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정경호 | 연제욱 | 강신철 | 윤여원 | 이봄 |
권소현 | 곽예헌 | 유수림 | 나영희 | 박서윤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fff,#fff> 문화방송 탤런트 | |
<colbgcolor=#7D55C7> 1기 (1969) | 김애경 · 박광남† · 박상조 · 박은수 · 서권순 · 이도련† · 임문수† · 임현식 · 조경환† | |
2기 (1970) | 권귀옥 · 김자옥† · 박경현† · 박원숙 · 양정화 · 최은숙 · 한혜숙 | |
3기 (1970) | 국정환† · 김수미† · 김영애† · 박영태 · 손창호† · 안옥희† · 염복순 · 허진 | |
4기 (1971) | 김정 · 김호영 · 나영진† · 박영지 · 신국† · 홍민우 | |
5기 (1972) | 강인덕 · 고두심 · 김동주 · 김정하 · 남영진† · 문회원 · 박정수 · 박종관 · 윤석오† · 이계인 · 정대홍 · 한인수 · 현석 | |
6기 (1973) | 김성찬† · 김주영 · 박윤배† · 백인철 · 송경철 · 오미연 · 유인촌 · 이금복† · 임채무 · 정소녀 · 정태섭† · 홍순창 | |
7기 (1975) | 김동현 · 김해숙 · 노영국† · 송기윤 · 박상규 · 이경진 · 임정하† · 진유영 | |
8기 (1976) | 김보연 · 박병훈 · 이숙 · 이창환 · 전인택 · 한미영 | |
9기 (1977) | 권은아 · 길용우 · 김홍석† · 신신애 · 이원용 · 정한헌 | |
10기 (1978) | 김용선 · 윤순홍 · 이미영 · 이혜숙 · 홍성애 | |
11기 (1979) | 오미희 · 이미지† · 이보희 · 이상숙 · 한영수 | |
12기 (1980) | 김화란† · 나영희 · 송옥숙 · 임영규 · 정선일 | |
13기 (1981) | 김성일 · 박순천 · 최명길 | |
14기 (1981) | 김청 · 김혜정 · 이휘향 · 홍진희 | |
15기 (1982) | 맹상훈 · 박찬환 · 서갑숙 · 신복숙 · 안명숙 · 이동신 · 이상미 · 이영범 · 이원재 · 정성모 · | |
16기 (1983) | 김주승† · 문용민 · 최항석 · 한애경 · 황신혜 | |
17기 (1984) | 견미리 · 김도연 · 노경주 · 윤철형 · 이정훈 · 정호근 · 천호진 · 최재호 · 허윤정 | |
18기 (1986) | 강문영 · 김영석 · 김응석 · 박상원 · 이상철 · 박순애 · 신혜수 · 윤예희 · 이경아 · 이영자 · 이재룡 · 이재훈† · 정명환 · 채유미 · 김환교 | |
19기 (1989) | 김나운 · 김명수 · 김미영 · 김은수 · 김은정 · 김종아 · 김찬우 · 김화영 · 박세준 · 박선영 · 박지영 · 박형준 · 배영옥 · 변소정 · 송경희 · 신윤정 · 양동재 · 오연수 · 유식 · 음정희 · 이명희 · 이진우 · 이창훈 · 임대호 · 임채원 · 장서희 · 장연식 · 정은수 | |
20기 (1991) | 강이은 · 감우성 · 곽진영 · 김소이 · 김현숙 · 박철 · 안신우 · 정경희 · 차광수 · 한석규 | |
21기 (1992) | 김원희 · 박선영 · 박주미 · 안승미 · 윤동환 · 장동건 · 조현숙 · 최범호 | |
22기 (1993) | 김현석 · 손보영 · 심은하 · 왕희지 · 양정아 · 이시은 · 전유진 · | |
23기 (1994) | 손건우 · 안재욱 · 유태웅 · 윤용현 · 이민영 · 이아현 · 이은영 · 이현경 · 최선미 · 최영재 · 최지우 · 황상희 | |
24기 (1995) | 나경미 · 박용우 · 오세정 · 이성재 · 이종수 · 장성원 · 정재곤 · 정준호 · 조미령 · 최지나 | |
25기 (1996) | 강성연 · 구혜진 · 김세아 · 김정은 · 서유정 · 안재환† · 유서진 | |
26기 (1997) | 강지오 · 권연우 · 김승수 · 김옥주 · 박형선 · 손소영 · 정기성 · 홍충민 | |
