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34:15

물감

파일:external/image.ec21.com/%EC%A7%81%EB%AC%BC%EC%A0%84%EC%9A%A9%EB%AC%BC%EA%B0%90.jpg
언어별 명칭
<colbgcolor=#ddd,#333> 한국어 물감
영어 Colour Paint
일본어 塗料
1. 개요2. 상세
2.1. 용어
3. 물감의 명칭별 목록4. 제조사

[clearfix]

1. 개요

필기도구를 이용해서 그림을 그리거나 을 칠할 때 사용하는 재료이다. 주로 화가미술을 배우는 학생들이 많이 사용한다.

미술 도구 중에서 이 가장 많이 들어가는 재료 중 하나이다. 특히나 빠르게 소진될 수 밖에 없는 재료라서 예술가들을 괴롭게 만든다.

2. 상세

고유한 색상을 띠고 있는 한 가지 이상의 안료를 원하는 성향을 띠는 미디엄(용매)[1]에 개어서 만들며, 과거에는 화가가 일일이 만들어 사용했으나 현대에는 주로 전문 업체들이 미디엄 내에 안료와 각종 첨가제들을 기계적으로 골고루 분산하면서 생산하고, 주로 튜브[2]에 넣어 판매되고 있다. 어떤 미디엄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수채화, 유화, 아크릴화 등으로 구분한다. 각각 아라비아검, 기름, 합성수지 등이 쓰인다.

동양화에서는 [3], 석채안료, 분채안료, 안채(접시물감), 봉채(막대물감), 편채(조각 물감) 등이 존재하며, 석채물감의 경우에는 실제 보석 등으로 사용되는 원석[4]을 안료로 쓰는 데다, 대부분 점차 고갈되고 있기에 일반적으로 매우 비싼 편이다. 그래서 나온 것이 인조적으로 만든 준석채 안료와 신석채 안료인데, 준석채의 경우 성분이 석채와 동일하지만, 인위적으로 제작한 것이고, 신석채는 수정분말에 여러 화합물을 조합한 후 고온에서 구워낸 것이다. 색채의 종류는 석채나 준석채보다 신석채의 경우가 더욱 다양하나, 석채의 경우 대개 보존력이 우수하다. 석채와 분채의 경우 순수한 안료 상태이므로, 전색제인 아교와 혼합하여 사용한다.

물감에는 크게 전문가용과 학생용이 있다. 전문가용은 고유한 색을 오래, 아름답게 내기 위해 최고급 안료와 미디엄을 사용한다. 안료 중에는 중금속 같은 독성물질[5]도 사용되며 이 때문에 그림을 그리면서 무언가를 먹으면 안 된다고 가르친다.[6] 이러한 물감은 겉포장에 큼직한 경고 문구가 들어가 있다.

학생용 물감은 인체에 해롭지 않거나,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안전한 안료를 사용한다. 전문가용보다는 상대적으로 농도가 옅은 것이 대부분이다.

푸른색 물감인 프러시안 블루세슘탈륨 해독제로도 사용된다. 물론 물감 채로 먹으면 접착제를 먹는 격이니 전용 약품을 먹어야 한다.

안료의 종류도 여러가지인데 암석, 토양, 으로 만들거나[7], 식물이나 동물[8]에서 추출하거나, 광물질로 만들기도 한다. 현대에는 과학발전으로 화학적으로 만들기도 한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물감의 특성을 어느 정도 알고 있어야 작업이 편하다. 물 조절과 투명성이 중요한 옐로오렌지 계열, 맑은 색을 내기 어려운 블루 계열, 순색으로 쓰기 어려운 그린 계열 등등.

2.1. 용어

물감 이름에 Hue가 들어간 것은 그 색과 비슷하면서도 독성이 없거나 싼 물질로 대체된 색이라는 것이다.

