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padding: 5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C001B, #BC0021 20%, #BC0021 80%, #9C001B); color:#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rowcolor=#003478,#C39335> 내각 수상 | 정무원 총리 | ||||
<rowcolor=#003478,#C39335> 제1-4대 | 제5대 | 제6대 | 제7-8대 | 제9대 | |
김일성 | 김일 | 박성철 | 리종옥 | 강성산 | |
<rowcolor=#003478,#C39335> 정무원 총리 | 내각총리 | ||||
제10대 | 제11-12대 |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
리근모 | 연형묵 | 강성산 | 홍성남 | 박봉주 | |
<rowcolor=#003478,#C39335> 내각총리 | |||||
제16-17대 | 제18대 | 제19-20대 | 제21대 | 제22대 | |
김영일 | 최영림 | 박봉주 | 김재룡 | 김덕훈 | |
제23대 | |||||
박태성 | |||||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각총리 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 內閣總理 The Premier of the DPRK Cabinet | |
<colbgcolor=#AC0028><colcolor=#ffffff> 현직 | <colbgcolor=#ffffff,#1f2023>박태성 |
취임일 | 2024년 12월 24일 |
정당 |
[clearfix]
1. 개요
북한의 총리.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각의 대표이자 1998년 김일성 헌법이 도입된 이래 북한의 법적인 정부수반. 수령인 김정은이 절대권력을 쥐고 있는 것이 북한이지만 북한의 당정군에서 '정'의 실무를 담당하고 있는 자리이다.
2. 법적 근거
2024년 10월 최고인민회의 14기 11차 회의에서 개정된 헌법을 기준으로는 내각총리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규정한다.2.1. 존속 근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주의헌법(2024년 10월) 제6장 국가기구 제1절 최고인민회의 제91조 최고인민회의는 다음과 같은 권한을 가진다. 제5절 내각⑨ 내각총리를 선거 또는 소환한다. 제123조 내각은 국가주권의 행정적집행기관이며 전반적 국가관리기관이다. 제124조 총리, 부총리, 위원장, 상과 그밖에 필요한 성원들로 구성한다. 내각의 임기는 최고인민회의 임기와 같다. |
2.2. 법적 지위와 권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주의헌법(2024년 10월) 제6장 국가기구 제1절 최고인민회의 제91조 최고인민회의는 다음과 같은 권한을 가진다. 제3절 국무위원회⑩ 내각총리의 제의에 의하여 내각 부총리, 위원장, 상 그밖의 내각성원들을 임명한다. 제110조 국무위원회는 다음과 같은 임무와 권한을 가진다. 제5절 내각④ 최고인민회의 휴회중에 내각총리의 제의에 의하여 부총리, 위원장, 상 그밖의 내각 성원들을 임명 또는 해임한다. 제126조 내각총리는 내각사업을 조직지도한다. 내각총리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를 대표한다. |
3. 연혁
1948년 9월 9일, 북한이 처음 세워졌을 때는 제헌헌법 제4장 중앙집행기관 제1절 내각 제52조를 통해서 내각을 '국가주권의 최고집행기관'으로 규정하고 제59조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각수상을 북한의 정부 수석으로 규정하였다. 이때까지만 해도 수상이 유고할 때는 부수상이 대행하며, 수상이 취임할 때 어떤 선서를 해야하는지도 규정되어 있는등 좀 그럴듯한 규정이 많이 있었다. 이땐 김일성이 내각수상이 되어서 정부를 장악했으며 1972년 사회주의 헌법을 채택하여 수상제를 폐지할때까지 수상직을 독점했다.그러다가 1972년 12월, 사회주의 헌법이 채택되면서 국가주석제가 도입되고 내각은 '최고주권기관의 행정적 집행기관'인 정무원으로 격하되었다. 속된 말로 주석의 딱까리에 불과했던 내각은 김일성 사후 1998년 김일성 헌법이 도입되면서 다시 내각으로 격상되어 최고주권의 행정적 집행기관으로 격상, 내각의 대표인 내각총리도 정부의 대표자로 격상되었다. 다만 내각수상은 김일성만 쓸 수 있다고 여겼는지 정무원총리에서 총리를 가져와 내각총리라는 직함을 쓰게 했다.
