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color: #C3C96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메이지 시대| 메이지 시대 ]] | |||
<rowcolor=#C3C965>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
이토 히로부미 | 구로다 기요타카 | 야마가타 아리토모 | 마쓰카타 마사요시 | |
<rowcolor=#c3c965> 제5대 | 제6대 | 제7대 | 제8대 | |
이토 히로부미 | 마쓰카타 마사요시 | 이토 히로부미 | 오쿠마 시게노부 | |
<rowcolor=#C3C965> 제9대 | 제10대 | 제11대 | 제12대 | |
야마가타 아리토모 | 이토 히로부미 | 가쓰라 다로 | 사이온지 긴모치 | |
<rowcolor=#C3C965> 제13대 | 제14대 | |||
가쓰라 다로 | 사이온지 긴모치 | |||
[[다이쇼 시대| 다이쇼 시대 ]] | ||||
<rowcolor=#C3C965> 제15대 | 제16대 | 제17대 | 제18대 | |
가쓰라 다로 | 야마모토 곤노효에 | 오쿠마 시게노부 | 데라우치 마사타케 | |
<rowcolor=#C3C965> 제19대 | 제20대 | 제21대 | 제22대 | |
하라 다카시 | 다카하시 고레키요 | 가토 도모사부로 | 야마모토 곤노효에 | |
<rowcolor=#C3C965> 제23대 | 제24대 | 제25대 | ||
기요우라 게이고 | 가토 다카아키 | 와카쓰키 레이지로 | ||
[[쇼와 시대| 쇼와 시대 ]] | ||||
<rowcolor=#C3C965> 제26대 | 제27대 | 제28대 | 제29대 | |
다나카 기이치 | 하마구치 오사치 | 와카쓰키 레이지로 | 이누카이 쓰요시 | |
<rowcolor=#C3C965> 제30대 | 제31대 | 제32대 | 제33대 | |
사이토 마코토 | 오카다 게이스케 | 히로타 고키 | 하야시 센주로 | |
<rowcolor=#C3C965> 제34대 | 제35대 | 제36대 | 제37대 | |
고노에 후미마로 | 히라누마 기이치로 | 아베 노부유키 | 요나이 미쓰마사 | |
<rowcolor=#C3C965> 제38·39대 | 제40대 | 제41대 | 제42대 | |
고노에 후미마로 | 도조 히데키 | 고이소 구니아키 | 스즈키 간타로 | |
[[쇼와 시대| 쇼와 시대 ]] | ||||
<rowcolor=#C3C965> 제43대 | 제44대 | 제45대 | 제46대 | |
히가시쿠니노미야 나루히코 왕 | 시데하라 기주로 | 요시다 시게루 | 가타야마 데쓰 | |
<rowcolor=#C3C965> 제47대 | 제48-51대 | 제52-54대 | 제55대 | |
아시다 히토시 | 요시다 시게루 | 하토야마 이치로 | 이시바시 단잔 | |
<rowcolor=#C3C965> 제56·57대 | 제58-60대 | 제61-63대 | 제64·65대 | |
기시 노부스케 | 이케다 하야토 | 사토 에이사쿠 | 다나카 가쿠에이 | |
<rowcolor=#C3C965> 제66대 | 제67대 | 제68·69대 | 제70대 | |
미키 다케오 | 후쿠다 다케오 | 오히라 마사요시 | 스즈키 젠코 | |
<rowcolor=#C3C965> 제71-73대 | 제74대 | |||
나카소네 야스히로 | 다케시타 노보루 | |||
[[헤이세이 시대| 헤이세이 시대 ]] | ||||
<rowcolor=#C3C965> 제75대 | 제76·77대 | 제78대 | 제79대 | |
우노 소스케 | 가이후 도시키 | 미야자와 기이치 | 호소카와 모리히로 | |
<rowcolor=#C3C965> 제80대 | 제81대 | 제82·83대 | 제84대 | |
하타 쓰토무 | 무라야마 도미이치 | 하시모토 류타로 | 오부치 게이조 | |
<rowcolor=#C3C965> 제85·86대 | 제87-89대 | 제90대 | 제91대 | |
모리 요시로 | 고이즈미 준이치로 | 아베 신조 | 후쿠다 야스오 | |
<rowcolor=#C3C965> 제92대 | 제93대 | 제94대 | 제95대 | |
아소 다로 | 하토야마 유키오 | 간 나오토 | 노다 요시히코 | |
