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ddd,#000><colcolor=#000,#ddd> 조르주 소렐 Georges Sorel | |
본명 | 조르주 외젠 소렐 Georges Eugène Sorel |
출생 | 1847년 11월 2일 |
프랑스 왕국 셰르부르 | |
사망 | 1922년 8월 29일 (향년 74세) |
프랑스 제3공화국 불로뉴비양쿠르 | |
국적 | [[프랑스| ]][[틀:국기| ]][[틀:국기| ]] |
가족 | 가족관계 |
학력 | 에콜 폴리테크니크 |
직업 | 이론가 |
종교 | 무종교 ,(무신론), |
[clearfix]
1. 개요
프랑스의 이론가, 철학가, 기자. 좌익 파시즘과 생디칼리슴, 공산주의에 영향을 준 인물로 유명하다.[1]젊은 시절에는 민족적, 국가주의적인 협동조합주의, 말년에 레닌주의로 전향하였다.
2. 생애
1847년 11월 2일 셰르부르에서 사업가의 아들로 태어났다. 학교에 진학하기 위해 1864년 파리로 이사하였고, 1년 뒤 에꼴 폴리테크니크에 입학한다. 그로부터 4년 뒤인 1869년, 공무원이 되었다.3. 사상
소렐의 사상은 생디칼리슴 그 자체였다. 사실 소렐의 사상이 파시즘이니 아나키스트니 레닌주의자니 하는 사람들이 있지만 그는 오직 단 하나의 사상만을 가젔고 이 사상은 그 어떤 정치적 파업도 거부하는 생디칼리슴이였기에 소렐은 그 어느 사상에도 속할 수 없었다.사람들이 여기에 의문을 달고 그럼 왜 소렐은 민족주의의 길을 갔었고 왜 반유대주의자가 됐었고 심지어는 왜 무솔리니와 레닌에 큰 환호를 보냈는가?를 말할 수 있지만 이는 소렐 생디칼리슴의 내용을 보면 알 수 있다.
소렐의 생디칼리슴은 노동자들의 노동조합 조직과 온전한 노동자들의 의지와 힘만에 의한 혁명을 핵심으로 삼았다. 소렐은 여기서 《진보의 환상》(1908)을 통해 정치권이라는 것에 대한 혐오감과, 나아가서 의회라는 것에 대한 혐오감을 통해 정치권과 노동조합간의 모든 관계의 단절을 외쳤고 그의 대표적인 저서《폭력에 대한 성찰》( Réflexions sur la violence)을 통해 그의 사상의 모든 점을 보여줬다.
소렐은 이 책에서 노동자들은 그들을 묶을 하나의 신화적 요소 즉 총파업이라는 요소를 통해 혁명을 이뤄내야한다고 말했다. 이는 곧 전체 노동자의 못해도 반 이상이 정치적 파업 없는 오직 경제적 요소에 근거한 총파업이라는 신화를 통해 혁명을 이뤄내야한다는 주장이였고 이는 노동자의 반 이상을 조직하지 못한다면 총파업 혁명을 이룰 수 없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기도 했다. 그렇기에 소렐은 당시 노동자들이 열광하는 사상에 들어가 참여했고 조직에 들어갔고 움직였다.
소렐이 악시옹 프랑세즈[2]에 참여한 것은 이 시기 드레퓌스 사건에서 프랑스는 광적인 반유대주의에 빠져있던 시기였던 것이였고 그가 민족주의적 성격을 가진 것은 그 당시 프로이센-프랑스 전쟁의 패배로 프랑스 노동자는 광적인 프로이센 왕국의 대한 복수론[3]으로 가득찼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둘의 성격을 가진 이탈리아 파시즘[4]이 탄생하니 이를 지지했다가 레닌의 극적인 성공으로 프랑스 공산당이 엄청난 성공을 거두자 레닌주의자로 돌아선 것도 바로 그 시대의 그 사상이 노동자에게 가장 인기가 있었기 때문이다. 소렐은 이를 토대로 대중이 점점 더 노동조합과 총파업의 신화로 묶여 사회를 혁명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기에 그는 이러한 길을 겪은 것이다.
4. 여담
베니토 무솔리니는 소렐을 파시즘의 아버지라고 평하기도 했다.나치즘의 주요 사상가 알프레트 로젠베르크가 쓴 유명한 책 《20세기의 신화》의 제목에 들어가는 '신화'는 소렐이 쓴 용어인 신화인 것으로 보인다.
5. 둘러보기
제3의 위치 | ||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 공통 | 국수주의 · 민족주의 · 황색 사회주의 · 혼합 정치 · 혁명적 내셔널리즘 · 협동조합주의 |
이념 | 국민생디칼리슴 · 나치-마오주의 · 민족 볼셰비즘 · 민족 아나키즘 · 봄바치주의 · 슈트라서주의 · 순정사회주의 · 신사회주의 · 신시대 중국특색 사회주의 · 아랍 사회주의(바트주의) · 제4의 정치이론 · 좌익 파시즘 · 정통 페론주의 · 주체사상 · 팔랑헤주의 · MAGA 공산주의 | |
정당/조직 | 독일 노동당 · 레히 · 민족 볼셰비키당 · 사회대중당 · 시리아 사회민족당 · 소련 자유민주당 · 아메리카 공산당 · 우크라이나 진보사회당 · 유라시아당 · 전통주의노동자당 · 팔랑헤 · 흑색 전선 | |
인물 | 그레고어 슈트라서 · 기타 잇키 · 니콜라 봄바치 · 베니토 무솔리니 · 알렉산드르 두긴(초기) · 오토 슈트라서 · 에른스트 니키쉬 · 에른스트 윙어 · 조르주 소렐 · 찬드라 보스 · 후안 페론 | |
기타 | 대안 우파 · 보수혁명 · 파시즘 · 인종국민주의 · 적색 파시즘 · 조선민족제일주의 · 좌익 내셔널리즘일부 · 좌익 보수주의일부 · 카다피주의 · 편자이론 |
[1] 과학철학도 꽤 건드리긴 했다...[2] 프랑스의 파시스트 단체로 프로토파시즘 취급을 받으며 극렬한 반유대주의, 반근대주의, 근왕적 지방분권주의, 길드 협동조합주의를 주장했다.[3] 실제로도 프랑스의 혁명적 생디칼리슴 노동조합인 CGT은 당시 프랑스 노동자들 절대다수가 전쟁을 원하는 것에 맞춰 우리는 조합원들에게 정치적인 이유로 무언가를 강제할 수 없으니 그들이 원하는 방향으로 맞춰나가야한다는 생각으로 반전운동이 아닌 찬전운동을 적극적으로 벌였었다.[4] 이탈리아 파시즘 또한 프랑스처럼 1차 세계대전 당시 협상국에게 배신당했다는 것에 대한 복수론, 반유대주의적 성격이 포함됐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