체.png 파일:중도연합(프랑스 상원 교섭단체) 2020.png
[[공화당(프랑스)|공화당 그룹
148석
]]
[[사회당(프랑스)|
65석
]]
중도연합2
57석
파일:민주, 진보, 무소속 연합.png 파일:프랑스 공산당 상원 교섭단체 로고(2020).jpg 파일:RDSE(프랑스 상원 교섭단체) 2014년 로고.png
[[르네상스(정당)|
24석
]]
[[프랑스 공산당|
15석
]]
민주사회적 유럽연합5
14석
파일:무소속-공화국과 국토 그룹 로고.png 파일:생태주의 그룹(2022).jpg 무소속 그룹
무소속-공화국과 국토 그룹6
13석
생태주의·연대·국토
12석
어떤 그룹에도 속하지 않은 상원의원들의 행정 회의7
3석
*. 각 교섭단체 소속 의원은 정당과 상관없이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교섭단체에 있는 정당명과 소속의원의 당적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도 있음.
1. 사회당, DVG(범 좌파 진영), MDC(시민 운동)으로 구성된 교섭단체.
2. UDI 중심의 중도 교섭단체.
3. 르네상스 중심의 교섭단체.
4. 공산당 중심의 교섭단체.
5. 급진운동, 사회당, DVG(범 좌파 진영) 등으로 구성된 중도 교섭단체.
6. 범 우파진영, UDI, 급진운동 등으로 구성된 중도우파 교섭단체.
7. 교섭단체에 가입하지 않은 의원들로 구성되어 있다. 국민연합, 재정복!이 여기에 속한다.
}}}}}}{{{#!wiki style="margin:0px -10px"
{{{#!folding [ 하원 교섭단체 구성 ]
여당
[[르네상스 그룹|파일:르네상스 그룹 로고.png
르네상스 그룹1
170석
]]
파일:민주·민주운동·독립 그룹 로고.png
민주 그룹2
51석
파일:수평선 그룹.png
수평선 그룹3
29석
신임과 보완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공화당 그룹.png
공화당 그룹4
42석
[[자유·독립·해외 및 국토|파일:자유·독립·해외 및 국토.png
자유·독립·해외 및 국토D
2석
]]
파일:국민의회 로고 (회색).png
소속 그룹이 없는 의원
1석
}}}
야당
[[국민연합 그룹|파일:국민연합 그룹 로고.png
국민연합 그룹5
88석
]]
[[불복하는 프랑스|파일:불복하는 프랑스 그룹 로고.png
불복하는 프랑스 그룹6,N
74석
]]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Logo_Groupe_socialiste_AN_2023.svg
사회주의자 및 관계자 그룹7,N
31석
파일:생태주의자 그룹.png
생태주의자 그룹8,N
22석
파일:민주·공화 좌파 그룹 로고.svg
민주·공화 좌파 그룹9,N
22석
파일:공화당 그룹.png
공화당 그룹D
18석
파일:자유·독립·해외 및 국토.png
자유·독립·해외 및 국토10
18석
파일:국민의회 로고 (회색).png
소속 그룹이 없는 의원11
4석
}}}
공석
4석
*. 프랑스 정치 특성상 원내 구성이 자주 바뀌는 경우가 많아 갱신이 늦을 수 있음.
*. 각 교섭단체 소속 의원은 정당과 상관없이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교섭단체에 있는 정당명과 소속의원의 당적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도 있음.
N. 신민중생태사회연합 가맹 그룹.
D. 당과는 다른 성향을 띄는 의원.
1. 르네상스 외 9개 정당 참여중.
2. 민주운동 외 2개 정당 참여중.
3. 수평선 외 3개 정당 참여중.
4. 공화당 외 4개 정당 참여중.
5. 국민연합 외 1개 정당 참여중.
6. 불복하는 프랑스 외 3개 정당 참여중.
7. 사회당 외 4개 정당 참여중.
8. 유럽 생태녹색당 외 3개 정당 참여중.
9. 프랑스 공산당 외 6개 정당 참여중.
10. 사회당 외 9개 정당 참여중.
11. 바로선 프랑스와 불복하는 프랑스 외 2개의 정당의 개별 의원들이 이에 해당함.
}}}}}}