<rowcolor=#C3C965> 제96-98대 | ||||
아베 신조 | ||||
[[레이와 시대| 레이와 시대 ]] | ||||
<rowcolor=#C3C965> 제99대 | 제100·101대 | 제102·103대 | ||
스가 요시히데 | 기시다 후미오 | 이시바 시게루 | ||
← 태정대신 섭관 · 원정 · 헤이케 · 가마쿠라 · 무로마치 오다 · 도요토미 · 에도 · 내무경 · 총리 | }}}}}}}}} |
무라야마 도미이치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
선거제도 개편 | → | 제41대 무라야마 도미이치 | → | 제42대 구기야마 반 |
사회민주주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 <colbgcolor=#ff3f9f><colcolor=#fff,#eee> 주요 개념 | 경제적 개입주의 · 공동체주의 · 공정무역 · 국가사회주의 · 국유화ㆍ국제주의 · 노동운동 · 노동조합 · 민주주의(경제민주주의 · 대의민주주의 · 자유민주주의) · 복지국가 · 시민자유 · 자유무역 · 사회개량주의 · 사회 정의 · 사회주의 · 자유주의 · 제3의 길 · 협동조합주의 · 혼합경제 |
연관 이념 | 21세기 사회주의 (일부) · 민주사회주의 ㆍ 사회자유주의 · 윤리적 사회주의 · 자유사회주의 · 좌익 내셔널리즘 (일부) · 진보주의(경제적 진보주의) | |
대표적 인물 | 에두아르트 베른슈타인 · 가타야마 데츠 · 넬슨 만델라 · 다비드 벤구리온 · 라사로 카르데나스 ·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룰라주의) · 무라야마 도미이치 · 버니 샌더스 · 버트런드 러셀 · 브루노 크라이스키 · 빌리 브란트 · 알렉산드르 케렌스키 · 에다 사부로(구조개혁론) · 에이나르 게르하르센 · 올로프 팔메 · 유진 V. 데브스 · 자와할랄 네루 · 제러미 코빈 · 존 커틴 · 타게 엘란데르 · 존 러스킨 · 클레멘트 애틀리 · 토니 블레어(블레어주의) · 페르 알빈 한손 · 프리드리히 에베르트 · 해럴드 윌슨 | |
단체 | 국제 노동조합 연맹 · 사회당(유럽 사회당) · 사회민주당 · 사회주의 인터내셔널 · 진보동맹 · 프리드리히 에베르트 재단 | |
관련 문서 | 노동 시오니즘 · 삼민주의(삼균주의) · 인터내셔널가 · 지도주의 · 키르치네르주의 · 핑크 타이드 · 황색 사회주의 · 국민의 집 | }}}}}}}}} |
}}} ||
<nopad> | |||
<colbgcolor=#0230AE><colcolor=#c3c965> 출생 | 1924년 3월 3일 ([age(1924-03-03)]세)[1][2] | ||
오이타현 오이타시 | |||
현직 | 메이지대학 고문 | ||
재임기간 | 제81대 내각총리대신 | ||
1994년 6월 30일 ~ 1996년 1월 11일 | |||
서명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230AE><colcolor=#c3c965> 배우자 | 무라야마 요시에 | |
자녀 | 슬하 2녀 | ||
신체 | 178cm, O형 | ||
학력 | 오이타시립 나카지마 심상소학교[3] (졸업) 오이타시립 오이타 고등소학교[4] (졸업) 메이지대학 전문부 (정치경제과 / 졸업) 메이지대학 (법학 / 명예박사) 숭실대학교 (법학 / 명예박사) | ||
병역 | 일본 제국 육군 군조 전역 | ||
정당 | |||
지역구 | 오이타 1구 | ||
의원 선수 | 8 (중) | ||
의원 대수 | 33, 34, 35, 37, 38, 39, 40, 41 | ||
약력 | 오이타현 어촌청년동맹 서기장 오이타시의회 의원 오이타현의회 의원 중의원 의원 제13대 일본사회당 중앙집행위원장 제81대 내각총리대신 초대 사회민주당 당수 여성을 위한 아시아 평화국민기금 이사장 사회민주당 고문 사회민주당 명예 당수 | }}}}}}}}} |
1. 개요
일본의 정치인. 제81대 내각총리대신을 역임했다.2. 생애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무라야마 도미이치/생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무라야마 도미이치/생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논란
