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5 23:49:40

아래 하에서 넘어옴
아래 하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2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3획
중학교
준7급
-
일본어 음독
カ, ゲ
일본어 훈독
した, しも, もと, さ-げる,
さ-がる, くだ-る, くだ-す,
くだ-さる, お-ろす, お-りる
-
표준 중국어
xià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파일:20210727_225050.gif
下의 획순
1. 개요2. 상세3. 용례
3.1. 단어3.2. 고사성어/숙어
4. 인명
4.1. 지명4.2. 창작물4.3. 기타
5. 유의자6. 상대자7. 모양이 비슷한 한자8.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clearfix]

1. 개요

下는 '아래 하'라는 한자로, '아래', '내리다', '내려가다' 등을 뜻한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colbgcolor=#fff,#1f2023>아래
중국어 표준어 xià
광동어 haa6[文] / haa5[白]
객가어 ha[文] / hâ, há[白]
민북어 [文] / à[白]
민동어 [文] / â, giâ[白]
민남어 [文] / ē, hē, kē, khē[白]
오어 xia (T2)[文] / hho (T3)[白]
일본어 음독 カ, ゲ
훈독 した, しも, もと, さ-げる,
さ-がる, くだ-る, くだ-す,
くだ-さる, お-ろす, お-りる
베트남어 hạ

유니코드에는 U+4E0B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MY(一卜)로 입력한다.

어떤 것보다 아래쪽에 있다는 뜻의 지사자이다. (한 일) 아래에 짧은 一을 쓰거나 ㆍ을 찍거나 (뚫을 곤)만 써서 형태로 나타내다가 지금의 下 모양으로 바뀌었다. (윗 상)과는 달리 짧은 획이 오른 아래로 내려가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과 마찬가지로 下도 원래 다음자(多音字)로, '아래'라는 뜻으로 쓰일 때는 상성으로, '내려가다'라는 뜻의 동사로 쓰일 때는 거성으로 읽었다. 그러나 濁上變去[13]로 인해 영향으로 인해 발음의 구분이 사라져 현재는 의미구분없이 그냥 거성으로만 읽는다.

고자(古字)로는 (점 주)가 세 개 합쳐진 𠁼가 있다. 𠁼는 (저 이)의 동자이기도 하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4. 인명

4.1. 지명

4.2. 창작물

4.3. 기타

5. 유의자

  • 𢇦[⿸广壬](아래 임)
  • 𡱡[⿸尸耳](아래 절)
  • 𡱷[⿸尸⿸耳乚](아래 첩)

6. 상대자

7. 모양이 비슷한 한자

8.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물방울 놔)
  • (산기슭 록)[14]
  • 𠧗[⿱上下](희롱할 롱)[15]
  • 𢇗[⿸广下](행랑채 사/하)
  • 𠮴[⿱下口](대답하는소리 앙)
  • 𥤲[⿱穴下](고요할 적)
  • 𧺒[⿺走下](달리게할 졸)
  • (마음허할 특, 진실할 도)
  • (닫을 폐)[16]
  • (내려부는바람 풍)
  • (낮은땅 하)
  • (두꺼비/새우 하)[17]
  • (웃음소리/으를 하, 성낼 혁)[18]
  • (이질 하)
  • (지황 하/호)
  • (땅이름 할)
  • 𨑜[⿺辶下](필)
  • 𢗄[⿰忄下](하)
  • 𢩹[⿰扌下](하)


[文] 문독[白] 백독[文] [白] [文] [白] [文] [白] [文] [白] [文] [白] [13] 전탁음 성모인 상성 글자가 거성으로 변함[14] (산기슭 록)의 동자[15] (희롱할 롱)의 동자[16] (닫을 폐)의 속자[17] (두꺼비/새우 하)의 간체자[18] (웃음소리/으를 하, 성낼 혁)의 간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