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선밴드 | |
| |
리더 | 이태선 |
멤버 인원 수 | 6명 |
활동 시작일 | 1999년 9월 4일 (1회)[1] |
활동 종료일 | 2019년 7월 21일 (1009회)[2] |
활동 장소 | KBS 개그콘서트 |
[clearfix]
1. 개요
2. 특징
- 한 코너가 끝날 때마다 라이브로 즉흥 음악을 연주하며, 코너가 바뀜을 알려주는 일종의 징글 사운드 역할을 맡았다. 때때로 개그에 동참했는데, 직접적으로 개그를 만들었기보다는 간접적으로 뒷받쳐주었거나 갑자기 연주를 해 코너를 끝내는 성향이 강했다.
2.1. 갑자기 연주를 해 코너를 끝냈던 상황
- 김미화가 말하고 있는데 갑자기 음악을 연주해서 김미화를 버럭하게 만든다던가.
- 희극 여배우들에서 윤형빈, 정경미가 결혼 발표를 했을 때 박지선이 말하던 중 갑자기 연주를 한다든가.
- 우비 삼남매에서 김다래가 기타리스트에게 연주 해달라고 부탁해서 연주를 한다든가,
- 쉰 밀회에서 언제나처럼 피아노 치는 척하는 것을 위해 피아노 연주를 해주다 김지민이 연주를 끝냈음에도 혼신의 연기로 연주를 이어나가거나,
- 대화가 필요해에서 김대희의 호언장담이 사실로 드러나 옷을 벗는 위기에 처하자 엔딩 테마를 연주하지 않고 벗어라를 외치는 시청자들과 함께 동조하며 분위기를 만든다던가, 김대희가 말하고 있는데 식구들이 무시하자 이태선에게 가서 형님 집에선 처자식이 무시하고 그러한 얘기를 하는 도중에 갑자기 연주를 한다든가,
- 700 오! 병팔이에서 이병진이 간을 보며 "와우!!"라고 외칠 시간을 기다리고 있는데 이태선이 강탈한다던가,
- 집으로에서 이태선 밴드 진재영 멤버가 김준호 한테 300만원을 마련해 준다고 말했는데, 김준호가 "우리를 위해서 300만원을 주신다는게 사실입니까? 라고 말하자 이태선밴드 전체가 뻥이야라고 말하거나
- 공포의 외인구단에서 이수근이 이태선밴드들에게 드럼!! 이라고 말하자 은성태 멤버가 "뭐?! 드럼? 드럼 세탁기?"라고 하자 밴드 전체가 동시에 "따쒸!"라고 말하거나,
- 조윤호가 이동윤한테 맞고 나가떨어지자
당황하지 않고이태선밴드를 부추겨서 엔딩 테마를 울리게 하거나, - 시청률의 제왕에서 이상훈이 불륜의 증거인 민소매 끈나시를 들키자 생활복이라 주장하자 이태선, 이필원, 홍필선도 그 끈나시를 입고 있다거나,
엔딩 연주할 때도 입고 있었다... - 유민상 장가보내기 프로젝트에서 권재관이 이태선밴드 중에 있는 이유희 멤버를 소개 해줬는데, 권재관 말에 따라서 유민상이 인사하자 키보드를 팍 치던가,
- 박준형의 생활사투리에서 박준형이 효과음을 넣던 정종철을 약하다고 커트를 먹이다가 밴드에게 정종철이 하던 효과음을 연주해줄 것을 주문하자 바로 연주해 주거나,
- 하류인생에서 김준호가 '어머나'와 '땡벌' 노래를 부를 때 부르지 못하게 반주만 연주하다가 끊어버리거나,
깨알같고도 중요한 비중을 보인다. 만약 이태선밴드가 빠졌더라면 개콘의 재미가 반감된다는 말도 있을 정도였다.
1999년 7월 18일(파일럿)부터 2000년 9월 30일(54회)까지 개그콘서트가 시작할때 오프닝곡, 앵콜공연 오프닝을 연주하였다. 그리고 밴드석이
1999년 7월 18일(파일럿)부터 2005년 7월 24일(299회)까지 왼쪽에 있었으나, 2005년 7월 31일(300회)부터 2019년 7월 21일(1009회)까지 오른쪽에 있었다.[4]
2019년 5월 19일, 개그콘서트 1000회 특집에서 엔딩 곡 Part Time Lover가 나오지 않고 Summer Song 으로 나왔다. 예전에도 한번 봉숭아학당 코너 끝나고, Summer Song이 엔딩 음악 으로 나왔었던 적이 있다.[5] 2001년 6월 10일 에도 Time Is 대신 My Woman이 나오다가 Part Time은 그대로 간 적이 있었다.
