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002664, #000 40%, #000 60%, #cc0000)"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letter-spacing:-.2px" | 국가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33%" {{{#000,#ddd {{{#!folding [ 자본주의 진영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제1세계 | |||
맹주 | ||||
유럽 | ||||
· · · · · · · · · · · · · · · [[튀르키예| · · 터키 ]] | ||||
아시아 & 오세아니아 | ||||
· · · · · · · · · · · · · · · · · · · · · | ||||
아프리카 | ||||
· · · · · · · · · · | ||||
북아메리카 | ||||
· · · · · · · · · · · · · · · · | ||||
남아메리카 | ||||
· · · · · · · · · |
{{{#!folding [ 공산주의 진영 ]
{{{#!folding [ 비동맹 진영 ]
}}} ||벨기에의 대외 전쟁·분쟁 | |||
{{{#!wiki style="color: #000;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전쟁·분쟁 | 교전국 | |
<colbgcolor=#ED2939> 벨기에 혁명 ,1830 ~ 1831, | 네덜란드 연합왕국 | ||
제1차 세계 대전 ,1916 ~ 1918, | 독일 제국 오스트리아 헝가리-제국 불가리아 왕국 오스만 제국 | ||
제2차 세계 대전 ,1940 ~ 1945, | 서부전선 ,1941 ~ 1945, | 나치 독일 | |
한국전쟁 ,1950 ~ 1953, | 북한 중국 | ||
콩고 위기 ,1960 ~ 1965, | 콩고 공화국 | ||
걸프 전쟁 ,1990 ~ 1991, | 이라크 쿠웨이트 공화국 | ||
코소보 전쟁 ,1999, | 유고슬라비아 | }}}}}}}}} |
1. 개요
콩고민주공화국과 콩고 공화국에서 일어난 일련의 내전들을 일컫는 말.2. 콩고 위기(1960~1965)
Congo Crisis당시 콩고 내의 핵심 인물들 (좌측 상단부터 시계 방향으로 조제프 카사부부, 모부투 세세 세코, 모이즈 촘베, 파트리스 루뭄바)
1960년 콩고민주공화국이 벨기에로부터 독립했다. 하지만 한때 콩고 독립운동의 3인방이었던 루뭄바와 카사부부, 촘베 간의 갈등이 심해지면서 콩고는 독립하자마자 분열하기 시작했다. 특히 파트리스 루뭄바 총리와 조제프 카사부부 대통령의 대립이 극심했고, 동남부 카탕가 주 총리 모이스 촘베는 벨기에의 지원 하에[1] 카탕가국으로 독립을 선언하였다. 벨기에군은 유엔의 결의안에 따라 철수했으나, 콩고 식민지군 소속이던[2] 벨기에 군인들은 용병으로 남아 촘베의 편을 들었다. 상황이 이리 되자 내전은 끝나지 않았고 소련 등의 지원을 받던 루뭄바와 프랑스, 벨기에와 남아프리카 공화국 정권의 지원을 받던 촘베, 그리고 미국의 지원을 받던 카사부부 간의 삼파전이자 대리전으로 번졌다.
유엔은 다그 함마르셸드 사무총장의 지시 아래 창설 이래 처음으로 유엔 평화유지군을 파병하기로 결의했다. 유엔 평화유지군은 카사부부 대통령을 지원하여 '카탕가국'으로 독립을 선언한 촘베를 진압하기로 결정하였고 그에 따라 모토르 작전이란 공세작전을 입안하여 카탕가 주의 수도 엘리자베스빌을 점거하는 데 성공했다. 하지만 이 와중에 함마르셸드 유엔 사무총장이 탄 비행기가 격추되어 함마르셸드가 죽는 사태가 벌어졌다.[3]
1961년에는 평화유지군으로 파병했던 아일랜드군 병력이 자도빌에서 촘베의 부대에게 포위되어서 약 6일 동안 저항했으나 결국 항복하고 이후 협상으로 풀려난 일도 있었다.[4] 전투의 자세한 내용은 자도빌 전투 문서 참조.
이런 상황에서 군부의 모부투 세세 세코가 잠정정권을 수립해 카사부부의 묵인 하에 루뭄바를 체포한 뒤 촘베에게 보내서 촘베 휘하의 벨기에 용병단이 처형하게 해 버렸다.[5] 이후 카사부부와 촘베와의 전쟁이 격화되자 모부투는 유엔 평화유지군과 함께 1963년 카탕가의 촘베를 진압했다. 그러나 연합 정권의 극심한 혼란에서 1964년 로디지아를 거쳐 스페인으로 망명한 촘베가 돌아와 총리가 되어 콩고민주공화국 전체의 실권을 쥐게 되었다.
