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9 03:03:33

독일의 가을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002664, #000 40%, #000 60%, #cc0000)"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letter-spacing:-.2px"
국가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33%"
{{{#000,#ddd {{{#!folding [ 자본주의 진영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1세계
맹주
유럽
· · · · · · · · · · · · · · ·
[[튀르키예|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터키 ]]
· ·
아시아 & 오세아니아
· · · · · · · · · · · · · · · · · · · · ·
아프리카
· · · · · · · · · ·
북아메리카
· · · · · · · · · · · · · · · ·
남아메리카
· · · · · · · · ·
}}}}}}}}}}}}
{{{#!folding [ 공산주의 진영 ] 
{{{#!folding [ 비동맹 진영 ] 
}}} ||
<colbgcolor=#2d2f34> 주요 사건
제2차 세계 대전 후
(1945~1947)
<colcolor=#000,#ddd>봉쇄정책 · 언싱커블 작전 · 제2차 국공내전 · 철의 장막 · 그리스 내전 · 미소공동위원회 · 트루먼 독트린
전반부
(1947~1969)
마셜 플랜 · 1948년 체코슬로바키아 쿠데타 · 제1차 중동전쟁 · 베를린 봉쇄 · 티토-스탈린 결렬 · 소련의 미국개입유도설 · 6.25 전쟁 · 쿠바 혁명 · 제네트릭스 계획 · 1956년 포즈난 시위 · 1956년 헝가리 혁명 · 제2차 중동전쟁 · 1958년 레바논 위기 · 진먼 포격전 · 스푸트니크 쇼크 · 콩고 내전 · 중소결렬 · U-2 격추 사건 · 1962년 버마 군사반란 · 나는 베를린 시민입니다 · 존 F. 케네디 대통령 암살 사건 · 베트남 전쟁 · 캄보디아 내전 · 피그만 침공 · 쿠바 미사일 위기 · 제3차 중동전쟁 · 68 운동 · 프라하의 봄 · 브레즈네프 독트린 · 우주 경쟁 · 중국-소련 국경분쟁 · 매카시즘 · 상호확증파괴 · 죽의 장막 · 로젠버그 부부 간첩 사건 · 과테말라 내전 · 북예멘 내전 · 해군 당포함 격침 사건
데탕트
(1969~1979)
닉슨 독트린 · 동방 정책 · 닉슨-마오쩌둥 회담 · 7.4 남북 공동 성명 · 핵확산금지조약 · 전략무기제한협정 · 제4차 중동전쟁 · 앙골라 내전 · 베트남 통일 ·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 · 독일의 가을 · 중일평화우호조약 · 이란 혁명 · 중국-베트남 전쟁 · 엘살바도르 내전 · 니카라과 혁명
후반부
(1979~1985)
흑묘백묘론 · 악의 제국 연설 ·그레나다 침공· 이 장벽을 허무시오 ·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 이란-이라크 전쟁 · 스타워즈 계획 · 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 · 콘트라
냉전의 종식
(1985~1991)
글라스노스트 & 페레스트로이카 · 도이머이 ·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폭발 사고 · 북방정책 · 1988 서울 올림픽 · 천안문 6.4 항쟁 · 베를린 장벽 붕괴 · 몰타 회담 · 1989년 동유럽 혁명 · 예멘 통일 · 동서독 통일 · 걸프 전쟁 · 8월 쿠데타 · 남북기본합의서 · 소련 붕괴
탈냉전
국제 기구
·
TIAR · SEATO · ANZUS · CENTO | 경제상호원조회의(СЭВ | COMECON)
군사 대결 구도
미군 vs 소련군 }}}}}}}}}}}}

1. 개요2. 사건의 진행
2.1. 지그프리트 부백 암살 사건2.2. 위르겐 폰토 납치 미수 및 살인 사건2.3. 한스 마르틴 슐라이어 납치 사건2.4. 루프트한자 181편 납치 사건과 슈탐하임 죽음의 밤

1. 개요

German Autumn / Deutscher Herbst

독일의 가을은 1977년 서독에서 바더 마인호프에 의해 발생한 테러 및 범죄를 이른다.