하지만 김정일 시기 내내 자리를 지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 김영남의 위상이나 국방위원회에서 김정일을 보좌하던 여러 군부 및 당내 엘리트들에 비교하면 만만한 테크노크라트들이 맡은 내각총리들의 위상은 아무래도 약해보이는 것이 어쩔 수 없다. 비록 나중에 복권되긴 했지만 박봉주는 당내 보수파들의 반발로 불명예스럽게 해임되었고 그 뒤를 이은 김영일(1944)도 상당히 비참하게 정치경력을 마무리하는 등 정책이 잘못되면 십자가에 못박기 위한 희생양이라는 느낌도 강하다.
김정은이 집권하면서 내각총리의 위상이 더 올라가는 느낌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미 김정일과 김정은 사이의 징검다리 총리였던 최영림은 정치국 상무위원에 선출된 바가 있고, 최영림의 뒤를 이어 다시 총리가 된 박봉주도 상무위원, 현임 김덕훈도 상무위원에 선출되는 등 1년 조금 넘게 재임한 김재룡을 제외하곤 내각총리에게 정치국 상무위원이 당연직으로 주어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또한 과거에는 감히 수령을 제외하곤 할 수 없었던 현지료해 등도 박봉주가 총리이던 시절부터 활발히 다니는 등 수령의 역할을 여러모로 분담하고 있는 모습을 보인다.
또한 2016년부터 최고지도기관이 된 국무위원회의 부위원장으로 내각총리인 박봉주가 선임되었으며 2021년 9월, 박봉주가 은퇴한 이후 후임으로 김덕훈이 부위원장에 선출되는 등 내각총리의 역할은 북한 내에서 계속 중요시 되는걸로 으로 보인다. 2022년 현재, 내각총리인 김덕훈의 호명순서가 각종 행사나 회의에서 조직비서인 조용원이나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 최룡해보다 높게 호명되는 등 내각총리의 위상이 상당히 올라간 것으로 보인다. 2023년 12월, 8기 9차 전원회의에서는 김덕훈 혼자서 기사가 모든 리무진을 타고 입장하기도 했으며, 총리동지라고 경칭을 붙여주기 시작했다.
4. 역대 내각 총리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padding: 5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C001B, #BC0021 20%, #BC0021 80%, #9C001B); color:#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rowcolor=#003478,#C39335> 내각 수상 | 정무원 총리 | ||||
<rowcolor=#003478,#C39335> 제1-4대 | 제5대 | 제6대 | 제7-8대 | 제9대 | |
김일성 | 김일 | 박성철 | 리종옥 | 강성산 | |
<rowcolor=#003478,#C39335> 정무원 총리 | 내각총리 | ||||
제10대 | 제11-12대 |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
리근모 | 연형묵 | 강성산 | 홍성남 | 박봉주 | |
<rowcolor=#003478,#C39335> 내각총리 | |||||
제16-17대 | 제18대 | 제19-20대 | 제21대 | 제22대 | |
김영일 | 최영림 | 박봉주 | 김재룡 | 김덕훈 | |
제23대 | |||||
박태성 | |||||
}}}}}}}}} |
성명 | 임기시작 | 임기종료 | 비고 |
최고인민회의 10기 1차 회의 (1998년 9월 5일) | |||
홍성남 | 1998년 9월 5일 | 2003년 9월 3일 | 정무원총리 대행에서 승진 함경남도 책임비서로 조동 |
최고인민회의 11기 1차 회의 (2003년 9월 3일) | |||
박봉주 | 2003년 9월 3일 | 2007년 4월 11일 | 화학공업상에서 승진 순천비날론련합기업소 지배인으로 좌천 |
