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06 11:47:58

윌리엄 워즈워스

워즈위스에서 넘어옴
영문학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중세 (7~15세기) · 서사시 <colbgcolor=#FFF,#1C1D1F>파일:영국 국기.svg초기 영문학: 캐드먼 · 키네울프 · 윌리엄 랭글런드 · 라야먼 · 베오울프의 저자
·소설 파일:영국 국기.svg이야기 문학: 제프리 초서(캔터베리 이야기) · 토머스 맬로리(아서왕 이야기)
산문 파일:영국 국기.svg기독교 신비주의 철학: 리처드 롤 · 노리치의 줄리안
초기 근대 (16~18세기) · 서사시 파일:영국 국기.svg영국 르네상스: 윌리엄 셰익스피어 · 에드먼드 스펜서 · 토마스 와이엇 · 리처드 러브레이스 · 필립 시드니 · 월터 롤리 · 크리스토퍼 말로 / 파일:영국 국기.svg형이상학파: 앤드류 마블 · 존 던 · 조지 허버트 / 파일:영국 국기.svg고전주의: 벤 존슨 · 존 밀턴(실낙원) / 파일:미국 국기.svg청교도 문학: 앤 브래드스트리트 / 파일:영국 국기.svg신고전주의: 존 드라이든 · 알렉산더 포프 / 파일:영국 국기.svg계몽주의: 새뮤얼 존슨 / 파일:미국 국기.svg계몽주의: 필리스 휘틀리 / 파일:영국 국기.svg전 낭만주의: 로버트 번스
·소설 파일:영국 국기.svg영국 르네상스: 윌리엄 셰익스피어(4대 비극과 5대 희극) · 토머스 모어(유토피아) · 니콜라스 유돌 · 크리스토퍼 말로 / 파일:영국 국기.svg고전주의: 벤 존슨 / 파일:영국 국기.svg청교도 문학: 존 버니언(천로역정) / 파일:영국 국기.svg신고전주의: 조너선 스위프트(걸리버 여행기) / 파일:영국 국기.svg신고전주의적 계몽주의: 새뮤얼 리처드슨(파멜라) / 파일:영국 국기.svg계몽주의: 대니얼 디포(로빈슨 크루소) · 헨리 필딩 · 올리버 골드스미스 / 파일:영국 국기.svg전 낭만주의: 로렌스 스턴
산문 파일:미국 국기.svg설교문: 존 윈스롭(기독교 자선의 모범) / 파일:영국 국기.svg문학 비평: 존 드라이든(연극에 대하여, 짧은 수필) / 파일:영국 국기.svg종교 비판: 대니얼 디포(반대자들과 함께 하는 가장 빠른 길) / 파일:영국 국기.svg정치 비판: 조너선 스위프트(겸손한 제안) / 파일:미국 국기.svg정치 비판: 토머스 페인(상식) / 파일:미국 국기.svg자서전: 벤저민 프랭클린(벤저민 프랭클린 자서전)
후기 근대 (19~20세기 초) · 서사시 파일:영국 국기.svg낭만주의: 새뮤얼 테일러 콜리지 ·윌리엄 워즈워스 · 윌리엄 블레이크 · 퍼시 비시 셸리 · 조지 고든 바이런 · 존 키츠 / 파일:미국 국기.svg초월주의: 랠프 월도 에머슨 · 헨리 데이비드 소로 · 월트 휘트먼 / 파일:영국 국기.svg심리 리얼리즘: 로버트 브라우닝 / 파일:영국 국기.svg종교 리얼리즘: 크리스티나 로세티 / 파일:영국 국기.svg리얼리즘적 자연주의: 토머스 하디 / 파일:미국 국기.svg전 모더니즘: 에밀리 디킨슨 / 파일:영국 국기.svg상징주의: 단테 가브리엘 로세티 · 앨저넌 찰스 스윈번 ·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
·소설 파일:영국 국기.svg낭만주의적 리얼리즘: 제인 오스틴(오만과 편견) / 파일:영국 국기.svg낭만주의: 조지 고든 바이런(맨프레드) / 파일:영국 국기.svg초기 리얼리즘 찰스 디킨스(올리버 트위스트) · 조지 엘리엇(미들마치) / 파일:영국 국기.svg고딕 낭만주의: 샬럿 브론테(제인 에어) / 파일:미국 국기.svg낭만주의: 워싱턴 어빙(립 반 윙클) · 제임스 페니모어 쿠퍼 · 허먼 멜빌(모비 딕) · 너새니얼 호손(주홍 글자) / 파일:미국 국기.svg고딕 낭만주의: 에드가 앨런 포(검은 고양이) / 파일:영국 국기.svg고딕 문학: 메리 셸리(프랑켄슈타인) ·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지킬 박사와 하이드) · 브램 스토커(드라큘라) / 파일:미국 국기.svg중기 리얼리즘: 마크 트웨인(톰 소여의 모험) · 헨리 제임스(나사의 회전) / 파일:영국 국기.svg리얼리즘적 자연주의:토머스 하디(테스) / 파일:아일랜드 국기.svg탐미주의: 오스카 와일드(도리언 그레이의 초상) / 파일:영국 국기.svg제국주의 문학: 러디어드 키플링(정글북) / 파일:영국 국기.svg중기 리얼리즘: 조지 버나드 쇼(피그말리온) · 존 골즈워디 / 파일:영국 국기.svg장르 문학: 아서 코난 도일(셜록 홈즈)
산문 파일:영국 국기.svg시학: 퍼시 비시 셸리(시의 옹호) / 파일:영국 국기.svg자서전: 토머스 드 퀸시(영국인 아편 중독자) · 파일:미국 국기.svg철학: 랠프 월도 에머슨(자기신뢰) · 헨리 데이비드 소로(시민 불복종) / 파일:영국 국기.svg서양사학: 토머스 칼라일(영웅숭배론) / 파일:미국 국기.svg자서전: 프레드릭 더글라스(프레드릭 더글러스의 삶에 관한 이야기) / 파일:미국 국기.svg문예창작: 에드가 앨런 포(구성의 철학) / 파일:영국 국기.svg고전주의 경제학 비판: 존 러스킨(나중에 온 이 사람에게도) / 파일:영국 국기.svg문화학: 매튜 아널드(문화와 무정부주의) / 파일:미국 국기.svg철학 및 사회 비판: 마크 트웨인(인간이란 무엇인가?그리고 몇몇 다른 에세이들)
