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7 00:04:54

2007 남북정상회담

파일:한반도기 흰색.svg파일:남북정상회담텍스트.png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6ba4, #0084c9 33%, #0084c9 67%, #006ba4)"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000 2007 2018 2019
제1차 제2차 제3차
<rowcolor=#000,#FFF> 평양
6.13-6.15
평양
10.2-10.4
4.27
5.26
평양
9.18-9.20
6.30
판문점 선언 재확인 9월 평양공동선언 종전 의지 재확인
김대중 노무현 문재인
김정일 김정은
}}}}}}}}}}}} ||

<keepall> {{{#!wiki style="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006ba4, #0084c9 33%, #0084c9 67%, #006ba4)"
{{{#!wiki style="margin: 0 -10px -5px; color: #fff;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방향
남한 주도 흡수통일 · 북진통일
남북합의 평화통일 · 남북연합
북한 주도 적화통일 · 고려연방
기타 영구분단 · 제3국 주도(한미합방 · 한중합방) · 북한 분할
영향
남북통일의 이점
과제
경제
(통일 비용)
군사 정치 행정 및 사법
(행정구역·치안)
외교 교육 인프라
(교통·남한)
스포츠
위화감 수도
(후보지)
급변사태
노력
정상회담 2000년 · 2007년 · 2018년(1차 · 2차 · 3차)
남북합의 7.4 남북 공동 성명 · 남북기본합의서 · 6.15 남북공동선언 · 10.4 남북공동선언 · 판문점 선언 · 9월 평양공동선언
관련 인물 통일운동가
관련 문서
한반도기 · 남북관계 · 6.25 전쟁 · 통일반대론(근거) }}}}}}}}}}}}

2007 남북정상회담
2007年 南北頂上會談
2007 Inter-Korean Summit
파일:external/www.sijung.co.kr/28932_1.jpg
일시 2007년 10월 2일 ~ 2007년 10월 4일
장소 [[틀:깃발|
파일:기.svg
기 명칭
]][[틀:깃발|
파일: 깃발.svg
깃발 명칭
]][[북한|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 평양시
주최 [[틀:깃발|
파일:기.svg
기 명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틀:깃발|
파일: 깃발.svg
깃발 명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북한|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참석
대통령 노무현 국방위원장 김정일
영부인 권양숙 위원장 부인 공석[1]
결과 10.4 남북공동선언
1. 개요2. 진행3. 10.4 남북공동선언4. NLL 대화록 논란5. 여담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제2차 남북정상회담 공식 수행원 착용 휘장.jpg
당시 공식 수행원들이 착용한 휘장
2007년 10월 2일에서 2007년 10월 4일까지 제16대 대한민국 대통령 노무현이 당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방위원장 김정일평양에서 진행한 남북정상회담.[2]

2. 진행

KTV - 2007 선을 넘어
참여정부 수립 이후 임기 초반의 대북송금 특검 등으로 경색된 채 흘러가던 남북관계는 다시 유화 국면으로 나가기 시작했다. 그리하여 2007년 8월 8일 오전, 대한민국과 북한은 동시에 제2차 남북정상회담이 2007년 8월 28일부터 8월 30일에 걸쳐 개최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그러나 2007년 8월 18일 북한은 수해로 인해 회담 일정을 연기할 것을 요청하였고 구체적인 회담 일자 지정을 남측에 일임했다. 이에 남측은 2007년 10월 2일에서 10월 4일 동안 회담을 개최하기로 제안했다.

참여정부는 위원장을 문재인대통령비서실장으로 하는 ‘남북정상회담 추진위원회’와 이재정통일부장관을 단장으로 하는 ‘준비기획단’을 구성하고 준비기획단 산하에 사무처를 뒀다.
파일:external/www.knowhow.or.kr/201308081375934925.jpg
저는 이번에 대통령으로서 이 금단의 선을 넘어갑니다. 제가 다녀오면 더 많은 사람들이 다녀오게 될 것입니다. 그러면 마침내 이 금단의 선도 점차 지워질 것입니다. 장벽은 무너질 것입니다. 저의 이번 걸음이 금단의 벽을 허물고, 민족의 고통을 해소하고, 그동안 당해왔던 우리 민족의 그 많은 고통들을 이제 넘어서서, 평화와 번영의 길로 가는 그런 계기가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원 영상 54초부터.]
노무현 전 대통령, 군사분계선을 통과하기 전.
1차 회담과는 달리 2차 회담에서는 평양개성고속도로를 통한 육로 방문이 합의되었고 일정 첫 날인 10월 2일 9시 5분 대한민국의 대통령 노무현은 1945년 남북분단 이후 대한민국 국가 원수로서는 최초로 도보로 군사분계선을 넘어 북으로 갔다.[3] 북한의 국방위원장 김정일은 4·25 문화회관 앞에서 평양으로 들어온 노무현을 맞이했다.

