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2 16:41:10

원주(횡성)공항

원주비행장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해당 비행장에 주둔하는 공군 비행단에 대한 내용은 제8전투비행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ECF2FA,#2D2F34><colcolor=#000,#FFF> 중추공항 인천
거점공항 김포(서울) · 제주 · 김해(부산) · 대구 · 청주 · 무안
일반공항 광주 · 양양 · 울산 · 여수 · 포항경주· 사천 · 군산 · 원주(횡성)
도심공항터미널 서울역 · 광명역
사설·기타 비행장 울진 · 정석 · 태안 · 수색 · 잠실 헬리패드
군 전용공항 서울(성남) · 수원 · 오산 · 평택 · 이천 · 계룡 · 충주 · 예천 · 강릉 · 속초 · 전주 · 목포 · 진해 · 캠프 워커 · 현리(인제)
<nopad> 공사 중인 공항 울릉
<nopad> 착공예정 공항 가덕도(부산) · 대구경북 · 흑산 · 제주2 · 새만금(군산) · 백령
<nopad> 추진 중인 공항 경기남부(화성) · 포천 · 서산
폐쇄된 공항 여의도 · 수영 · 알뜨르 · 춘천 · 전주(송천동) · 충주(목행동) · 코엑스(도심공항)
군(軍)공항: ■ 육군, ■ 해군, ■ 공군, ■ 주한미군
}}}}}}}}} ||

원주(횡성)공항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파일:원주시 CI.svg 원주시의 교통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26b589> 철도 간선
철도
파일:KTX BI.svg 원주역 · 서원주역 · 만종역
파일:ITX-새마을 BI.svg 원주역 · 서원주역
파일:ITX-마음 BI.svg
[[무궁화호|
무궁화호
]]
광역
철도
파일:GreatTraineXpress_D.svg 원주
일반철도 중앙선 · 경강선 · 원주연결선
도로 고속도로 파일:Expressway_kor_50.svg영동 부론IC / 문막IC / 원주IC · 파일:Expressway_kor_52.svg광주원주 서원주IC · 파일:Expressway_kor_55.svg중앙 신림IC / 관설IC / 남원주IC / 북원주IC
국도 5번 · 19번 · 42번
지방도 49 · 84 · 88 · 349 · 396 · 401 · 402 · 404 · 409 · 411 · 531 · 599
버스 버스 목록 시내버스 누리버스
버스 터미널 원주종합버스터미널
정류소 원주기업도시 · 원주혁신도시 · 문막 · 귀래 · 신림
시외 · 고속버스 시외버스 · 고속버스 노선
항공 원주공항
}}}}}}}}} ||
강원특별자치도의 교통

파일:횡성군 CI.svg 횡성군의 교통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철도 파일:KTX BI.svg 횡성 · 둔내
도로 고속도로 파일:Expressway_kor_50.svg영동선 (새말IC, 둔내IC, 동둔내IC) · 파일:Expressway_kor_55.svg중앙선 (횡성IC)
국도 5 · 6 · 19 · 42
지방도 406 · 409 · 411 · 420 · 442 · 494
버스 버스 터미널 횡성 · 둔내 · 새말 · 안흥 · 횡성휴게소
시내버스 횡성군 농어촌버스
항공 공항 원주(횡성)공항 }}}}}}}}}
강원특별자치도의 교통
원주(횡성)공항
原州(橫城)空港 | Wonju(Hoengseong) Airport
파일:원주공항 옆면.jpg
파일:원주공항 옆면 2.jpg
분류
군용공항, 일반공항
공항코드
IATA WJU
ICAO RKNW
K-Site K-46
개항
1997년 2월
활주로
주 활주로 03/21 (2,743m × 45m)
소유기관
대한민국 공군
운영기관
대한민국 공군
한국공항공사
지도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횡성읍 횡성로 38 (곡교리)
홈페이지
원주공항 공식 홈페이지
1. 개요2. 역사
2.1. 연도별 통계
3. 운항 현황4. 특이점5. 운항 노선
5.1. 시간표
6. 주요 시설
6.1. 주기장/활주로6.2. 편의시설6.3. 항공사 카운터
7. 교통
7.1. 자가용/택시7.2. 시내/시외버스
8. 여담