현대 (20~21세기) · 서사시 파일:영국 국기.svg모더니즘: T.S 엘리엇 / 파일:미국 국기.svg모더니즘: 에즈라 파운드 · 월리스 스티븐스 · E. E. 커밍스 · 윌리엄 카를로스 윌리엄스 · 실비아 플라스 / 파일:아일랜드 국기.svg모더니즘: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 · 제임스 조이스 / 파일:미국 국기.svg전통주의적 모더니즘: 로버트 프로스트 / 파일:영국 국기.svg신낭만주의: 딜런 토마스 / 파일:영국 국기.svg허무주의: 필립 라킨 / 파일:아일랜드 국기.svg현대시: 셰이머스 히니
·소설 파일:미국 국기.svg후기 리얼리즘: 펄 벅(대지) · 아서 밀러(세일즈맨의 죽음) · 리처드 라이트 · 싱클레어 루이스 · 어니스트 헤밍웨이(노인과 바다) · 존 스타인벡(분노의 포도) · 테네시 윌리엄스(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 / 파일:미국 국기.svg자연주의: 시어도어 드라이저 · 잭 런던(강철군화) / 파일:영국 국기.svg풍자적 상징주의: G. K. 체스터튼(브라운 신부) · 윌리엄 골딩(파리 대왕) / 파일:영국 국기.svg모더니즘: 버지니아 울프(올랜도) · D. H. 로렌스(채털리 부인의 연인) / 파일:미국 국기.svg모더니즘: 윌리엄 포크너(음향과 분노) · F. 스콧 피츠제럴드(위대한 개츠비) / 파일:아일랜드 국기.svg모더니즘: 제임스 조이스(율리시스) / 파일:미국 국기.svg표현주의: 유진 오닐(밤으로의 긴 여로) / 파일:영국 국기.svg디스토피아: 조지 오웰(1984) · 올더스 헉슬리(멋진 신세계) / 파일:영국 국기.svg판타지: C. S. 루이스(나니아 연대기) · J. R. R. 톨킨(반지의 제왕) · 조지 R.R. 마틴(얼음과 불의 노래) / 파일:미국 국기.svg고딕 호러: 셜리 잭슨(힐 하우스의 유령) / 파일:미국 국기.svg SF: 아서 C. 클라크(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 · 어슐러 K. 르 귄(헤인 연대기) / 파일:미국 국기.svg장르 문학: 스티븐 킹(샤이닝)
산문 파일:미국 국기.svg자서전: 헬렌 켈러(내 삶의 이야기) / 파일:영국 국기.svg기독교 변증학: G. K. 체스터튼(영원한 사람) / 파일:영국 국기.svg페미니즘: 버지니아 울프(자기만의 방) / 파일:미국 국기.svg감정 탐구: 어니스트 헤밍웨이(오후의 죽음) / 파일:영국 국기.svg정치 비판: 조지 오웰(코끼리를 쏘다) / 파일:미국 국기.svg사회 비평: 존 스타인벡(아메리카와 아메리카인)
<colbgcolor=#6b6b6b> 관련 문서: 영문학 | 고전주의 |신고전주의 | 계몽주의 |낭만주의|초월주의|리얼리즘|고딕 소설|자연주의|탐미주의|장르문학|모더니즘|허무주의|상징주의|표현주의|디스토피아|판타지|SF문학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The Nation's Favourite Poet
※ 2009년 영국 BBC 방송이 영국 시민들과 평론가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웹사이트 투표를 바탕으로 '영국에서 가장 사랑받는 시인 30명'을 선정
TOP 30
1위 2위 3위 4위 5위
T. S. 엘리엇 존 던
벤자민 제파니아
필립 라킨
6위 7위 8위 9위 10위
W. B. 예이츠 존 베처만 존 키츠 딜런 토머스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사이먼 아미티지
W. H. 오덴
로버트 브라우닝
로버트 번즈 조지 고든 바이런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새뮤얼 테일러 콜리지 웬디 코프 캐롤 앤 더피 토머스 하디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제라드 맨리 홉킨스 테드 휴즈 로저 맥거프 존 밀턴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크리스티나 로세티
스티비 스미스
출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윌리엄 워즈워스 새뮤얼 테일러 콜리지 윌리엄 블레이크
존 키츠 퍼시 비시 셸리 조지 고든 바이런 }}}}}}
<colbgcolor=#495635><colcolor=#f6d573> 윌리엄 워즈워스
William Wordsworth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William_Wordsworth_at_28_by_William_Shuter2.jpg
출생 1770년 4월 7일
잉글랜드 컴벌랜드 코커머스
사망 1850년 4월 23일 (향년 80세)
잉글랜드 웨스트모얼랜드 라이덜
직업 시인
성향 낭만주의
학력 케임브리지 대학교
배우자 메리 허친슨 (1802년 결혼)
자녀 도라 워즈워스 (1804~1847)
종교 개신교(성공회)[1]
서명 파일:William_Wordsworth_Signature.jpg