이 외에도 채도와 불변성 유지도가 높은 '퍼머넌트(Permanent)~', 밝고 하늘하늘한 '페일(Pale)' 등의 형용사가 붙으며 색의 특성을 조금 더 알기 쉽게 해준다. 또한 tint(틴트)가 붙으면 화이트, dull(둘)이 적힌 것은 그레이, shade(쉐이드)가 적힌 것은 블랙이 섞였다는 의미이다. burnt(번트)가 붙었을 경우 물감 재료를 볶았다는 의미이다.

AP(미국), CE(유럽) 마크는 안전하고 무독성이 확인됐다는 인증이다. 한편 CL(미국) 마크는 발색, 내광성 등 성능을 인증하는 것이라 독성을 주의해야 한다. 위에 언급한 전문가용, 즉 카드뮴 등이 이런 인증을 받는다.

안료 코드라는 것도 고급 물감에 나오는데 자세한 내용은 안료 참조.

3. 물감의 명칭별 목록[9]

  • 적색 계열
    • 루비
    • 버밀리온
      • 주홍색. 주사를 갈아서 만들며 수은이 들어간 유독성 물감이다. 입시 중에는 ‘버밀리온 휴’를 더 자주 만날 수 있다. 휴가 아닌 그냥 버밀리언은 약간의 형광빛깔을 가지고 있다. 부적 그릴 때 꼭 이 물감이 쓰인다.
    • 스칼렛, 스칼릿 레이크
      • 진홍색. 조금 더 정확히 말해 약간 주황색이 도는 빨강색. 레드 계열과 오페라 계열을 섞어 즉석에서 만들기도 한다.
    • 카드뮴 레드
      • 카드뮴 계열의 붉은색. 채도가 높고 불투명한 특징이 있다. 유독성인 데다 비싸다.
    • 납톨 레드
      • 채도가 높은 붉은색. 카드뮴 레드처럼 원색적인 느낌이다.
    • 보르도
      • 보라색이 도는 짙은 빨강색.
    • 알리자린 크림슨
      • 차가운 느낌의 붉은색.
    • 코치닐
    • 피치
    • 핑크
    • 로즈 매더
    • 로즈 핑크
    • 로즈 레드
    • 차이니즈 레드
    • 시그널 레드
      진한 붉은색이다. 자동차 도색으로 많이 쓰이며 손톱에도 드물게 바르는 색이다.
    • 카디널 레드
    • 퍼머넌트 레드
      • 가장 보편적인 빨간색이다. 다소 어두운 기운을 갖고 있기 때문에 발색에 의외로 신경써야 할 일이 많다. 신한 물감은 물에 풀거나 혼색 시 채도가 좀 많이 좋지 않기 때문에 타사나 외산 물감을 추천. 만약 이걸 보는 사람이 미대입시생이라면 화방에 가서 외산을 한번 써보자.
    • 퍼머넌트 로즈
    • 크림슨 레이크
      • 핏빛을 띈 적자색. 본래 오리지널 크림슨 레이크는 깍지벌레 암컷 수만마리분을 갈아서 나오는 색소를 한데 모아 만든다. 물론 최근에는 화학적 합성을 통해 만든다.
    • 카민
      • 진홍색. 깊은 분위기를 지닌 붉은색으로 퍼머넌트 레드와는 좀 더 다른 느낌이다.
    • 베이비 핑크
    • 프랑브와즈
    • 애쉬 오브 로즈
    • 올드 로즈
  • 황색 계열
    • 레몬 옐로우
      • 고채도 고명도를 지닌 형광빛의 노란색. 시대별로, 제조사별로 이름은 같아도 원료가 여러 가지이다. 공통점은 밝은 노란색이라는 점. 블루 계열과 섞어 영롱한(…) 그린 계열을 만들어 쓰기도 한다. 이 경우는 수채화인데 불투명 느낌이 나거나 하기도(…). 또 노란색을 혼색 시에는 퍼머넌트 옐로보다 이 색이 권장된다.
    • 오레올린