참고로, 개콘 초창기 멤버를 제외하고 이후 신인 개그맨들하고 연배차이는 크게 나지는 않는다. 이태선밴드 멤버 나이대는 40~60대이다.
3. 멤버
<rowcolor=#ffffff> 이름 | 활동기간 |
이태선 [64] | 리더, 기타 / 1999. 9. 4 ~ 2019. 07. 21[6][7] |
이필원 [54] | 베이스 / 1999. 9. 4 ~ 2019. 7. 21[8][9] |
이유희 [52] | 키보드 / 1999. 9. 4 ~ 2019. 7. 21[10] |
정영아 [57] | 키보드 / 1999. 9. 4 ~ 2019. 7. 21[11] |
은성태 [56] | 드럼 / 1999. 9. 4. ~ 2019. 7. 21[12] |
정경진 [53] | 기타 / 1999. 9. 4 ~ 2002. 5. 5 [13] |
진재영 | 기타, 베이스 / 2002. 5. 12 ~ 2005. 9. 4 / 2006. 3. 5 ~ 3. 12, 6. 25 / 2006.12. 24 마지막 출연[14] |
이수진 [44] | 기타 / 2005. 9. 11 ~ 2006. 3. 5 / 2006. 3. 19 ~ 2009. 9. 13[15] / 2014. 4. 13[16] / 2016. 1. 24 / 2017. 3. 19[17] / 2017. 8. 6, |
전형기 | 기타 / 2009. 11. 8 ~ 2012. 3. 18 / 2012. 4. 8 ~ 5. 6[20] |
홍필선 [43] | 기타 / 2011. 10. 23 / 2012. 3. 25 ~ 2019. 7. 21[21] |
은아경 [25] | 드럼 / 2019. 5. 5[22] |
윤종부 | 베이스 / 2006. 12. 24 / 2010. 6. 13 / 2017. 01. 22, |
주재원 | 베이스 / 2011. 12. 11 / 2012. 1. 1 |
조규원 | 드럼 / 2016. 10. 30 |
담당자명 미상 | 기타 / 2014. 9. 21 |
키보드 / 2015. 9. 13 / 2016. 7. 10 | |
기타 / 2003. 12. 28 | |
베이스 / 2003. 12. 28 | |
드럼 / 2003.12. 28 | |
키보드 / 2003. 12. 28 | |
베이스 / 2012. 12. 2[25] / 2013. 12. 1 / 2014. 1. 19, 11. 30 | |
베이스 / 2006. 3. 26 / 2008. 2. 24, 12. 28 / 2014. 12. 28 | |
키보드 / 1999. 7. 18 | |
베이스 / 2001. 12. 9 | |
키보드 / 2006. 12. 24 | |
키보드/ 2006. 6. 25 | |
키보드 / 2006. 6. 25 | |
베이스 / 2006. 6. 25 | |
기타 / 2009. 11. 15 | |
키보드 / 2010. 2. 21 | |
키보드 / 2009. 10. 25 / 2010. 5. 2[26] | |
키보드 / 2018. 12. 23 |
4. 상세 내용
1999년 7월 18일 파일럿부터 2019년 7월 21일 하차전까지 자리 배치가 한번도 변경되지 않고 고정으로 활동했다. 연주 방식은 리더 이태선이 기타를 왼쪽으로 치켜들면서 신호주면 드럼 탕!치자마자 바로 연주하는 방식이다.[27]근황올림픽에서 리더 이태선이 개그콘서트 코너 끝날 때 연주 관련해서 언급한 내용은 코너를 보고 있다가 시기적절하게 직접 판단하여 연주하는 거지 PD한테 신호를 받아서 연주하는 게 아니라고 했다.[28]
아래의 목록을 보면 알겠지만 막내 기타리스트가 자주 바뀌었다. 홍필선이 합류한 2012년 이후부터는 아주 가끔 이수진하고 2014년부터 번갈아서 나오긴 했다.[29]
4.1. 개그콘서트 코너 출연 내역
- 2005년 1월 30일, 274회 하류인생 코너에서 김대희의 친한친구의 아는 여동생 중에서 키 170cm에 쭉쭉빵빵한(?) 긴 생머리의 음대생 여동생을 소개시켜 준다고 하면서 김준호가 전화를 걸었는데 다름 아닌 밴드 막내 기타리스트 진재영 이었다.2분 56초부터
- 2007년 7월 8일, 400회 특집에서 최효종이 이태선밴드는 10년째 같은 음악도 악보를 보고 친다고 했다.[30] 그리고 임혁필이 밴드 멤버 전원에게 니네들은 아직도 기타치고 앉아있니? 라고 했다.