파일:프랑스 상원 로고.svg 파일:프랑스 국민의회 로고.svg 프랑스
정당 목록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연립여당
야당
}}}}}}}}} ||


파일:불복하는 프랑스 신 로고.svg
La France insoumise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592D8F,#fff> 약칭 <colbgcolor=#FFF,#1F2023>FI, LFI
한글 명칭 불복하는 프랑스
굴복하지 않는 프랑스
불굴의 프랑스
창당일 2016년 2월 10일
이념 좌익대중주의
좌익 내셔널리즘[1][2]
민주사회주의
반자본주의
생태주의
대안세계화
온건 유럽회의주의[3]
스펙트럼 좌익[4] ~ 극좌[5][6]
주소 43, rue de Dunkerque1
75010 파리
대선 후보 장 뤽 멜랑숑(Jean-Luc Mélenchon)(2017, 2022)
조정관[7] 마누엘 봉파르(Manuel Bompard)
상원
0석 / 348석
국민의회
72석 / 577석
유럽의회
9석 / 81석
당색
다홍색 (#E83E3F)

보라색 (#592D8F)
기관지 주간 불복종
청년 조직 불복하는 청년
유럽 정당 이제는 인민!
유럽의회
교섭단체

웹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텔레그램 아이콘.svg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1. 개요2. 상세3. 지지 기반4. 역대 선거 결과5. 여담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프랑스의 급진 좌파[8] 민주사회주의 정당.

좌파 정치인 장뤼크 멜랑숑을 중심으로 창당했으며 그의 대통령 선거 출마에 세력 기반이 되었다. 현재에도 사실상 멜랑숑의 리더십과 그의 지지세를 기반으로 하고 있는 정당이다. 전통적으로 사회당이 주도해온 좌파 진영에서 멜랑숑의 대선 출마 발판이 되는 신생 정당으로 출발했지만, 당세가 성장한 현재 사회당을 제치고 프랑스 좌파를 이끄는 최대 정당으로 거듭났다.

2. 상세

2016년 2월 10일 장뤼크 멜랑숑의 주도로 창당하였다.

창당 이듬해인 2017년 대통령 선거장뤼크 멜랑숑을 후보로 내세웠고, 그가 대선후보 토론회에서 나름 활약하며 지지세를 확보, 11명의 후보가 격돌한 1차 투표에서 19.58%를 득표하며 4위에 등극[9]하는 성과를 올렸다. 그 해 치러진 총선에서 멜랑숑을 포함해 17명의 당선자를 내며 약진하였고,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을 배출하며 자유주의 중도파의 신성으로 떠오른 앙 마르슈!와 함께 프랑스 정치권을 뒤흔든 신흥 세력으로 자리 잡았다. 이미 이 시점부터 전통적인 거대 양당 공화당사회당이 서서히 몰락하면서 프랑스 좌파의 중심을 대체하는 정당으로 성장하기 시작했다. 당시 여론조사에 따르면 향후 2022년 총선에서는 의석수를 2배로 늘릴 수 있다는 장밋빛 전망도 나왔다.[10]

원내 입성 뒤 급진적 변화를 추구하는 좌파 정당으로서, 당 소속 의원들이 임기를 시작한 뒤로 원내에서 넥타이를 매지 않아 "드레스코드를 어긴다"는 일부 의원들의 지적에 논란의 중심에 서기도 했다. # 또한 인권을 중시하는 진보좌파의 이념에 따라 원내 정당들 중 무슬림 차별에 가장 적극적으로 반대와 비판의 목소리를 냈으며, 공공장소에서의 히잡 착용을 금지하는 법안에 강하게 반대 의사를 표명하면서 "급진적인 라이시테보다 타 민족과 타 종교에 대한 관용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 덕에 프랑스에서 살아가는 무슬림들로부터 높은 지지를 받았다.