3.1. 1994년 김일성 조전 논란
1994년 7월 8일 김일성이 사망했는데 그는 일본사회당 명의로 김일성의 사망을 애도하는 조전을 보냈다.# 이 같은 행보에 대해 일본사회당은 조선로동당과의 오랜 우호관계 때문이라고 밝히고 있으나, 한반도 문제 전문가들은 일본 특유의 국익을 위한 남과 북에 대한 줄다리기식 외교라고 분석했다.그는 조전을 통해 "'위대한 지도자 김 주석의 갑작스런 사망에 가슴깊이 우러나오는 깊은 애도의 뜻을 전한다"'라고 밝혔다.[5][6][7] 이 조전이 논란이 되자 14일에 일본 정부 측은 총리 혹은 각료의 명의로 김일성을 조문하거나 조전을 보내지 않겠다고 밝혔으며 각국 재외공관에 이를 통보했다.
3.2. 한일합병에 대한 발언 논란
1995년 8월, 무라야마 총리는 한일합병은 합법적이었다는 발언으로 논란을 빚었는데, 자민당 인사도 아닌 사회당 같은 야당 출신이 종래의 일본국 정부 입장을 답습하며 발언했다는 점에서 더욱 충격을 줬다.(연합뉴스 기사) 이에 대해 외무부는 소극적으로 대응해 국민들의 거센 질타를 받았으며(MBC 기사) 이에 따라 뉴욕에서 열릴 예정이던 양국간 정상회담마저 무산되면서 한일 관계가 일시적으로 싸늘해졌다.(KBS 기사)무라야마 총리는 또 일본 정부가 과거의 역사에 대해 깊은 반성과 사죄의 뜻을 밝혔지만 이는 정치적 도의적인 것일 뿐이라고 덧붙였다. 내각총리대신이 공식석상에서 한일합방을 합법이라고 말한 것은 매우 이례적인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그러나 일본 정부는 지난 65년 한일국교 정상화 이후 줄곧 한일합방조약은 합법이라고 주장해왔으며 일본의 수많은 정치인들도 같은 주장을 되풀이하고 있다. 최근의 예로는 95년 6월 와타나베 전 외무대신이 지방에서의 강연을 통해 한일합방이 강제로 체결된 것이 아니며 합법이라고 주장해 물의를 빚기도 했다. 무라야마 총리는 단편적으로 들으면 오해를 사겠지만 의사록을 잘 읽어보면 자신의 생각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라며 아직발언을 철회하지 않았다.[8]
무라야마 총리는 17일에도 한일합병조약은 형식적으로 존재한다고 말해 이 조약이 합법적으로 체결됐음을 거듭 강조했다. 무라야마 총리는 오늘 참의원 예산위원회에서 답변을 통해 이같이 말하고 합방조약의 형식과 정치적도의적 견해는 별개라고 밝혔다. 무라야마 총리는 그러나 정치적 도의적 실태 론으로 판단하면 한일합방조약이 대등하고 평등하게 체결된 것은 아니라고 인정하면서 자신의 발언이 파문을 일으킨데 대해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무라야마 총리는 식민지 지배가 현실적으로 있었던 만큼 사실을 직시하고 사과할 것은 사과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무라야마 총리는 그러나 지난 5일 한일합방조약과 관련한 자신의 망언을 취소하지는 않았다.[9]
그러나 11월 19일, 김영삼 대통령과의 회담에서 자신의 발언에 대한 잘못을 시인함으로써 이 사건은 일단락되었다.[10][11][12]
4. 평가
4.1. 총리
한국에서는 1995년 광복 50주년을 맞아 발표한 무라야마 담화를 통해 식민지 지배와 침략 전쟁에 대해 명시적으로 사죄한 점에서 긍정적으로 기억되는 인물이지만, 일본 국내에서는 재임 중 발생한 대형 사건들에 대한 대응 실패, 낮은 지지율, 그리고 사회당의 쇠퇴와 연계된 책임론으로 인해 비판적인 시각이 많다.무라야마의 총리 재임 기간은 약 1년 6개월로, 비교적 짧지 않은 시간이었지만 굵직한 사건들이 잇따랐다. 1995년 1월, 전후 최대 규모의 피해를 남긴 고베 대지진이 발생했고[13], 3월에는 옴진리교의 도쿄 지하철 사린 사건이 일본 전역을 충격에 빠뜨렸다. 특히 고베 대지진 당시 정부의 초기 대응이 미흡했다는 비판은 무라야마 내각의 리더십을 심각하게 흔들었고, 이후 내각은 낮은 지지율로 국정을 주도하지 못한 채 방어적으로 운영되었다.