- 2007년 9월 9일, 409회 삼인삼색 코너에서 박지선이 사실 이 개콘무대에 추파 던지는 놈 있어. 어딘지 알려줄까. 바로 저 밴드에 있다는데 바로 리더 이태선이다.[31] 19분 43초부터
- 2008년 4월 27일, 442회 '출동 김반장' 코너에서 범인의 윤곽이 나와다면서 김준호가 범인으로 데리고간 사람은 다름 아닌 밴드 리더 이태선이었다. 그리고 음악연주는 김시덕이 하였다.[32] 17분 45초부터
- 2013년 10월 27일, 720회 시청률의 제왕에서 드레스를 입고 연주를 했다
- 2019년 5월 26일, 1000회 특집 2부에서 까다로운 변선생 코너에서 박준형이 여러분, 개콘 1회 때부터 1000회 까지 유일하게 나온 이 사람, 이태선 학생(?) 이라고 소개했었다. 2분 35초 부터 엔딩곡은 Feels So Good 이다.
4.2. 개그콘서트 하차 이후 근황
|
근황올림픽 / 2020. 06. 29일자. |
- 2019년 7월 21일, 개그콘서트 에서 하차 후 tvN 플레이어의 2019년 11월 10일과 17일 방송에 등장해서 개콘에서 연주했던 곡들을 연주했다. 'Blue Miles', 'Stand In Line', 'Immigrant Song', 'Hee1(자작곡)', '밍키(자작곡)', 'Swollen Princess', 'Feels So Good', 'I Would Love To', 'Enter Sandman', 'Birdland', 'T Square', 'Part Time Lover'. 연주를 마친 후 키보드 담당 이유희는 각설이 분장을 한 유세윤을 보고 '쟤 세윤이야?' 하며 폭소를 터뜨리기도 하였다.
- 2019년 7월 21일, 8월 개편으로 인해 장장 20년만에 1009회로 하차했다.[33] # 이태선밴드가 개콘의 상징과 다를 바 없었던 만큼, 이 개편에 대해 부정적인 여론이 압도적이었다.[34] '이태선밴드의 하차가 사실상 개콘의 종영'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였는데, 실제로 9개월만인 2020년 6월에 개콘은 종영했다.
- 2020년 6월 26일, 개그콘서트 마지막회인 1050회 방송분에서 마지막 코너였던 봉숭아 학당의 마무리와 동시에 깜짝 등장해 역사와 전통의 개그콘서트 엔딩곡이었던 'Part Time Lover'을 연주했다. 현장은 말 그대로 눈물바다였다.
- 2020년 6월 23일, 개그콘서트 종방과 함께 근황올림픽에도 출연했었다.[35] 하차에 대해 자세한 심경을 밝혔는데 자신들은 출연진이 아닌 함께 개그콘서트를 제작해나가는 스태프에 가까운 역할이었기에[36] 제작자의 결정을 이해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으며, 사실 나이가 어느 정도 차기도 했고[37] 900회 후부터 개콘 위기설이 돌앗는데 그때부터 관객석이 하나둘씩 비어가는 걸 눈치챈 순간부터 어느 정도 예견은 하고 있었다는 듯. 리더 이태선을 비롯한 대부분의 멤버들은 각종 대학의 실용음악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라고 했다.
