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전 요리 | ||
{{{#!wiki style="margin:0 -10px -6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ebba10><colcolor=#fff> 튀김식 | 고구마전 · 굴전 · 버섯전 · 돈저냐(동그랑땡) · 전유어 · 산적 · 오색전 · 오징어전 · 육전 · 참치전 · 하트전 · 호박전 |
지짐식 | 감자전 · 김치전 · 녹두전(빈대떡) · 동래파전 · 메밀전 · 배추전 · 부추전 · 장떡 · 파전 · 화전 · 호박전 | |
기타 | 모듬전 · 전찌개 | }}}}}}}}} |
한국의 감자 · 고구마 · 옥수수 요리 | ||
{{{#!wiki style="margin:0 -10px -6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f765a3> 감자 | 감자국 · 감자떡 · 감자밥 · 감자볶음 · 감자전 · 감자조림 · 감자튀김 · 감자 핫도그 · 군감자 · 옹심이 · 포테이토 피자 · 회오리 감자 |
고구마 | 고구마떡 · 고구마밥 · 고구마빵 · 고구마전 · 고구마 케이크 · 고구마튀김 · 고구마 피자 · 군고구마 · 맛탕 · 잡채 | |
옥수수 | 군옥수수 · 버터콘 · 옥수수떡 · 옥수수밥 · 올챙이국수 · 콘치즈 | }}}}}}}}} |
1. 개요
한식의 한 종류인 전에서 파생된 음식 강원도 등의 지방의 향토 음식이다. 영동 방언으로는 감자적(감재적), 북한의 어문 규범인 문화어로는 감자지짐이라고도 한다. 일반적인 전은 밀가루(혹은 부침가루)와 계란으로 반죽해서 전을 부치지만, 감자전은 감자로 반죽을 한다는 데에 차이가 있다. 감자를 갈아서 반죽 베이스로 쓰고 밀가루를 섞고[1], 별다른 재료를 넣지 않지만 기호에 따라 양파를 갈아 넣거나 고추, 깻잎 등을 넣기도 한다. 감자 자체에 전분이 많이 들어있기 때문에 단독으로 부쳐도 충분히 전이 된다. 일반적으로 소금간만 조금 하고 아니면 주로 간장에 찍어 먹는다. 다른 전 재료들과의 궁합도 좋기 때문에 밀가루 대신 써서 해물파전의 베이스로 쓰거나 파전과 퓨전해서 먹어도 상당한 별미가 된다.2. 조리법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 강판으로 감자를 갈아[2] 약간의 소금을 가미하고 부치면 된다. 점성이 높아 일반적인 밀가루 부침개보다 더 잘 뒤집어진다.더 잘 부치려면 감자를 갈아 건더기는 수분을 짜내 소금간을 하고, 감자에서 나온 수분을 가라앉혀 얻어낸 녹말가루를 건더기와 섞은 뒤, 기름을 두른 팬에 올려 적당히 지져내자. 위에서 설명했다시피 감자 자체의 녹말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밀가루나 녹말가루 없이 감자만으로 전을 부칠 수 있기는 하지만 실패할 확률이 높다. 번거롭다면 전분가루를 이용해도 좋다. 절대 센 불로 하지 말고 천천히 부치자. 조금 두껍게 해야 겉은 바삭, 속은 쫄깃하니 맛있다. 청양고추가 있다면 옆으로 썰어 몇 개 올려두고 부치자. 간장이나 굴소스에 찍어 먹으면 술안주로 최고. 감자를 채 썬 후 감자를 간 것과 같이 섞어서 지지면 식감이 좋다. 간 감자를 다음에 먹으려고 보관하려면 갈변할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강판에 가는 게 무섭다거나 귀찮다거나 강판이 없는 경우라면 찌거나 삶은 감자를 이용해서 만들 수 있다. 찌거나 삶은 감자를 그릇에 담고 수저, 포크, 푸드매셔//음식다지기, 감자프레스 등을 이용해 팍팍 으깨준다.[3] 이후 소금간[4]을 잘 해준 후 반죽해서 최대한 쫙 펴준다. 그 다음에 기름에 노릇노릇하게 부쳐주면 속은 포삭하고 겉은 바삭바삭한 식감의 감자전을 즐길 수 있다.[5] 단, 생감자를 쓸 때의 그 맛은 안 나니 유의할 것.
강판으로 갈든 믹서로 갈든 적잖은 감자를 갈아서 만들어야 널널하게 먹을 수 있는데, 과정이 번거로운 것 치고는 양이 그리 많게 나오지는 않는다.
감자를 통째로 채썰어서 만드는 감자전, 감자채전도 있다. 식감은 살짝 쫄깃쫄깃하며 감자채 볶음과 프렌치프라이 사이쯤 되며 감자채를 쓰기에 그냥 잡고 털면 원하는만큼만 떼지게 만들수도 있다. 근데 먹을뗀 안떨어진다.