개인적으로 무라야마는 청렴하고 온화한 인물로 평가받았으며, 파벌 정치에 얽매이지 않는 자세로도 알려졌다. 그러나 권력 의지가 약하고, 총리 재임 초부터 사의를 밝히는 등 소극적인 태도는 총리로서의 존재감을 약화시켰다. 더구나 자민당과의 연립 내각에서 자민당이 의석의 절대다수를 차지한 상황에서는 사회당 출신 총리로서 독자적 리더십을 발휘하기 어려웠다. 내각 내 실질적 권력은 고노 요헤이 외무상 등 자민당 출신 인사들이 대부분 쥐고 있었으며, 무라야마는 상징적인 총리에 가까운 위치에 머물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라야마 내각은 몇 가지 중요한 사회정책을 추진했다. 대표적인 것이 상기한 무라야마 담화였고, 피폭자 구제법 제정, 미나마타병 미인정 환자에 대한 전면 구제 조치도 이루어졌다. 이처럼 일정 부분 사회당 출신 내각의 정책적 정체성을 반영한 시도도 있었다.
반면 사회당 내부에서는 무라야마가 총리가 되기 위해 지나친 정치적 타협을 감행했다며 비판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실제로 무라야마 총리 사임 이후, 사회당은 사회민주당으로 당명을 바꾸었지만, 조직 기반이 급속히 붕괴되었다. 일부는 신당 사키가케 출신들과 함께 신생 민주당으로 이동했고, 1996년 총선에서는 불과 15석만을 얻으며 사실상 몰락했다. 이후 사회민주당은 중의원에서 10석도 확보하지 못하는 군소정당으로 전락했으며, 현재는 사실상 오키나와현을 제외하면 전국적 영향력이 거의 없는 정당이 되었다.
이처럼 무라야마는 한때 일본 사회당이 집권에 참여한 상징적 인물이었지만, 재임 중 터진 대형 재난과 정치적 한계로 인해 총리로서 강한 인상을 남기지는 못했다. 또한 사회당의 정책 노선을 중도적으로 조정하고 비현실적인 정책 일부(예: 자위대 해체론, 과도한 친북 태도 등)를 철회하는 시도를 했지만, 이는 오히려 기존 지지층의 이탈로 이어졌다. 결과적으로 그의 개혁은 ‘대중화’라기보다는 ‘정체성 상실’로 비춰졌고, 당의 기반을 더 약화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물론 무조건 비판 일색은 아니다. 무라야마 집권기 일본 경제는 1991년 이후 최고 성장률인 2.7%를 기록하며 잠시 반등의 조짐을 보이기도 했다. 그러나 그 이후의 일본 경제는 후임 하시모토 내각의 소비세 인상을 시작으로 다시 하강 국면에 접어들었고, 이로 인해 무라야마 내각의 성과는 상대적으로 묻히는 결과를 초래했다.
오늘날 무라야마 도미이치는 '정치'보다는 '역사'의 인물로 평가되고 있다. 정치 지도자로서의 실책과 한계는 차츰 희미해지는 반면, 침략 책임을 분명히 인정한 '무라야마 담화'의 상징성은 더욱 부각되고 있으며, 온화하고 청렴한 지도자라는 개인적 이미지도 남아 있다.