1. 개요2. 생애3. 과학 긍정론자인가 부정론자인가4. 대표작

1. 개요

윌리엄 워즈워스는 영국의 낭만주의의 초석을 다져놓은 시인 중 하나이자 영국 왕실의 계관시인[2]이다. 그가 1798년에 새뮤얼 테일러 콜리지와 함께 출판한 <서정가요집>(Lyrical Ballads) 의 서문은 낭만주의의 시작으로 평가되며, 이 점으로 인해 그는 영문학사에서 매우 중요한 작가로 여겨진다.

워즈워스 이전의 시대는 찰스 2세의 왕정복고(1660)부터 지속되고있는 신고전주의의 시대였는데, 이 시대의 시들은 내용이나 상상력보다는 형식과 이성을 추구하고 있었다. 그러나 워즈워스는 '서문'에서 평범한 삶에서 소재를 선택할 것과, 일상적인 언어를 사용할 것, 그리고 그 평범한 일상을 시인의 상상력으로 채색할 것을 말하고 있다.

또한, 신고전주의 시들이 교훈시나 풍자시 등의 목적을 가진 시들이었다면, 워즈워스는 예견된 목적에서 벗어나 "강력한 감정의 자발적 넘쳐흐름"으로 쓰는 시가 좋은 시라고 했다. 워즈워스의 '서문'은 영문학사 뿐만 아니라 유럽문화 전반에 영향을 끼쳤다.

2. 생애

영국 출신으로 프랑스 혁명에 영향을 많이 받은 것으로 보인다. 서정가요집 서문에서 ‘시골 가난한 사람들의 감정의 발로만이 진실이며, 소박하고 친근한 언어가 좋은 시적 언어’라고 하여 18세기식 고전주의의 종말을 알렸다. 후기의 워즈워스는 초기의 혁명적인 마인드[3]를 버리고 보수적인 색채를 갖기 시작하였는데, 이는 프랑스 대혁명의 영향 때문이었다. 1843년에 워즈워스는 영국 왕실이 임명하는 "계관시인"이 되었다.

1850년 4월 23일에 흉막염으로 사망하였다.

3. 과학 긍정론자인가 부정론자인가

워즈워스가 과학에 대해 긍정적이었던가, 아니면 반과학적이었던가는 오랜 논쟁거리 중 하나이다. 월 듀런트는 워즈워스가 과학을 공부했음을 들어 워즈워스가 과학을 공격하기는 커녕 시와 과학의 조화를 추구했다고 주장하지만[4] 반박하는 의견도 있다.[5] 국내의 어떤 연구자는[6] 그가 지질학이나 고생물학에 관심이 많았음을 들어, 지질학과 고생물학 연구를 통해 아이작 뉴턴으로 대표되던 기존의 과학패러다임에 대안을 제시했다고 주장한다. 워즈워스의 시에는 '돌'과 '소라껍질'을 비교하는 비유가 있는데 여기서 돌이 역학, 소라껍질이 지질학, 고생물학이라는 것이다.

4. 대표작



[1] Andrew Bennett, "William Wordsworth in Context" (2015), #[2] 영국 왕실에서 임명하는 왕실 소속 시인으로서 왕실의 경조사 등에 시를 짓고 읊는 일을 한다.[3] 당시 에드먼드 버크를 비난했다가 후에 전향하고 본인의 시를 통해 버크에게 사과한 적이 있다.[4] Durrant, Geoffrey. William Wordsworth. Vol. 584. CUP Archive, 1969.p4[5] 윤효녕 외, '19세기 자연과학과 자연관',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7, p81[6] 윤효녕 외, '19세기 자연과학과 자연관',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7, pp84-85[7] 새뮤얼 테일러 콜리지와 함께 출간한 시집이다.[8] 수록작 중 『초원의 빛』이 매우 유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