      • 레몬 옐로와 마찬가지로 높은 채도와 명도를 자랑한다. 레몬 옐로는 포스터칼라가 섞인 듯한 불투명 수채화 계열이지만 오레올린은 투명 계열이기 때문에 물맛이 더 잘 나며 좀 더 산뜻한 느낌을 준다. 참고로 이는 홀베인 한정으로, 신한의 오레올린은 높은 채도와 명도는 무슨 옐로우 오커에서 노랑을 약간 추가한 느낌의 색이 난다. (안 예쁘진 않다. 오히려 신선한 느낌.)
    • 카드뮴 옐로
      • 카드뮴 계열의 선명한 노란색. 채도가 높다. 카드뮴 계통이 그렇듯 독성이 있고 약간 비싼 편.
    • 옐로 오커
      • 흔히 말하는 황토색. 채도가 낮으며 불투명한 느낌이 강하다. 산화철로 만든다.
    • 크롬 옐로
      • 크롬산납으로 만드는 노란색. 약간 주황색을 띤 노랑색으로 납 화합물이 들어있기에 당연히 유독성이다.
    • 네이플스 옐로
      • 흐릿하고 연한 노란색. 대부분 옐로 오커에 흰색을 섞어서 만들어진다. 유화에서 자주 쓰인다. 상아색이라고도 한다.
    • 퍼머넌트 옐로 딥, 퍼머넌트 옐로 라이트
      • 선명한 노란색으로 입시미술에서 상당히 많이 사용된다. 딥이 좀 더 묵직하고 벌꿀이나 개나리색을 띈다면, 라이트는 가벼운 느낌의 노란색. 포스터칼라에서 딥은 높은 확률로 귤색을 띤다.
    • 인디언 옐로
    • 페일 옐로
    • 옐로 그레이
      • 아이보리 블랙+올리브+화이트를 섞어놓은 듯한 색. 색 자체는 매우 더러우며(...), 발색도 좋지 않은 것이 단품으로 구입해 사용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시피 하다.
    • 마스 옐로
      • 산뜻하고 밝은 황토색
    • 앰버
    • 머스터드
    • 스트로
    • 메이즈
    • 버프
    • 크림
    • 아이보리
      • 상아의 색이다.
    • 존 브릴리언트
      • 쉽게 말해서 살구색. 유화나 불투명 수채화에서 명도를 올릴 때 사용한다. 원래 입시에서 살구색을 만들 때는 레몬 옐로와 오페라를 혼색해서 쓰지만, 만화/애니 입시에선 귀찮은 사람들이 구매해서 다른 색을 약간 섞어 그대로 쓰기도 한다. 신한 물감엔 넘버가 붙는다. '존 브릴리언트 #1' 식으로.[10] 해외 직구시 특정 확률로 노란색이 온다. 유화나 수채화물감의 존 브릴리언트는 카드뮴셀레늄이 포함된다. 여담으로, Jaune Brilliant(종 브레앙)은 프랑스어로 Brilliant Yellow(밝은 노랑)를 의미한다.
    • 카나리아
    • 프라이머리 옐로
      • 삼원색 중 하나. 웬만해선 보기 어려우며 외산 아크릴 물감에서 혼색을 위한 색으로 나온다. 한자 옐로라고도 한다.
    • 골드
  • 갈색 계열
    • 베이지
      • 옅은 황갈색. 더 정확하게 말하면 옅은 회색이 섞인 황갈색이다.
    • 로 시엔나
      • 마스 옐로우, 혹은 로 엄버 엇비슷한 황토색이지만 비교적 투명하다. 번트 시엔나와 헷갈리면 많이 귀찮아진다.
    • 번트 시엔나
      • 붉은색이 도는 밝은 황갈색. 로 시엔나의 원료를 태워 만든 색. 가장 대중적인 갈색.
    • 로 엄버
      • 산화철 및 망가니즈 광석을 원료로 하는 색. 특유의 질감 때문에 로 엄똥, 혹은 설사색이라는 쌈박한 이름으로 부른다.
    • 번트 엄버
      • 진갈색. 고전 명화에 많이 쓰였던 색이다. 로 엄버의 원료를 태워 만들며, 연소 과정에서 로 엄버보다 화학적으로 더 안정된 상태가 되며 투명도도 더 높다. 고동색이라고도 한다.