[clearfix]

1. 개요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횡성읍 곡교리에 있는 공항이다. 대한민국 공군 제8전투비행단과 활주로를 공유하고 있다. 공항 청사는 횡성군 땅에 있지만 가운데에 시군 경계선이 지나 활주로는 원주시 소초면 둔둔리 및 의관리에 있다.[1]

공식 명칭은 원주(횡성)공항이고 보통 원주공항으로 부른다. 현재 국내 공항 중 규모가 가장 작고, 운항 편수도 적다.[2]

국내에 존재하는 공항 중 유일하게 터미널활주로의 거리가 2km 가까이 동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는 공항이다. 국내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도 이런 구조를 가지고 있는 공항을 찾아보기 힘들다. 보통은 주기장 바로 옆에 터미널 건물이 있는 게 일반적이기 때문. 굳이 찾아보자면 북한의 평양 순안비행장의 나중에 추가된 제2활주로, 대만 화롄 공항 정도가 있는데 원주공항까지 셋 다 군용 활주로를 공항으로 전용한 사레라는 공통점이 있다.[3]

2. 역사

원래는 육군에서 관리하였으며, 원주군(원성군)에 활주로가 있었지만 위치가 횡성 읍내에 가까워 횡성비행장으로 명명되고 K-46이라는 K-Site도 붙었다. 1975년 10월 대한민국 공군 제8전투비행단의 소속으로 바뀌었다. 1993년 1월부터 민항기 취항을 추진하여 1996년 12월 청사를 완공하였고, 1997년 2월 28일 개항하여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영동고속도로 확장 및 광주원주고속도로, 강릉선·중앙선 KTX-이음의 개통으로 더 이상 의미는 없어졌으나, 당시에는 무려 서울행 노선도 계획중이었다.

개항과 동시에 대한항공포커 100 기종을 김해, MD-82 기종을 제주 노선에 투입하여 취항했다. 하지만 저조한 탑승률로 인하여 제주 노선은 취항 1년 반만인 1998년 8월 중단되었고, 원주공항은 당분간 김해 노선만 취항하게 된다. 사실 김해 노선의 초기 탑승률은 60% 대로 썩 좋다고 할만한 수준은 아니지만, 두 지역을 이동하려면 워낙 교통이 애매했기에 원주공항의 유일한 노선으로 한동안 계속 유지되어 왔었다.

그러나 이 또한 그리 오래가지 못했으니 그것은 바로 2001년 12월 중앙고속도로 마지막 구간 제천에서 풍기를 연결하는 구간(죽령터널)이 개통하여 결국 김해 노선도 예상대로 망한 것. 탑승률이 40% 대로 저조했지만 신기하게도 중앙고속도로의 완전 개통 이후 7개월이나 더 버티다가 결국 2002년 7월 대한항공은 철수를 선언하고 김해 노선을 중단했다.

결국 원주공항은 개항 5년 만에 취항노선이 모두 사라져 파리 날리는 신세로 떨어졌고, 역시 중앙고속도로의 영향을 받은 예천공항과 함께 역사 속으로 사라질 것처럼 보였다. 심지어 공항 폐쇄 논의까지 나왔다.

그러나 보다 못한 강원도원주시 등 지자체 및 지역 시민단체 등에서 공항을 존속시키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추진되었고, 결국 운항 중단 약 4년만인 2002년 10월 제주 노선이 복항. 하지만 복항한 제주노선도 초기에는 저조한 탑승률로 인하여 큰 어려움을 겪었는데 지자체에서 발 벗고 나서서 홍보 및 공항이용 캠페인을 벌이고 또 항공사와 협상을 통해 일정 탑승률을 충족시키지 못하면 지자체에서 손실분을 항공사에 보장해 준다는 협상을 벌이는 등 여러 가지 노력으로 탑승률이 8~90%까지 올라가는 기염을 토해내게 된다. 이러한 노력이 있었음에도, 2010년 국내 공항 이용객 순위는 양양국제공항 다음 자리인 뒤에서 2위였다.[4] 2019년 2월에 플라이강원대한항공을 대신해 노선을 운항할 계획을 세워서 국토부에 다시 한번 면허 신청을 했다. 기사 면허가 발급되었는데 원주공항에 대한 자료가 없다.자료 뉴스에서는 2020년에 취항계획이 있지만 국토교통부에 제출한 자료에는 없다.