2. 사건의 진행

2.1. 지그프리트 부백 암살 사건

1977년 4월 7일 자택에서 독일 연방 대법원으로 출근하던 지그프리트 부백(Siegfried Bubak, 1920 ~ 1977) 연방검찰총장(Der Generalbundesanwalt beim Bundesgerichtshof)이 바더 마인호프(이하 RAF)에 의해 살해당했다.

지그프리트 부백은 전임 검찰총장인 루트비히 마르틴의 뒤를 이어 1974년부터 RAF의 범죄 행위의 수색과 처벌을 맡아 왔다. 부백의 존재는 RAF에 걸림돌이었고 RAF는 부백을 처리하기로 했다. 암살 당일 RAF는 오토바이를 타고 부백이 탄 벤츠에 접근해 준비해 둔 HK43로 운전사와 부백, 동승했던 검사 게오르크 뷔르스터를 살해했다.[1]
파일:부백 암살.jpg
부백이 타고 있던 차량과 암살범이 타고 있던 오토바이

2.2. 위르겐 폰토 납치 미수 및 살인 사건

위르겐 폰토(Robert Hans Jürgen Ponto, 1923 ~ 1977)는 드레스드너방크 이사회의 의장으로, 살해된 1977년 7월 30일에는 아내와 함께 리우데자네이루로의 휴가를 준비하면서 친구의 딸 수잔 알브레히트(Susanne Albrecht, 1951~ )를 기다리고 있었다. 그러나 수잔은 사실 RAF의 단원이었고 이후 두 명의 남자와 함께 폰토의 집에 찾아와 그를 납치하려고 했지만 폰토의 완강한 저항에 수잔과 공범들은 폰토를 쏘고 도주했다. 폰토는 병원에 실려갔으나 결국 사망했다.

2.3. 한스 마르틴 슐라이어 납치 사건

파일:한스 마르틴 슐라이어.jpg
1973년의 슐라이어[2]

1977년 9월 5일 RAF는 슈탐하임 교도소에 수감된 4명의 단원을 꺼내기 위해 서독경제인연합의 회장 한스 마르틴 슐라이어를 납치했다. "코만도 부대"라고 불리는 슐라이어를 납치하기 위한 특공대는 슐라이어가 탄 호송대를 습격해 운전기사와 경찰 3명을 살해하고 슐라이어를 납치했다.

1977년 10월 18일 후술할 슈탐하임 죽음의 밤 사건에 대한 보복으로 슐라이어는 벨기에 브뤼셀에서 프랑스 뮐루즈로 이동 중 살해당했고 시신은 차량 트렁크에 남겨진 채 발견되었다.

2.4. 루프트한자 181편 납치 사건과 슈탐하임 죽음의 밤

파일:dlh181.svg
181편 납치사건의 진행도
1977년 10월 13일 서독 정부가 협상에 응하지 않자 팔레스타인 해방인민전선의 도움을 받은 RAF는 루프트한자 181편을 납치했다. 팔마 데 마요르카에서 프랑크푸르트로 갈 예정이었던 181편은 RAF와 PFLP 단원에 의해 납치되어 로마, 라르나카, 바레인, 두바이, 아덴을 거쳐 모가디슈에 착륙했다. 10월 18일 소말리아 정부와의 협상 끝에 서독 정부는 특수부대 GSG 9을 투입해 납치범 3명을 사살하고 1명을 체포했다.

구출작전이 성공한 그날 밤 슈탐하임 교도소 1급 보안구역에 수감되었던 바더 마인호프의 지도자 안드레아스 바더, 얀카를 라스페가 권총으로 사망하고 구드룬 엔슬린은 1976년에 사망한 울리케 마인호프처럼 목을 매 죽은 채 발견되었으며 이름가르트 묄러는 에 4군데를 찔린 채 중환자실로 이송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서독 정부는 자살이라고 발표했으나 독일 연방헌법수호청후환을 없애기 위해 이들을 살해하고 자살로 위장했다는 음모론이 끊이지 않고 있다.
[1] 운전사와 부백은 현장에서 사망했으며 같이 차에 타고 있던 뷔르스터 검사는 중상을 입고 일주일 뒤 사망했다.[2] 슐라이어는 나치당원, 친위대 최상급돌격지도자였던 나치 출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