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31 00:02:38

버닝(한국 영화)

이창동 감독 장편 연출 작품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1997 초록물고기 로고.png 파일:2000 박하사탕 로고.png 파일:2002 오아시스 로고.png
파일:2007 밀양 로고.png 파일:2010 시 로고.png 파일:2018 버닝 로고.png }}}}}}}}}
버닝의 주요 수상 및 선정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ffffff,#191919><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
파일:The Guardian Logo.png
더 가디언
선정 21세기 100대 영화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000><colcolor=#fff> 100위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할리우드(2019, 쿠엔틴 타란티노)
99위 브라이트 스타(2009, 제인 캠피온)
98위 다크 나이트(2008, 크리스토퍼 놀란)
97위 화씨 9/11(2004, 마이클 무어)
96위 〈프라이빗 라이프〉 (2018, 타마라 젠킨스)
95위 콜 미 바이 유어 네임(2017, 루카 구아다니노)
94위 글래디에이터(2000, 리들리 스콧)
93위 〈유, 더 리빙〉 (2007, 로이 앤더슨)
92위 허트 로커(2008, 캐스린 비글로)
91위 마지막 수업(2002, 니콜라 필리베르)
90위 〈에덴: 로스트 인 뮤직〉 (2014, 미아 한센뢰베)
89위 이기적인 거인(2013, 클라이오 바나드)
88위 고모라(2008, 마테오 가로네)
87위 보리밭을 흔드는 바람(2006, 켄 로치)
86위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2007, 코엔 형제)
85위 버닝(2018, 이창동)
84위 열대병(2005, 아피찻퐁 위라세타꾼)
83위 아들의 방(2001, 난니 모레티)
82위 〈우리가 들려줄 이야기〉 (2012, 세라 폴리)
81위 피쉬 탱크(2009, 안드레아 아놀드)
80위 레퀴엠(2000, 대런 애러노프스키)
79위 페르세폴리스(2007, 뱅상 파로노드, 마르잔 사트로피)
78위 오션스 일레븐(2001, 스티븐 소더버그)
77위 사랑도 통역이 되나요?(2003, 소피아 코폴라)
76위 (2002, 압바스 키아로스타미)
75위 〈필로미나의 기적〉 (2013, 스티븐 프리어스)
74위 예언자(2009, 자크 오디아르)
73위 〈레이디 수잔〉 (2016, 위트 스틸먼)
72위 바시르와 왈츠를(2008, 아리 폴만)
71위 가버나움(2018, 나딘 라바키)
70위 〈앵커맨〉 (2004, 애덤 맥케이)
69위 패딩턴 2(2017, 폴 킹)
68위 미스터 터너(2014, 마이크 리)
67위 송곳니(2009, 요르고스 란티모스)
66위 브로크백 마운틴(2005, 이안)
65위 행복한 라짜로(2018, 알리체 로르바케르)
64위 인크레더블(2004, 브래드 버드)
63위 케빈에 대하여(2011, 린 램지)
62위 〈행복을 기다리며〉 (2002, 나카이 유)
61위 〈수베니어: 파트 I〉 (2019, 조안나 호그)
60위 19곰 테드(2012, 세스 맥팔레인)
59위 〈와시푸르의 갱들〉 (2012, 아누락 카시압)
58위 폭풍의 언덕(2011, 안드레아 아놀드)
57위 〈흔적 없는 삶〉 (2018, 데브라 그래닉)
56위 〈쇼를 사랑한 남자〉 (2013, 스티븐 소더버그)
55위 러시아 방주(2002, 알렉산드르 소쿠로프)
54위 소셜 네트워크(2010, 데이비드 핀처)
53위 〈화염의 바다〉 (2016, 잔프란코 로시)
52위 아모레스 페로스(2000, 알레한드로 곤살레스 이냐리투)
51위 와호장룡(2000, 이안)
50위 비포 선셋(2004, 리처드 링클레이터)
49위 〈24시간 파티하는 사람들〉 (2002, 마이클 윈터바텀)
48위 〈하우스 오브 미스〉 (2000, 테렌스 데이비스)
47위 마가렛(2011, 케네스 로너건)
46위 귀향(2006, 페드로 알모도바르)
45위 〈미국 수정헌법 제13조〉 (2016, 에바 두버네이)
44위 토니 에드만(2016, 마렌 아데)
43위 더 울프 오브 월 스트리트(2016, 마틴 스코세이지)
42위 4개월, 3주... 그리고 2일(2007, 크리스티안 문지우)
41위 아가씨(2016, 박찬욱)
40위 〈언릴레이티드〉 (2007, 조안나 호그)
39위 믹의 지름길(2010, 켈리 라이카트)
38위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아나톨리아〉 (2011, 누리 빌게 제일란)
37위 도그빌(2003, 라스 폰 트리에)
36위 씨민과 나데르의 별거(2011, 아스가르 파르하디)
35위 〈45년후〉 (2015, 앤드류 헤이그)
34위 〈더 차일드〉 (2002, 다르덴 형제)
33위 로얄 테넌바움(2011, 웨스 앤더슨)
32위 그래비티(2013, 알폰소 쿠아론)
31위 아노말리사(2015, 찰리 카우프만, 듀크 존슨)
30위 리바이어던(2014, 안드레이 즈비아긴체프)
29위 네브래스카(2013, 알렉산더 페인)
28위 트리 오브 라이프(2011, 테런스 맬릭)
27위 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2014, 웨스 앤더슨)
26위 하나 그리고 둘(2008, 에드워드 양)
25위 겟 아웃(2017, 조던 필)
24위 이다(2013, 파벨 파블리코프스키)
23위 보랏: 카자흐스탄 킹카의 미국 문화 빨아들이기(2006, 래리 찰스)
22위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2001, 미야자키 하야오)
21위 하얀 리본(2009, 미카엘 하네케)
20위 로마(2018, 알폰소 쿠아론)
19위 링컨(2013, 스티븐 스필버그)
18위 시리어스 맨(2009, 코엔 형제)
17위 그레이트 뷰티(2013, 파올로 소렌티노)
16위 액트 오브 킬링(2012, 조슈아 오펜하이머)
15위 어느 가족(2018, 고레에다 히로카즈)
14위 〈백인의 것〉 (2009, 클레르 드니)
13위 파 프롬 헤븐(2002, 토드 헤인즈)
12위 사울의 아들(2015, 라즐로 네메스)
11위 멀홀랜드 드라이브(2001, 데이비드 린치)
10위 팀 아메리카: 세계 경찰(2004, 트레이 파커)
09위 자마(2017, 루크레시아 마르텔)
08위 문라이트(2016, 배리 젠킨스)
07위 시네도키, 뉴욕(2008, 찰리 카우프만)
06위 히든(2005, 미카엘 하네케)
05위 화양연화(2000, 왕가위)
04위 언더 더 스킨(2005, 조나단 글레이저)
03위 보이후드(2014, 리처드 링클레이터)
02위 노예 12년(2013, 스티브 맥퀸)
01위 데어 윌 비 블러드(2007, 폴 토머스 앤더슨) }}}}}}}}}

역대 파일:daejongfilmawards_logo.png
파일:daejongawards.png
최우수작품상
제54회
(2017년)
제55회
(2018년)
제56회
(2020년)
택시운전사 버닝 기생충

역대 새턴상 시상식
파일:saturn-award.png
국제영화상
제44회
(2017년)
제45회
(2018/19년)
제46회
(2019/20년)
바후발리 2: 더 컨클루전 버닝 기생충

}}} ||
<colcolor=#FFF>
버닝 (2018)
Burning
파일:burning_main_poster.jpg
<colbgcolor=#46475E> 장르 미스터리, 서스펜스, 범죄, 스릴러, 드라마, 하드보일드
감독 이창동
각본 오정미[1], 이창동
원작 무라카미 하루키 <헛간을 태우다>
촬영 홍경표
음악 모그
출연 유아인, 스티븐 연[2], 전종서
촬영 기간 2017년 9월 11일 ~ 2018년 1월 30일
제작사 파인하우스필름[3], NHK[4], 나우필름[5]
배급사 CGV아트하우스
개봉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8년 5월 17일
상영 시간 148분 (2시간 28분)[6]
월드 박스오피스 $7,578,063 (최종)
대한민국 총 관객 수 528,626명 (최종)
상영 등급 파일:영등위_18세이상_2021.svg 청소년 관람불가

1. 개요2. 포스터3. 예고편4. 시놉시스5. 제작 과정
5.1. 프리 프로덕션5.2. 촬영 및 음악
6. 등장인물7. 줄거리8. 해석9. 명대사10. 사운드트랙11. 평가
11.1. 평론가 평11.2. 유명인 평
12. 흥행13. 국외 개봉 정보14. 수상 및 후보
14.1. 상세 내역14.2. 주요 리스트 선정 및 비공식 수상
15. 여담

[clearfix]

1. 개요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들어가기에 앞서, 이 영화는 아주 사소한 정보나 관점을 제시 받는 것만으로도 감상에 지장이 생길 수 있는 작품이므로, 영화를 아직 감상하지 않았다면 본 문서 열람에 주의할 것을 권고한다.[7]

2018년 5월 17일에 개봉한 이창동의 영화로, <> 이후 8년 만의 복귀작이다. 각자 자기만의 방식으로 살아 온 세 젊은이 종수, 벤, 해미의 만남과 이들 사이에 벌어지는 미스터리한 사건을 다룬 작품이다. 2018년 4월 4일 CGV 페이스북을 통해 티져 예고편을 공개했고, 4월 23일 개봉 일자를 확정하면서 메인 포스터와 메인 예고편을 공개했다.