개항부터 지금까지 원주공항에 취항하는 항공사는 대한항공이 유일했다. 대한항공은 B737-800을 투입하여 매일 하루 왕복 1편을 운항했었다. 과거에는 시간대가 제주에 16시 넘어서 도착하는 스케줄이었기 때문에 관광을 하기에 애매한 시간이라 스케줄을 좀 앞당겨 달라는 요구도 있었다. 시간이 계속 당겨져 2018년 에는 12시 20분 원주 도착, 13시 20분에 제주 출발 스케줄을 운용했다.

2019년에는 개항 이후 최초로 하계 스케줄(3.31~10.26) 부터 월·수·금·일에 오전출발 1회(원주 08:50出)가 증편되어 주당 총 11회 운항했다. 기사 원주공항 도착 후 레이오버(lay-over) 스케줄로 운용했다. 기존 12시 20분에 도착하는 편(KE1852)과, 13시 20분 제주로 출발하는 편(KE1851)은 B737계열 항공기를 투입했으며, 오전 8시 50분 원주 출발인 KE1853과 복편인(19시 10분) KE1854는 A220-300을 투입했다. 또한 토요일, 일요일, 월요일의 경우에는 전편 A220으로 운항하기도 했다.

하지만 대한항공 측에서 2019년 동계스케줄부터는 겨울철 안전 문제 등을 이유로 오전에 원주에서 출발하고 오후에 제주에서 돌아올 수 있었던 증편 운항을 중단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2019년 8월부터 강원도와 원주시에서 대한항공에 증편 운항을 가을과 겨울철까지 연장할 것을 요청했지만 항공사 측은 수요 증가를 인정하면서도 이를 거절했다. 그 이유는 원주공항에서 오전에 제주로 출발하는 노선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하루 전날 항공기가 원주공항에서 계류해야 하는데 겨울철 기체를 녹일 수 있는 시설(제방빙장)이 원주공항에 없었기 때문이다. 더욱이 원주공항 증편 운항의 내년 재개 여부는 불투명한 실정이라서 이용객들의 불편이 클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링크

대한항공이 운항했던 원주 - 제주 노선은 1회 탑승에 적립되는 마일리지가 282마일로, 국내선에서 가장 많은 마일리지를 적립할 수 있는 노선이었다. 반대로 말해 국내선 노선 중 공시가 기준 가장 비싼 운임을 받는 노선이었다는 말. 어느 정도냐 하면, 왕복 기준으로 평일 18만원선에서 주말 22만원 사이다. 이는 국내 저가 항공사인천 - 오사카 왕복 요금과 맞먹는 운임이다. 그런데 국제선인 부산 - 후쿠오카는 133마일이다. 다만 이게 국제선이라 정상가로 비교하면 더 비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용객이 많았다! 원주 시내에서 다른 공항인 김포, 양양, 청주로 가려면, 자가용으로 달려도 공항까지 2시간이나 걸리기 때문이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으로 인해 2020년 2월부터 장기간 휴업상태에 들어갔는데, 결국 2020년 10월부로 대한항공은 철수하고 대신 진에어가 제주노선을 운항하게 되었다. 기사1 기사2

2021년 4월 8일 오후에 원주시장이 "원주(횡성)공항을 국제공항으로 승격해야"한다고 정례 브리핑에서 발언했다.원주MBC(동영상)[5]

2.1. 연도별 통계

출처 : 한국공항공사 홈페이지
연도 운항편수(편) 여객(명) 화물(톤)
2004년 960 95,422 539.3
2005년 694 75,514 476.3
2006년 694 80,361 516.4
2007년 687 79,102 509.1
2008년 706 78,754 534.3
2009년 706 74,201 473.0
2010년 673 70,522 437.9
2011년 696 72,226 430.2
2012년 704 82,759 486.0
2013년 688 79,719 455.2
2014년 689 76,150 447.4
2015년 706 75,146 443.6
2016년 699 78,567 430.8
2017년 705 81,560 459.4
2018년 690 85,725 472.8
2019년 904 111,485 618.8
2020년 404 37,729 213.2
2021년 1,212 132,339 712.8
2022년 1,400 193,239 1,029.8
2023년 1,379 205,279 1,079.8

3. 운항 현황

원주공항에서 운항하는 노선은 제주국제공항 노선이 유일하다.