5. 연주곡 목록
이 문단은 1999년 9월 첫방송부터 2019년 7월 21일까지 연주되었던 곡을 정리한 문단이다. 단, 원곡이 있는 커버곡들의 경우로, 자체제작곡들도 많이 있다. 서술할 때 직접 듣고 비교하면서 서술할 것. 주로 양악들이 많았지만, 동요[39], 가요들이나 심지어 애니송까지 커버하기도 하였다.[40]<rowcolor=#ffffff> 연주곡 |
스티비 원더 - Part-Time Lover (엔딩곡), Isn't She Lovely, I Just Called to Say I Love You, Sir Duke |
딥 퍼플 - Hush, Smoke on the Water, My Woman From Tokyo, Burn, Black Night |
레드 제플린 - Immigrant Song, Whole Lotta Love, Stairway to Heaven, Living loving maid, Heartbreaker, Moby Dick |
마이클 잭슨 - Beat It, Thriller[41], Smooth Criminal |
웨더 리포트 - Birdland |
조 새트리아니 - Surfing with the alien, Summer Song[42] |
본 조비 - You Give Love a Bad Name |
메탈리카 - Enter Sandman, Master of Puppets, Disposable Heroes |
칙 코리아 - Blue Miles |
임펠리테리 - Stand in Line |
주다스 프리스트 - Breaking the Law |
레인보우 - Since You've Been Gone, Man On The Silver Mountain |
AC/DC - Back In Black, Highway to Hell |
제프 벡 - EI Becko |
트위스티드 시스터 - We're Not Gonna Take It |
캔자스 - Carry On Wayward Son[A] |
티스퀘어 - 明日への扉[A], Omens Of Love, Samurai Metropolis[A], Bad Boys & Good Girls, Naughty Boy, Sunshine Shower, Nab That Chap!![46], History |
백스트리트 보이즈 - Everybody |
Nuno Bettencourt - Swollen Princess |
스티브 바이 - I Would Love To, The Crying Machine[47] |
카시오페아 - 太陽風, The Soundgraphy, Eyes of the Mind, Me espere, Mid-Manhattan |
에어로스미스 - Walk This Way |
프랭키 발리 - Can't Take My Eyes off You |
크림 - Sunshine of Your Love |
척 맨지오니 - Feels So Good |
빌리 조엘 - Uptown Girl |
god - 하늘색 풍선[48] |
아유미 - 큐티하니[49] |
미션 임파서블 OST[50] |
엄정화 - 다 가라[51], FESTIVAL(인생은 아름다워) |
안치환 - 사람이 꽃보다 아름다워[52] |
요시마타 료 - 1997 Spring[53] |
핑크 레이디 테마송 |
김원준 - 쇼 2012년 10월 7일 생활의 발견 |
크리스티나 아길레라 - Come on Over |
갈갈이 패밀리 - 네가 전부야[54] |
페이스 힐 - What's in It for Me[A] |
오지 오스본 - Crazy Train |
머틀리 크루 - Dr. Feelgood, Shout at the Devil |
심플 플랜 - I'd Do Anything |
Joan Jett & the Blackhearts - I Love Rock 'n' Roll |
토토 - Hold the Line, Carmen |
블랙 사바스 - Heaven and Hell |
예스 - Owner of a Lonely Heart |
밴 헤일런 - Jump[56] |
ABBA - Gimme! Gimme! Gimme! (A Man After Midnight), Dancing Queen |
체리필터 - 오리 날다, 낭만고양이 오리 날다(1분 50초) |
스키드로우 - Youth Gone Wild, Monkey Business |
아이언 메이든 - Caught Somewhere in Time |
Xavier Cugat - 마리아 엘레나[57] |
클론 - 도시탈출, 월드컵송, 초련, 쿵따리 샤바라[58], 돌아와[59] |
퀸 - Another One Bites the Dust[60] |