일정 둘째날인 10월 3일 9시 30분 남북 양측 정상은 소수의 배석자를 대동하고 회담을 가졌고 일정 마지막 날인 10월 4일 양측은 6·15 남북 공동선언에 기초해 남북의 ‘평화와 번영’을 목표로 한 2007 남북정상선언문을 채택했다.

둘째날의 회담에 앞서 노무현 전 대통령은 김정일에게 나전칠기 병풍과 드라마와 영화 DVD, 팔도특산 차 세트를 선물했고 김정일은 노무현 전 대통령에게 500상자의 송이버섯을 선물했다. 청와대에서는 이 송이를 정치인, 소록도 주민, 실향민 단체 등 사회 각계각층과 나누겠다고 공식발표했다. 이때 김정일의 특사로 내려온 것이 바로 박재경 조선인민군 대장인데 이 사람이 바로 1.21 사태 때 살아서 북으로 도주한 무장공비라는 설이 있다.
파일:노무현 평화자동차공장 방문.jpg
남포시 평화자동차종합공장 방문 사진(노무현재단)
노무현 및 수행단은 남포의 평화자동차 공장도 방문하였다.

3. 10.4 남북공동선언

이 회담을 바탕으로 10.4 남북공동선언이 발표되었다. 자세한 건 해당 문서 참조.

4. NLL 대화록 논란

2012년 10월, 제18대 대통령 선거를 앞둔 대선 정국에서 새누리당 정문헌 전 의원이 정상회담 대화록을 본 결과 당시 노무현 전 대통령이 김정일에게 NLL 포기하는 발언을 했다는 의혹을 제기한 사건이다. 자세한 내용은 NLL 대화록 논란을 참조.

5. 여담

  • 남북정상회담의 상징과도 같은 군사분계선 노란선은 기존에는 없던 것이라고 한다. 원래 아무런 표시가 없는 곳에 상징성을 강화하기 위해 새로 그려 넣은 것이다. 문재인문재인의 운명에 따르면 정상회담을 이벤트화 시키지 말라는 노무현 전 대통령의 지시 때문에 노란선을 새로 그리는 건 허가되지 않았으나 당시 문재인대통령비서실장이 책임을 지고 '북한과 합의가 되었다'고 허위보고하여 성사된 장면이라고 한다.#[4] 다만 이를 기획한 문재인 본인은 대통령비서실장 신분으로 서울에 남아 청와대를 지켰다.[5]
  • 조중동 같은 보수 언론이나 보수 인사들은 국군포로 등 납북자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다고 부정적으로 봤는데 특히 만화가 신경무는 조선일보 <조선만평>에서 비난 일변도로 다룬 바 있다. (관련 기사)
파일:3대혁명기념관 방문한 김원기.jpg
북한 안내원의 안내를 경청하는 김원기
  • 2007 남북정상회담의 담례만찬은 쉐라톤워커힐 호텔 조리팀장으로 18차례 국빈만찬을 준비했던 이춘식 쉐프가 준비했으며 남북화합을 상징하기 위하여 8도의 다양한 토속 요리들을 선보였다. 1차 남북정상회담 때는 서울에서 음식을 만들어서 북에 가져갔으나, 2차 남북정상회담 때는 남한에서 온 9명의 요리사들과 북한 요리사 25명이 같이 요리를 만들었는데 북한 요리사들은 플레이팅에 대한 개념이 없어서 당황했다고 한다. #
  • 2024년 5월, 김정은이 노무현이 이 때 방문했던 자동차 공장을 대남타격용 무기 공장으로 전용했다는 것을 공개했다. 평화자동차종합공장 문서 참조.