무라카미 하루키의 단편 소설 헛간을 태우다를 영화화하는 국제적 프로젝트의 첫 작품이다. 하루키의 단편 소설 중 헛간을 태우다를 원작으로 하지만, 정작 소설의 모티프만 가져왔을 뿐 등장인물의 직업과 성격, 스토리에 변화를 줬다. 기본적으로 미스터리라는 뼈대는 같지만, 후술된 것처럼 영화는 그것만의 키워드들로 전개해 나가기 때문에 두 작품 사이의 간극이 꽤 있다. 윌리엄 포크너의 1939년작 <헛간방화(Barn Burning)>도 작품에 영향을 미쳤다. 이창동은 영화를 "하루키의 세계에 살고 있는 젊은 포크너의 이야기"라 말한 적 있다.

이창동은 <버닝>이 시나리오 개발 단계에 있을 때 부산국제영화제 좌담회에서 자신의 차기작에 대해 "젊은이들이 요즘 세상을 바라보면 세상이나 자기 삶에 대한 생각이 아마 이해할 수 없는 미스터리 같은 것이 아닐까, 그런 의도로 만들어진 영화라고 말할 수 있겠습니다"라고 말한 바 있다. 개봉 전후에는 키워드를 '청춘'과 '미스터리'로 놓고 영화를 소개하고 있으며, 해외 및 한국 언론들도 이 테마에 집중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근원이 명확하지 않은 '분노'가 이 영화의 중심 키워드로 많이 얘기된다. 시나리오를 쓴 오정미가 이 영화의 초고 제목을 '분노 프로젝트'라고 써놓았을 정도였고 이창동도 영화의 가장 출발은 현대인의 분노라고 얘기한다.

영화 속에는 이밖에도 존재와 부존재, 계급 갈등, 고립된 개체, 불확실과 오해, 허무, 이상과 현실 등의 테마가 내재되었다. 그러나 영화를 이 키워드들에 한정시켜 바라볼 필요는 없다. 감독과 배우들의 인터뷰를 봐도, 최대한 설명을 배제하며 다양한 해석이 나오도록 여러 가능성을 열어둔다. 즉, 관객의 몫이 큰 영화.

제71회 칸 영화제 경쟁부문에 진출해 5월 16일 오후 6시 30분 뤼미에르 극장에서 월드 프리미어로 상영했다. 영화제 기간 동안 비평가들 사이에서 최고 평점을 얻어 화제를 모았으나 본상에서는 무관이었고, 국제영화비평가연맹(FIPRESCI)과 벌컨상을 수상했다. 이창동은 수상 소감으로 "영화 버닝은 현실과 비현실, 있는 것과 없는 것, 눈에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을 탐색하는 미스터리였다. 여러분이 그 미스터리를 함께 가슴으로 받아주셔서 감사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미술감독 신점희는 뛰어난 기술적 성취를 보여준 아티스트에게 수여하는 벌칸상을 수상했다.[8]

이후 전 세계 100여 개국에서 상영되었다. 아시아 국가들을 비롯 북미와 유럽, 남미 등 문화/지역적으로 고르게 호평받아 최고의 영화를 뽑는 각종 목록에 단골로 올랐다. 대부분 소규모로 개봉됐으나 비평가들과 아트하우스 팬들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아 해외에서는 한국의 대표적인 작가주의 영화로 알려졌고, 북미권에서는 한국 영화 최초로 아카데미 시상식 외국어영화상 1차 후보(숏리스트)에 오르는 등의 성과를 얻었다.

2. 포스터

파일:MV5BMWN.jpg
파일:frenchposter.jpg
해외 포스터 프랑스 포스터
  • 좌측의 붉은 포스터는 칸 영화제부터 사용한 해외용 공식 포스터이다. 대부분의 국가에서 제목 디자인만 약간씩 변경해서 사용하는 가장 대표적인 포스터이다.[9] 우측 흑백의 프랑스 포스터는 벨기에, 네덜란드, 스웨덴에서도 사용됐는데, 프랑스와 달리 컬러 버전이다.
  • 2017년 9월 크랭크인할 때 글씨만 간단하게 써있는 포스터가 나왔다. 이 포스터의 타이틀과 메인 포스터의 타이틀, 영화 오프닝의 타이틀은 모두 글자체가 다르다. 티저 포스터(런칭 포스터)는 2018년 4월 5일에 공개됐다.
  • 해외용 캐릭터 포스터로 벤 버전해미 버전이 있다. 종수 버전은 티저 포스터에 글씨와 로고만 바꾼 것이다. 러시아와 CIS 국가들은 캐릭터 포스터 세 장를 합쳐서 메인 포스터로 사용한다.
  • 국내에서 사용된 메인 포스터는 4월 23일 공개됐다. 대만, 싱가폴, 말레이시아, 홍콩, 폴란드에서 이 포스터를 메인으로 사용한다.
  • 공식 포스터 이외에 1970년대 컨셉의 복고 포스터도 있다. 스튜디오 콘크리트 소속의 권철화가 그린 것으로, 이창동은 포스터에 등장하는 요소들이 영화를 풀어 나가는 소재라고 말했다. 고양이, 소, 포르쉐, 태극기, 새, 남산타워 등.
  • 북미에서는 붉은 배경의 공식 포스터 이외에 푸른 배경의 포스터가 메인으로 같이 사용된다. 인물보다는 이미지를 강조한 포스터로, 플레이스트에서 2018년 최고의 포스터 20개 중 1위로 선정했다. 또한, 달리는 종수의 모습이 들어간 푸른 배경의 포스터도 북미에서 종종 사용되지만 공식은 아니다.
  • 브라질에서는 공식 해외 포스터를 메인으로 사용하지만, 이와 같은 포스터도 사용한다. 포스터를 본 사람들의 평가로는 남미의 텔레노벨라 같은 느낌이라고. 멕시코와 콜롬비아는 장르가 바뀔 것 같은 느낌의 포스터이다.
  • 일본의 포스터는 황혼 시퀀스에서의 스틸컷을 사용했다.
  • 이탈리아는 황혼씬을 그림으로 표현한 포스터를 썼다.

3. 예고편

▲ 메인 예고편

4. 시놉시스

"이제 진실을 얘기해봐"

유통회사 알바생 종수(유아인 분)는 배달을 갔다가 어릴 적 같은 동네에서 살았던 해미(전종서 분)를 만나고, 그녀가 아프리카 여행을 가 있는 동안 자기 집에 들러 자기가 키우는 고양이를 돌봐 달라는 부탁을 받는다. 여행에서 돌아온 해미는 아프리카에서 만난 벤(스티븐 연 분)이라는 정체불명의 남자를 종수에게 소개한다.

어느 날 벤은 해미와 함께 종수의 집으로 찾아와 자신의 비밀스러운 취미에 대해 고백한다. 그때부터 종수는 무서운 예감에 사로잡히게 되는데..
- 출처: 씨네21

5. 제작 과정

5.1. 프리 프로덕션

NHK에서 이창동에게 하루키의 단편을 영화로 만들어 달라고 요청한 것이 시작이라고 한다. 처음에는 이창동이 제작을 맡고 연출은 젊은 감독이 하는 걸 생각했으나, 여러 사정상 계획에 차질이 생겼다. 그러다 오정미가 <헛간을 태우다>의 영화화를 제안함과 동시에 이창동이 직접 연출하는 것을 권유했다. 대중들에게는 2016년 이창동의 복귀작으로 처음 알려졌으나 제작사는 정해진 것은 아무것도 없다며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당시만 해도 NHK와 하루키 간에 판권 문제가 있었기 때문.

공동 각본을 쓴 오정미는 6월 14일에 열린 라이브톡에서, 텅 비어있지만 채울 수 없는 비닐하우스와 세련된 승용차를 불태우는 벌거벗은 몸이라는 두 가지 이미지는 영화의 가장 시작부터 있었다고 말했다. 소설 <헛간을 태우다>와 영화를 어떻게 연계했냐는 질문에, 소설의 등장인물이 말한 "아무 쓸모없는 헛간"이라는 표현에 화가 났고, 소설의 줄거리를 '진실은 있으나 아무도 모른다(다가갈 수 없다)'로 생각했는데, 그 진실에 다가가려고 하는 사람일수록 화가날 것이라 생각해 영화를 풀어나갔다고 한다.

이창동 문서에서 읽을 수 있듯, 이창동은 무엇보다 캐스팅을 잘 하는 감독으로 알려져 있고 본인도 스스로 인정하는 점이다. 그렇기 때문에 공개 오디션을 통해 '해미' 역으로 선발된 신예 배우 전종서에게 주목이 높을 수밖에 없었다. 전종서는 소속사와 계약한 지 3일도 채 안 되었을 때 오디션을 봤고, 결국 첫 오디션에서 영화 데뷔를 치른 주인공이 되었다. 데뷔작으로 전 세계에 얼굴을 알린 전종서는 이후 이 영화를 본 애나 릴리 아미푸르를 통해 할리우드까지 진출하는 기회를 얻었다.

주인공 '종수'의 경우에는 영화 내내 표현을 잘 하지 않는 내성적인 인물이다. 이창동은 유아인이 전작들에서 강렬하게 표현하는 역할들을 맡았기 때문에 무슨 생각을 하는지 알 수 없을 정도로 감정을 드러내지 않는 '종수'의 캐릭터에 역설적으로 잘 맞을 것이라 생각했다. 이창동은 곧 유아인이 운영하는 아트 갤러리에 직접 찾아가 캐스팅 의사를 전했고, 유아인은 당시 시나리오가 나오지 않은 상태였음에도 이창동의 이름 하나로 출연을 결정했다고 한다.

스티븐 연의 캐스팅은 가장 늦게 결정됐으며 영화가 크랭크인한 후에 스티븐 연이 촬영에 합류했다. 오정미는 드라마 <워킹 데드>를 보고 그를 추천했고, 이창동은 스티븐 연이 '벤' 역할에 잘 맞을 것이란 직감이 있어서 캐스팅했다. 스티븐 연에 따르면, 안 그래도 한국에 올 예정이었는데 마침 봉준호가 전화해서 '이창동 감독님이 너를 찾는다'고 알려줬다고 한다.[10] '종수'의 아버지인 '용석' 역할에는 최승호가 특별출연하였다. 촬영 당시에는 MBC 사장 부임 전이었고 감독과는 경북대학교 동문이라는 인연도 있는데, 이창동은 '왠지 종수 아버지 같아서' 캐스팅했다고 한다.