최고인민회의 11기 5차 회의 (2007년 4월 11일) | |||
김영일 | 2007년 4월 11일 | 2009년 4월 9일 | 륙해운상에서 승진 |
최고인민회의 12기 1차 회의 (2009년 4월 9일) | |||
김영일 | 2009년 4월 9일 | 2010년 6월 7일 | 화폐개혁 실패로 숙청 |
최고인민회의 12기 3차 회의 (2010년 6월 7일) | |||
최영림 | 2010년 6월 7일 | 2013년 4월 1일 | 평양시 책임비서에서 조동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명예부위원장으로 은퇴 |
최고인민회의 12기 7차 회의 (2013년 4월 1일) | |||
박봉주 | 2013년 4월 1일 | 2014년 4월 9일 | 당경공업부장에서 조동 |
최고인민회의 13기 1차 회의 (2014년 4월 9일) | |||
박봉주 | 2014년 4월 9일 | 2019년 4월 12일 | 당중앙위원회 부위원장으로 조동 |
최고인민회의 14기 1차 회의 (2019년 4월 12일) | |||
김재룡 | 2019년 4월 12일 | 2020년 8월 13일 | 자강도 책임비서에서 조동 조직지도부장으로 조동 |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제7기 제16차 정치국회의 (2020년 8월 13일) | |||
김덕훈 | 2020년 8월 13일 | 2024년 12월 27일 | 내각부총리에서 승진 국무위원장 명령으로 임명 경제비서로 조동 |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제8기 제11차전원회의 확대회의 (2024년 12월 23일 - 12월 27일) | |||
박태성 | 2024년 12월 24일 | 재임 중 | 과학교육비서에서 조동 |
5. 여담
- 최장기 재임 내각총리: 박봉주(1차 1316일 + 2차 2202일 = 총 3518일)
- 최단기 재임 내각총리: 김재룡(489일)
- 최고령 내각총리는 만 79세 8개월로 총리가 된 최영림이다. 최영림은 내각수상과 정무원총리를 합쳐서도 역대 최고령으로, 앞으로 한동안은 이 기록이 깨질 일이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박봉주 이후 김재룡과 김덕훈은 정확한 나이가 공개되지 않았기 때문에 최연소 내각총리가 누구인지는 불명이다. 다만 통일부에서 추정한 나이가 맞다면, 김덕훈이 59세에 내각총리에 임명되었으므로 최연소로 추정된다.
- 정무원총리 전원이 부수상, 부총리 재임 경력이 있는 것과 대조적으로, 역대 내각총리 중에서는 홍성남(정무원 제1부총리 역임), 최영림(정무원 부총리 역임), 김덕훈(내각 부총리 역임) 세 사람만 부총리 경력이 있다.
- 역대 내각총리 대부분이 장관 경험이 있다. 홍성남은 국가계획위원장, 박봉주는 화학공업상, 김영일은 륙해운상, 최영림은 국가계획위원장, 금속공업부장을 역임했다. 이들 모두가 중공업 분야에 종사 경험이 있다. 다만 박봉주가 맡았던 화학공업은 농업에 필수적인 비료 생산과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박봉주 본인도 경공업부장을 지내는 등 경공업과 인연이 있다. 김재룡은 지방 당직을 역임했지만 중공업의 본산인 자강도 책임비서를 역임했다는 점에서 공업과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박태성은 경제적으로 중요한 도인 평안남도 책임비서를 역임했다. 김덕훈 역시 부총리만 역임하고 장관 경력은 없지만 자강도 인민위원장 출신이라는 점에서 역시 김재룡과 마찬가지의 배경을 가지고 있지 않을까 추정된다.
- 역대 내각총리 중 남한을 방문한 이는 박봉주와 김영일이 있다. 박봉주는 2002년 화학공업상 시절에 방문한 것이고 현직 내각총리로 남한에 다녀온 사람은 2007년 남북총리회담을 위해 방남했던 김영일이 유일하다.
