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top: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38200, #af0399)" 보디빌딩 Bodybuilding {{{#!wiki style="margin: -0px 2px -5px; min-height: 28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letter-spacing: -1px; margin: -6px -1px -7px" | <tablewidth=100%><colbgcolor=#ddd,#555> 연관 학문 | |
인물 | ||
기반 | ||
종목 | ||
이론 | ||
운동 | ||
핵심 구성 | ||
부위 | ||
포징 | 규정포즈(라인업 • 프론트 더블 바이셉스 • 프론트 랫 스프레드 • 사이드 체스트 • 백 더블 바이셉스 • 트라이셉스 • 앱도미널 & 타이), 아놀드 포즈, 베큠, 문포즈, 쿼터턴 | |
자격증 | 건강운동관리사 • 스포츠지도사(보디빌딩) • 물리치료사 |
웨이트 트레이닝 Weight Training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근육 분류 | 맨몸운동 | 도구 | 머신 | |||
<colbgcolor=#eee,#333> 전신 | <colbgcolor=#eee,#333> 전신 | 버피테스트 | 역도 / 데빌프레스 (버피테스트 + 푸시 프레스) | |||
상반신 | 팔굽혀펴기 / 턱걸이 | 프레스 | ||||
하반신 | 스쿼트 | 스쿼트 / 데드리프트 | 스쿼트 | |||
대근육 | 가슴 | <colbgcolor=#eee,#333> 큰가슴근 | 팔굽혀펴기 / 딥스 | 벤치 프레스 / 풀오버 / 플라이 | 체스트 프레스 / 펙덱 플라이 / 버터 플라이 / 케이블 크로스 오버 | |
등 | 등세모근 | 슈러그 / 업라이트 로우 | 시티드 케이블 로우 | |||
넓은등근 | 턱걸이 / 인버티드 로우 | 로우(운동) / 풀오버 | 랫 풀 다운 / 시티드 케이블 로우 / 스트레이트 암 풀 다운 | |||
허벅지 | 대퇴사두근 | 스쿼트 / 런지 | 스쿼트 / 런지 | 스쿼트 / 런지 / 레그 프레스 / 레그 익스텐션 | ||
햄스트링 | 하이퍼 익스텐션 | 데드리프트 / 굿모닝(무산소 운동) | 레그 컬 | |||
소근육 | 어깨 | 등세모근 | 슈러그 / 업라이트 로우 | |||
어깨세모근 | 래터럴 레이즈 / 프레스 / 업라이트 로우 | 페이스풀 | ||||
팔 | 이두근 | 컬(무산소 운동) / 바벨 컬 / 덤벨 컬 / 케이블 컬 | 바이셉스 컬 | |||
삼두근 | 딥스 | 라잉 트라이셉스 익스텐션 / 오버헤드 익스텐션 / JM 프레스 | 오버헤드 익스텐션 / 트라이셉스 푸시 다운 | |||
아래팔근 | 리스트 컬 | |||||
코어 | 복근 | 싯업 / 크런치 / 바이시클 메뉴버 / 드래곤 플래그 / AB 롤아웃 | 덤벨 사이드 벤드 | 업도미널 머신 | ||
기립근 | 플랭크 / 굿모닝(무산소 운동) | 굿모닝(무산소 운동) | ||||
대둔근 | 스쿼트 / 런지 / 브리지 | 스쿼트 / 런지 / 힙 쓰러스트 / 굿모닝(무산소 운동) | 스쿼트 / 런지 / 힙 쓰러스트 / 하이퍼 익스텐션 | |||
종아리 | 카프 레이즈 | 카프 레이즈 | 카프 레이즈 | |||
무산소 운동/오해와 진실 |
1. 개요
위팔세갈래근을 단련하는 미는 계열의 운동이다. 클로즈 그립 벤치 프레스와 스컬 크러셔 사이 쯤에 위치한 운동이다. 벤치 프레스 보조 운동으로도 쓰인다.2. 상세
일반적으로 벤치에 누워서 무게를 들어올리는 식으로 수행한다. 덤벨, 바벨, 이지 바등으로 수행한다. 일반적인 웨이트리프팅 바는 관절이 안 좋은 사람들은 덤벨과 이지 바가 가장 낫다. 근비대 효과는 대동소이하다. 스미스 머신에서도 수행할 수 있다.먼저 벤치에 누운 뒤 바벨을 들어 양팔을 위로 뻗은 상태가 준비 자세이다. 그리고 무게를 목 위로 수직으로 내린다. 목표가 외측두면 팔을 몸에 붙이는 식으로, 장두도 같이 단련하고 싶으면 팔을 몸에서 벌리는 식으로 진행한다.
연구에 따르면 삼두 고립운동들은 위팔세갈래근 중 외측두의 성장에 불리하다[1]. 외측두의 성장은 미는 계열의 운동들로 성장되기에 JM 프레스같은 동작들이 매우 유리하다. 단, 일반적으로 미는 계열의 삼두 동작들은 장두의 성장이 전무하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팔꿈치가 몸 바깥쪽으로 가게 벌리면 된다.
3. 수행 방식
3.1. 바벨 JM 프레스
3.2. 스미스 머신 JM 프레스
4. 관련 항목
[1] Brandão, L., de Salles Painelli, V., Lasevicius, T., Silva-Batista, C., Brendon, H., Schoenfeld, B. J., ... & Teixeira, E. L. (2020). Varying the order of combinations of single-and multi-joint exercises differentially affects resistance training adaptations. The Journal of Strength & Conditioning Research, 34(5), 1254-12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