2022년 총선을 앞두고 사회당, 유럽 생태녹색당, 프랑스 공산당과 연합해 '신민중생태사회연합(NUPES)'이라는 범좌파 선거연대를 결성하였다. 좌파의 최대 정당 지위를 상실한 사회당에서 선거연대 참여에 비판적인 여론이 제기되며 논쟁이 일면서 연합 구축에 어려움이 이어졌지만, 결국 연합 참여가 타결되면서 프랑스 좌파의 대부분을 자당 중심의 단일 대오로 묶는 결실을 거두었다. 그리고 총선 결과 NUPES가 131석을 확보하며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의 집권여당에 이어 2위에 오르는 성과를 얻었다. 개헌 저지선 확보까지는 도달하지 못했으나 5년 전에 비해 마크롱 정부를 견제할 만한 의석수를 획득한 셈이어서 좌파 연합 자체는 유의미했다는 평. 이 덕에 사회당을 확실히 누르고 프랑스 진보좌파의 주도권을 쥐었다.

2024년 유럽의회 선거에 타 정당과의 연합 없이 단독으로 참여, 9.89%를 득표하며 프랑스 할당 의석 81석 중 9석을 획득했다. 직전 선거 때보다 3.58%p 상승한 득표율로서 나름 의미가 있었지만, 극우정당 국민연합이 무려 37.37%나 득표해 30석을 가져간 것에 비하면 초라한 성과. 국민연합에 소속 당이 참패한 마크롱 대통령이 즉각 의회를 해산하면서 조기 총선 국면에 돌입하게 되었고, 지난 몇 년간 무섭게 득세한 국민연합과 극우파를 저지하겠다는 목표로 NUPES에 참여했던 범좌파 정당들을 그대로 모아 '신인민전선(NFP)'을 결성하였다. 이후 NFP에 참여한 좌파 정당들과의 선거구별 후보 단일화 협상을 속전속결로 개시, 프랑스 본토 546개 지역구 중 229곳에 자당 후보들을 출마시키기로 했다.[11] 바로 직전에 치러진 유럽의회 선거에서 가장 높은 정당 득표율을 보여주었기에, 이를 기반으로 가장 많은 출마 선거구를 배분받은 것. 그러나 장뤼크 멜랑숑이 자신에게 우호적인 인사들만 후보로 출마시키기 위해 반대파를 노골적으로 밀어내고 심지어 가정폭력 등의 범죄 전력이 있는 인사까지 자신에 대한 찬성파라는 이유로 공천을 주면서 좌파 연합 전체에 균열이 갈 정도로 비판을 받고 있다. #

3. 지지 기반

통계적으로 보았을 때, 주요 지지층은 세대에서 청년(18세~30세), 인종에서 프랑스 흑인과 소수인종, 종교에서 무슬림, 소득 수준에서 저소득층(월 소득 1000유로 이하), 직업군에서 지식인, 임원 및 중개업자, 학력에서 석박사 이상의 고학력자, 정치성향에서 다문화주의자(Multiculturalistes), 노동조합 지지자(Solidaires), 혁명주의자(Révoltés)에서 지지가 높다.

파리 근교에서 지지세가 매우 드높으며 전통적인 사회당 지지층을 흡수해 남프랑스에서 지지세가 있는 편이다.

프랑스 흑인 사이에서 특히 지지가 높으며, 프랑스 흑인들은 대체로 정치권에서 목소리를 내지 못하는 편이지만 불복하는 프랑스 내에서만큼은 영향력이 눈에 띄게 커져가고 있다.