- 무려 3명의 부주석(김일, 박성철, 리종옥)과 2명의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명예부위원장(박성철, 리종옥)을 배출한 정무원총리와는 달리 내각총리는 겨우 한명의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명예부위원장(최영림)을 배출했다. 이후 2019년 14기 최고인민회의에서 헌법 개정으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명예부위원장 직함이 폐지되면서 앞으로 더 배출될 일은 없어졌다.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em;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아시아 ] | * 정부수반이 아닌 총리 ** 대통령 권한대행 *** 사실상 군부 소속 ☭ 공산국가의 수상 ♔ 전제군주국, 혹은 사실상 전제군주국인 입헌군주국 | |||||
네팔 | 대만 | 대한민국** | ||||
[[네팔 공산당(통합 마르크스-레닌주의)| 네팔 공산당 (통합 마르크스-레닌주의) ]] | [[민주진보당| 민주진보당 ]] | [[무소속| 무소속 ]] | ||||
카드가 프라사드 올리 (3차) | 줘룽타이 | 최상목 (직무대행) | ||||
동티모르 | 라오스☭ | 레바논** | ||||
[[티모르 재건국민회의| 티모르 재건국민회의 ]] | [[라오 인민혁명당| 라오 인민혁명당 ]] | [[무소속| 무소속 ]] | ||||
샤나나 구스망 (2차) | 쏜싸이 씨판돈 | 나지브 미카티 (3차) | ||||
말레이시아 | 몽골 | 미얀마*** | ||||
[[인민정의당| 인민정의당 ]] | [[몽골 인민당| 몽골 인민당 ]] | [[무소속| 무소속 ]] | ||||
안와르 이브라힘 | 롭상남스랭 어용에르덴 | 민 아웅 흘라잉 | ||||
바레인♔ | 방글라데시 | 베트남☭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베트남 공산당| 베트남 공산당 ]] | ||||
살만 빈 하마드 알할리파 (왕세자) | 무함마드 유누스 (임시) | 팜민찐 | ||||
부탄 | 북한☭ | 브루나이♔ | ||||
[[무소속| 무소속 ]] | [[조선로동당| 조선로동당 ]] | [[무소속| 무소속 ]] | ||||
체링 토브가이 (2차) | 박태성 | 하사날 볼키아 (국왕) | ||||
사우디아라비아♔ | 스리랑카* | 시리아 | ||||
[[무소속| 무소속 ]] | [[국가 인민의 힘| 국가 인민의 힘 ]] | [[무소속| 무소속 ]] | ||||
무함마드 빈 살만 알사우드 (왕세자) | 하리니 아마라수리야 | 무함마드 알바시르 | ||||
싱가포르 | 아랍에미리트♔ | 아프가니스탄*** | ||||
[[인민행동당| 인민행동당 ]] | [[무소속| 무소속 ]] | [[탈레반| 탈레반 ]] | ||||
로렌스 웡 | 무함마드 빈 라시드 알막툼 (두바이 아미르) | 압둘 가니 바라다르 (정치 및 외교) 무하마드 야쿠브 (군사 작전) 시라주딘 하카니 (재정 및 군수 물자) | ||||
예멘 | 오만♔ | 요르단♔ | ||||
[[국민전체회의| 국민전체회의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
아마드 아와드 빈 무바라크 | 하이삼 빈 타리크 알사이드 (국왕) | 비셰르 알카사우네 | ||||
우즈베키스탄 | 이라크 | 이스라엘 | ||||
[[우즈베키스탄 자유민주당| 우즈베키스탄 자유민주당 ]] | [[이슬람 다와당| 이슬람 다와당 ]] | [[리쿠드| 리쿠드 ]] | ||||
압둘라 아리포프 | 모하메드 시아 알수다니 | 베냐민 네타냐후 (6차) | ||||
인도 | 일본 | 중국☭ | ||||
[[인도 인민당| 인도 인민당 ]] | [[자유민주당(일본)| 자유민주당 ]] | [[중국공산당| 중국공산당 ]] | ||||
나렌드라 모디 (3차) | 이시바 시게루 (2차) | 리창 | ||||
카자흐스탄 | 카타르♔ | 캄보디아 | ||||
[[아마나트| 아마나트 ]] | [[무소속| 무소속 ]] | [[캄보디아 인민당| 캄보디아 인민당 ]] | ||||
올자스 벡테노프 | 모하메드 빈 압둘라흐만 알사니 (왕족) | 훈 마넷 | ||||