    • 카키
    • 코르크
    • 테라코타
      • 발그레한 기운이 도는 갈색. ‘테라 코타’ 기법에서 따 온 이름이다.
    • 브라운 매더
    • 브라운 레드
      • 진한 적갈색. 물감에 기름이 매우 많아 색이 잘 벗겨진다. 떡칠하기 좋다. 입시미술용 물감 중 가장 어두운 색상 3개 중 하나.[11]
    • 커피 브라운
    • 반다이크 브라운
      • 고동색. 부식토가 주성분인 물감. 널리 쓰이는 갈색이지만 내광성이 없어서 장기보존할 그림에는 삼가야 할 색이다. 물에 잘 녹지 않고 질감이 거칠고 단단하기 때문에 물 조절은 필수. 이름의 유래네덜란드의 화가 안토니 반 다이크가 즐겨 사용했다고 하여 붙은 이름.
    • 세피아
      • 흑갈색. 검은색에 가까울 정도로 어둡고 짙은 갈색이며 오징어 먹물을 주원료로 사용한다. 입시미술에서 굉장히 많이 쓰인다.
    • 마룬
    • 시나몬
    • 초콜릿
      • 산뜻한 적갈색. 포스터 컬러 색상으로 자주 볼 수 있다.
    • 코코아
  • 청색 계열
    • 시안, 프라이머리 시안
      • 고지식한 책 등에서는 하늘색, 물색, 청록색 등으로 불리지만, 시안으로 부르는 추세. 녹색에 가까운 청색으로 마젠타, 노란색과 함께 기본색에 해당한다. 프린터 잉크에서 자주 볼 수 있다. 물감의 경우 외산 아크릴 물감에서 혼색용으로 주로 만든다. 아래의 프탈로시아닌 블루와 같은 성분으로 만든다.
    • 프러시안 블루
      • 감청색. 은은하게 어두운 파랑. 대부분의 색과 섞일 경우 무난하게 그 색의 응달에 해당하는 색이 뽑힌다.
    • 스카이 블루
      • 이름 그대로 하늘색. 알파 스카이블루는 부산 버스 예전 도색과 비슷하다.
    • 세루리안 블루
      • 상황에 따라서 가장 많이 쓰이는 파란색. 맑은 파랑. 중금속이 포함되기 때문에 밑에 나오는 프탈로사이아닌 블루, 프탈로사이아닌 그린, 티타늄 화이트를 섞은 '세루리안 블루 휴'를 주로 쓴다.
    • 피코크 블루
      • 다소 형광빛을 띤 청록색. 이름대로 수컷공작의 털색이다.
    • 나일 블루
    • 네이비 블루
    • 틸 블루
    • 페일 블루
    • 블루 셀레스트
      • 연한 군청색.
    • 작센 블루
    • 코펜하겐 블루
    • 베이비 블루
    • 데님 블루
    • 인디펜던스
      • 저채도의 어두운 청회색.
    • 스모크 블루
    • 앨리스 블루
    • 로열 블루
    • 오리엔탈 블루
    • 논-포토 블루
      • 흑백 복사를 하면 안 나왔으며 요즘은 복사기 기술이 좋아져서 안 나오는 일은 잘 없지만 포토샵으로 쉽게 지울 수 있다. 물감보다는 색연필에서 볼 수 있으며 밑그림용으로 많이 쓰인다.
    • 일렉트릭 블루
    • 마린 블루
    • 울트라마린
      • 군청색. 청금석을 주재료로 만들며 물감 중에서도 비싼 편이다. 브라운 계열 물감과 섞어 무채색을 만들 때에도 사용된다. 유화용은 연색성이 심하기 때문에 전시에 주의해야 한다. 수채화용은 입시 중에 ‘울트라마린 휴’로 자주 만날 수 있다. 그러나 울트라마린은 천연과 합성의 성분이 같으므로 비슷한 색의 다른 안료로 대체하였다는 의미의 '휴' 글자가 잘 붙지 않는다.
    • 프렌치 울트라마린
    • 아쿠아마린
    • 코발트 블루