지금까지는 제주 노선을 대한항공만 단독으로 취항했었지만, 2020년 초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2020년 2월부터 운항을 잠정 중단하였다가 결국 2020년 10월부로 원주공항에서 철수를 결정하였다. 대신 자회사인 진에어가 취항했다.

4. 특이점

원주공항은 국내 공항 중에서 굉장히 특이한 타이틀을 두 가지 가지고 있다. 우선 첫째로 공항청사에 정식 명칭이 원주공항 단독표기가 아닌 원주(횡성)공항으로 표기되어 있는 것. 사실 개항 당시에는 '원주공항'으로 명칭을 정하였으나 도중 횡성군에서 '공항 청사는 횡성에 위치하는데 왜 이름이 원주공항이냐'라며 항의하였고, 결국 협상 끝에 정식명칭으로 '원주(횡성)공항'을 사용하기로 일단락된 것이다. 마치 기차역에서 부역명을 쓰는 것과 비슷한 이치이다.

두 번째로는 과장하여 얘기하자면, 공항이 아니라 터미널이다. 앞서 언급했듯이, 비행장이 터미널 앞에 없다.

이는 원주공항의 태생적 한계이자, 가장 큰 보안리스크다. 원주공항에서 여객기를 타기 위해 원주공항 터미널 건물에 도착해서 진에어 항공수속 후 출발 게이트로 들어가게 되면, 공항 활주로나 공항시설이 있는 것이 아니라 버스터미널이 위치하고 있다. 거기에서 신분확인, 보안검사 후 진에어에서 제공하는 버스를 타고[6] 공항터미널 건물 앞 일반도로를 나갔다가 여객기가 주기하고 있는 계류장까지 1.7km를 이동하게 된다. 거리는 사실 문제는 아닌데, 이 이동이 보안구역인 공항 내부 도로가 아닌 보안구역 밖의 비보안구역인 일반도로로 이동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버스는 일반도로를 운행하기 위해서 70가 1000과 같은 형태의 일반 번호판을 부여받아서 운행하고 있다. 버스로 공항청사를 나온 뒤 도로 건너편에 있는 지방도로로 들어가 10분정도 달리다가 보안구역인 공군기지 부대 바리케이드 및 통문 통과 후 들어간 뒤에 조금 더 가서 공항공사 주기장 통문을 통과하면 비로소 계류장과 여객기가 보이고, 여객기로 이동해서 탑승하게 된다.[7] 이것 때문인지 탑승 마감시간이 출발 15분전으로 나와있다.

물론 전세계 모든 공항이 버스나 도보로 이동해서 탑승하기도 한다.[8] 그러나 보통 그러하더라도 보안검사 이후 보안구역 내부에서 도보나 버스로 이동을 하는게 기본이다. 그리고 만약 보안구역 밖으로 나온 경우엔 다시 보안검사를 한뒤 보안구역 내로 이동하게 되어있다. 그러나 원주공항의 경우 출발 게이트로 가서 보안검사 후 보안구역에서 버스를 탑승한 다음, 버스가 공항 터미널 안 보안구역과 비보안구역인 일반도로를 구분하는 철문을 통해 비보안구역인 일반도로로 나가 잠깐동안 주행한 뒤, 공군기지 입국에서의 간략한 출입검사를 거치기만 하고, 추가 보안검사 없이 보안구역인 공군기지로 들어가게 된다. 이 때문에 일반도로에서 보안검사가 완료된 승객들을 일시적으로 비보안구역인 외부에 노출시키게 된다. 이렇게 특이한 방법으로 터미널에서 주기장으로 이동하여 항공기를 탑승/하기 하는 경우는 전세계의 공항을 통틀어도 원주공항이 거의 유일하다.