4.2. 사회당
사회당 내에서는 무라야마가 총리가 되고 싶어서 여기저기 기웃거려서 사회당이 결국 망한 거라고 비난하는 자들도 있는 모양이다.일단 무라야마 집권 이후 사회당이 확연히 추락한 것은 사실이다. 무라야마 도미이치가 물러나고 사회민주당으로 당명 변경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구 사회당 의원과 당원, 노조 등의 조직의 상당수가 사민당에 미래가 없다고 판단해서 신당 사키가케 탈당파 의원들[14]과 합세해서 구 민주당으로 빠져나갔다. 이때 도이 위원장과 더불어 무라야마 본인도 민주당에 입당하려고 했지만, 당시 당권을 잡고 있던 간 나오토와 하토야마 유키오는 도이와 무라야마의 이미지가 너무 나쁘다며 이들의 입당을 거부할 정도였으니 당시의 인식을 엿볼 수 있다.
그러고서 사민당은 1996년 총선에서 고작 15석을 얻는 참패를 당했고 그 이후로는 1998년 참의원 선거와 2000년 중의원 선거를 제외하면 중의원에서 10석도 못얻는 군소야당이 되어버렸다. 불과 199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사회당에 비하면 비교도 할 수 없을 정도로 작은 정당인 일본공산당이 야당 중 늘 1당 역할을 맡아왔던 사회당을 추월할 것이라고는 상상도 못했는데, 21세기에 접어든 오늘날에는 사민당보다 규모가 월등히 큰 정당이 되어버렸다는 점이 이를 방증한다.
그러나 사회당 몰락의 책임을 전부 무라야마 도미이치에게 전가할 수는 없다. 단독내각도 압도적 다수의 연립내각도 아닌 상황에서 당의, 자신의 정체성을 온전히 드러내기는 쉽지 않았다. 애당초 자민당에 밀려 정권을 잡은 경험도 없었기 때문에 수권능력이 부족한 것은 어쩔 수 없는 면이 있다. 그리고 일본사회당의 당세는 무라야마 집권 이전에 일찍이 1960년대 이후로 나리타 도모미 위원장과 도이 다카코 위원장 시절을 제외하면 꾸준히 정체, 혹은 하락세였다.
무라야마 총리 시절 사회당은 그동안 거듭해왔던 비현실적인 정책 일부[15]를 수정하여 중도화를 꾀하는 등 나름 사회당의 대중화를 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다만 이와 관련해서는 무라야마의 이러한 조치로 인하여 그나마 사회당에 남아있던 유권자들마저 사회당의 불분명한 색채에 회의감을 느끼고 지지 정당을 옮기게 되었다는 재반박도 존재한다.
5. 소속 정당
<rowcolor=#fff> 소속 | 기간 | 비고 |
| 1955 - 1996 | 정계 입문 |
| 1996 - 현재 | 당명 변경 정계 은퇴[16] |
6. 선거 이력
연도 | 선거 종류 | 지역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1972 | 제3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구 오이타 1구 | | 93,256 (22.41%) | 당선 (1위) | 초선 |
1976 | 제3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02,307 (23.97%) | 재선 | |||
1979 | 제3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86,736 (19.18%) | 3선 | |||
1980 | 제3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69,466 (14.50%) | 낙선 (5위) | |||
1983 | 제3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21,919 (25.92%) | 당선 (1위) | 4선 | ||
1986 | 제3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07,988 (22.52%) | 5선 | |||
1990 | 제3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08,343 (22.22%) | 6선 | |||
1993 | 제4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06,260 (23.81%) | 7선[17] | |||
1996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오이타 1구 | | 106,258 (59.49%) | 8선 |
7. 여담
- 2014년 당시 모습(90세).
- 100세의 나이에도 거의 현역처럼 왕성히 활동하고 있다.[18][19] 최근 일본의 우경화 행보에, 얼마 안되는 혁신계열 전직 총리[20]로서 국민들의 경각심을 높이려고 노력하고 있다.