      • 진청색. 내광성이 좋은 진한 파란색으로 유채물감, 도자기 등에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중금속이 포함되기 때문에 '울트라마린 휴'와 '티타늄 화이트'를 섞어만든 '코발트 블루 휴'를 주로 사용하며, 코발트 블루 휴는 '울트라마린 라이트'라고 부르기도 한다.
    • 미드나잇 블루
    • 페리윙클
    • 차이나 블루
    • 인디고
      • 어두운 감람색, 남색. 저명도 저채도. 홀베인 인디고와 신한 인디고는 색감이 분명히 다르기 때문에 취향이 갈린다. 홀베인에서 나오는 인디고 색상이 좀 더 채도가 높고 예쁜 편. 맑은 바다색에 가깝다. 입시용으로 떡칠하기엔 더 싸고 탁한 신한이 좋다. 알파 인디고는 이름은 인디고인데 연한 검은색. 신한, 알파, 홀베인 중 신한 인디고만 인디고 성분이 들어가 있다.
    • 스카이 그레이
    • 스틸 그레이
    • 페인즈 그레이
    • 슬레이트, 블루 슬레이트
      • 청록빛을 띤 진한 청회색. 블루 슬레이트는 비교적 고명도 고채도.
    • 컴포즈 블루
    • 프탈로시아닌 블루
      • 인공화합물로 만드는 청색. 채도가 높고 어두운 청색이다. 적색에 치우친 레드 셰이드[12]와 녹색에 치우친 그린 셰이드로 나뉜다. 투명성이 있다.
    • 인망 블루
      • 이트륨-인듐-망간을 주성분으로 하는 물감으로, Radeon Pro 외장에 쓰인다. 비싸서 물감으로는 찾아보기 힘들지만 Golden 아크릴 컬러에서 한정생산으로 내놓고 있다.#
  • 자색 계열
    • 퍼머넌트 바이올렛
      • 보라색. 잘못 쓰면 다소 칙칙한 느낌이 든다.
    • 임페리얼 바이올렛
    • 코발트 바이올렛
    • 디옥사이진 퍼플
      • 어둡고 흐릿한 보라색. 적색에 가까운 자색이다.
    • 모브
    • 티리언 퍼플
      • 그리스 로마 신화에서 이따금씩 튀어나오는 '튀로스산 염료'라고 불리는 것으로, 어마무시하게 비싸다.
    • 라일락
      • 연보라 계열 불투명 물감. 과슈 등 불투명 재료에서 은은한 보랏빛과 함께 밝게 하고 싶을 때 혼색용으로 사용한다. 반사광에 써먹어보자
    • 라벤더
      • 라일락이 좀 더 분홍빛이 강하다면, 라벤더는 흰색을 많이 섞은 바이올렛 블루 혹은, 울트라마린의 느낌이다.
    • 헬리오트로프
      • 라일락보다 짙은 연보라. 라일락과 마찬가지로 반사광 표현에 주로 쓰이는 색이다.
    • 팬지
    • 바이올렛 그레이
    • 오페라
      • 진분홍색. 채도가 엄청 높다. 그린 계열과 함께 눈에 잘 띠기 때문에 디자인 입시미술에서 자주 사용된다. 만화 애니 입시에서는 기피대상 중 하나.
    • 오키드
    • 블랙 체리
      • 매력적인 흑자색. 잘 익은 체리색으로 다소 진한 자홍색을 띤다.
    • 달리아 퍼플
    • 마호가니 레드
      • 뿌연 적자색.
    • 버건디
    • 마젠타, 프라이머리 마젠타
      • 적자색. 기본색이다. 마젠타와 노란색을 섞으면 적색, 시안을 섞으면 청색이 된다. 마젠타는 프라이머리 마젠타보다 짙은 색. 프라이머리 마젠타는 이름 그대로 삼원색이며 좀처럼 보기 힘들다. 외산 아크릴 물감에서 혼색용으로 나오는 정도이며 그것도 프라이머리 옐로나 프라이머리 시안보다 비싸다. 퀴나크리돈 마젠타라고도 한다.

