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3-24 22:54:04

슬리피 할로우

1. 미국 도시 이름2. 워싱턴 어빙의 소설
2.1. 영화2.2. 드라마2.3. 게임
3. 던전앤파이터의 던전명

1. 미국 도시 이름

뉴욕주 웨스트체스터 카운티의 도시로 맨해튼에서 북쪽으로 약 3~40마일 떨어진 조용하고 아담한 동네.

밑의 항목에 나오는 을씨년스러운 동네가 아니라 미국에서 알아주는 부촌이다. 록펠러 가문 사람들 몇 명과 미스버스터즈의 진행자 애덤 새비지가 거주하며 루스벨트 가문 사람들도 거주한다. 다만 안개가 낀 날이면 동네 외곽으로는 영화에 나오는 분위기가 재현된다.

그리고 실제로도 네덜란드계 이민자들이 세운 동네라 개척 초기에 세워진 교회가 지금도 남아있다.#

미국에는 '슬리피 할로우'라는 동네가 한두 군데가 아니지만 영화에선 구체적인 위치를 언급했다.

2. 워싱턴 어빙의 소설

영문학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중세 (7~15세기) · 서사시 <colbgcolor=#FFF,#1C1D1F>파일:영국 국기.svg초기 영문학: 캐드먼 · 키네울프 · 윌리엄 랭글런드 · 라야먼 · 베오울프의 저자
·소설 파일:영국 국기.svg이야기 문학: 제프리 초서(캔터베리 이야기) · 토머스 맬로리(아서왕 이야기)
산문 파일:영국 국기.svg기독교 신비주의 철학: 리처드 롤 · 노리치의 줄리안
초기 근대 (16~18세기) · 서사시 파일:영국 국기.svg영국 르네상스: 윌리엄 셰익스피어 · 에드먼드 스펜서 · 토마스 와이엇 · 리처드 러브레이스 · 필립 시드니 · 월터 롤리 · 크리스토퍼 말로 / 파일:영국 국기.svg형이상학파: 앤드류 마블 · 존 던 · 조지 허버트 / 파일:영국 국기.svg고전주의: 벤 존슨 · 존 밀턴(실낙원) / 파일:미국 국기.svg청교도 문학: 앤 브래드스트리트 / 파일:영국 국기.svg신고전주의: 존 드라이든 · 알렉산더 포프 / 파일:영국 국기.svg계몽주의: 새뮤얼 존슨 / 파일:미국 국기.svg계몽주의: 필리스 휘틀리 / 파일:영국 국기.svg전 낭만주의: 로버트 번스
·소설 파일:영국 국기.svg영국 르네상스: 윌리엄 셰익스피어(4대 비극과 5대 희극) · 토머스 모어(유토피아) · 니콜라스 유돌 · 크리스토퍼 말로 / 파일:영국 국기.svg고전주의: 벤 존슨 / 파일:영국 국기.svg청교도 문학: 존 버니언(천로역정) / 파일:영국 국기.svg신고전주의: 조너선 스위프트(걸리버 여행기) / 파일:영국 국기.svg신고전주의적 계몽주의: 새뮤얼 리처드슨(파멜라) / 파일:영국 국기.svg계몽주의: 대니얼 디포(로빈슨 크루소) · 헨리 필딩 · 올리버 골드스미스 / 파일:영국 국기.svg전 낭만주의: 로렌스 스턴
산문 파일:미국 국기.svg설교문: 존 윈스롭(기독교 자선의 모범) / 파일:영국 국기.svg문학 비평: 존 드라이든(연극에 대하여, 짧은 수필) / 파일:영국 국기.svg종교 비판: 대니얼 디포(반대자들과 함께 하는 가장 빠른 길) / 파일:영국 국기.svg정치 비판: 조너선 스위프트(겸손한 제안) / 파일:미국 국기.svg정치 비판: 토머스 페인(상식) / 파일:미국 국기.svg자서전: 벤저민 프랭클린(벤저민 프랭클린 자서전)
후기 근대 (19~20세기 초) · 서사시 파일:영국 국기.svg낭만주의: 새뮤얼 테일러 콜리지 ·윌리엄 워즈워스 · 윌리엄 블레이크 · 퍼시 비시 셸리 · 조지 고든 바이런 · 존 키츠 / 파일:미국 국기.svg초월주의: 랠프 월도 에머슨 · 헨리 데이비드 소로 · 월트 휘트먼 / 파일:영국 국기.svg심리 리얼리즘: 로버트 브라우닝 / 파일:영국 국기.svg종교 리얼리즘: 크리스티나 로세티 / 파일:영국 국기.svg리얼리즘적 자연주의: 토머스 하디 / 파일:미국 국기.svg전 모더니즘: 에밀리 디킨슨 / 파일:영국 국기.svg상징주의: 단테 가브리엘 로세티 · 앨저넌 찰스 스윈번 ·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
