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9 12:12:58

옹천신호장

옹천역에서 넘어옴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이름이 비슷한 장항선의 철도역}}}에 대한 내용은 [[웅천역]]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웅천역#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웅천역#|]]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이름이 비슷한 장항선의 철도역: }}}[[웅천역]]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웅천역#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웅천역#|]]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폐역 영주 - [ruby(문수, ruby=~2020)] - [ruby(승문, ruby=~2013)] - [ruby(평은, ruby=~2013)] - 옹천 - [ruby(마사, ruby=~2020)] - [ruby(이하, ruby=~2020)] - [ruby(서지, ruby=~2020)] - 안동
옹천신호장
역명 표기
중앙선 옹천
Ongcheon
甕泉 / 瓮泉 / オンチョン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북후면 단풍길 5-19
(舊 장기리 479-2)
역 코드
한국철도공사 099
관리역 등급
신호장
(한국철도공사 경북본부)
운영 기관
중앙선 한국철도공사
개업일
경경선 1942년 4월 1일[1]
승강장 구조
2면 3선 상대식 승강장
철도거리표
중앙선
옹 천
<nopad> 파일:옹천역 신역사.png
3대 역사(2013년 준공)

1. 개요2. 역 정보3. 역 주변 정보4. 기타5. 둘러보기

1. 개요

중앙선의 신호장. 경상북도 안동시 북후면 단풍길 5-19(장기리) 소재.

2. 역 정보

파일:attachment/옹천역/ongcheon.jpg
2대 역사(1998년 준공, 2013년 폐쇄)[2]
<nopad> 파일:1942년 옹천역.png
초대 역사(1942년 준공, 1998년 철거)

1942년 4월 1일 경상북도 안동시 북후면 옹천리 488-7에서 경경선의 영주-안동 구간이 개통하면서 보통역으로 개업하였다.

1994년 1월 11일 화물취급이 중지되었고 1997년 10월 1일 소화물취급이 중지, 1998년 1월 23일 구 역사가 신축 준공되었다.

역이 북후면 중심지에 있어서 이용객이 꽤 있었으나, 도로교통의 발달[3]로 이용객이 감소하고 있었으나 그래도 영주역에서 안동역 사이에 무궁화호가 1일 8회나[4] 정차하는 큰 역이었다.

2013년 3월 27일, 영주댐 수몰로 문수-마사 구간이 이설되면서 현 위치로 이전하였고 복선전철화를 대비하여 3선 신호장으로 신축하였다, 역사가 이전되는 곳이 북후면 시가지 끝자락인데다가 고가철로로 만든지라 수요가 없기 때문.

2014년 1월 24일자로 보통역(운전간이역)에서 무인신호장으로 격하되었다. 이번에 개정된 열차운전시행세칙 중에서는 유일하다.

2020년에 영주-안동 구간이 복선 고속철도로 이설되면서 이 역을 제외한 중간의 모든 역(전부 여객열차 통과)이 폐지되었지만, 옹천역은 실질적으로 신호장 역할을 하던 유일한 역이라 앞서 가는 열차를 비켜주기 위한 신호장으로 이설 없이 그 자리에서 운전취급을 계속하고 있다.

구 역사는 민간기업에 사무실로 임대하였으나 2023년 현재는 빈 건물로 남아 있다.

3. 역 주변 정보

현재 옹천역 주변에 북후초등학교, 북후중학교가 있다. 북후초등학교는 마사역 주변인 연곡리에 연곡분교를 운영하다가 학생 수 소멸로 인해 분교를 폐지했으며 현재 북후초등학교 본교도 폐지 직전이다.

폐지된 문수역에 있던 컨테이너 운영사인 금강물류(주)는 트레일러 차량접근 문제로 인해서 이곳에 화물철도 기능을 넣어달라고 요구했고, 영주역 남단의 컨테이너 야적장은 조성만 해 놓고 실제로는 안 쓸 가능성이 높았다. 문제가 해결되었는지 2023년 7월부터 영주CY를 운영하고 있다.

4. 기타

한때 전국에서 두번째로 KTX[5] 교행하는 장면을 볼 수 있었던 곳이기도 하였다. 현재는 양방향 선로가 개통되어 더이상 교행하지 않는다.

5. 둘러보기

중앙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서경주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경주}}}}}}
취소선:폐역, †:여객영업 X
광역전철 전용역: 파일:GJLine_icon.svg: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정차, 파일:GyeongchunLine_icon.svg:수도권 전철 경춘선 정차, 파일:Seoulmetro1_icon.svg:수도권 전철 1호선 정차, 파일:Seoulmetro8_icon.svg:수도권 전철 8호선 정차 ||}}}}}}}}} ||



[1] 1948년 1월 하순 경경선에서 중앙선으로 개칭.[2] 북후면 중심지에 위치하며 약 15년 3개월 동안 자신의 역할을 다하고 중앙선 문수-마사 구간 이설과 동시에 폐쇄되었지만 철거되지 않고 방치된 상태다. 폐역 이후 관광자원화 등 다양한 논의가 나왔으나, 싹다 취소되고 결국 폐건물로 전락했다.[3] 옹천역 앞에서 안동행 시내버스(54번, 현 311번)도 정차하고 영주행 시내버스(30번)도 정차하고 영주-안동간 시외버스도 정차한다. 현재는 부산-영주, 제천 노선대구북부-태백완행 밖에 없긴 하지만. 2010년 안동-영주5번 국도가 왕복 4차선으로 완전 개통되면서 5번 국도는 외곽으로 직선화 이설되었다. 이 국도가 이설되기 이전에는 북후면 일대는 철도가 초강세였다.[4] 영동선경북선 열차가 영주역에서 분기하여 다른 곳으로(영동선은 봉화, 철암, 동해 방면, 경북선은 상주, 점촌, 김천 방면) 간다는 것을 생각해보면 이 정도도 상당히 많이 지나가는 것이다.[5] 782, 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