- 위에서 언급한 바 있듯 돈짱(トンちゃん)이라는 애칭도 가지고 있다.
- 신선 같은 눈썹이 인상적이다. 관상학적으로도 저런 유형의 눈썹은 장수하고 현명한 이미지의 좋은 눈썹으로 본다고 한다. 이 눈썹이 강조된 인형도 있다. 무라야마 총리 인형 또 다른 디자인
- 후루타 하지메 전 기후현지사가 그의 비서관으로 활동했다.
- 2012년에 방한하여 순천시 운평리 고분을 방문했다.
- 20[age(2000-01-01)]년 현재 생존 중인 전현직 국가원수 및 정부수반 중 2번째로 장수하고 있는 인물이다. 1위는 기예르모 로드리게스 전 에콰도르 대통령 권한대행(1923년 11월 4일생 - [age(1923-11-04)]세), 3위는 마하티르 빈 모하맛(1925년 7월 10일생 - [age(1925-07-10)]세) 전 말레이시아 총리, 4위는 모하마드 하산 샤르크 (1925년 7월 17일, [age(1925-07-17)]세) 전 아프가니스탄 총리이다. 2024년 3월 3일, 드디어 100세가 되었다.
8. 관련 문서
- 무라야마 담화
- 일본사회당
- 사회민주당
- 가타야마 데쓰 - 무라야마와 함께 유이한 일본사회당 출신 총리.
- 나카소네 야스히로 - 무라야마와 함께 일본 정계의 대표적인 장수인. 나카소네의 경우 2019년에 101세의 나이로 먼저 세상을 떠났다.
[1] 히가시쿠니 나루히코와 나카소네 야스히로에 이어 역대 최장수 일본 총리 3위에 랭크되어 있다.[2] 2025년 기준으로 일본 총리들 중에서 최고령자이며, 다이쇼 시대에 태어난 총리들 중에서 유일한 생존자다.[3] 2017년 3월 31일 폐교.[4] 고등소학교는 구제중학교에 해당하는 학제다.[5] 일 총리 북측에 애도 전문 동아일보[6] 무라야마 북한에 조전 한겨레[7] 일 총리 사회당 명의로 북한 조전 경향신문[8] 일본 무라야마 총리 망언 KBS 1995[9] 무라야마 일본 총리 "합병 합법" 되풀이 kbs 1995[10] 발언'잘못 시인 1995.11.13 한겨레[11] "日(일)은 과거역사 바로봐야"金(김)대통령 "韓國民(한국민)고통에 깊이사과 1995.11.19 매일경제[12] 韓(한)-日(일) 정상회담「과거사妄言(망언) 갈등」일단 봉합 1995.11.19 경향신문[13] 이후 2011년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이 터지고 전후 최대 규모의 피해를 남긴 지진 기록이 이쪽으로 바뀌었다.[14] 하토야마 유키오, 간 나오토, 마에하라 세이지, 에다노 유키오, 겐바 고이치로, 아라이 사토시, 오자와 사키히토, 이시이 코키 등 15명.[15] 과한 친북 성향, 자위대 해체 주장 등[16] 2000년 6월.[17] 일본 중의원 총선거의 마지막 중선거구제[18]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과 동갑이다. 지미 카터도 2024년에 사망하면서, 생존중인 전세계 전직 국가수반들 중에 유일한 1924년생이 되었다.[19] 만약 2025년 9월까지 생존해있을 시, 나카소네 야스히로 총리를 넘어 역대 최장수 일본 총리 2위에 등극한다. 또한 2026년 4월까지도 생존해있을 시, 히가시쿠니 나루히코 총리를 넘어 역대 최장수 총리가 된다.[20] 일제 패망 이후 총리들 중 혁신계열, 즉 자민당에 몸담았던 적이 없는 사람은 가타야마 데쓰, 무라야마 도미이치, 간 나오토 3명뿐이다. 리버럴 계열로 확장하면 미키 다케오, 호소카와 모리히로, 하타 쓰토무, 하토야마 유키오, 노다 요시히코가 더 있지만 이들의 재직기간을 다 합쳐도 5년 남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