·소설 파일:영국 국기.svg낭만주의적 리얼리즘: 제인 오스틴(오만과 편견) / 파일:영국 국기.svg낭만주의: 조지 고든 바이런(맨프레드) / 파일:영국 국기.svg초기 리얼리즘 찰스 디킨스(올리버 트위스트) · 조지 엘리엇(미들마치) / 파일:영국 국기.svg고딕 낭만주의: 샬럿 브론테(제인 에어) / 파일:미국 국기.svg낭만주의: 워싱턴 어빙(립 반 윙클) · 제임스 페니모어 쿠퍼 · 허먼 멜빌(모비 딕) · 너새니얼 호손(주홍 글자) / 파일:미국 국기.svg고딕 낭만주의: 에드가 앨런 포(검은 고양이) / 파일:영국 국기.svg고딕 문학: 메리 셸리(프랑켄슈타인) ·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지킬 박사와 하이드) · 브램 스토커(드라큘라) / 파일:미국 국기.svg중기 리얼리즘: 마크 트웨인(톰 소여의 모험) · 헨리 제임스(나사의 회전) / 파일:영국 국기.svg리얼리즘적 자연주의:토머스 하디(테스) / 파일:아일랜드 국기.svg탐미주의: 오스카 와일드(도리언 그레이의 초상) / 파일:영국 국기.svg제국주의 문학: 러디어드 키플링(정글북) / 파일:영국 국기.svg중기 리얼리즘: 조지 버나드 쇼(피그말리온) · 존 골즈워디 / 파일:영국 국기.svg장르 문학: 아서 코난 도일(셜록 홈즈)
산문 파일:영국 국기.svg시학: 퍼시 비시 셸리(시의 옹호) / 파일:영국 국기.svg자서전: 토머스 드 퀸시(영국인 아편 중독자) · 파일:미국 국기.svg철학: 랠프 월도 에머슨(자기신뢰) · 헨리 데이비드 소로(시민 불복종) / 파일:영국 국기.svg서양사학: 토머스 칼라일(영웅숭배론) / 파일:미국 국기.svg자서전: 프레드릭 더글라스(프레드릭 더글러스의 삶에 관한 이야기) / 파일:미국 국기.svg문예창작: 에드가 앨런 포(구성의 철학) / 파일:영국 국기.svg고전주의 경제학 비판: 존 러스킨(나중에 온 이 사람에게도) / 파일:영국 국기.svg문화학: 매튜 아널드(문화와 무정부주의) / 파일:미국 국기.svg철학 및 사회 비판: 마크 트웨인(인간이란 무엇인가?그리고 몇몇 다른 에세이들)
현대 (20~21세기) · 서사시 파일:영국 국기.svg모더니즘: T.S 엘리엇 / 파일:미국 국기.svg모더니즘: 에즈라 파운드 · 월리스 스티븐스 · E. E. 커밍스 · 윌리엄 카를로스 윌리엄스 · 실비아 플라스 / 파일:아일랜드 국기.svg모더니즘: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 · 제임스 조이스 / 파일:미국 국기.svg전통주의적 모더니즘: 로버트 프로스트 / 파일:영국 국기.svg신낭만주의: 딜런 토마스 / 파일:영국 국기.svg허무주의: 필립 라킨 / 파일:아일랜드 국기.svg현대시: 셰이머스 히니
·소설 파일:미국 국기.svg후기 리얼리즘: 펄 벅(대지) · 아서 밀러(세일즈맨의 죽음) · 리처드 라이트 · 싱클레어 루이스 · 어니스트 헤밍웨이(노인과 바다) · 존 스타인벡(분노의 포도) · 테네시 윌리엄스(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 / 파일:미국 국기.svg자연주의: 시어도어 드라이저 · 잭 런던(강철군화) / 파일:영국 국기.svg풍자적 상징주의: G. K. 체스터튼(브라운 신부) · 윌리엄 골딩(파리 대왕) / 파일:영국 국기.svg모더니즘: 버지니아 울프(올랜도) · D. H. 로렌스(채털리 부인의 연인) / 파일:미국 국기.svg모더니즘: 윌리엄 포크너(음향과 분노) · F. 스콧 피츠제럴드(위대한 개츠비) / 파일:아일랜드 국기.svg모더니즘: 제임스 조이스(율리시스) / 파일:미국 국기.svg표현주의: 유진 오닐(밤으로의 긴 여로) / 파일:영국 국기.svg디스토피아: 조지 오웰(1984) · 올더스 헉슬리(멋진 신세계) / 파일:영국 국기.svg판타지: C. S. 루이스(나니아 연대기) · J. R. R. 톨킨(반지의 제왕) · 조지 R.R. 마틴(얼음과 불의 노래) / 파일:미국 국기.svg고딕 호러: 셜리 잭슨(힐 하우스의 유령) / 파일:미국 국기.svg SF: 아서 C. 클라크(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 · 어슐러 K. 르 귄(헤인 연대기) / 파일:미국 국기.svg장르 문학: 스티븐 킹(샤이닝)
산문 파일:미국 국기.svg자서전: 헬렌 켈러(내 삶의 이야기) / 파일:영국 국기.svg기독교 변증학: G. K. 체스터튼(영원한 사람) / 파일:영국 국기.svg페미니즘: 버지니아 울프(자기만의 방) / 파일:미국 국기.svg감정 탐구: 어니스트 헤밍웨이(오후의 죽음) / 파일:영국 국기.svg정치 비판: 조지 오웰(코끼리를 쏘다) / 파일:미국 국기.svg사회 비평: 존 스타인벡(아메리카와 아메리카인)
<colbgcolor=#6b6b6b> 관련 문서: 영문학 | 고전주의 |신고전주의 | 계몽주의 |낭만주의|초월주의|리얼리즘|고딕 소설|자연주의|탐미주의|장르문학|모더니즘|허무주의|상징주의|표현주의|디스토피아|판타지|SF문학 }}}}}}}}}