쿠웨이트♔ | 키르기스스탄 | 타지키스탄 | ||||
[[무소속| 무소속 ]] | [[아르 나므스| 아르 나므스 ]] | [[타지키스탄 인민민주당| 타지키스탄 인민민주당 ]] | ||||
아마드 알압둘라 알사바 (국왕의 조카) | 아킬베크 자파로프 | 코히르 라술조다 | ||||
태국 | 파키스탄 | 팔레스타인 | ||||
[[태국인당| 태국인당 ]] | [[파키스탄 무슬림 동맹| 파키스탄 무슬림 동맹 ]] | [[파타| 파타 ]] | ||||
패통탄 친나왓 | 셰바즈 샤리프 (2차) | 무함마드 무스타파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유럽 ] | * 정부수반이 아닌 총리 ** 바티칸 시국의 명목상 정부수반은 바티칸 시국 행정부 장관이다. | ||
그리스 | 남오세티야 | 네덜란드 | ||||
[[신민주주의당| 신민주주의당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
키리아코스 미초타키스 (2차) | 주소이트 콘스탄틴 | 딕 스호프 | ||||
노르웨이 | 덴마크 | 독일 | ||||
[[노동당(노르웨이)| 노동당 ]] | [[사회민주당(덴마크)| 사회민주당 ]] | [[독일 사회민주당| 독일 사회민주당 ]] | ||||
요나스 가르 스퇴레 | 메테 프레데릭센 (2차) | 올라프 숄츠 | ||||
라트비아 | 러시아 | 루마니아 | ||||
[[신단결| 신단결 ]] | [[무소속| 무소속 ]] | [[사회민주당(루마니아)| 사회민주당 ]] | ||||
에비카 실리냐 | 미하일 미슈스틴 (2차) | 마르첼 치올라쿠 | ||||
룩셈부르크 | 리투아니아 | 리히텐슈타인 | ||||
[[기독사회인민당| 기독사회인민당 ]] | [[리투아니아 사회민주당| 사회민주당 ]] | [[애국연합| 애국연합 ]] | ||||
뤼크 프리당 | 긴타우타스 팔루츠카스 | 다니엘 리쉬 | ||||
모나코 | 몬테네그로 | 몰도바 | ||||
[[무소속| 무소속 ]] | [[지금 유럽!| 지금 유럽! ]] | [[무소속| 무소속 ]] | ||||
피에르 다르투 | 밀로이코 스파이치 | 도린 레체안 | ||||
몰타 | 바티칸** | 벨기에 | ||||
[[노동당(몰타)| 노동당 ]] | [[무소속| 무소속 ]] | [[Open VLD| Open VLD ]] | ||||
로버트 아벨라 (2차) | 피에트로 파롤린 | 알렉산더르 더크로 | ||||
벨라루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북마케도니아 | ||||
[[무소속| 무소속 ]] | [[독립사회민주연대| 독립사회민주연대 ]] | [[내부 마케도니아 혁명 기구-마케도니아 국민통합민주당| VMRO-DPMNE ]] | ||||
라만 할로우찬카 (2차) | 보랴나 크리슈토 | 흐리스티얀 미츠코스키 | ||||
북키프로스 | 불가리아 | 세르비아 | ||||
[[국민통일당| 국민통일당 ]] | [[무소속| 무소속 ]] | [[세르비아 진보당| 세르비아 진보당 ]] | ||||
위날 위스텔 | 디미터르 글라브체프 | 밀로시 부체비치 | ||||
스웨덴 | 스위스* | 스페인 | ||||
[[온건당| 온건당 ]] | [[스위스 녹색자유당| 스위스 녹색자유당 ]] | [[스페인 사회주의노동자당| 스페인 사회주의노동자당 ]] | ||||
울프 크리스테르손 | 빅토르 로시 | 페드로 산체스 (3차) | ||||
슬로바키아 | 슬로베니아 | 아르메니아 | ||||
[[사회민주당(슬로바키아)| 방향-사회민주주의 ]] | [[자유운동(슬로베니아)| 자유운동 ]] | [[시민계약(정당)| 시민계약 ]] | ||||
로베르트 피초 (4차) | 로베르트 골로프 | 니콜 파시냔 (3차) | ||||
아이슬란드 | 아일랜드 | 아제르바이잔 | ||||
[[사회민주동맹| 사회민주동맹 ]] | [[피너 게일| 피너 게일 ]] | [[무소속| 무소속 ]] | ||||
크리스트륀 프로스타도티르 (2차) | 사이먼 해리스 | 알리 아사도프 | ||||
안도라 | 알바니아 | 압하지야 | ||||
[[안도라 민주당| 안도라 민주당 ]] | [[알바니아 사회당| 알바니아 사회당 ]] | [[아이타이라| 아이타이라 ]] | ||||
샤비에르 에스포트 자모라 (2차) | 에디 라마 (3차) | 알렉산드르 안콰브 (2차) | ||||