등려군 - 첨밀밀[61] |
사라 본 - A Lover's Concerto[62] |
Witches - 떳다!! 그녀!![63] |
신중현 - 미인[64] |
아라베스크 - Hello Mr. Monkey |
존 윌리엄스 - 스타워즈 Main Theme |
신디 로퍼 - She Bop[A] |
김현식 - 사랑 사랑 사랑[66] |
지미 헨드릭스 - Foxy Lady |
Wham! - Freedom |
버글스 - Video Killed the Radio Star |
스탠리 클락 - School Days |
화이트스네이크 - Bad Boys |
리키 마틴 - Livin' la Vida Loca, The Cup Of Life |
비틀즈 - Ob-La-Di, Ob-La-Da, Michelle |
고다이고 - 은하철도 999 |
터틀즈 - Happy Together |
한스밴드 - 선생님 사랑해요[67] |
김혜림 - DDD[68] |
표트르 차이콥스키 - 백조의 호수[69] |
오석준(1966) - 웃어요[70] |
박정운, 오석준(1966), 장필순 - 내일이 찾아오면 |
카일리 미노그 - The Loco-Motion |
에드워드 엘가 - 사랑의 인사[71], 위풍당당 행진곡 |
오 필승 코리아 - 2003. 6. 1 방영분 |
애국가[72] |
국기에 대한 경례 - 1999. 10. 2 |
안토니오 비발디 - 사계 中 겨울 |
펩시맨 송[73] |
로보트 태권 V - 1999. 11. 6 |
윤연선 - 얼굴[74] |
아스트로 강가 주제가[75] |
반갑습니다[76] |
핑클 - 영원한 사랑 |
펠릭스 멘델스존 - 봄의 노래[77], 축혼 행진곡 |
코러스 라인 - Opening(I Hope i get it) |
익스트림 - Suzi |
Pantera - Walk |
DJ DOC - DOC와 춤을 - 2000. 3. 18 |
김종서 - 아름다운 구속[78], Loving U, 실연 |
글렌 밀러 - In the mood |
스콜피온즈 - Hurricane 2000 |
백지영 - Dash |
쿨 - 미절, 애상[79] |
성자들이 행진할 때[80] |
Auld Lang Syne[81] |
B.J. Thomas - Raindrops Keep Fallin' on My Head |
크리던스 클리어워터 리바이벌 - Proud Mary, 수지Q |
블론디 - Call Me[82] |
조용필 - 여행을 떠나요 2000.10.07[83] |
홍경민 - 흔들린 우정 |
오기택 - 아빠의 청춘 2000. 10. 21 |
Bee Gees - Stayin' Alive |
도나 서머 - Hot Stuff |
루트비히 판 베토벤 - 교향곡 제9번 |
코요태 - 미련 |
정수라 - 아! 대한민국 |
Robert Planquette - Le Regiment de Sambre et Meuse |
빌리지 피플 - Go West |
듀크 엘링턴 - Take the "A" Train |
The Emotions - Time Is Passing By[84] |
Baltimora - Tarzan Boy |
블루스 사라세노 - Girth |
러버보이 - Working for the Weekend |
EMF - You're unbelievable |
J. Geils Band - Centerfold[85] |
NENA - 99 Red Balloons |
Lipps Inc. - Funkytown |
히나타 메구미 - Catch You Catch Me |
Ray Parker Jr. - Ghostbusters[A] |
Shocking Blue - Venus |
The Champs - Tequila |
The Knack - My Sharona |
Uriah Heep - Easy Living |
뮤지컬 '렌트' OST - Rent |
Testament - Souls Of Black |
해럴드 팔터마이어 - 영화 '탑건' OST "Top Gun Anthem", Axel F |
Dokken - Unchain The Night |
스테픈울프 - Born To Be Wild |
워렌 힐 - Subway Slam |
글로리아 게이너 - I Will Survive |
Jack Thammarat.- On The Way[A], Mr. Frontman |
Irene Cara - Fame[88] |
Bonnie Tyler - Holding Out for a Hero[89] |
Henry Mancini - Baby Elephant Walk |