The Legend of Sleepy Hollow(슬리피 할로우의 전설)

미국의 소설가 워싱턴 어빙이 1820년 발표한 단편. 대충 1790년 슬리피 할로우라는 네덜란드 정착촌을 배경으로 학교 교사 이카보드 크레인이 목 없는 기병[1]에게 재수없게 걸려 실종됐다는 이야기.

사실 목 없는 기병은 존재하지 않았고 이카보드를 시기한 마을 청년 브롬이 기병 괴담을 이용해서 이카보드를 쫓아냈다는 해석이 있다. 해석 정도가 아니라 상황 전개와 후일담을 보면 오히려 이런 결론에 도달할 수밖에 없다. 이카보드가 실종된 날의 전후사정을 소상이 아는 사람이 브롬밖에 없고 뉴욕에서 멀쩡히 살아있는 이카보드를 봤다는, 심지어 지닌 바 능력을 발휘해 사회적으로 높은 자리를 차지했다는 목격담마저 등장한다.

1999년 영화판은 이것을 중간 반전의 소재로 삼았다. 원작에선 목 없는 기병 소동에 질려 마을을 떠났던 이카보드가 의지를 불태우며 마을의 문제 해결에 열을 올린다.[2]

목없는 기사(Headless Horseman)는 어빙의 창작은 아니고 아일랜드, 스코틀랜드 등의 전설에서 내려오는 듀라한이라는 존재를 모티프로 삼은 것이지만 이 소설이 유명해지면서 목없는 기사 괴담의 대표가 되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Ichabodposter.jpg
월트 디즈니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에서 1949년에 이카보드와 토드경의 모험(The Adventures of Ichabod and Mr. Toad)라는 제목으로 애니메이션으로도 만들었다. 캐릭터들은 대사가 없고, 내레이션만 있다. 디즈니 애니메이션 답게 조금은 코믹한 요소가 가미되었지만 결말은 원작과 똑같다. 국내에서는 80년대에 KBS-1로 더빙으로 방영한 바 있으며, 비디오 왕자와 거지에 포함되어 발매되었다.먼저 왕자와 거지가 나오고 그 다음에 나오며, 내레이션 국내판 성우는 이규화이다.[3]

그밖에 80년대 KBS1에서 평일 스포츠 중계가 일찍 끝나서 시간이 많이 남아돌 경우라든지 여러 번 특별 만화영화라고 방영한 1972년판 미국 애니메이션도 있다. 이것도 KBS1를 통해 더빙 방영했다. 이건 디즈니 것처럼 개그도 뭐고 없고, 원작처럼 아주 으스스하게 만들어 크레인이 찍소리도 못하고 호박머리를 맞고 눈 뜬 채로 낙마한다. 1972년판 애니 영어 더빙판.

2.1. 영화

슬리피 할로우(영화) 참조.

2.2. 드라마

슬리피 할로우(드라마) 참조.

2.3. 게임

3. 던전앤파이터의 던전명

모티브는 1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자세한 것은 슬리피 할로우(던전 앤 파이터)로.


[1] 독립전쟁 당시 영국편에 참전한 독일계 헤센 용병이다. 헤센 용병은 영국군에게 자주 고용되어 미국 독립군에게 공포의 대상이기도 하였다.[2] 이외에도 원작의 요소를 차용한 내용이 많다. 후일담에서 법조인이 된 이카보드 - 처음부터 법조인으로 등장하는 이카보드, 이카보드의 구혼을 거절하는 카트리나 - 첫 만남부터 이카보드를 사랑하는 카트리나, 이성적인 교사임에도 미신에 심취한 이카보드 - 성장과정상 미신에 심취할 수밖에 없는데도 유년기의 트라우마로 이성적 판단을 중시하는 이카보드 등등.[3] 이규화는 이외에도 포카혼타스 2를 포함해 몇몇 작품 출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