에스토니아 | 영국 | 오스트리아 | ||||
[[에스토니아 개혁당| 에스토니아 개혁당 ]] | [[노동당(영국)| 노동당 ]] | [[오스트리아 인민당| 오스트리아 인민당 ]] | ||||
크리스텐 미할 (1차) | 키어 스타머 | 카를 네하머 | ||||
우크라이나 | 이탈리아 | 조지아 | ||||
[[무소속| 무소속 ]] | [[이탈리아의 형제들| 이탈리아의 형제들 ]] | [[조지아의 꿈| 조지아의 꿈 ]] | ||||
데니스 시미할 | 조르자 멜로니 | 이라클리 코바키제 | ||||
체코 | 코소보 | 크로아티아 | ||||
[[시민민주당| 시민민주당 ]] | [[자결당| 자결당 ]] | [[크로아티아 민주연합| 크로아티아 민주연합 ]] | ||||
페트르 피알라 | 알빈 쿠르티 (2차) | 안드레이 플렌코비치 (3차) | ||||
트란스니스트리아 | 포르투갈 | 폴란드 | ||||
[[무소속| 무소속 ]] | [[사회민주당(포르투갈)| 사회민주당 ]] | [[시민 연단| 시민 연단 ]] | ||||
알렉산드르 마르티노프 | 루이스 몬테네그루 | 도날트 투스크 (3차) | ||||
프랑스 | 핀란드 | 헝가리 | ||||
[[민주운동| 민주운동 ]] | [[국민연합당| 국민연합당 ]] | [[청년민주동맹| 청년민주동맹 ]] | ||||
프랑수아 바이루 | 페테리 오르포 | 오르반 빅토르 (5차)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아메리카 ] | * 정부수반이 아닌 총리 ** 대통령 권한대행 ☭ 공산국가의 수상 | ||
가이아나* | 그레나다 | 도미니카 연방 | ||||
[[인민진보당| 인민진보당 ]] | [[국민민주회의(그레나다)| 국민민주회의 ]] | [[도미니카 노동당| 도미니카 노동당 ]] | ||||
마크 필립스 | 디콘 미첼 | 루스벨트 스케릿 (5차) | ||||
바베이도스 | 바하마 | 벨리즈 | ||||
[[바베이도스 노동당| 바베이도스 노동당 ]] | [[진보자유당| 진보자유당 ]] | [[인민연합당| 인민연합당 ]] | ||||
미아 모틀리 (2차) | 필립 데이비스 | 조니 브리세뇨 | ||||
세인트루시아 |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 세인트키츠 네비스 | ||||
[[세인트루시아 노동당| 세인트루시아 노동당 ]] | [[통일노동당| 통일노동당 ]] | [[세인트키츠 네비스 노동당| 세인트키츠 네비스 노동당 ]] | ||||
필립 조셉 피에르 | 랄프 곤살베스 (5차) | 테런스 드루 | ||||
아이티** | 앤티가 바부다 | 자메이카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자메이카 노동당| 자메이카 노동당 ]] | ||||
알릭스 디디에 피스-에메 (권한대행) | 개스턴 브라운 (3차) | 앤드루 홀네스 (3차) | ||||
캐나다 | 쿠바☭ | 트리니다드 토바고 | ||||
[[캐나다 자유당| 캐나다 자유당 ]] | [[쿠바 공산당| 쿠바 공산당 ]] | [[인민민족운동| 인민민족운동 ]] | ||||
쥐스탱 트뤼도 (3차) | 마누엘 마레로 크루스 (2차) | 키스 롤리 (2차) | ||||
페루* | ||||||
[[무소속| 무소속 ]] | ||||||
구스타보 아드리안젠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아프리카 ] | * 정부수반이 아닌 총리 ** 군부에 의해 임명 ♔ 사실상 전제군주국인 입헌군주국 | ||||
가봉** | 기니*,** | 기니비사우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
레몽 은동 시마 (임시) | 바 우리 | 후이 두아르테 드 바호스 | ||||
나미비아* | 니제르** | 레소토 | ||||
[[남서아프리카 인민기구| 남서아프리카 인민기구 ]] | [[무소속| 무소속 ]] | [[번영을 위한 혁명| 번영을 위한 혁명 ]] | ||||
사라 쿠공겔롸 (2차) | 알리 라민 제인 | 샘 마테카네 | ||||
르완다 | 리비아 | 마다가스카르 | ||||
[[사회민주당(르완다)| 사회민주당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
에두아르 응기렌테 (2차) | 압둘 하미드 드베이베 | 크리스티앙 은차이 | ||||