영화 사운드 오브 뮤직 - 에델바이스[90] |
머리 어깨 무릎 발[91] |
영화 사운드 오브 뮤직 OST - Do-Re-Mi 1999.11.6 |
겨울바람 - 1999. 12. 18 |
뮤지컬 그리스 - Summer Night, We Go Together |
Edgar Winter - Frankenstein[A] |
Claudja Barry - Boogie Woogie Dancing Shoes |
동요 유관순[93] |
Chumbawamba - Tubthumping |
Hanson - MMMbop |
크리스마스 캐럴 연주곡[94][95] |
피터팬 노래[96] |
김경희 - 사랑의 향기 2000. 10. 28[97] |
Grover Washington Jr - Just the Two of Us[98] |
프란츠 본 주페 - 경기병 서곡 |
사무엘 E. 라이트 - Under the Sea 2003.1.19 |
Bennie Benjamin, Gloria Caldwell, Sol Marcus - Don't Let Me Be Misunderstood[99] |
조지 마이클 - Freedom! '90[100] |
5.1. 자체 제작곡
6. 수상 내역
- 2004년 KBS 연예대상 - 특별상 1시간 35분 15초 부터
- 2004년 당시 멤버 - 이태선, 이필원, 이유희, 진재영, 정영아, 은성태
7. 여담
|
- 2006년~2007년도에 데임 Saint T300기타로 연주했다. 해당 기타의 가격은 438,000원이다. 홈페이지
[1] 1999년 7월에 파일럿 프로그램 때부터 같이 했다.[2] 1999년 7월에 파일럿 프로그램 때부터 같이 했다.[3] 개콘 최다 출연 기록을 가진 김준호도 이태선밴드 앞에서는 감히 명함도 못 내밀 정도다.[4] 확실히 밴드석을 오른쪽으로 옮기고 나서부터 개콘 시작할때 밴드멤버 분들이 잘보였다.[5] Time Is Passing 대신 나오고 Part Time은 그대로 갔다.[6] 옥슨 80 출신으로, 현재 숭실대학교 평생교육원 산하 콘서바토리 실용음악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개승자, 코미디빅리그에 출연했고, TV내무반 신고합니다. 1999년 4월 19일 방송분에서 해군 211기로 해군홍보단에서 군복무를 한 게 밝혀졌다.[7] 의상을 보면 초창기에 양복이나, 검정색 자켓, 1000회 특집때는 정장 입었다.[8] 현재 여주대학교 전임교수로 재직 중이다.[9] 의상을 보면 와이셔츠나, 자켓 등등 입었다.[10] 한 코너가 끝나면 웃으면서 키보드를 치는 모습이 인상적인 멤버다[11] 근황올림픽에서 연장자 역할을 한다고 했다.[12] 현재 경기도 부천시 중동에 EST실용음악학원의 원장님이다.[13] 초창기 장발의 기타리스트. 현재는 김장훈의 밴드 '한국사람'의 기타리스트로 활동 중이다.[14] 2002 ~ 2006년 까지 나왔던 막내 기타리스트로. 2003년 우비 삼남매 등 코너에서 가끔 개그에 참석해서 잘 생긴 외모로 주목을 받았다. 2003년 1월 스타밸리 하차 이전에는 700 오병팔이 에서 이병진 대신 와우!를 외치며 클로즈업 된적도 있었다.[15] 이후에는 다른 기타리스트들이 한명씩 번갈아가며 등장하다가 2009년 11월 8일부터 전형기로 고정됐다.[16] 세월호로 개콘이 5주간 휴방에 들어가기 전 방송분이었다.[17] 다만 사운드는 지난주 방송분 소리였다.[18] 당시 녹화분에선 등장했으나 파업 때문에 지난주 영상이 나갔다.[19] 2005년 9월부터 등장한 막내 기타리스트로 2014년, 2016년 이후에는 가끔 홍필선 대타로 참석하기도 했다.[20] 2012년 봄까지 맡았던 막내 기타리스트다.[21] 전형기가 파업 참가 때만 3번 임시로 등장 하였다가 2012년 3월 부터 2019년 7월 까지 함께 하였고, 마지막회에 엔딩을 담당할 때도 등장하였다.[22] 드럼을 연주하던 은성태의 딸이며 이 중에선 최연소자고, 개그콘서트가 첫 방송을 한 1999년생이다. 2021년 6월 28일에 JTBC 슈퍼밴드 2에 출연했다.[23] 당시 녹화분에선 등장했으나 파업 여파로 영상은 지난주 영상이 나갔다.[24] 2017년 ~ 2018년 즈음해서 이필원 대타로 참석했고, tvN 플레이어 뽕짝스타에 출연했다.[25] 제외하고는 용 그림이 그려진 검정 베이스를 들고 나왔다.[26] 2009~10년도 초반에 이유희하고 번갈아가며 등장[27] 초창기에는 음악을 길게 끌다가 기타를 왼쪽 아래로 내리는 동시에 드럼을 치면서 끝냈다.