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8 04:34:25

핫 크로스 번

핫 크로스 번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계열
빵류 샌드위치, 토스트 샌드위치, 애플 파이, 민스 파이, 미트파이, 셰퍼드 파이, 패스티, 빅토리아 케이크, 요크셔 푸딩, 스타게이지 파이, 비프 웰링턴, 쇼트케이크, 파운드 케이크, 당근 케이크, 핫 크로스 번
과자류 트라이플
육류 로스트 디너(구운 치킨, 칠면조 구이), 블랙 푸딩, 베이컨, 스카치에그, 스테이크, 장어 젤리, 피시 앤드 칩스
소스·양념류 우스터소스
콩류 베이크드 빈즈
채소류 살마군디
술류 버터 맥주
소스·양념류 그레이비, 브라운 소스
식사 잉글리시 브렉퍼스트, 애프터눈 티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계열
빵류 식빵
죽류·수프&스튜류 스토비스, 포리지
육류 해기스
술류 스카치 위스키
과자류 쇼트브레드 쿠키, 스콘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 계열
빵류 바라 브리스, 파래빵
죽류·수프&스튜류 카울
육류 글래모건 소시지
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 북아일랜드 계열
빵류 감자빵, 박스티, 소다브레드
기타
과자류 비스킷(다이제), 아이스크림
죽류·수프&스튜류 커리 - 치킨 티카 마살라
밥류 비르야니
육류 탄두리 치킨
차류 홍차, 밀크티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a291c 20%,#fff 20%,#fff 80%,#da291c 8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주요 음식
구운 치킨 나나이모 다이제 당근 케이크 랍스터 롤 로스트 디너
매시트 포테이토 메이플 시럽 민스 파이 밀크티 베이컨 비스킷
사과 파이 쇼트브레드 쿠키 스모어 스시피자 스콘 스펀지케이크
애프터눈 티 와플 잉글리시 브렉퍼스트 치킨 티카 마살라 칠면조 구이 캐나디안 위스키
캘리포니아 롤 커리 파운드 케이크 파이어볼 시나몬 위스키 팬케이크 푸틴
피시 앤드 칩스 하와이안 피자 핫 크로스 번 호밀빵 }}}}}}}}}

'''
파일:호주 국기.svg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공통 음식
구운 치킨 다이제 당근 케이크 로스트 디너 매시드 포테이토
미트파이 민스 파이 밀크티 베이컨 비스킷
사과 파이 쇼트브레드 쿠키 스콘 애프터눈 티
잉글리시 브렉퍼스트 치킨 티카 마살라 칠면조 구이 커리 파블로바
파운드 케이크 팬케이크 페어리 브래드 피시 앤드 칩스 핫 크로스 번
{{{#!wiki style="margin: -16px -10.5px" 뉴질랜드
마마이트 오타 이카 }}}
{{{#!wiki style="margin: -16px -10.5px" 호주
래밍턴 베지마이트 악어 크림 파이
팀탐 플랫 화이트 할랄 스낵 팩 }}} }}}}}}}}}
파일:Hotcrossbun.jpg

1. 개요2. 상세3. 출처

1. 개요

Hot cross bun

건포도와 계핏가루를 넣어서 만드는 빵으로, 십자가빵이라는 별칭이 어울리는 십자 무늬가 특징이다. 주로 영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에서 먹는다.

2. 상세

영국에서는 전통적으로 부활절에 먹는 빵으로 유명하지만, 핫 크로스 번의 유래는 기독교 시대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보름달이 뜨는 밤에 십자 무늬를 낸 동그란 빵을 굽는 풍습이 있었고, 이탈리아 남부의 헤르쿨라네움 로마 유적지에서도 같은 모양의 빵이 발견되기도 했다. 고대에는 이 빵을 1년 내내 먹었으며, 이때 십자 무늬는 로마 신화의 달의 여신 디아나를 기리는 것이었다.

그러다 기독교 시대에 의미가 달라져서 빵의 둥근 모양은 보름달을, 빵 위의 십자 무늬는 달의 4현을 상징하게 되었다. 로마 가톨릭을 억압했던 튜더 왕조엘리자베스 1세는 부활절과 장례식을 제외하고는 핫 크로스 번의 판매를 금지했지만, 이는 오히려 핫 크로스 번을 예수의 십자가 고난이나 부활과 연관짓게 되는 결과를 낳았다.

빵 위에 십자무늬를 내는 재료는 기본적으론 그냥 밀가루에 물을 반반 섞은걸 짜올려 굽는 것이다. 시트빵은 고배율반죽이기 때문에 빵부분은 색이 진하게 나고 밀가루반죽을 짜올린 부분은 색이 연하게 나온다. 물론 맹탕 밀가루반죽인지라 무늬만 낼 뿐 딱히 맛은 없기 때문에 색만 확연하게 구분된다면 맛이 나는 다른 재료를 쓰거나 다 굽고나서 아이싱류로 무늬를 덮어도 무방하다.

3. 출처

  • <달: 낭만의 달, 광기의 달(Moon: Nature and Culture)> - 에드거 윌리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