이 때문에 승객과 화물 보안검색이 공항터미널에서 이미 진행이 되었다고 해도, 비보안구역인 일반도로를 거쳐서 공군기지로 이동하기 때문에 그 과정에서 나쁜 마음을 먹은 승객이나 직원이 일반도로상에서 비검색물품의 반입 혹은 불법 물품반출이 가능할 수도 있는 구조다.

이와 같은 보안 등 여러가지 문제로 인해 현재 횡성군에 있는 원주공항 청사를 주기장이 있는 원주시 소초면 둔둔리로 새로 이전하여 현 청사보다 1.5배 규모로 확장하고 디아이싱패드 및 주기장 추가도 계획하고 있는 것 같다.[9] # 지금까지 이전 계획이 없었던 이유는 8전비 위치가 활주로 빼고 주변이 전부 산으로 둘러싸인 골때리는 지형이고, 원주에서 3~4분 거리 차이 때문에 5번 국도 바로 옆 + 횡성읍하고 가깝다는 장점을 포기하면서까지 여객터미널을 이전해봐야 이익도 별로 없기 때문이었다.

활주로는 구글지도 이외에선 보이지도 않는다. 공군 부대인 만큼 당연한 조치이긴 하다.

상술했다시피 이 곳은 공군 기지의 일부를 활용한 비행장이다. 버스 이동중이나 항공기 지상 이동중에 군사 시설물을 볼 수 있지만, 사진 및 동영상 촬영이 금지되어 주의가 필요하다. 만약 장병이 민항기를 이용할 경우, 이 짓을 하면 보안 위반으로 최소 군기교육대에 갈 수 있다. [10]

5. 운항 노선

항공사 국가 편명 취항지
파일:진에어 CI_좌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LJ 제주[11]

대한항공의 원주-제주구간은 보통 보잉 737 계열이었다가 2019년 이후에는 A220이 들어오기 시작했다. (738이 들어올 때도 있고 739가 들어올 때도 있었다). 스카이팀 특별도장이 종종 나타나기도 했었다(대략 일주일에 한 번 꼴로 스카이팀 특별도장 B737-8B5가 나왔다).

한때 일 1회 항공편을 2회로 증편해서 운항했었지만, 겨울철 안전 문제 등을 이유로 오전에 원주에서 출발하고 오후에 제주에서 돌아올 수 있었던 증편 운항을 중단한 적이 있다.

원주공항 홈페이지에 있는 운항스케줄을 보면 진에어가 하루 2번씩 제주 노선을 왕복운항하는 것으로 게시가 되어 있으며, 대한항공은 10월부로 원주공항에서 철수하였다. 이렇게 대한항공은 여수공항, 포항경주공항에 이어 원주공항에서도 철수했다.[12]

5.1. 시간표

원주공항 출발 시간표 (2023년 10월 29일~2024년 3월 30일 기준)
<rowcolor=#000> 항공사 목적지 출발시간 도착시간 소요시간 운행요일
진에어 제주 10:45 11:55 1시간 10분 매일
제주 16:55 18:10 1시간 15분 매일
원주공항 도착 시간표 (2023년 10월 29일~2024년 3월 30일 기준)
<rowcolor=#000> 항공사 출발지 출발시간 도착시간 소요시간 운행요일
진에어 제주 08:50 10:00 1시간 10분 매일
제주 14:30 15:45 1시간 15분 매일

6. 주요 시설

6.1. 주기장/활주로

1대의 여객기만 주기 할 수 있다. 청사에는 게이트가 딱 1개 있고 여기를 통해 바로 버스에 탑승한다. 주기장에 공항청사는 없으므로 당연히 탑승교없이 계단을 이용해 항공기에 탑승한다.