위의 명칭들은 흔히 통용되는 이름으로, 경우에 따라서는 같은 색과 원료의 물감이라도 회사마다 붙이는 이름이 달라질 수 있다. 회사마다 색도 은근한 차이가 있다.

4. 제조사

  • 한국
    • 쉴드물감 - 주식회사 쉴드는 1978년에 화가가 설립한 전문가용 물감 제조기업이다.

      • 유화물감을 시작으로 아크릴물감,수채화물감, 키즈물감및 보조제는 물론 국내에서 유일하게 화자품으로 등록된 페이스인트 제조회사를 계열사로 가지고 있다.
    • 알파색채 - 알파문구와는 별개다.
    • 신한화구
    • 미젤로 : 신한화구와는 달리 이쪽은 카드뮴 안료를 일체 사용하지 않는다고 한다. 그럼에도 최근 전문가 라인에서 우수한 품질로 많은 주목을 받고있는 브랜드다.
    • 채림: 이 쪽은 접시 동양화 물감이나 동양화 붓 등을 만드는 회사이다.
    • 가일아트 : 한국 최초로 한국형 석채 안료 제작 방식을 복원. 이외에도 여러 동양화 안료나 도구를 판매중.
  • 일본
    • 홀베인: 채도가 높고 인위적인 색감이 특징. 수채물감의 선호도가 압도적이다. 난색계열 물감의 색감이 특히 일품. 입시생의 경우 굳이 팔레트의 모든 색상을 홀베인으로 바꾸기 보단 난색과 울트라마린, 반 다이크 브라운, 틴트계열의 물감정도만 구입해도 된다. 수채화의 경우 홀베인의 진가는 주로 정물수채화에서 진가를 발휘한다. 그러나 인체수채화로 입시를 한다면 추천하지 않는다(...).
    • 마츠다
    • 사쿠라
    • 쿠사카베: 일본 내에서 유화물감을 꼽으라면 주로 쿠사카베라고한다.
    • 겟코소
    • 길상
    • 봉황
    • 고매원
  • 유럽·미국
    • 윈저 앤 뉴튼: 영국 브랜드로, 물감계의 FM. 우리나라에서 대부분 물감을 신한화구로 입문한다면 서양에선 윈저가 그 자리를 대신한다. 수채화, 유화 가리지 않고 준수한, 평균 이상의 퀄리티를 보여주어 입문자는 물론이고 전업작가들도 애용한다. 그러나 다른 회사처럼 두드러지는 특징도 없어서 이러한 윈저의 무난함이 장점인 동시에 단점이기도 하다. 유화의 경우 윈톤이라는 저가형 물감이 가성비가 좋은 편.
    • 달러로니
    • 램브란트: 국내에서는 파스텔로 유명한 브랜드이지만 유화 물감이나 수채화 물감도 만들고 있다. 다만 물감은 다른 색을 섞거나 하면 색이 안 좋아진다는 평이 많다.
    • 리퀴텍스: 아크릴 물감을 만드는 브랜드. 물감에서 화학 약품 냄새가 난다는 평도 있다.
    • 로얄 탈렌스
    • 쉬민케: 독일 브랜드로 주로 만드는 물감들이 안료를 매우 곱게 갈아서 만들었기에 매우 부드럽게 발리는 것이 특징. 다만 수채화 물감의 경우는 내광성이 낮은 물감도 다수 존재하여 내광성을 체크하고 구매하길 바란다. 게다가 수채화 물감이 홀베인처럼 투명하다기 보다는 불투명한 느낌이 나는 것도 특징. 반대로 유화 물감은 향이 좋으며 부드럽게 발리며 내광성도 좋다.
    • 시넬리에: 프랑스 브랜드이며 물감도 유명하지만 국내에서는 물감보다는 오일 파스텔이 더 유명하다. 유화물감의 퀄리티 또한 상위권으로 쳐주는 편이다.
    • 마이메리: 유화의 경우 전문가용과 클라시코라는 입문자용 브랜드가 따로 있는데 국내에서는 주로 클라시코를 애용한다. 색감이 따스한 느낌을 주어서 매니아층이 있다.
    • 다니엘 스미스: 미국 브랜드로 다른 유명 물감 브랜드와 비교하면 세워진 지 거의 얼마 안되는 회사이다. 수채화 물감이 매우 유명한데, 광물을 이용해서 만들은 물감이나 등등 굉장히 다양한 수채화 물감을 만들어내며, 물감 과립('그래뉼레이션'이라고 한다)이 아름답게 남는 것도 하나의 특징. 유화 물감도 만들지만 수채화 물감에 비하면 그리 유명하지 못하다.
    • 골든: 아크릴 물감을 만드는 회사로 유명하지만 윌리엄스버그라는 유화물감 라인과 Qor라는 수채화 물감 라인도 있다. Qor의 경우는 아라빅 검이 아닌 아퀴졸을 넣어서 만든 탓에 다른 브랜드와 섞어 쓰기는 힘든 모양.
    • 엠그라함
    • 다 빈치
    • 올드 홀랜드: 국내에서는 유화 물감만 유명하지만 수채화 물감이나 아크릴 물감도 만들고 있다. 유화와 수채화 물감이 현재 수입되고 있다. 모든 물감을 기계가 아닌 사람이 수작업으로 만든다고 한다. 유화에선 보통 쉬민케와 함께 최상급 물감으로 쳐주는 편.