한편 파트리스 루뭄바의 측근이었던 피에르 물렐레가 서남부 크윌루 지역에서 루뭄바의 죽음에 대한 복수를 내걸면서 반란을 일으켰는데 이 반란은 동부로도 크게 확대되어 루뭄바의 동지였던 크리스토프 그벤예가 심바 반란[6]을 일으켜 동부를 장악했다. 피에르와 그벤예는 소련의 지원을 받고 중국과 손을 잡아 마오이즘식 게릴라 전술을 채택했다. 이때 쿠바의 군사고문단도 왔는데 체 게바라도 포함되어 있었다. 이들은 공산주의식 게릴라 전술을 반란군에게 가르쳤다. 총리였던 촘베는 심바 반군 진압을 위해 옛 카탕가주 용병까지 불러오고 모부투와 손을 잡았으나 카사부부와의 갈등으로 정국의 혼돈은 나아지지 않았다.
이에 1965년 모부투는 콩고의 안정을 바란 서양 열강의 지원을 얻어 또 쿠데타를 일으키고 카사부부와 촘베를 모두 축출했다. 이후 모부투는 대통령이 되고 촘베는 스페인으로 망명해 반모부투 활동을 전개했다. 크윌루-심바 반군과 콩고 정부군의 전투는 계속됐으나 체 게바라도 실망할 정도의 오합지졸인 반란군은 지도부 사이의 내부 분열이 극심했다. 중소결렬로 중국과 소련의 사이도 나빠져 국제 공산주의 세력의 지원도 줄어들면서 연이어 패퇴해 결국 내전은 정부군의 우세로 접어들어 최대 10만 명의 희생자를 내고 일단락되었다.[7][8]
1967년 촘베를 지지하던 카탕가 주에서 또 반란이 일어났으나 진압되었고 촘베는 궐석재판에서 사형을 선고받았다. 그는 1967년 프랑스 정보부 DGSE의 전신인 SDECE에게 납치되어 알제리로 끌려갔고[9] 감옥에 갇혔다가 가택연금 상태에서 1969년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패전 직후 도망갔다가 사면을 약속받고 항복한 피에르 물렐레는 체포되었으며 약속은 휴지조각이 되었고 처형되었다. 크리스토프 그벤예는 우간다로 도주를 하고 우간다에서 2015년에 사망했다.
경쟁자가 모두 사라진 상태에서 32년간의 모부투 독재 정권이 콩고에 수립되었다.
3. 콩고 전쟁(1996~2003)
자세한 내용은 콩고 전쟁 문서 참고하십시오.4. 콩고 공화국 내전(1997~1999)
The Republic of the Congo Civil War콩고 공화국은 독재자 드니 사수 응게소에 의해 통치되고 있다가 1990년 공산정권이 무너지고 1992년 민주정부가 출범했다. 이렇게 파스칼 리수바가 권력을 잡는 듯했지만 리수바가 군벌의 무장 해제를 시도하자 응게소가 이를 거부하고 내전을 일으켰다. 결국 최소 13,929명의 사망자와 함께 2년간의 전쟁 끝에 앙골라의 지원을 받은 응게소가 정권을 되찾았고 2024년 현재까지 독재자로 군림하고 있다.
[1] 카탕가의 자원 채굴을 거의 독점하고 있던 벨기에의 회사 우뇽 미니에르(Union Minière)의 입김이 상당했다. 이렇다 보니 카탕가는 정부에 벨기에인 고문이 파견되고 군 수뇌부가 전원 벨기에인으로 채워졌을 정도.[2] 콩고에 주둔하던 벨기에 병력은 본국에서 파견나온 병력과 현지 식민지군으로 나뉘었고, 이는 영국, 프랑스 등 다른 식민제국 역시 마찬가지였다. 1960년 독립 이후 콩고 식민지군은 콩고군으로 재편되었고 이 과정에서 백인 장교들을 쫓아냈는데 이때 전역당한 백인들이 벨기에의 영향력 하에 있어 벨기에인을 우대해주던 촘베의 밑으로 몰려간 것.[3] 사건의 원인은 아직도 밝혀지지 않았다. 사건이 사건인지라 카탕가 측에서 격추시킨 거라는 소문이 무성했으나, 추락 장소였던 로디지아 당국은 격추됐다는 증거를 찾지 못했고 추락 전까지 위험할 수준으로 낮게 날았던 조종사의 과실이라는 결론을 냈다.[4] 이를 소재로 한 '자도빌 포위작전'이란 제목의 아일랜드 영화가 있다.[5] 어처구니없게도 모부투를 진급시켜 준 사람이 바로 루뭄바였다. 은혜를 원수로 갚은 셈.[6] 라이언 킹에 나오는 심바와 같은 의미를 가진 것으로 심바는 사자(용맹함을 비유)를 뜻하는 스와힐리어 단어다.[7] 이때 미국은 공산주의 격퇴라는 명분으로 모부투에 대한 군수품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백인 주민이 스탠리빌에 감금되자 벨기에군이 직접 개입해서 심바 반군을 격파하고 미국은 이를 지원했다.[8] 이때 궤멸된 동부의 심바 반군의 잔당은 로랑 데지레 카빌라에게 흡수되어 지속적으로 모부투를 괴롭혔다.[9] 왜 도와주던 프랑스가 뒤통수를 쳤나면 1967년에 카탕가 주에서 반란이 일어났는데 서방은 미국을 중심으로 이미 모부투를 지원하기로 결정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콩고의 분열을 바라지 않았던 서방 열강은 반란의 구심점이었던 촘베를 그냥 팽해 버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