4. 역대 선거 결과

4.1. 프랑스 대통령 선거

연도 선거 후보자 1차 득표수(득표울) 결선 득표수(득표율) 결과
2017 프랑스 대통령 선거 장뤼크 멜랑숑 7,059,951 (19.58%) 진출 실패 낙선 (3위)
2022 프랑스 대통령 선거 7,714,949 (21.95%) 진출 실패 낙선 (3위)

4.2. 국민의회 선거

연도 선거 1차 득표수(득표울) 결선 득표수(득표율) 의석 수
2017 2017년 프랑스 총선 2,497,622 (11.03%) 883,573 (4.86%) 17/577
2022 2022년 프랑스 총선 신민중생태사회연합(NUPES) 참여 72/577

5. 여담

6. 둘러보기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좌파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000,#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프랑스 좌익 정당
파일:불복하는 프랑스 신 로고.svg 파일:사회당(프랑스) 로고.svg 파일:프랑스 공산당 로고.svg
장뤼크 멜랑숑 올리비에 포르 파비앙 루셀
파일:유럽 생태녹색당 로고.png 파일:운동세대 로고.svg 파일:프랑스 좌익급진당 로고.png
야니크 자도 브누아 아몽 기욤 라크루아 }}}
{{{#!wiki style="margin: -21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주요 사상 공화주의 · 자코뱅주의 · 급진주의 · 사회주의 · 아나키즘 · 마르크스주의(마르크스-레닌주의 · 트로츠키주의 · 유럽공산주의) · 생디칼리슴 · 신좌파 · 사회민주주의 · 민주사회주의 · 생태사회주의 · 구조주의 · 포스트모더니즘
사상가 프랑수아 노엘 바뵈프 · 루이 오귀스트 블랑키 · 샤를 푸리에 · 피에르조제프 프루동 · 조르주 소렐 · 장폴 사르트르 · 모리스 메를로퐁티 · 시몬 드 보부아르 · 자크 라캉 · 롤랑 바르트 · 루이 알튀세르 · 미셸 푸코 · 질 들뢰즈 · 펠릭스 가타리 · 장 보드리야르 · 장 프랑수아 리오타르 · 자크 데리다 · 피에르 부르디외 · 에티엔 발리바르 · 자크 랑시에르 · 알랭 바디우
정치인 대통령 프랑수아 미테랑 · 프랑수아 올랑드 · 에마뉘엘 마크롱*
주요 총리 아리스티드 브리앙 · 레옹 블룸 · 에두아르 달라디에 · 기 몰레 · 피에르 모루아 · 미셸 로카르 · 피에르 베레고부아 · 리오넬 조스팽 · 장마르크 에로 · 마뉘엘 발스 · 베르나르 카즈뇌브
기타 장폴 마라 · 조르주 당통 · 막시밀리앙 드 로베스피에르 · 자크 르네 에베르 · 루이 앙투안 드 생쥐스트 · 자크 루 · 필리포 부오나로티 · 장 조레스 · 자크 도리오 · 모리스 토레즈 · 자크 뒤클로 · 로랑 파비위스 · 세골렌 루아얄 · 도미니크 스트로스칸 · 안 이달고 · 다니엘 콩방디트 · 프랑수아 뤼팽
관련 인물 자크루이 다비드 · 외젠 들라크루아 · 귀스타브 쿠르베 · 빅토르 위고 · 에밀 졸라 · 알베르 카뮈 · 누벨바그(장뤽 고다르 · 프랑수아 트뤼포 · 클로드 샤브롤 · 자크 리베트 · 에릭 로메르) · 아니 에르노 · 프레데리크 졸리오퀴리 · 목수정
관련 집단 클뢰브 데 자코뱅(몽테뉴파 · 에베르파) · 상퀼로트 · 클뢰브 데 코르들리에 · 마레파 · 앙라제 · 드레퓌스파 · 급진당 · 인민전선 · 레지스탕스 · 신인민전선(신민중생태사회연합) · 파리 제8대학교 · 파리 낭테르 대학교
언론사 르몽드(르몽드 디플로마티크) · 리베라시옹 · 뤼마니테 · 샤를리 엡도 · 카이에 뒤 시네마
관련 사건 프랑스 혁명 · 리옹 폭동 · 1832년 6월 봉기 · 프랑스 2월 혁명 · 파리 코뮌 · 드레퓌스 사건 · 68혁명 · 노란 조끼 운동
* 대통령 집권 이후로는 좌파 진영의 인사로 분류되지 않는다.
파일:빨간색 깃발.svg 사회주의/분파 }}}}}}}}}}}}

||<-3><tablebgcolor=#002395><tablebordercolor=#002395><tablewidth=100%>
파일:프랑스 국장.svg
||
사회주의 급진·자유주의 자유주의 우파
드골주의
프랑스 내셔널리즘