[1] 업계에서는 흔히 '메듐', 'MD'라고 부른다.[2] 항상 보는 십여 밀리리터나 될까 하는 튜브 외에도 대용량 튜브나 병 또는 '통'에 넣기도 한다. 이게 좀 스케일이 커지면 드럼통도 등장한다.[3] 엄밀히 말하면 먹은 물감이 아니다, 물감처럼 위에 덧칠하는게 아니라 종이섬유 사이사이 먹가루가 파고들어 "염색"을 시키는 염료이기 때문에 안료인 물감과는 정 반대의 성질을 가지고 있다.[4] 적색주사나 적광, 황색은 웅황(석황)이나 계관석, 청색청금석이나 남동석(석청), 녹색공작석(석록)이나 청옥, 뇌록 등을 이용하며, 흰색호분, 백토, 연백 등을 이용한다.이외에도 , 산호, 수정 등을 이용한다.[5] 물감 이름에 대놓고 크롬이나 카드뮴이라고 들어간 것들이 대표적. 순수한 버밀리언도 인체에 해롭다. 그나마 순수한 버밀리언은 문구점에서 보기 힘들다. 문구점보다는 필방에 있을 확률이 매우 높다. 이런 걸 찾는 주 고객이 부적을 쓰는 무속인이기 때문. 다만 일반인이 산다면 이런 순수한 버밀리언은 살 일은 거의 없고 병에 담아서 먹물처럼 파는게 따로 있다. 주묵이라 하면 알아듣는다. 이걸 사자.[6] 실험실에서 음식을 섭취하면 안되는 것과 같다.[7] 대표적인 것이 시에나( Sienna) 계열이다. 이탈리아 시엔나 지방의 흙으로 만든 물감이다.[8] 연지벌레에서 나오는 코치닐 등.[9] 진하게 표시된 것은 입시미술용 물감으로 자주 볼 수 있는 색.[10] 1과 2의 차이라면 1은 아주 연한 노랑색 같은 느낌이라면 2는 그냥 연주황 색이다.[11] 나머지는 인디고, 세피아. 뭣하면 셋 다 섞어 즉석 블랙을 만들기도 한다.[12] 다만 신한 제품은 이름만 프탈로시아닌 블루지 프탈로시아닌(PB15) 대신 합성 울트라마린(PB29)으로 만든다.[13] 물감에 'N' 표시가 있는 경우 이 색과 섞으면 검게 변해버린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