27기 (1998) | 김용희 · 박솔미 · 박정은 · 박주희 · 송일국 · 이승아 · 허성수 · 홍은희 | |
28기 (1999) | 고정민 · 김철기 · 이세은 · 정소영 | |
29기 (2000) | 박도유 · 박현정 · 손민경 · 손유경 · 인교진 | |
30기 (2001) | 강보라 · 신동미 · 이상이 · 전익령 · 진태현 · 최자혜 | |
31기 (2003) | 김남길 · 김효서 · 이제인 · 장남경 · 전수지 |
※ 특채 탤런트는 제외
※ 나무위키 등재 인물만 기입}}}}}} ||
<colbgcolor=#445C91><colcolor=#fff> 나영희 羅映姫|Na Young hee | |
| |
본명 | 방숙희 (方淑熙, Bang Sukhui) |
출생 | 1961년 10월 29일[1] ([age(1961-10-29)]세) |
충청북도 보은군 보은읍 | |
국적 |
|
본관 | 온양 방씨 (溫陽 方氏) |
신체 | 165cm, 51kg |
가족 | 부모님, 1남 4녀 중 차녀 |
딸 신시아[2] | |
학력 | 안양예술고등학교 (연극영화과 / 졸업) |
종교 | 개신교 |
소속사 | 매니지먼트 오름 |
데뷔 | 1980년 MBC 12기 공채 탤런트 |
링크 |
1. 개요
|
2. 활동
1980년 MBC 12기 공채 탤런트로 데뷔한 이후, 다수의 드라마와 영화를 통해 활발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4]1980년대에는 거의 영화에서만 활동하였는데, 에로성 영화에도 주인공으로 많이 출연했다. 특히《매춘》이라는 영화는 1988년 한국영화 흥행 1위를 차지하였을 정도로 인기를 모았기 때문에, 에로배우로 큰 주목을 받았다.[5] 표독한 악역이나 코믹한 이미지도 잘 연기하는 요즘 TV 활동으로는 상상하기 어렵지만, 1980년대 당시엔 비련의 여주인공, 순애보적 인물을 많이 연기하였다.1990년대 이후 TV로 주 활동 무대를 옮겼다.[6] 대표작으로 2008년 KBS2 드라마《그들이 사는 세상》, 2009년 시청률 30%를 넘긴 MBC 드라마《내조의 여왕》, 2012년 시청률 40% 넘긴 KBS2 드라마《넝쿨째 굴러온 당신, SBS 드라마《옥탑방 왕세자》등 출연작 마다 시청률과 작품이 좋은 반응을 얻었다.
2013년 KBS2 드라마 굿 닥터는 미국에서도 리메이크 되었고, 최고 시청률 28%를 기록한 화제의 드라마 SBS《별에서 온 그대》에서 천송이(전지현 분) 엄마 양미연 역을 맡아 감칠맛 나는 연기로 호평을 받았다.
2014년, MBC 드라마《엄마의 정원》에서는 탄탄한 기업의 사모님이었지만 집안이 망하고 정유미에게 기대며 갱생하는 의붓엄마 유지선 역으로 열연했다. 같은 해 KBS2 드라마《가족끼리 왜 이래》를 통해 매사에 당당하고 적극적인 커리어우먼이지만 아들에게 집착하는 백설희 역으로 활약했다.
2015년 <박지은> 작가의 KBS 드라마 프로듀사에서도 호평을 받았다.
2016년 ~ 2017년 <박지은> 작가의 푸른 바다의 전설에서 사모님보다 더 사모님 같은 연기로 문소리와 좋은 캐미를 보였다.
2017년 ~ 2018년 황금빛 내 인생이 시청률 40%를 넘기는 대박을 친다.
참고로 젊은 시절에는 나이보다 성숙한 이미지였으나, 1990년대 이후 얼굴이 거의 변하지 않은 덕택에 2000년대 이후에는 상당한 동안이 되었다.
박지은 작가의 페르소나로 유명하다. 물론 김남주나 전지현, 김수현처럼 주인공을 여러번 맡은 배우들도 있지만, 나영희는《칼잡이 오수정》과《역전의 여왕》 빼고 전부 출연하는 등 박지은 작가의 작품에 출연한 배우들 중에서 압도적인 출연률을 자랑하고 있다.《사랑의 불시착》은 방영 당시 KBS 주말드라마에 출연중이였던지라 직접적으로 출연하지는 못했으나, 중간에 특별출연으로나마 잠시 나왔을 정도.
한편으로 중견 여배우들이 흔히 겪는 이미지 고착화 루트를 나영희도 그대로 타고 있다는 우려의 의견이 많다. 물론 그런 와중에도 장미희와는 다른 우아한 연기력만큼은 제대로 인정받고 있다.