5.2. 촬영 및 음악

2017년 제작이 가시화됐고, 9월 초 주인공들의 캐스팅을 확정한 후 9월 11일 크랭크인했다. 촬영은 <마더>, <곡성> 등으로 유명한 홍경표가 맡았다. 이창동의 전작에서 함께 한 신점희, 이충연도 합류했다. 파주서울 등지에서 촬영한 후 다음해 1월 30일에 크랭크업했다.

영화의 주인공 종수와 해미의 공간은 자연광을 그대로 쓰고, 벤의 공간은 인공 조명을 써서 대비를 줬다. 홍경표에 따르면 파주를 배경으로 한 종수의 집은 새벽이나 해질녘에 주로 찍어야 했지만 의도적으로 빛을 건드리지 않기 위해 시간대별로 나눠서 찍었다. 안개를 배경으로 한 씬들은 너무 멋지게 나와 편집된 것들이 많다고 한다.

모그의 음악이 영화의 미스터리와 후반부 서스펜스를 증폭시키는 데 큰 몫을 한다는 호평이 많다. 이창동의 전작들에서는 아예 오리지널 스코어(배경음악 OST)가 없거나 크게 부각되지 않았던 것과 대비되는 점. 5월 29일에 열린 스페셜 GV에서 이창동이 말하길, 음악 같지 않은 음악, 음악과 소음 사이에 있는 느낌이길 원했다고 한다. 당사자인 모그가 방구석1열에 출연했을 때 이 일화에 대해 자세히 말하길, 이창동은 이제까지 영화에서 한번도 들어보지 못한 음악을 원했고, 모그가 구체적인 주문을 원하자 이창동은 "음악도 아니고 사운드도 아닌.." 이라 말했다고 한다. 한편, 노을 장면의 배경음악은 마일스 데이비스의 'Generique'이다.[11] 해당 곡은 영상 00:00~2:52 오프닝에선 씨스타의 'Touch My Body'가 흘러나온다.

6. 등장인물

7. 줄거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버닝(한국 영화)/줄거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해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버닝(한국 영화)/해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명대사

저한텐 세상이 수수께끼 같아요.[12] | 종수
여기에 귤이 있다고 생각하지 말고 여기에 귤이 없다는 걸 잊어버리면 돼. | 해미

10. 사운드트랙

Burning (Original Motion Picture Soundtrack)
파일:BURNING OST.jpg
음악 감독: Mowg
발매일: 2020. 07. 07.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트랙 리스트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트랙 곡명 러닝 타임
01 <colbgcolor=#f5f5f5,#2d2f34> The Way Home 3:20
02 Crying Knife 3:27
03 Night Drive 3:02
04 Dawn 4:13
05 Vinyl House 3:25
06 Stalk 3:58
07 Dream 4:04
08 Suffer and Suffer 4:06
09 Burning 4:32
10 Void (Bonus Track) 3:31
}}}}}}}}} ||

영화의 오리지날 사운드트랙은 여기에서 들을 수 있다. 사운드트랙이 국내에선 발매되지 못하였고 캘리포니아의 음반사 Milan Records에서 발매되어 아마존과 유튜브 뮤직 등에서 서비스 되고 있다.[13] 국내 사운드트랙 시장은 보컬곡 위주로 재편되었고 오리지널 스코어를 수록한 음반은 상업성이 없는 걸로 여겨져 크게 쇠퇴했기 때문이다. 그나마 영화의 해외 인지도 덕에 해외 음반사에서 출시될 수 있었다.

11. 평가


||<-3><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bgcolor=#333><tablebordercolor=#333> 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 ||
메타스코어 90 / 100 점수 7.8 / 10 상세 내용



||<-2><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93208><bgcolor=#f93208> 파일:로튼 토마토 로고 화이트.svg ||
신선도 95% 관객 점수 82%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6c700><tablebordercolor=#f6c700><tablebgcolor=#fff,#191919><:> [[IMDb|
파일:IMDb 로고.svg
]] ||
( XXX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14181c><tablebordercolor=#14181c><tablebgcolor=#fff,#191919><:>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 XXX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005><bgcolor=#005> 파일:키노포이스크 로고.svg ||
별점 6.984 / 1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00><#fff,#ddd> 파일:야후! 재팬 로고.svg ||
별점 3.41 / 5.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333><bgcolor=#333> 파일:엠타임 로고.svg ||
평점 7.7 / 1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6699cc><#edf4ec> 파일:더우반 로고.svg ||
별점 7.9 / 1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f0558><bgcolor=#ff0558> 파일:왓챠피디아 로고 화이트.svg ||
별점 3.5 / 5.0



||<-2><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ordercolor=#101322><#101322><tablebgcolor=#fff,#191919> 파일:키노라이츠 화이트 로고.svg ||
지수 91.67% 별점 / 5.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bgcolor=#03cf5d><tablebordercolor=#03cf5d><tablebgcolor=#fff,#191919>파일:네이버 로고 화이트.svg ||
{{{#!wiki style="display:155263"
{{{#!wiki style="display:none; display: inline-block; display: 155263; margin:-5px -9px"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55263|{{{#!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wiki style="margin:-10px 0; width:calc(100% + 16px - 1em)"
기자·평론가
7.69 / 10
관람객
7.82 / 10
네티즌
6.64 / 10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5px -9px"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영화++평점|{{{#!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wiki style="margin:-10px 0; width:calc(100% + 16px - 1em)"
<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tablecolor=#000,#fff>
기자·평론가
7.69 / 10
관람객
7.82 / 10
네티즌
6.64 / 10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6393f9><tablebgcolor=#fff,#191919> 파일:다음 로고.svg ||
평점 6.8 / 10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84C4D><tablebordercolor=#F84C4D><tablebgcolor=#fff,#191919>
파일:CGV 로고 화이트.svg
||
지수 79%


사회적으로 의식적이고 형식적으로 예술적인 관점에서 볼 때, 세계의 영화 역사학자들은 한국 영화의 이 시기를 되돌아보며 이창동 감독의 <버닝>과 같은 업적을 르네상스의 하이라이트로 생각할 것이다. (...) 영화의 재료는 문학이지만, 각색은 강력한 영화 언어로 이끌어진다. 이 영화는 매혹적인 이미지를 통해 내적 갈망의 감정을 잡아내는 동시에 어떻게 독특한 영화적 비전을 드러낼 수 있는지 알려주는 완벽한 예이다.
더 플레이리스트 2010년대 최고의 영화 100 中
<버닝>은 새로운 세계를 발견하기 위해 자신에게 익숙한 것을 벗어던지고 앞으로 나아가는 영화다. 작가의 시선에서 현 세대와 시대를 이해하고자 하는 몸짓이라고 해도 좋겠다. (…) 무엇보다 작가라는 미명하에 스스로 온실 속에 격리되지 않고 어떤 방식으로든 시대와 조응하려는 과정에서 빚어진 마찰음이 소중하다. 영화에 대한 가혹하고 모욕적인 반응들까지 포함하여 <버닝>은 2018년 한국영화의 하나의 지표로서 기록될 만하다. 동시에 우리는 아직 이 영화에 대해 충분히, 그리고 제대로 이야기하지 못했다. (…) 평자들의 고백[14]처럼 당분간 <버닝>을 계속 되돌아볼 수밖에 없을지도 모르겠다.
씨네21 2018년 올해의 영화 中

2018년 5월 14일 국내 언론 배급 시사회와 VIP 시사회를 진행했으나 칸 영화제에서의 프리미어로 인해 개봉일 오전 6시까지 엠바고가 걸려 있었다. 칸 영화제 측의 요구로 참석자들에게 서약서를 받을 정도였다고.

칸 영화제에서는 압도적인 호평을 받았다. 영국의 영화 잡지 스크린데일리에서는 4점 만점에서 역대 최고 점수인 3.8점을 매겼고,[15] 인터네셔널 시네필 소사이어티에서는 이번 칸 영화제에 출품된 모든 영화 중 가장 높은 점수인 5점 만점에 4.83점을 매겼다.# 칸 각종 매체 평점을 보면 압도적이다 싶을 정도로 <버닝>의 평점이 높다. 너무나도 압도적인 평점에 황금종려상까지 기대해볼만한 상황이었지만[16] 아쉽게도 본상에서는 무관으로 끝났다. 대신 국제영화비평가연맹상을 수상했다. 칸 영화제 수상은 평점보다 당해 심사위원들의 취향으로 갈리기 때문. 본상은 무관이었지만 국제영화비평가연맹상을 수상해 작품성을 인정받았고, 여기에 미술감독 신점희가 벌칸상을 수상했으므로 의미있는 결과.

국내 평론가들 사이에서도 대체로 호평이지만 해외 평가만큼 압도적이진 않다. 씨네21의 경우 별 3개부터 별 5개까지 유독 편차가 큰 편이고 공격적인 평도 가끔 보인다.[17] 대체적으로 평론가들은 버닝이 모든 장면에서 미장센 문법을 철저히 구현했다는 등 영화적 기능에 맞춰 논하거나, 인물의 행적과 배경을 통한 사회적 메시지를 파악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후자의 경우 평론가들의 취향이 들어가고 버닝 자체가 여백을 많이 만들어 놓은 영화라 저마다 평과 해석들이 다양할 수밖에 없다.

관객들의 평은 호불호가 극명하게 갈린다. 영화를 보기 전, 주의해야 할 점은 친절하고 대중적인 영화가 아니란 점이다. 영화에 대해 감독과 배우들이 '청춘이 바라보는 세상에 대한 미스터리에 관한 영화다', '다양한 여지를 주어 질문을 던진다', '관객들에게 새로운 방식으로 말을 거는 영화'라고 설명하는 것을 통해 알 수 있듯 쉽고 편한 영화는 아니다. 그래서 일반 관객 평에서는 하고 싶은 말을 대충은 알겠는데 애매모호하여 명확히 이해하기 어렵다는 반응이 많다. 이에 대해 이창동 감독은 영화가 호불호가 나뉠 줄 예상했다고.