말리** | 모로코♔ | 모리셔스 | ||||
[[무소속| 무소속 ]] | [[독립국민연합| 독립국민연합 ]] | [[노동당(모리셔스)| 노동당 ]] | ||||
쇼겔 코칼라 마이가 (임시) | 아지즈 아칸누시 | 나빈 람굴람 (4차) | ||||
모리타니 | 모잠비크* | 부룬디* | ||||
[[공정당| 공정당 ]] | [[모잠비크 해방전선| 모잠비크 해방전선 ]] | [[민주방위국민회의-민주방위군| 민주방위국민회의-민주방위군 ]] | ||||
모하메드 울드 빌랄 | 아드리아누 말레이안 | 제르베 은디라코부차 | ||||
부르키나파소** |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 상투메 프린시페 | ||||
[[무소속| 무소속 ]] | [[폴리사리오 전선| 폴리사리오 전선 ]] | [[독립민주행동당| 독립민주행동당 ]] | ||||
아폴리네르 조아킴 키엘렘 드탐벨라 (임시) | 보우치라야 함무디 비요운 | 파트리스 에메리 트루부아다 (2차) | ||||
세네갈* | 소말리아 | 수단 공화국** | ||||
[[무소속| 무소속 ]] | [[평화개발연합당| 평화개발연합당 ]] | [[무소속| 무소속 ]] | ||||
우스만 송코 | 함자 압디 바레 | 오스만 후세인 (권한대행) | ||||
시에라리온* | 알제리 | 에스와티니♔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
데이비드 모이니나 셍게 | 나디르 라르바우이 | 러셀 들라미니 (왕족) | ||||
에티오피아 | 우간다* | 이집트** | ||||
[[번영당| 번영당 ]] | [[민족저항운동| 민족저항운동 ]] | [[무소속| 무소속 ]] | ||||
아비 아머드 | 로비나 나반자 | 무스타파 아드불리 | ||||
적도 기니* |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 지부티* | ||||
[[적도 기니 민주당| 적도 기니 민주당 ]] | [[연합마음운동| 연합마음운동 ]] | [[진보인민연합| 진보인민연합 ]] | ||||
마누엘라 로카 보테이 | 펠릭스 몰루아 | 압둘카데르 카밀 모하메드 (3차) | ||||
차드*,** | 카메룬 | 카보베르데 | ||||
[[개혁당(차드)| 개혁당 ]] | [[카메룬 인민민주운동| 카메룬 인민민주운동 ]] | [[민주운동(카보베르데)| 민주운동 ]] | ||||
알라마예 할리나 | 조셉 응구테 (2차) | 울리스스 코헤이아 이 시우바 (2차) | ||||
코트디부아르 | 콩고 공화국 | 콩고민주공화국 | ||||
[[공화연합| 공화연합 ]] | [[콩고 노동당| 콩고 노동당 ]] | [[콩고의 미래| 콩고의 미래 ]] | ||||
로베르 뵈그레 맘베 | 아나톨 콜리넷 마코소 (2차) | 주디스 툴루카 수민와 | ||||
탄자니아* | 토고 | 튀니지 | ||||
[[탄자니아 혁명당| 탄자니아 혁명당 ]] | [[공화국을 위한 연합| 공화국을 위한 연합 ]] | [[무소속| 무소속 ]] | ||||
카심 마잘리와 | 빅투아르 토메가 도그베 | 아메드 하차니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오세아니아 ] | ♔ 사실상 전제군주국인 입헌군주국 | ||
뉴질랜드 | 바누아투 | 사모아 | ||||
[[뉴질랜드 국민당| 국민당 ]] | [[변화를 위한 재통일 운동| 변화를 위한 재통일 운동 ]] | [[사모아 연합 내 믿음| 사모아 연합 내 믿음 ]] | ||||
크리스토퍼 럭슨 | 샬롯 살와이 (2차) | 피아메 나오미 마타아파 | ||||
솔로몬 제도 | 통가♔ | 투발루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
제러마이아 머넬레 | 사미우 바이풀루 (권한대행) | 펠레티 테오 | ||||
파푸아뉴기니 | 피지 | 호주 | ||||
[[팡구당| 팡구당 ]] | [[인민동맹| 인민동맹 ]] | [[호주 노동당| 호주 노동당 ]] | ||||
제임스 마라페 | 시티베니 람부카 (2차) | 앤서니 앨버니지 | }}}}}}}}} | |||
재위 중인 군주 · 재임 중인 대통령 및 총통 · 집권 중인 공산국가 지도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