▲ 드라마 '원 더 우먼' 中 |
▲ 드라마 '황금가면' 中 |
▲ 드라마 '눈물의 여왕' 中 |
▲ 드라마 '신데렐라 게임' 中 |
3. 출연 작품
3.1. 영화
<rowcolor=#fff> 개봉 연도 | 제목 | 배역 | 비고 |
1981년 | 어둠의 자식들 | 카수 영애 | 주연 |
1982년 | 밤의 천국 | ||
낮은 데로 임하소서 | 강은경 | 조연 | |
화녀 '82 | 주연 | ||
열애 | |||
1983년 | 백구야 훨훨 날지 마라 | 은주 | |
나비 품에서 울었다 | |||
장미부인 | |||
적도의 꽃 | |||
1984년 | 그 여름의 마지막 날 | ||
장대를 잡은 여자 | |||
1985년 | 사슴 사냥 | ||
그것은 밤에 이뤄졌다 | |||
설마가 사람잡네 | |||
1986년 | 달빛 타기 | ||
가까이 더 가까이 | |||
눈짓에서 몸짓까지 | 미영 | 특별출연 | |
영웅연가 | 주연 | ||
1987년 | 이브의 건넌방 | 영숙 | |
영점구일칠 | |||
야누스의 불꽃 여자 | 은지 | ||
1988년 | 벽 속의 부인 | ||
아스팔트 위의 동키호테 | 미스 오 | 조연 | |
나신들 | 주연 | ||
매춘 | 나영 | ||
1989년 | 며느리밥풀꽃에 대한 보고서 | ||
매춘 2 | 송나영 | ||
1990년 | 천국의 땅 | ||
1993년 | 망각 속의 정사 | ||
1995년 | 말미잘 | 주연 | |
2002년 | 미션 바라바 | 순애 | |
2008년 | 순정만화 | 수영 모 | 특별출연 |
2012년 | 부러진 화살 | 김경호 부인 | 주연 |
무서운 이야기 - 콩쥐, 팥쥐 | 장여사 | ||
2017년 | 기억의 밤 | 진석 모 | 조연 |
3.2. 드라마
3.3. 방송
<rowcolor=#fff> 출연 날짜 | 방송사 | 프로그램 | 역할 | 비고 |
1986년 | | 한밤의 희망음악 | MC | |
2016년 | | 엄마가 뭐길래 | 출연 | |
2017년 | | 연예가 중계 | 인터뷰 | 1694회 |
3.4. 광고
<rowcolor=#fff> 방영 연도 | 기업 | 브랜드 |
1990년 | LX하우시스 | 럭키 노브롱 |
4. 수상 경력
<rowcolor=#fff> 수상 연도 | 시상식 | 부문 | 작품 |
1981년 | 제2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 신인상 | 어둠의 자식들 |
1982년 | 제21회 대종상영화제 | 특별상 | 백구야 훨훨 날지 마라 |
제18회 백상예술대상 | 영화부문 여자 신인연기상 | 어둠의 자식들 | |
1983년 | 제3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 여자연기상 | 백구야 훨훨 날지 마라 |
1989년 | 제25회 백상예술대상 | 영화부문 인기상 | 매춘 |
2009년 | MBC 연기대상 | 미니시리즈부문 여자 황금연기상 | 내조의 여왕 |
SBS 연기대상 | 드라마스페셜부문 여자조연상 | 스타일 | |
2018년 | 제38회 황금촬영상 | 심사위원 특별상 | 기억의 밤 |
5. 여담
삼풍백화점 붕괴 2시간 전에 너무 더워서 나왔는데 2시간 뒤에 그 큰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가 났다고 한다.[1] 음력 9월 20일.[2] 전 남편 사이에서 낳은 딸이다.[3] 본명 조영숙[4] 데뷔 초기에는 ‘제2의 김혜자’로 불렸다. 실제로 외모가 닮은 구석이 꽤 있다.[5] 당시를 기억하는 사람들 말에 따르면 관능적인 몸매도 몸매지만 엄청난 '꿀피부'였다고 한다.[6] 공채 탤런트 출신이나, 1980년대까지 TV에선 큰 배역을 못 맡은 편이었다. 인기 장르이던 사극에 잘 맞지 않는 외모이기도 했고...[7] 살인교사, 납치, 감금, 약 바꿔치기, 협박, 자작극 등 다채롭다.[8] 아들을 잃었으며, 감옥에서 시한부 판정까지 받아 감옥에서 사망하는 결말을 맞았다.[9] 젊은 시절은 심이영이 맡았다. 심이영과는 넝쿨째 굴러온 당신에서 동서 지간으로 같이 출연한 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