애매모호한 설정과 전개는 작중 종수의 답답한 감정과 종수가 보는 미스터리한 세상을 드러내기 위함이고, 종반부에서 종수의 정체성까지 의심하게 만드는 의도된 선택이다. 영화 자체가 메타포의 향연이며 대사와 장면 하나하나가 상징과 은유로 이루어졌다. 칸 영화제 집행위원장 티에리 프리모가 버닝을 "순수한 미장센으로서 영화의 역할을 다하며 관객의 지적 능력을 기대하는 시적이고 미스터리한 영화"라고 언급한 것처럼, 관객들을 불편하게 만들고 끊임없이 생각하게 하면서 자꾸 질문을 던진다. 그렇기 때문에 어렵고 지루하다는 반응도 있고, 영화 한 편에 생각할 여지를 많이 남겨둔다는 점에서 호평하는 관객들도 있다. 이를 보면 버닝은 취향을 타는 영화이다.

해외에서는 호평 일색이다. 대중적으로 잘 알려진 메타크리틱은 90점(2018년 개봉 영화 중 11위), 로튼토마토의 신선도 지수 95%이며, 일반 관객들이 많은 레터박스에서도 평이 좋아 연말 이용자들의 투표로 뽑는 어워드에서 최우수 외국 영화로 뽑혔다. 프랑스의 알로시네에서는 평균 4.3점으로 13개 매체로부터 만점을 받았다. 로저 에버트 사이트, LA 타임스, 벨기에의 크낙포커스, 영국의 데일리 텔레그래프더 가디언[18] 등 여러 전문매체에서도 만점을 줬다. 전문가들 평에 비해 관객들의 관람평은 국내처럼 호불호가 갈리지만, 칸에서의 크리틱스 페이버릿(critics' favorite)이라는 수식어를 달은 작품인지라 세계적으로 상찬을 얻은 아시아의 예술 영화로 접근하는 관객들로부터는 좋은 평가를 얻었다. 계급 간 격차 혹은 투쟁을 우화한 사회심리적 스릴러라는 점에서 호평을 받았으며, 무라카미 하루키의 비범한 작품을 시각적 효과를 통해 영화적 체험을 끌어냈다는 점에서도 주목받았다. 또한, 이창동이라는 거장 감독의 새로운 시도, 3명의 젊은 배우들의 호연도 영화의 호평을 끌어내는 요소이다.

11.1. 평론가 평

다시금 새로운 영역으로 성큼 나아간 이창동. 지금이곳 청춘들의 고투와 분노를 다룬다는 점에서 한국적이고, 예술과 인식의 토대를 되묻는다는 점에서 근원적이다.
이동진 (★★★★★) #
메타포의 그물로 건져 올린 상실의 시대
송경원 (★★★★☆)
해석과 리뷰 - 무비썸
프렌치 클래식처럼 느리되 맹렬한
박평식 (★★★☆)
서서히, 그러나 강력하게 불타오르며 지금 한국 청춘의 재를 장르 속에 버무린다. 가히 ‘시네마틱’한 체험.
김도훈 (★★★★☆)
아주 천천히 내게 거짓말을 해봐
이용철 (★★★)
헛'것'을 태우다
허남웅 (★★★)
이창동이 바라보는 요즘 20대들의 삶의 '상황'(circumstance)
김성훈 (★★★★★)
슈뢰딩거의 고양이를 구하는 건 관객 자신
송형국 (★★★★)
하루키적인 것과 이창동스러운 것의 미스매치
이주현 (★★★)
문학 소년이 책을 읽으며 상상했던 '청춘' 같다
임수연 (★★★☆)
현혹되지 말 것
장영엽 (★★★☆)
돈, 섹스, 혐오 그리고 불신의 유예
김현수 (★★★★☆)
'심증'은 있는데 '물증'이 없다

있다가도 없고, 없는 것 같은 데도 있다. 비닐하우스, 우물, 고양이, 남산타워, 전화, 판토마임… 많은 것들이 메타포로 기능하는 <버닝>의 오리무중은 ‘물증’은 보여주지 않고 ‘심증’만 계속 흘리는 것에 기인한다. 마침표나 느낌표 대신 물음표로 남는 세계. 이 기기묘묘한 세계 안에서 이창동은 원인과 실체를 ‘알 수 없는’ 요즘 세대 청춘들의 무력감과 분노를 ‘손에 잡히지 않게’ 그려낸다. 이쯤이면 미스터리를 품고 있어 미스터리 장르이기보다, 영화 자체가 수수께끼라서 미스터리가 아닐까 싶기도 하다. 서사 흡수율이 높지 않은 영화임에도, 끝까지 스크린에서 눈을 떼지 못하게 하는 것은 매혹적으로 잡아낸 ‘영화적 순간들’이다. 특히 노을 진 파주의 벌판을 배경으로 춤을 추는 여주인공 혜미(전종서)의 실루엣은 오래 두고 회자 될 명장면이다. 정답을 알려주기보다 해석의 여지를 남기는 걸 선호하는 이창동 감독의 화법이 <마더>와 <곡성>을 매만진 홍경표 촬영감독의 영상을 만나 관객에게 던지는 호기심이라는 미끼.
정시우 (★★★★)
절망적 공감
김형석 (★★★★☆)
시대를 덮은 불안과 허무

이 시대를 살아가는 젊은이들의 분노와 상실감은 어디서 기인하는가. <버닝>은 이런 물음으로부터 시작했다. 두 남녀와 이들 사이에 끼어든 낯선 남자와의 관계 속에서 벌어지는 미스터리한 일들은 바로 이 물음의 답을 찾는 과정이다. 군데군데 흔적을 남겨 어렴풋하게 짐작하려 하지만 이내 붉은 도화지에 검은 안료가 스미듯 어둠이 깔리는 벌판과 푸른 안개가 무겁게 내려앉은 새벽의 흐릿한 풍광처럼 영화적 황홀로 우리를 미로 속에 가둔다. 인간의 원죄를 심연까지 파고들며 질문을 던지던 이창동 감독이 이번에는 당신을 둘러싼 현실을 목도하라 한다. 전종서의 눈부신 데뷔와 스티븐 연의 변신도 의미 있지만, 연기하지 않는 것 같은 연기로 불안과 허무가 가득한 청춘을 완벽하게 그려 낸 유아인에겐 어떤 식으로든 이 영화가 인생의 이정표로 남을 게 분명하다.
심규한 (★★★★)
불분명한 감정을 쌓아 올려 자신만의 정점을 찍지만 다소 현학적으로 보인다
박꽃 (★★★)
침묵 끝에 선택한 그의 버닝이 시리고 뜨겁다
박은영 (★★★☆)
'헝거'와 '개츠비'의 잔혹 우화. 무라카미 하루키의 헛간을 모티브로 윌리엄 포크너의 분노를 이야기하는 영화. 미스터리를 어떻게 영화적으로 구현할 것인가를 시험한 이창동 감독의 정교한 시도가 눈에 띄는데, 비닐하우스, 고양이, 빛, 우물, 마임, 등장인물 등의 상징을 통해 눈에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을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지 끊임없이 관객들에게 질문한다. 따라서 영화에서 본 모든 것이 사실인지, 일부만 사실인지, 아니면 모든 것이 (종수의 소설 속) 허구인지, 그 어떤 해석도 가능한 미스터리는 온전히 관객의 몫으로 남는다.
서정환 (★★★★)
<버닝>은 이러한 모호한 삼각관계 속에서 시대와 계급 사회를 향한 문제를 상징적으로 담아내는 동시에 세 인물 사이에서 발생하는 긴장 관계를 유연하게 끌고 나간다. 이야기의 특수성만큼 캐릭터에 대한 깊이 있는 설정과 시선도 눈길을 모은다. (...중략...) 세 캐릭터 모두 복합적인 관계를 지양하고 있다는 점에서 <버닝>이 이들을 통해 전하고자 한 인간의 복합적인 철학은 감독이 남긴 상징적인 묘사와 여백을 통해 관객으로 하여금 다양한 해석의 여지를 남기게 한다. 이는 미완성 혹은 모호함으로 끝맺은 결말 부분에 대한 해석에도 적용된다. 작가주의적 시선과 스릴러적 구성을 적절하게 배합했다는 점에서 볼 때 <버닝>은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 감독의 1966년 작품 <욕망 (Blow-Up)>을 떠올리게 한다. '공원에서 촬영된 사진'이 촉발시킨 사건을 메인 소재로 삼아 긴장감을 높이지만, 정작 영화가 전하고자 한 메시지와 시선은 이와 거리가 먼 다른 것이 <욕망>의 주 설정이다. <버닝> 또한 이 같은 설정을 기반으로 관객의 시선을 시종일관 끌고 가게 하는 묘한 매력을 전해줘 스릴러의 관점에서 영화를 관람한다면 의외의 흥미를 느끼게 될 것이다.
최재환 (★★★★☆)
無의 몸짓
김영진
The cumulative effect of all its perfect moments, all its perfectly true, unexpected and consequential scenes, is scorching. (...) Every new development seeds the one that comes after and changes your perspective on what went before, right up to a climax those oscillating reversals take place across a single shocking moment, sending you out into the night with a gift: a story that is fully spent and wholly satisfying but eternally, burningly mysterious.
Jessica Kiang <사이트 앤 사운드>
Burning is a thriller like no other you'll see this year. Repeat viewings of this smouldering tale of glorious complexity will surely yield ample rewards.
Pierce Conran <스크린 아나키>
Burning continues this thematic investigation with extraordinary lucidity and intelligence, but also an abiding respect for its own mysteries. This is the most absorbing movie I've seen this year, as well as the most layered and enigmatic.
Justin Chang <로스앤젤레스 타임스>, <NPR>
Desire, ravenous and ineffable, shudders through Burning. (...) The story has the quality of a mystery thriller. (...) The larger, more agonizing question here, though, involves what it means to live in a divided, profoundly isolating world that relentlessly drives a wedge between the self and others.
Manohla Dargis <뉴욕 타임스>
Burning surely ranks with the year’s very best. (...) Burning, is enigmatic, but captivating enough that it compels rather than repel the viewer.
Jordan Ruimy <더 플레이리스트>
This is a beautifully crafted film loaded with glancing insights and observations into an understated triangular relationship, one rife with subtle perceptions about class privilege, reverberating family legacies, creative confidence, self-invention, sexual jealousy, justice and revenge.
Todd McCarthy <할리우드 리포터>
피부 깊숙하게 전율이 스며들도록 절정의 장면들을 훌륭하게 조화를 이루어낸다. 영화에는 잠재된 계급 갈등, 말로 표현하기 어려운 분노와 몸으로 느낄 수 있는 소외와 고립, 성적 갈망 등에 관한 연구가 담겼다. 이런 복합적 주제들은 서로 긴밀하고 훌륭하게 어우러진다.
<데일리 텔레그래프>
버닝은 우리가 사는 세상이 뭔가 옳지 않다는 느낌을 반영한다. 버닝은 신비한 차원을 만든다. 영화는 당신의 깊은 곳까지 들어가 한동안 머물러있는다.(Burning reflecteert op de wereld waarin we leven, op het gevoel dat er iets niet in orde is. Burning krijgt mystieke dimensies. Een film die je niet licht vergeet, die onder je huid kruipt, en daar blijft branden.)
<트로우(Trouw)>
버닝은 필연적인 피날레가 끝난 후 오랫동안 머물러있는 훌륭한 미스터리다.(Burning is een briljant geacteerd mysterie dat lang blijft nasmeulen na zijn onafwendbare finale.)
<NRC>
가장 놀라운 스릴러. 세 명의 주인공은 훌륭하다. 단 하나의 감정도 놓치지 말라. 이창동이 만든 걸작.(De meest merkwaardige thriller in tijden. De drie hoofdrolspelers zijn voortreffelijk: nooit vast te pinnen op een enkele emotie. Virtuoze filmkunst van Lee Chang-dong.)
<폴크스트란트(De Volkskrant)>
미스터리와 시를 연결하는 불가항력적 심리 스릴러. 영화는 관객에게 걸작을 본 듯한 느낌이 들게 하고 종래에는 불타는 감정의 여운을 준다.
<더 모르헌(De Morgen)>
이창동이 만든 이 시적인 스릴러는 신비스럽고 매혹적이며 격렬하다.(Un thriller poetique que la mise en scene de Lee Chang-Dong rend mysterieux, puis fascinant, puis feroce.)
<텔레라마(Telerama)>
환상의 힘에 관한 아름다운 영화(Un tres beau film sur la force de l’illusion.)
<르 피가로(Le Figaro)>
훌륭하다. 탁월하다. 믿을 수 없을 정도로 강력하고, 매혹적이다.(Magistral. Sublime. D’une incroyable intensite, magnetique.)
<리베라시옹(Liberation)>
완벽한 화면, 긴 시야, 분위기 있는 조명, 믿음직스러운 배우들의 연기 덕분에 눈을 뗄 수 없다
<무비스 룸>
순위 제목 감독
1 와일드 보이즈 베르트랑 만디코
2 꽥꽥과 잉여인간 브루노 뒤몽
3 팬텀 스레드 폴 토머스 앤더슨
4 버닝 이창동
5 폴 상셰즈가 돌아왔다 파트리샤 마주이
6 더 포스트 스티븐 스필버그
7 밤의 해변에서 혼자 홍상수
8 살인마 잭의 집 라스 폰 트리에
9 레토 키릴 세레브렌니코프
10 보물섬 기욤 브락