운영 방식은 제주에서 온 여객기가 도착하면 주기장에서 승객 탑승 버스 3대와[13] 수하물 트럭 1대가 승객과 수하물을 탑재하고 주기장을 출발, 부대 통문을 통과 후 5분을 운전해 공항청사로 들어온 다음 승객 하차 및 수하물을 하기시킨다.[14] 후에 제주로 떠날 승객 탑승 버스와 수하물 트럭이 승객과 수하물을 탑재하고 공항청사를 출발, 5분을 다시 운전해 부대통문을 통과해 주기장으로 간다.[15] 노란색 보안 차량은 공항청사 주차장 앞에서 대기하다가 첫번째 버스가 출발할 때 앞장서서 부대 통문 앞까지 안내해준 다음 통문 앞에서 대기한다. 반대로 도착편은 첫번째 버스가 부대 통문을 나오면 앞장서서 공항청사까지 안내해준다.[16]

길이 2,743m 폭 45m 활주로 1본이 설치되어 있다. 5번 국도를 타고 가다 보면 공항이 나오는데, 2021년 8월 전까진 주변 지형이 죄다 산으로 둘러싸여 있는 관계로 원활한 전파수신 각도가 안 나오기 때문에 계기착륙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았고 정밀접근레이더인 PAR(Precision Approach Rader)접근을 통해 착륙했었다.[17] 게다가 ILS가 설치되기 전까지 강하각도가 3.6도 정도로 높은 편에 속해서 착륙하기 까다로운 공항 중 하나에 속했다. 그리고 국토교통부 항공정보서비스(ais.casa.go.kr)에서 제공하는 항공차트에 의하면 최근 활주로 양쪽에 ILS가 설치된 것으로 보인다.#

만약 21 활주로를 사용한다면 주기장과 활주로 사이의 거리가 얼마 안되어서 택싱을 시작한지 1분도 안되어서 곧바로 활주로에 진입하여 이륙하는 신기한 광경을 볼 수 있다.

6.2. 편의시설

하루 2편밖에 항공편이 없는데 당연히 기대하면 안된다. 커피와 차를 판매하는 카페와 24시간 무인편의점이 있어 공항 오기 전에 식사를 미리 하고 오거나, 생수,간식을 미리 챙겨오지 않아도 무인편의점을 이용하면 된다.[18]
번호 시설명 구역 유형 상세유형 위치
1 에그카페 1층 일반 입점업체 카페 중앙
2 안내카운터 1층 일반 공공시설 기타
3 진에어 1층 일반 입점업체 항공사 서비스 중앙
4 joyples 24시무인편의점 1층 일반 입점업체 식음료자동판매기 여객터미널1층 도착장 전면

6.3. 항공사 카운터

도착 진에어 출발
진에어 셀프 체크인 기계 2대가 있다.

7. 교통

7.1. 자가용/택시

자가용을 이용할 때에는 영동고속도로를 이용해 원주IC로 나와 5번 국도 원주IC삼거리에서 횡성 방면으로 좌회전한 뒤, 원주공항 방면으로 우회전하여 공항으로 진입하면 된다. 중앙고속도로횡성IC에서 5번 국도를 타고 원주방면으로 가다보면 있다. 주차장에 135대를 주차할 수 있기 때문에 하루 2편뿐인 항공기 운행이 적어서 주차는 넉넉할 거라고 생각하면 큰코 다친다. 주차공간이 항상 꽉 차있다 보니 주변 먹거리단지로 튕기는 중. 다만 주차장 하루 이용료가 5천원뿐으로 저렴하다!

원주에서 택시타고 가기에는 약간 부담스러운 편이다. 2만원이상 나온다고 생각하면 된다. 반면에 횡성읍은 가까워서 나쁘지 않다.
자가용 (원주공항 주차장 이용시)
주차장 기본요금 60분 까지 500원
주차장 추가요금 60분 초과 10분당 200원씩
하루 주차요금 5,000원
강원 횡성군 택시
일반택시
기본요금 4,600원(2km)
추가(병산제) 100원(40초)/200원(152m)
할증 20%(야간/시외)
유료도로 이용료 승객 부담