6. 둘러보기

파일:북한 국장.svg
북한
역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주요 역사적 사건
<colbgcolor=#ccc,#333><colcolor=black,white> 김일성
시대
해방 (1945) · 조선공산당 북조선분국 설치 (1945) · 북조선림시인민위원회 설립 (1946) · 북조선인민위원회 설립 (1947) · 제1기 북한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 (1948)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창건 (1948) · 북·남조선로동당 합당 (1949) · 6.25 전쟁 (1950~1953) · 박헌영-리승엽 간첩 사건 (1953~1955) · 8월 종파사건 (1956) · 중국 인민지원군 철수 (1958) · 재일교포 북송 (1959~1984) · 조소동맹조약 (1961) · 조중동맹조약 (1961) · 갑산파 숙청 사건 (1967) · 1.21 사태 (1968) · 푸에블로호 피랍사건 (1968) · 울진-삼척 무장공비 침투사건 (1968) · 7.4 남북 공동 성명 (1972) · 사회주의헌법 제정 (1972) ·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 (1976) · 아웅 산 묘소 폭탄 테러 사건 (1983) · 대한항공 858편 폭파 사건 (1987) · 제13차 평양세계학생축전 (1989) · 남북기본합의서 (1991) · 남북 유엔 동시 가입 (1991) · 북일수교협상 (1991~1992) · 제1차 북핵 위기 (1993~1994) · 서울불바다 발언 사건 (1994) · 김일성 사망 (1994)
김정일
시대
남북정상회담 무산 (1994) · 고난의 행군 (1994~2000) · 북미 제네바 합의 (1994) · 강릉 무장공비 침투사건 (1996) · 심화조 사건 (1997~2000) · 제1연평해전 (1999) · 남북정상회담 (2000) · 조미 코뮤니케 (2000) · 제2연평해전 (2002) · 새로운 경제관리개선조치 (2002) · 북일정상회담 (2002~2004) · 6자회담 (2003~2009) · 제1차 핵실험 (2006) · 남북정상회담 (2007) · 제2차 핵실험 (2009) · 화폐개혁 (2009) · 천안함 피격 사건 (2010) · 연평도 포격전 (2010) · 김정일 사망 (2011)
김정은
시대
제3차 핵실험 (2013) · 장성택 처형 사건 (2013) · 5.30 조치 (2014) · 제4차 핵실험 (2016) · 제5차 핵실험 (2016) · 김정남 피살 사건 (2017) · 제6차 핵실험 (2017) · 김성일 사건 (2017) · 남북정상회담 (평양공동선언) (2018) · 북미정상회담 (2018, 2019) ·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 사건 (2020) · 반체제 정당 조직 적발 사건 (2021) · 코로나 대유행 (2022) · 연평도 해역 포격 사건 (2024) · 지린성 북한 노동자 폭동 사건 (2024) · 반체제 세력 출현 사건 (2024) · 오물 풍선 살포 사건 (2024)2024년 북러정상회담 (2024)북한 외교관 연쇄 탈북 사건 (2024)주러시아 북한 관전무관 폭사 사건 (2024)평양 무인기 대북전단 살포 사건 (2024)북한의 경의선·동해선 남북 연결도로·철도 폭파 사건 (2024)북한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참전 (2024)
역사왜곡*
항일무장투쟁 타도제국주의동맹 (1926) · 카륜회의 (1930) · 명월구회의 (1931) · 조선인민혁명군 (1932) · 민생단 사건 (1932~1936) · 남호두회의 (1936) · 미혼진회의 (1936) · 동강회의 (1936) · 조국광복회 (1936)
6.25 전쟁 전쟁 발발 책임 · 승패 인식
백두혈통
우상화
김응우 (제너럴 셔먼호 사건) · 김형직 · 강반석 · 김정숙 · 김정일 출생지 왜곡
관련 서적 미제와 일제의 조선침략 죄행 · 백두혈통 우상화 교과서 · 세기와 더불어 · 조선력사
* 괄호 안의 연도는 북한의 주장에 근거한 연도이며, 실제 역사에서는 존재하지 않는 단체 및 사건이거나 실제와는 다른 연도일 수 있음.
상위 둘러보기 틀로 이동하기
}}}}}}}}}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3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3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2000 남북정상회담 때와 마찬가지로 당시 김정일의 비공식 부인이었던 김옥은 등장하지 않았다.[2] 문재인 정부 이전까지는 흔히 제2차 남북정상회담으로 불리웠으나, 문재인 정부에서만 3차례의 남북정상회담이 진행되면서 현재는 혼동을 막기 위해 2007 남북정상회담으로 표기하는 경우가 많다.[3] 노무현 전 대통령의 도보 방북으로부터 11년이 지난 2018년 제1차 판문점 남북정상회담문재인 전 대통령이 도보로 군사분계선을 넘어서 판문점 북측 구역을 잠시 갔다가 다시 남측 구역으로 돌아왔으며 한 달여 뒤에 열린 2018년 제2차 판문점 남북정상회담 때는 차를 타고 판문점 북측 구역으로 가서 회담을 했다. 2007년과 2018년의 총 세 차례 회담을 제외한 모든 대한민국 대통령의 방북은 모두 항공편을 통해 이뤄졌다.[4] 아이디어 자체는 오승록 전 의전비서관실 행정관(현 노원구청장)의 것이다.[5] 대통령의 해외 순방 등에 대통령비서실장은 국내에 남아 상황을 관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