11.2. 유명인 평

  • 촬영감독 아녜스 고다르는 최근 10년간 가장 좋아하는 10편의 영화 중 2위로 버닝을 꼽았다
  • 이창동의 팬이라고 밝혀온 션 베이커[19]는 어김 없이 레터박스에 감상평을 남겼다.

12. 흥행

12.1. 대한민국

대한민국 누적 관객수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주차 날짜 일일 관람 인원 주간 합계 인원 순위 일일 매출액 주간 합계 매출액
개봉 전 3,101명 3,101명 미집계 27,942,000원 27,942,000원
1주차 2018-05-17. 1일차(목) 54,088명 384,940명 2위 446,362,600원 3,451,503,098원
2018-05-18. 2일차(금) 60,958명 2위 555,455,952원
2018-05-19. 3일차(토) 85,021명 3위 785,610,246원
2018-05-20. 4일차(일) 74,723명 3위 695,648,300원
2018-05-21. 5일차(월) 51,397명 3위 429,046,000원
2018-05-22. 6일차(화) 42,336명 6위 395,649,000원
2018-05-23. 7일차(수) 16,417명 5위 143,731,000원
2주차 2018-05-24. 8일차(목) 11,934명 87,489명 6위 98,939,300원 762,554,200원
2018-05-25. 9일차(금) 13,680명 6위 125,787,900원
2018-05-26. 10일차(토) 18,629명 7위 175,217,600원
2018-05-27. 11일차(일) 16,568명 7위 155,803,600원
2018-05-28. 12일차(월) 8,382명 6위 69,750,600원
2018-05-29. 13일차(화) 9,295명 6위 78,768,900원
2018-05-30. 14일차(수) 9,001명 7위 58,286,300원
3주차 2018-05-31. 15일차(목) 8,589명 39,483명 4위 76,524,600원 356,620,900원
2018-06-01. 16일차(금) 5,130명 7위 47,067,300원
2018-06-02. 17일차(토) 8,056명 7위 75,084,300원
2018-06-03. 18일차(일) 6,488명 7위 60,827,000원
2018-06-04. 19일차(월) 3,363명 6위 27,874,900원
2018-06-05. 20일차(화) 4,531명 6위 37,998,000원
2018-06-06. 21일차(수) 3,326명 11위 31,244,800원
4주차 2018-06-07. 22일차(목) 1,289명 10,029명 10위 10,641,800원 89,707,900원
2018-06-08. 23일차(금) 1,411명 8위 12,926,800원
2018-06-09. 24일차(토) 2,126명 10위 20,111,900원
2018-06-10. 25일차(일) 1,831명 11위 17,194,600원
2018-06-11. 26일차(월) 895명 11위 7,130,400원
2018-06-12. 27일차(화) 1,153명 10위 9,343,700원
2018-06-13. 28일차(수) 1,324명 14위 12,358,700원
}}} ||
합계 누적 관객수 528,626명, 누적 매출액 4,718,388,098원[20]


같은 주에 개봉하는 작품은 데드풀 2, 안녕, 나의 소녀, 임을 위한 행진곡, 피터 래빗(이상 2018년 5월 16일), 5.18 힌츠페터 스토리, 다이노 헌터: 티렉스 VS 파키리노 대격돌, 마중: 커피숍 난동 수다 사건, 마징가 Z: 인피니티, 청년 마르크스, 트립 투 스페인, 파리 오페라(이상 2018년 5월 17일)까지 본작 포함 12편이다.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의 기세가 꺾이는 4주차라서 본격적으로 개봉작이 많다.

순제작비 기준 손익분기점은 170만명[21], P&A 비용 포함 250만명으로 알려졌는데, 누적 관객수로는 손익분기점을 넘기지 못했다. 해외 판매를 통해 당초 알려진 손익분기보다 낮아진 것으로 보이나, 정확한 수치는 공개되지 않았다. 평단의 호평에도 불구, 작가주의 영화라는 인식이 강하고 무겁고 어려워 상업적으로 성공하기엔 대중성이 부족한 영화였다.[22]

13. 국외 개봉 정보

2018년 5월 기준 100개 국에 판매되었다. 흥행을 기대하기보다 예술성이 강한 영화로 알려져 있어 각 국에서 소규모로 개봉됐다. 유력 영화제에서 첫 공개된 후 여러 곳을 도는 다른 영화들처럼, 각 국 영화제에서 프리미어된 후 정식 개봉 루트를 탄 경우가 대부분이다. 2018년 12월 기준 , 시드니, 뮌헨, 카를로비바리, 토론토, 뉴욕, 시체스, 빈, 마르델플라타, 스톡홀름 등 80개 이상의 영화제에 초청됐다.
  • 아시아
    • 대만에서는 타이베이 영화제에서 먼저 공개된 후 6월 29일에 개봉했다. 대만 제목은 연소열애(燃燒烈愛). 홍콩에서는 홍콩아시아영화제에서 초연하고 12월 27일 개봉했으며, III등급을 받았다. 중국에서 판권은 팔렸으나 개봉은 요원하다. 그런데 더우반의 2018년 결산에서는 가장 주목받는 미개봉작 6위, 가장 주목받는 감독 8위(이창동), 평점이 가장 높은 한국 영화 4위, 가장 주목받는 외국 남자 배우 10위(유아인) 리스트에 올라온 것을 볼 수 있다.#

    • 7월 5일에 개봉한 싱가폴에서 M18 등급을 받았다. 7월 19일에 개봉한 태국의 등급은 18세, 8월 2일에 개봉한 말레이시아의 등급은 P13이다.

    • 서아시아 국가인 이스라엘에서는 하이파 영화제에서 초연하고 10월 18일에 개봉했는데, 여기 등급은 14세이다.

    • 일본에서는 12월 29일에 NHK의 특집 드라마 95분 편성으로 TV에서 먼저 선보였다. 종수 역에는 에모토 토키오, 벤 역에 하기와라 마사토, 해미 역에 타카나시 린이 더빙을 맡았다. 그리고 2019년 2월 1일에 극장 개봉했다. 영화 등급은 PG12다.
  • 유럽
    • 러시아에서는 안드레이 타르콥스키 영화제 및 모스크바와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프리미어로 선보인 후 7월 5일 개봉했다. 러시아에서 개봉하는 외국 영화답게 더빙되었다. 더빙된 예고편 벨라루스, 카자흐스탄, 타지키스탄 등 다른 CIS 국가들도 같은 달에 개봉했다.