7.2. 시내/시외버스

파일:한국공항공사 세로형 로고.svg 원주공항 경유 시내버스
인천 · 김포 · 제주 · 김해 · 대구 · 청주 · 무안 · 광주 · 양양 · 울산 · 여수 · 포항경주 · 군산 · 원주
파일:원주시 CI_White.svg강원 원주시 시내버스
노선번호 기점 중간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2 관설동종점 단구초등학교, 원주고등학교, 중앙시장, 북원중, 공항 삼일광장 8~30분
2-1 관설동종점 치악고등학교, 치악체육관, 원주종합버스터미널, 단계새마을금고, 북원중, 공항 삼일광장 30~35분
파일:횡성군 CI_White.svg 강원 횡성군 농어촌버스
노선번호 기점 중간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10 횡성시외버스터미널 만세공원.삼일광장 → 횡성여고 → 공항 → 횡성여고 → 만세공원.삼일광장 → 횡성농협 → 횡성향교횡성역횡성향교 → 이안아파트.횡성경찰서 → 횡성읍사무소 → 북천로터리 → 북천리마을회관 → 실내체육관(서측) → 대동여중 → 만세공원.삼일광장 → 횡성여고 횡성시외버스터미널 3회/일
시내버스는 2번2-1번, 10번이 원주공항을 경유한다. 2번 버스 배차는 조밀한 편이라서 공항오기에 큰 어려움이 없다. 10번은 하루 3회로 오고 가기에 불편이 있다.

춘천과 원주를 오가는 완행 시외버스가 원주공항을 경유한다. 배차시간은 약 20~60분이며, 춘천행 버스는 횡성, 공근, 홍천, 북방, 동산, 국립춘천병원을 경유하고, 원주행은 우산동을 경유하여 원주종합버스터미널로 간다. 자세한 것은 시외버스 원주-춘천 참고. 온라인 발권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탑승하자마자 현금 결제를 해야 한다. [19]

8. 여담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이 개최되는 평창군과 가까워서 기대치가 높았으나, 주기장 주기능력이 보잉 737 1대가 최대이고 최근 강릉선 KTX 개통으로 매우 힘들 듯 싶었고 현실이 되었다. 만약 동계올림픽 관련으로 공항을 활용할 예정이었다면, 오래 전에 원주공항을 확장하였겠지만, 오히려 인천공항을 2터미널로 확장하였고, 국제선이 있는 양양국제공항을 활용[20]하거나 인천공항 KTX 운행횟수를 경강선에 올인[21]한 걸 보면 원주공항은 올림픽 특수고 뭐고 못 누렸다고 보면 된다. 더욱이 공군부대와 함께 이용하는 공항이다 보니 확장은 물론 보안관련으로 더더욱 어려울 예정이었기 때문에 당연한 수순이다.

상기했듯 이 공항의 청사는 원주시가 아니라 횡성군에 있다. 가끔 이름 때문에 혼동하는 경우가 있다.[22]

홍천군 소재의 비발디 파크 오션월드와 가장 가까운 공항이다. 원주공항에서 오션월드까지는 차로 1시간 밖에 걸리지 않는다. 그러나 수도권 방향으로는 곳곳에 셔틀버스도 다니기 때문에 제주도민이 아닌 이상 굳이 오션월드를 가려고 원주공항으로 오는 사람은 없으며 온다해도 시외버스로 홍천터미널에서 갈아타야 한다.