[1] 출처: #[2] LFI뿐 아니라 프랑스 공산당 등 프랑스 좌파들은 전통적으로 민족주의 성향을 띤다. 다만 여기에서의 민족주의는 혈통에 기반한(ethnic) 민족주의가 아니라 프랑스라는 국가적 정체성에 기반한 국민주의적(nationalism) 민족주의에 가깝다. 프랑스 내셔널리즘 문서 참조.[3] 프렉시트를 공약하는 등 반EU적 성향을 내보였지만 난민 수용에 찬성하고 르펜의 이민공약을 비판하는 등 국민전선같은 극우적 유럽회의주의와는 결이 다르다. 금융위기 이전에 반세계화는 좌파의 구호였다. EU에 비판적인만큼이나 러시아, 미국, 중국 등의 다른 국가에도 비판적이다.[4] BBC[5] 프랑스24[6] 급진적인 사회, 외교, 경제 정책으로 프랑스의 주요 정당은 물론 선진국 주요 정당들을 비교해봐도 가장 좌파 색채가 뚜렷한 정당으로 평가받는다. 프랑스 내의 기준으로는 프랑스 공산당보다도 더 왼쪽에 있다. 그러나 폭력혁명, 프롤레타리아트 독재 등을 추구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노동자투쟁당(Lutte ouvrière), 반자본주의신당(Nouveau Parti anticapitaliste)와 같은 진짜 극좌 정당과는 약간 결이 다르다. 프랑스 내에서는 극좌(extrême gauche)라기보다는 급진 좌파(gauche radicale)로 분류된다.[7] 밀레니얼 사회주의에 기반한 신생 좌파 정당들이 대부분 그러하듯, 당대표 중심의 수직적인 '보스 정치' 풍토를 청산하겠다는 대의명분 하에 당대표 대신 '조정관'이라는 직위를 두고 있다. '대표'로 군림하려 들지 말고 '조정관'이라는 직책명에 맞게 의원과 당원들의 다양한 의견을 '조정'하는 임무 수행자로서 일하라는 것. 물론 말이 조정관이지 실제로는 당대표나 다름없으며, 창당의 핵심 인물이자 두 번이나 대선에 출마한 장뤼크 멜랑숑 개인의 당내 지배력이 매우 강하다는 평이 많아 큰 의미가 없다는 비판이 나온다.[8] 한국 언론뿐 아니라 대다수 외신들도 'gauche radicale(radical left)'라는 표현을 써가며 급진 좌파 정당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좌익 색채가 상당히 짙지만 체제의 과격한 전복이나 폭력 혁명을 부르짖는 극좌 세력이라고까지 보기는 어렵다는 평. #[9] 비록 득표 상위 2인에 들지 못해 1차 투표에서 낙선했지만 창당 1년차인 신생 정당 후보로 출마해 20%에 가까운 득표율을 보인데다 3위 후보인 공화당프랑수아 피용과 불과 0.43%p차, 2위 후보인 국민연합마린 르펜과 불과 1.72%p차를 기록했다. 결정적으로 프랑스 좌파의 전통적 거대 정당인 사회당브누아 아몽 후보(5위)를 무려 13.22%p차로 누르고 4위에 올랐는데, 이 해 대선을 계기로 한 번에 프랑스 좌파의 새로운 거두로 자리매김했다고 볼 수 있다.[10] 5년 뒤인 2022년 이 전망은 사실이 되었다. 그것도 2배를 훌쩍 뛰어넘어 무려 4배로 의석수를 크게 늘렸다.[11] 사회당은 175곳, 유럽 생태녹색당은 92곳, 프랑스 공산당은 50곳에 각각 자신들 당의 후보를 NFP의 단일 후보로 내세우기로 합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