    • 프랑스에는 8월 29일에 개봉했다. 인접국인 룩셈부르크, 벨기에, 스위스(프랑스어권)도 같은 날 개봉했다. 이쪽 나라의 메인 예고편은 편집이 다른데 오리지널보다 스포일러가 많다. 프랑스에서의 등급은 전체관람가(Tous publics). 알로시네(allocine)에 집계된 30개 매체의 평균 평점은 4.3/5점으로 13개 매체가 만점을 줬고 리베라시옹, 르 피가로, 르몽드 등에서 버닝을 특집 기사로 다뤘다. 시네마테크 프랑세즈에서는 이창동 회고전이 열려 이창동이 파리에 방문했다. 개봉 첫 주의 흥행도 준수한 편으로 2009년 이후 프랑스에서 개봉한 한국 영화 중 3위에 해당하는 성적이다.기사

    • 베네룩스 중 나머지 국가인 네덜란드에서는 WCA, 필름 바이 더씨 등에서 먼저 선보인 후 10월 11일에 개봉했다. 등급은 16세.

    • 유럽 국가들의 연령 등급은 대체적으로 한국보다 완화되었다. 9월 20일 개봉한 크로아티아 12세, 10월 19일에 개봉한 스페인(시체스 영화제 초연)도 12세, 11월 8일에 개봉한 헝가리(미슈콜츠 영화제 초연)는 16세, 2019년 5월 16일에 개봉한 포르투갈은 M14.

    • 영국에서는 런던 영화제에서 프리미어를 했고 케임브리지, 리즈 등 여러 영화제에서 공개한 후 2019년 2월 1일에 개봉한다. 등급은 15세. 아일랜드도 같은 날 개봉했다.

    • 독일에서는 뮌헨 영화제에서 초연하고 각종 영화제에 상영됐는데, Around the World in 14 Films라는 행사에서는 독일의 배우 라스 루돌프가 버닝을 소개하기도 했다. 개봉은 2019년 6월 6일 16세의 등급으로 했다. 빈 영화제서 초연한 오스트리아는 다음날 개봉했으며, 독일어권 스위스 개봉일은 이보다 앞선 1월 10월이다.

    • 폴란드에선 크고 영화제에서 소개되다가 12월 28일에 개봉했다. 터키도 비슷했다가 2019년 1월 11일에 15+으로 개봉했고, 아테네 영화제에서 초연한 그리스는 1월 10일, 루마니아에서는 같은 해 4월 15일 N15등급으로 개봉했다.

    • 북유럽 국가들도 2019년 초 비슷한 시기에 연이어 공개됐다. 스웨덴(스톡홀름 영화제 초연) 15세 1월 18일, 노르웨이(베르겐 영화제 초연) 15세 2월 22일, 핀란드 16세 2월 22일. 다만 덴마크는 2018년 12월 20일에 15세로 바로 개봉했다.

    • 이탈리아는 2019년 9월 19일에 개봉했다. 특이하게 "L'Amore Brucia"라는 부제를 달고 나왔으며 예고편도 장엄한 분위기의 음악을 깔았다. 프랑스처럼 영화 심의에 자유로운 나라라 등급은 T(전체관람가)이다.
  • 아메리카
    • 북미에서는 토론토 국제 영화제에서 프리미어를 했고 개봉 전 뉴욕, 몬트리올, 밴쿠버 등 크고 작은 여러 영화제들에서 상영됐다. 10월 26일 뉴욕, 11월 2일 LA에서 선보인 후 11월 9일 제한상영으로 시작했다.

    • 브라질에서는 상파울루 및 리우 영화제에서 프리미어하고 11월 15일에 개봉했다. 등급은 16세.

    • 멕시코에서는 15세로 3월 15일에 개봉했고, 카트라헤나 영화제에서 초연한 콜롬비아도 비슷한 3월 21일에 개봉했는데 등급은 12세이다.
  • 기타
    • 시드니 영화제에서 초연한 호주에서는 M등급으로 이듬해인 2019년 4월 18일에 개봉했다. 뉴질랜드도 마찬가지.

14. 수상 및 후보

칸에서 초연 이후 각국에 상영되면서 비평적으로 좋은 성과를 얻었다. 대중친화적이지 않아 프랑스 외에는 흥행 스코어가 높지 않지만, 영화제와 아트하우스를 통해 시네필들의 많은 주목을 받은 작품이다. 프랑스비평가협회와 벨기에영화기자협회에서 외국어영화상을 수상한 바 있고, 덴마크의 보딜상이나 로베르트상, 일본의 마이니치 영화 콩쿠르의 후보에도 올랐다. 연말 결산에서는 카예 뒤 시네마, 사이트 앤 사운드, 더 가디언 등의 유럽 매체들뿐만 아니라 인디와이어, 할리우드 리포터 등 북미의 다수 매체들이 올해의 영화와 2010년대 최고의 영화 리스트에 버닝을 올렸다. 또한 북미권 다수의 비평가협회상, 인디펜던트 스피릿 어워즈, 새턴상 등에 후보 지명 혹은 수상의 결과를 얻었다. 특히 스티븐 연의 남우조연상은 할리우드에서 활동하는 아시아계 미국인 배우가 비영어 영화로 받은 상이기에 값진 성과라 할 만하다. 유아인 역시 뉴욕 타임스 올해의 배우로 선정되어 주목을 받았는데, 북미에서는 인지도가 거의 없고 해외 프로모션에 나서지 않았음에도 유일한 아시아 배우로 꼽힌 것이라 버닝이 그만큼 북미에서 의미있는 결과를 얻었다 볼 수 있다.

제91회 아카데미 시상식 외국어 영화상 한국 출품작으로 선정된 후 해외의 다수 매체들이 버닝을 외국어 영화상의 프론트 러너로 꼽았었다. 2018년 12월 17일에는 오스카 외국어영화상의 1차 후보(shortlist)에 올랐다. 1차 후보에 오른 것 자체가 한국 영화 최초이다. 버닝은 북미권 비평가협회상 수상, 세계 유수의 비평가들로부터 올해의 영화 상위권으로 선정되며 좋은 분위기를 이어갔지만, 2019년 1월 22일에 발표된 최종 후보에는 들지 못했다. 유달리 외국어영화상 부문이 강력하기도 했고, 캠페인에 있어서 버닝의 미국 현지 배급사[23]가 워낙에 약하기도 했다. 도박사나 전문가들로부터 최종 후보에 들 것으로 예상되었던지라, 후보 발표 후 여러 매체에서 버닝의 노미네이트 불발을 '오스카의 snub(무시)' 리스트에 올리기도 했다. 하지만 다음의 글처럼 한국 영화가 세계적으로 상찬을 얻었다는 데 의의가 있으므로 오스카 최종 후보 불발이 기록으로서는 아쉬울 수 있으나 영화 자체에 대한 평가를 바뀌게 하는 것은 아니다.참고글1 참고글2

14.1. 상세 내역

※전체(에 가까운) 수상 및 후보 목록은 아래 링크를 참고바라며, 이곳에는 작품상 명목으로 받은 것들 나열한다.

IMDB의 버닝 수상 및 후보 목록
영어 위키백과의 버닝 수상 및 후보 목록
  • 제71회 칸 영화제 경쟁부문 국제비평가연맹(FIPRESCI)상
  • 제25회 아다나 국제영화제 국제경쟁부문 최우수작품상
  • 제55회 대종상 최우수작품상
  • 제38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FIPRESCI 한국본부상, 올해의영화 11선
  • 제3회 프렌치시네마투어 에뚜왈 뒤 시네마 상
  • 제28회 필름 프롬 더 사우스 페스티벌 실버미러 상
  • 제7회 키웨스트 영화제 최우수외국어영화상
  • 제90회 전미 비평가위원회 Top5 외국어영화
  • 제12회 아시아 태평양 스크린 어워즈 심사위원대상
  • 제22회 토론토 영화비평가협회상 최우수외국어영화상, 최우수작품상 2위
  • 제44회 로스앤젤레스 영화비평가협회상 최우수외국어영화상, 최우수작품상 2위
  • 제3회 뉴멕시코 영화비평가협회상 최우수외국어영화상, 최우수작품상 2위
  • 제1회 런던영화주간 최우수작품상
  • 제18회 디렉터스컷시상식 올해의 특별언급
  • 제76회 유타 영화비평가협회상 비영어작품상 2위
  • 제25회 댈러스-포트워스 영화비평가협회상 최우수외국영화상 4위
  • 제14회 노스텍사스 영화비평가협회상 최우수외국영화상 3위
  • 제1회 그레이터웨스턴뉴욕 영화비평가협회상 최우수외국영화상
  • 제17회 콜럼버스 영화비평가협회상[24] 최우수외국어영화상 2위
  • 제53회 전미 비평가협회 최우수작품상 3위, 최우수외국어영화상 3위
  • 제14회 오스틴 영화비평가협회상 최우수외국어영화상
  • 제4회 프랑스비평가협회 Club Média Ciné 시상식 외국어영화부문 그랑프리
  • 제16회 아메리칸 필름 어워즈 최고의 드라마 영화
  • 제38회 벨기에 영화 프레스 연합 시상식 대상(그랑프리)
  • 제16회 인터내셔널 시네필 소사이어티 어워즈 최우수작품상 2위, 최우수비영어작품상 2위
  • 제17회 피렌체 한국 영화제 오리종티 코리아니
  • 제7회 MOOV 영화제 Sembène 상
  • 제45회 새턴상 최우수국제영화상
  • 제5회 시네리브리 국제도서영화제 최우수문학각색작품상

14.2. 주요 리스트 선정 및 비공식 수상

아래는 2018년 베스트 영화, 2019년 베스트 영화[25], 2010년대 베스트 영화, 21세기 베스트 영화 등 여러 매체와 비평가들의 각종 목록에 버닝이 오른 것들 중 일부를 적어놓은 것이다. 2018년 베스트 영화 목록 중 영미권 매체 중심으로 된 것들은 메타크리틱에서 정리한 Best of 2018: Film Critic Top Ten Lists를 참고해도 좋은데, 버닝은 포인트 합산 점수로 로마, 퍼스트 리폼드, 더 페이버릿: 여왕의 여자에 이어 4위에 오른 것을 알 수 있다.