[1] 여객 터미널과 주기장은 상당히 떨어져 있다. 소초면 쪽에서 5번 국도 타고 가면 볼 수 있다.[2] 사천공항은 평일 일 2-3회, 주말에는 일 4회, 군산공항도 운항 편수가 일 4회로 원주보다는 횟수가 많다. 원주공항은 비,성수기에 상관 없이 일 2회 고정이다. 원주는 군공용 공항중에서도 규모가 가장 작은 공항이기도 하다. 추가로 순수 민간공항중 규모가 가장 작은 공항은 울산공항이다.[3] 일본 나리타 국제공항의 경우는 계획부지 내에 신사철거민들이 버티고 있어서, 앞의 세 공항과는 다른 케이스라고 할 수 있다. 나리타 국제공항 문서 참조.[4] 아무리 탑승률이 높아도 하루 1편만 운항하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한계점. 무엇보다 이곳은 군용 시설을 마주보고 있다.[5] 당연하겠지만, 소규모 공항이자 군공용공항인 원주공항이 국제공항이 되려면 부지를 지금의 2배 이상 넓혀서 활주로를 충원하고 공군이 원주공항에 대한 소유권을 일부 이양해야 한다. 물론, 강원 서부권 유일 비행장인 원주공항을 공군이 놔줄 리가 만무하다. 거기다가 활주로 주변이 죄다 마을이라 부지를 넓힐 수도 없다.[6] 대한항공이 전에 사용했던 버스를 이용한다. 말 그대로 파란색 도색에 대한항공 로고를 제거하고 진에어 로고가 부착된 버스를 이용한다. 총 3대가 있으며 그중 1대는 영업용 번호판이 장착되어 있다.[7] 이 때문에 이착륙 중의 여객기 내외부와 버스로 공항에서 여객기까지 이동중에 버스 내외부의 촬영이 (동영상 포함) 금지되어 있다. 버스와 기내에서의 안내방송 및 승무원이 제재하고 있으니 촬영할 생각은 하지 말자.[8] 탑승교는 항공사에서 요청하는 경우에 한정한다.[9] 옛 미군기지 캠프이글 부지나 활주로 남단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정부에 건의했다고 하며, 2025년 착공 예정이라고 한다.[10] 최근들어 군공항에서의 촬영 제재가 심하니 승무원의 말을 무시하지 말자. 정말로 동영상을 촬영하고 싶으면 항공기 이륙 후 영상을 시작하거나, 또는 착륙 직전에 영상을 종료하는 게 낫다. 더 좋은 방법은 아예 하지 말자.[11] LJ471, LJ473[12] 그러나 이후 대한항공은 2023년 10월 29일부터 여수공항에 다시 복항하였다.[13] 슈퍼 에어로시티, 뉴 슈퍼 에어로시티 2차 F/L, 자일대우버스 BS106L 각각 1대씩 보유하고 있다.[14] 원주공항에는 노란색 보안 차량 1대, 수하물 트럭 2대와 공항버스 3대가 있다. 민간 주기장에는 항공편이 없을 경우 공항버스 2대, 수하물 트럭 1대가 다음 도착하는 항공편을 위해 대기한다.[15] 항공편이 제주로 출발하면 버스 1대에 모든 운송 및 조업직원이 탑승 한 후 수하물 트럭 1대와 함께 공항청사로 향한다. 반대로 제주발 항공편이 도착하기 직전에 같은 방법으로 버스 1대에 모든 운송 및 조업직원이 탑승 한 후 수하물 트럭 1대와 함께 주기장으로 향한다.[16] 참고로 KAS 사무실은 주기장에 위치해 있기에 조업사 차량은 공항청사가 아닌 주기장에 모두 위치해 있다.[17] 물론 설치가 안 된 것보다는 좋겠지만 ILS는 글라이드 슬롭의 전파유도를 통해 안정된 하강각이 나오는 반면, PAR은 관제사가 레이더 스코프에 나온 항공기의 강하각 및 위치와 속도를 파악하며 쉴새없이 조종사에게 교신으로 유도를 하기 때문에 명백한 한계가 있다. 이 때문에 관제사와 조종사의 숙련도가 어느정도 있어야 하며, 악천후에는 운영의 한계가 있다.[18] 그나마 공항 바로 앞에 예전 먹거리단지가 남아있어 몇몇 식당들과 카페들이 있어 식사 걱정은 안해도 된다.[19] 교통카드를 써도 되지만 사용한 적이 적은 데다가 최근에 규정이 풀린 것이어서 교통카드 사용을 막는 기사가 많기 때문에 현금이 없다면 인근에 있는 세븐일레븐에 있는 ATM을 이용하거나 횡성시외버스터미널이나 원주종합버스터미널로 가야된다.[20] 올림픽 참가 선수단이 북한 마식령스키장으로 이동할 때 양양국제공항을 이용하였다.[21] 평창동계올림픽 기간엔 경강선 KTX를 제외한 그 외 지역에는 KTX가 인천공항역까지 운행하지 않는다. 그리고 앞으로도 쭈우욱 운행 안한다.[22] 이러한 이유로 원주시는 과거 주한미군의 부지였던 캠프 이글이나 캠프 롱에 청사를 이전하려는 시도를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