[28] 2006년 착한 녀석들 코너에서는 내용이 길어지자 김상미 PD가 신호 주는 모습을 볼 수 있다.[29] 마지막 등장은 2019년 2월 이태선밴드의 하차 전 시기다.[30] 2007년 기준으로 7년 8개월 정도 되었다.[31] 그러면서 박지선이 이태선멤버 한테 가까이 오자 밴드는 바로 연주를 하였다.[32] 밴드도 개콘 녹화전에 리허설을 하는데 보면 리허설때 연습한걸로 추정[33] 1999년 7월달 파일럿 프로그램부터 횟수를 정확히 따지면 20년하고 3일이다.[34] 주로 '이태선밴드가 없으면 개콘도 없는 것이다'는 의견이었다.[35] 보통 근황올림픽에 출연하는 대다수가 몇 년이 지나고 출연하는데 이 케이스의 경우 장장 20년 동안 활동했던 사람들이라 단 3일 만에 출연한 것으로 추정된다. 밴드멤버 중에서 드러머 은성태만 불참했다.[36] 실제로 협찬 광고 이후 나오는 제작진 명단에서 이태선밴드의 이름은 항상 빠지지 않고 등장했다.[37] 당장 리더 이태선만 해도 1961년생으로 이미 환갑이 지난 나이이다.[38] 여담이지만 이 영상에서 이태선이 나오기 전에 이승윤, 이상민, 이상호가 나와서 개콘의 오래된 코너중 하나인 닭치고를 따라하기도 했었다.[39] 극초창기에 겨울바람, 머리어깨 무릎 발을 친적이 있다.[40] 예 - 카드캡터 체리 일판 오프닝, '큐티 하니'(갸루상 노래), 은하철도 999 일본판 노래 등등[41] 예전에 주로 장마 홍단, 집으로 납량특집 등 공포 관련 코너에 메인으로 연주되었다.[42] 4대 오프닝 송, 3년 후 연주곡으로 쓰였다.[A] [A] [A] [46] 3대 오프닝곡[47] 2대 오프닝곡[48] 수다맨 코너 테마송. 700, 1000회 특집으로 연주됐다.[49] 멘붕스쿨 코너 테마송.[50] 우격다짐 코너 테마송, 99년에는 스크림 1회에서 연주되었다.[51] 2002. 6. 2~2002. 9. 15 - 갈갈이 삼형제 코너 테마송이었다. 다 갈아[52] 꽃보다 아름다워 코너 테마송.[53] 정명훈 코너 테마송.[54] 2003. 12. 7~ 2004. 2. 8 까지 'Part time lover' 대신 엔딩 음악으로 사용.[A] 한 곡을 두 파트로 나누어 2곡을 연주했다.[56] 두 번밖에 나오지 않았다.[57] 1999년 연주.[58] 2000. 3. 18[59] 2000. 9. 16[60] 1999년 파일럿 방송 당시 연주.[61] '스승님 스승님'으로 자주 쳤던 곡이다.[62] 1999. 11. 20일 확인[63] 2003. 12. 28일[64] 2002. 5. 19 확인[A] [66] 2001년 엽기스런 그녀 테마곡. 2003년 11월 16일에는 9시 언저리뉴스로 연주되었다[67] 2000.7~9 '학교' 테마송.[68] 삼오십오 핸드폰개그 테마송.[69] 2000년 8~9월쯤 연주하였다.[70] 2000년 10월쯤 연주되었다.[71] 2000년 3월 방송에서만 연주되었다.[72] 2006년 월드컵 특집에서 확인.[73] 파일럿 편에서 심현섭 버전의 수다맨으로 연주되었다.[74] 1999. 11. 6[75] 1999. 12. 4[76] 2000. 4. 8 - 그리고 정태우가 나오던 시즌에서도 한번 연주되었다.[77] 2000년 봄 잠깐 나오던 오프닝송[78] 첨밀밀과 함께 스승님 스승님으로 자주 연주된 곡이다.[79] 스타밸리 하차편 도레미에서 연주되었다.[80] 2000년 8월 쯤 연주되었다.[81] 2000. 7. 29[82] 2000. 12. 16[83] 박중민 PD 체제의 마지막 편인 2000년 10월7일 오프닝송[84] 엔딩곡, 'Part Time Lover' 이전의 Intro 부분만을 두 번 사용.[85] 레전드 표절의혹 사건의 송대관 - 해뜰날하고 비슷하다(...)[A] [A] [88] 2000년 10월에 개편 이후 잠시 쓰였던 엔딩곡인데, 어색해서 다시 원래 곡으로 바꿨다고 한다..[89] 2001년 5월 6일 엔딩곡[90] 앞부분만 조금 연주했다.[91] 1999. 11. 6[A] [93] 2000. 2. 26[94] 2007, 2013, 2014, 2016~2018년 연주[95] https://youtu.be/re5vJEHTOOU[96] 2000. 8. 12[97] 개콘 출신 개그우먼인 김경희가 발표한 곡이지만 현재 개콘 53, 59회를 제외하면 자료가 없는 상태[98] 2001. 2. 10, 2.17 한정[99] 2003. 2. 2와 2.16[100] 2002년 1~3월 잠깐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