연말 결산
  • 인터내셔널 시네필 소사이어티 2018 칸 어워즈 황금종려상
  • 제42회 상파울루 국제영화제 2018 Mostreiros어워즈 최우수작품(Leon de Ouro)
  • 카예 뒤 시네마 2018년 올해의 영화 Top10 중 4위
  • 인디와이어 2018년 올해의 영화 Top10 중 7위
  • 버라이어티 선임 비평가 Peter Debruge의 2018년 올해의 영화 Top10 중 9위
  • 뉴욕 타임스 2018년 올해의 영화 Top10 중 2위, 올해의 배우 12명 중 1명(유아인)
  • 토론토 영화제 프로그래머 James Quandt의 2018년 올해의 영화 Top10
  • 롤링 스톤 2018년 올해의 영화 Top20 중 12위
  • 더 플레이리스트 2018년 올해의 영화 Top25 중 5위, 올해의 연기 Top40 중 8위(유아인)
  • 로저 에버트 Christy Lemire의 2018년 올해의 영화 Top10 중 3위
  • 영국 영화 연구소(BFI) 사이트&사운드 2018년 올해의 영화 3위[26]
  • The A.V. Club 2018년 올해의 영화 1위
  • Ringer 2018년 올해의 영화 Top10 중 1위
  • Dazed 2018년 올해의 영화 Top12 중 9위
  • La Septiemeobession 2018년 올해의 영화 Top10 중 5위
  • 엔터테인먼트 위클리 2018년 올해의 영화 Top18
  • LA타임즈 2018년 올해의 영화 1위
  • 링컨센터 영화협회 필름 코멘트 2018년 올해의 영화 Top20 중 2위[27]
  • 인디와이어 2018년 크리틱스 폴[28] 최고의 영화 3위, 감독(이창동) 2위, 남자조연(스티븐 연) 1위, 각본 5위, 외국어영화 2위
  • 에스콰이어 2018년 최고의 영화연기 Top13 중 1명(유아인)
  • 슬랜트 매거진 2018년 올해의 영화 2위
  • 페이스트 매거진 2018년 최고의 영화 50 중 9위
  • 필름 스쿨 리젝트 2018년 최고의 영화 50 중 27위
  • 씨네21 올해의 한국영화 1위, 올해의 감독(이창동), 올해의 촬영(홍경표)
  • 할리우드 리포터 올해의 외국어영화 2위, International Breakout Talents Top15 중 1명(전종서)
  • 제29회 Prix des auditeurs du Masque et la Plume 외국어영화부문 관객상 5위
  • AP 평론가 Jake Coyle의 2018년 최고의 영화 1위
  • 하스미 시게히코가 선정한 2018년 올해의 영화 Top10 중 8위
  • 쿨툴라 2019 작가가 선정한 영화
  • 제17회 인터내셔널 온라인 시네마 어워즈 외국어영화상
  • 더 가디언 2019 최고의 영화 Top10 중 8위
  • 디프레세 2019년의 영화 Top17
  • 이탈리아 시네포럼 2019 최고의 영화 Top10[29]
  • 독일 Filmstarts 2019 최고의 영화 Top10 중 1위
  • The Wee Review 2019년의 영화 중 10위
  • 데일리 텔레그래프 2019년 최고의 영화 Top23 중 7위
  • 인디펜던트 2019년 최고의 영화 Top20 중 11위
  • 키네마 준보 2019년 외국영화 베스트 10위

2010년대 결산
  • 인디와이어 최근 10년간 최고의 영화 100 중 22위
  • 컨시퀀스 오브 사운드 2010년대 영화 Top100 중 80위
  • The Young Folks 2010년대 최고의 영화 50 중 13위
  • 더 플레이리스트 2010년대 최고의 영화 Top100 중 1위, 10년간 최고의 연기 중 1명(스티븐 연)
  • 버즈피드 2010년대 가장 상징적인 TV와 영화 캐릭터 중 1명(이종수)
  • 테이스트 오브 시네마 2010년대 비영어 영화 Top25 중 2위, 10년간 가장 섬세한 연기 Top10 중 1명(유아인)
  • 토론토 영화제 시네마테크 최근 10년간 최고의 영화 중 공동 10위
  • The A.V. Club 2010년대 최고의 영화 Top100 중 32위
  • 롤링 스톤 2010년대 최고의 영화 Top50 중 12위
  • 링컨센터 영화협회 필름 코멘트 2010년대 최고의 영화 Top50 중 18위[30]
  • 슬랜트 매거진 2010년대 최고의 영화 100 중 37위
  • 인터내셔널 시네필 소사이어티 지난 10년간 최고의 영화 100 중 27위
  • 페이스트 매거진 2010년대 최고의 영화 100 중 40위
  • 보스턴 글로브 최근 10년간 최고의 영화 50 중 42위
  • 인사이더 2010년대 최고의 영화 100 중 48위
  • 필름 스쿨 리젝트 최근 10년간 최고의 영화 100 중 28위

기타

15. 여담

  • 이창동이 필름이 아닌 디지털로 찍은 첫 영화다. 스펙은 4K 시네마스코프.
  • 4월 24일 제작보고회에서 배우들이 자신이 맡은 캐릭터에 대해 유아인은 "속을 알 수 없는 인물" 스티븐 연은 "mysterious" 전종서는 "미스터리하다"고 답한데다 이창동도 "미스터리한 영화"라고 말해 영화의 내용 유출에 대해 극히 조심하는 것으로 보였다. 또한 "다른 방식으로 관객에게 말을 거는 작품"이라고 말하면서 영화가 세상에 대한 미스터리를 이야기하는 것이라고 전했다. 이창동은 촬영 전 배우와 스탭들에게 "우리 미지의 세계에 빠져보자"고 말했다고 한다. 5월 4일 기자회견에서는 "일상 속에서 이 세상의 미스터리를 마주하는 영화라고 볼 수 있다"고 전했다.
  • 유아인과의 작업에 대한 이창동 감독의 이야기
유아인은 훌륭한 감성을 갖고 있다. 유아인이 또래 연기자 중 가장 뛰어난 배우라는 사실은 모두가 알고 있다. 유아인 외에 종수가 갖고 있는 캐릭터를 연기할 만한 배우를 찾을 수 없었다.
유아인 씨를 보고 놀라웠어요. 사실 제가 평소에 유아인 씨를 보면 잘 모르겠어요. 이런 스타를 제가 평소에 잘 만나지도 못하고, 스타들은 어떤 생각을 갖고 어떤 감정을 갖고 있는지 사실 잘 모르니까. 아는 것 같지만 사실 잘 모르거든요. 나이 차이도 많이 나고. 그런데 종수가 됐을 때를 보면 실감이 나요. 종수로 나타났을 때는 이 세상, 이 한국의 어느 한 구석에, 저렇게, 저런 표정으로, 저렇게 걷고, 저렇게 말하는, 저런 친구가 분명히 있을 것 같은 (느낌이 들어요). 카메라 앞에서도 물론이지만, 저한테도 확실하게 실감을 전해주기 때문에, 어떤 표현이냐를 떠나서, 그것이 유아인이라는 배우의 놀라운 자기 체화의 능력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 2018년 5월 5일에 사망한 프랑스의 영화 프로듀서 피에르 르시앙이 생전 버닝에 대해 쓴 글이 며칠 뒤 공개됐다.인디와이어 르시앙은 칸 영화제 자문위원이자 여러 한국 영화를 유럽에 알린 사람으로, 이창동은 칸 영화제가 끝나고 르시앙의 추도식에 참석한 뒤 귀국했다.
  • 이창동이 칸 영화제 비하인드 얘기를 하면서, 현지에서 워낙 호평이라 오히려 불길한 예감을 가졌다고. 작품 자체가 무난하지 않고 개성이 워낙 강한데다 아무리 경쟁부문 상영작이라도 호불호가 갈리기 마련인데, 상영 후 유난히 모두 '버닝이 꼭 황금종려상을 받아야 한다'란 말들을 해서 왜 이렇게 좋아하는지 의아했다고 한다. 그리고 역시나 불길한 예감을 틀리지 않았다며 반농담 식으로 말했다. 이창동은 영화제 심사위원을 역임할만큼 그 분위기를 잘 알고 있었기 때문에 예상한 듯.
  • 나홍진의 <곡성>이 함께 거론되기도 한다. 실제와 허구가 뒤섞이며 등장 인물이건 관객이건 명확하지 않은 사실 관계 속에서 각자의 해석과 답을 찾게 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두 영화 모두 홍경표가 촬영했다. 이런 이유 때문인지 2018년 12월에 디렉터스컷 어워즈 관련으로 나홍진이 모더레이터를 맡아 이창동에게 질문하는 행사가 만들어졌다.
  • 극중 벤이 종수를 초대한 카페는 진짜로 서래마을에 있지만, 종수가 벤을 미행한 뒤 들어간 카페는 부산에 있다. 서울에 폭설이 내려 부산에서 촬영했다고 한다.
  • 마지막 장면은 실제로도 마지막 날에 촬영했으며, 촬영에 들어가자 진짜로 눈이 왔다고 한다.
  • 2018년 5월 개봉을 앞두고 스티븐 연의 욱일기 논란이 일어나 영화의 별점 또한 영향을 받았다. 자세한 내용은 스티븐 연 문서 참조. 전종서는 칸 참석을 위해 출국했을 때 카메라 앞에서 웃지 않았다는 이유로, 영화 자체에 자극적인 화제를 끌고 오기 좋아하는 기자들에게 타겟이 되었다. 이에 대한 부담 때문인지 두 배우는 칸 현지에서 한국 언론을 상대로 하는 일정은 참여하지 않기로 공지했지만, 이 또한 기자들에게 트집이 잡혀 참여하기로 변경했다. 전종서의 경우 귀국 이후에도 개인 인터뷰를 진행했고 관객과의 대화 등 모든 일정에 참석했다.
  • 해외에서는 영화를 'slow-burn thriller'로 표현하거나 삼각관계로 소개하는 경우도 있다.
  • 몇몇 국가에서 성냥갑이 굿즈로 되는 듯하다.# #
  • 무라카미 하루키의 <헛간을 태우다>를 원작으로 하지만 윌리엄 포크너의 단편 <Barn Burning>의 영향도 받았기 때문에[33] 그 의미를 살리고 싶어 '버닝'이란 제목을 가져왔다고 한다. 또한 뭔가를 불태우고 싶고 열중하고 싶을 때 쓰는 말이지만, 영화에서는 버닝하고 싶지만 그렇게 하지 못하는 역설적인 의미도 있어 제목으로 썼다고 한다.
  • <베테랑>에서 사이코패스 재벌 2세 역을 연기한 유아인은 여기서 되려 사이코패스(?)[34] 부자에게 역으로 농락을 당한다. 또한 <베테랑>에서 유아인은 살집이 도톰한 캐릭터에 맞게 몸을 찌웠으나, 이 영화에서는 현저하게 마른 몸을 보여주어 두 영화 상의 차이가 극명하다.
  • NHK와 하루키 간의 판권 문제로 인해 제작이 연기되지 않았다면, 1년 앞선 2017년 5월 즈음에 개봉됐을 것이다. 다만 이 당시의 캐스팅은 유아인과 강동원이었다. 한편, 일부 커뮤니티와 SNS에서는 원빈이 캐스팅된 적이 있다는 글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사실이 아니다.[35]
  • 새소년이 이 영화를 오마주한 뮤직비디오를 선보였으며, 종수 역의 유아인이 출연했다.#
  • 참고로 비슷한 시기에 개봉한 영화 독전보다 수위가 매우 낮은 편이다. 독전이 15세인 것을 보안하면 영등위가 독전 심의를 잘못한 것을 알 수 있다. 실제로 두 영화가 개봉했을 때 영등위의 심의 기준에 의아함을 표시하는 네티즌들도 있었다.
  • 각본집이 출간되어 시중 서점에서 구해 볼 수 있다.


[1] 단편 영화 피팅룸(2012), 미스터 쿠퍼(2015)의 감독으로, 이창동이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교수로 재직할 당시의 제자이다.[2] 영화 크레딧에는 한국명인 연상엽으로 나온다.[3] 영화의 투자를 맡은 메인 제공사이기도 하다.[4] 무라카미 하루키의 단편을 영화화 해달라고 처음 제안한 곳이다. NHK는 이창동의 <박하사탕>에도 제작투자로 참여했다.[5] 파인하우스필름과 함께 이창동의 친동생인 이준동이 운영한다.[6] 이창동의 영화 중 최장 러닝타임.[7] 실제로도 이창동 감독이 '이 영화에 대해 설명하는 것이 조심스럽다'며 언급한 내용이다.[8] 한국 영화가 이 상을 수상한 것은 아가씨의 류성희 이후 두 번째.[9] 위 포스터와 달리 작중 배경과 화면의 주된 색감은 차갑고 푸른 빛깔에 가깝다.[10] 스티븐 연은 봉준호 감독과 2017년 영화 옥자에서 호흡을 맞췄었다.[11] 잔느 모로가 주인공으로 나오는 프랑스의 1958년 영화 <사형대의 엘리베이터(Ascenseur pour l'echafaud)>의 OST이다.[12] 각 국에서 본작을 소개할 때 이 대사를 주로 인용한다. 영어권에서는 "To me, the world is a mystery."[13] 음반이 수입되지 않아 국내 음악 앱에서는 들을 수 없고, Spotify, Apple Music에서는 들을 수 있었는데 현재 한국에서 청취 불가능한 상태이다.[14] “모두 망각했거나 자본의 간섭에 겁을 먹고 퇴각해버린, 이야기 자체를 대담하게 실험한 드물고 귀한 시도”(김영진), “무라카미 하루키와 윌리엄 포크너를 차용해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의 모던 시네마로 도약한 듯한 <버닝>을 통해 이창동은 인과율적 서사라는 오랜 관습이 ‘지금의 미스터리한 현실’을 재현하는 데 과연 유효한가, 라는 질문을 던진다”.(안시환), “몇수를 앞서갔는지 헤아리기 어렵다. 나는 이 영화를 언어로 옮기려다 실패의 나락으로 떨어진 적이 있다.”(송형국),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의 <정사>(1960)가 등장했을 때 야유가 쏟아졌다고 한다. 안개 속에 갇힌 영화의 정체를 파악하지 못해 나는 허무하다. 게다가 아직 누구의 글도 이 영화의 근처에 가지 못한 것도 슬픔이다. 한 몇년은 그런 생각을 하며 보낼 것 같다.”(이용철)[15] 이전 최고점은 2016년작 <토니 에드만>의 3.7점이었다.[16] 일부 기자들은 현지 평점만을 두고 수상을 기대한다고 썼지만 이는 사정을 잘 모르는 것이다. 버닝 이전 최고 평점을 받았던 <토니 에드만>도 무관이었고 2010년 황금종려상 수상작 <엉클 분미>는 2.4점이었다. 같은 해 이창동의 <시>도 각본상을 받았지만 평점은 2.7이었다.[17] 평론가들의 성향 차이는 물론이고, 일부 평에서는 버닝이 종수의 시선을 따라가는 영화라 남성 중심적 서사라거나 기성세대(이창동)가 청년층(극중 이종수)을 논하는 영화라는 점에 개인적인 불편감을 얘기하는 경우가 더러 있기 때문이다. 한가지 예로, 씨네21이 2018년 최고의 한국 영화로 버닝을 꼽았지만 평론가들과 별점을 매기는 기자들의 지지가 다른 것을 볼 수 있다. 해외 평단도 국내의 일부 평과 비슷한 비평도 있지만, 거의 대부분 계급 갈등의 구도로 영화를 이해하고, 특히 미국에서는 작중 트럼프 대통령의 얼굴이 뉴스 화면으로 잠깐 나오는 걸 주목하기도 한다. 또한 여성기자협회(AWFJ) 등의 평론가들에게 호평을 받은 바 있다.[18] 영국 개봉 때의 만점인 평점은 주말판인 옵저버가 출처이다. 칸 상영 때의 평점은 가디언 소속의 저명한 평론가 피터 브래드쇼가 출처로, 그는 4.5점(5점 만점)을 주면서, 자신의 예측 상 버닝이 심사위원대상과 남우주연상을 받을 것이라 한 적이 있다.[19] 플로리다 프로젝트 등 연출[20] ~2022/09/23 기준[21] 이를 볼 때 순제작비는 50~60억대로 추산된다.[22] 이창동은 6월 5일 백은하와의 GV에서, 본인은 '영화가 안 될 수도 있지'라고 생각하지만, '쉽게 만들 수 없는 영화를 우리가 한다'며 함께 촬영한 사람들이 각자의 영화적 자부심에 혹시나 상처입지 않길 바란다고 솔직하게 전했다.[23] Well Go USA. 이곳은 아시아계 미국인들에게 팬서비스하는 식으로 소규모 개봉하고 2차 판권에 집중하는데라 캠페인과 거리가 멀다. 버닝은 그래도 비아시아계에도 반응이 있었던 배급작이다.[24] 센트럴 오하이오 영화비평가협회상이 이름을 변경한 것이다.[25] 영국, 일본, 독일 등에서는 2019년에 개봉했기 때문에 2019년 리스트에 포함된다.[26] 해외 각국의 평론가들의 투표로 선정된 것으로 버닝은 25표를 받았다.[27] 독자들과 에디터들의 투표를 합친 결과다.[28] 각국 비평가 200명 대상으로 투표한다.[29] 50명의 리스트 중 1위 3명, 2위 3명, 3위 3명, 4위 4명, 5위 1명, 6위 1명, 7위 2명, 10위 1명[30] 300여명의 비평가, 프로그래머, 영화 제작자들이 투표했다.[31] BBC, 더 가디언, 뉴욕타임스, LA타임스,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 엠파이어, 버라이어티 등에 소속된 28개국의 158명의 평론가가 참여했다.[32] 몇몇 자리에서 이창동은 설명하면 안되는 영화인데 설명해서 미안하며, 설명이 있어도 정답이 아니라 감독의 생각일 뿐이라고 말했다. 이 인터뷰도 영화를 만든 이창동의 관점이지 답은 아니다.[33] 이창동은 "포크너 소설에서 아버지 세상의 고통과 관련해 그 분노로 남의 헛간을 태우는 이야기가 나오는데, 그 아버지의 분노가 아들의 분노로 옮겨가는 것이 이 시대 젊은이들의 이야기에 보다 가까울 수 있다고 봤다"고 말했다. 이처럼 극중 종수는 윌리엄 포크너의 소설은 자신의 이야기 같다며 좋아한다 말하고, 종수의 아버지 용석은 분노조절장애를 가졌으며 아들에게 어머니의 옷을 태우라고 종용하는 인물로 나온다.[34] 위에 나왔다시피 영화의 많은 부분들이 관객의 상상과 판단에 맡겨져 있기 때문에 벤은 사이코패스 연쇄살인마일 수도 있고 그냥 다소 4차원끼가 있을 뿐(말하는 거나 방화가 취미인 걸 보면 평범한 사람은 아니다)인 그냥 부자일 수도 있다.[35] 원빈이 이창동의 다른 작품을 검토한 적은 있지만, 그 작품은 설경구, 장쯔이를 캐스팅 해놓고서 아예 엎어졌다. 기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