추가적으로 갈은 감자에 감자 전분을 추가하면 수분이 생기는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3. 이와 비슷한 해외의 요리들
감자라는 식재료 자체가 세계적으로 매우 흔한 편이고, 요리 방법도 간단해서 세계 각지에 이와 비슷한 음식들이 있다. 갈아넣은 감자를 밀가루 대신 사용해서 부치는 게 정석이지만, 드물게 채 썬 감자를 그냥 혹은 밀가루 반죽에 섞어 부치거나 넓게 썬 감자에 밀가루를 입혀 부쳐내는 종류도 있다. 예를 들어 스위스의 뢰스티가 있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 베를린 요리 | 브란덴부르크 요리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요리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요리 | 튀링겐 요리 | ||||||
함부르크 요리 | 브레멘 요리 | 니더작센 요리 | 작센안할트 요리 | 작센 요리 | |||||||
헤센 요리 | 베스트팔렌 요리 | 라인란트 요리 | 자를란트 요리 | 팔츠 요리 | |||||||
슈바벤 요리 | 바이에른 요리 | 프랑켄 요리 | 슐레지엔 요리 | 포메른 요리 | |||||||
프로이센 요리 | 수데텐란트 요리 | 베스트프로이센 요리 | 바덴 요리 | 동프로이센 요리 | |||||||
빵류 | 구겔후프 · 바움쿠헨 · 슈톨렌 · 슈트루델 · 오믈렛빵 · 슈바르츠발트 · 슈바르츠발트 키르쉬토르테 · 프레첼 · 핫도그 · 호밀빵 | ||||||||||
고기류 | 미트로프 · 소시지 · 슈니첼 · 슈바인스학세 · 햄버그 스테이크 | ||||||||||
기타 | 구미 베어 · 뮤즐리 · 쇼카콜라 ·자우어크라우트 · 지리적 표시제/유럽연합/독일 | ||||||||||
스프류 | 맥주 수프 · 아인토프 ·호박죽 | ||||||||||
액체류 | 맥주 · 드립 커피 ·환타 |
- 라이베쿠헨(Reibekuchen)
독일의 감자요리. 카토펠푸퍼(Kartoffelpuffer)라고 부르기도 한다. 우리는 전 요리를 먹을 때 막걸리를 마시지만, 독일인은당연히맥주를 마신다. 서울 서초구에 라이베쿠헨을 파는 가게가 있다.
- 해시 브라운(hash brown)
사진은 테이터 탓츠(tater tots)
미국과 영국 등 영어권의 감자 요리. 아침 식사용으로 나온다. 이건 패스트푸드 가게 어디를 가든 맛볼 수 있다. 코스트코 등지에 가면 20개들이로 저렴하게 팔고 있다. 사실 해시 브라운을 만들 때 전분을 빼지 않으면 감자전이 된다.
- 드라니키(Дранікі)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음식 | ||||||||
박스티 | 매시드 포테이토 | 베이컨 | 베이크드 빈즈 | 아이리시스튜 | 블랙 푸딩 | ||||
크로플 | 피시 앤드 칩스 | 콜캐넌 | 코들 | 소다브레드 | 크루빈스 | ||||
차우더 | 밤브레크 | 스커트 앤드 키드니 | 구디 | 셰퍼드 파이 | 아이리시 브랙퍼스트 | ||||
술 | |||||||||
기네스 | 맥주 | 베일리스 | 부쉬밀 | 아이리시 위스키 | 아이리시 커피 | ||||
제임슨 |
- 박스티(boxty)
아일랜드의 감자요리. 박스티라는 요리는 일종의 감자 팬케이크로 아일랜드식 감자전이라 할 수 있다. 소스나 부재료를 곁들이기에 따라 달라지지만, 비주얼을 보면 한국의 감자전과 크게 다를 것이 없는 레시피도 가능하다. 대체로는 사워크림과 파를 곁들여서 먹는다.
- 라그뭉크(raggmunk)
스웨덴의 감자요리.
- 토르티야 데 파타타스(tortilla de patatas)
스페인의 감자요리. '토르티야 에스빠뇰라' 또는 영어로 '스페인 식 오믈렛(Spanish omelette)'이라는 명칭이 더 유명. 감자와 양파를 얇게 썰어 살짝 튀긴 뒤 달걀과 함께 풀어 두껍게 부쳐 내며, 채소나 베이컨 등을 넣기도 한다. 감자전...으로 분류할 수도 있겠지만 '감자를 넣은 오믈렛'에 가깝다. 멕시코 음식으로 유명한 또르띠야의 어원이기도 하다.
- 포타토 프리타타(potato frittata)
이탈리아의 감자요리.
- 랏키, 라트케(latkes)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0038b8><colbgcolor=#fff> 육류 | <colcolor=#000,#fff>샥슈카 · 쉬쉬케밥 · 슈니첼 · 케밥 |
음료·술 | 아타이(차) | |
빵류 | 말라와흐 · 맛짜 · 바스부사 · 베이글 · 참깨빵 · 쿠브즈 · 피타 · 할라(빵) | |
면류 | 쿠스쿠스(식재료) | |
쌀류 | 마클루바 · 만사프 · 무자다라 · 캅사 | |
과자류 | 누가(과자) · 쿠나파 · 할바 | |
채소류 | 돌마 | |
수프 | 구야시 · 타펠슈피츠 | |
기타 | 라트케 · 코셔 푸드 · 타히니 · 팔라펠 · 훔무스 | }}}}}}}}} |
유대인의 감자요리. 잘게 다진 감자에 양파, 달걀, 맛짜(matzah 또는 matzo : 무교병. 물과 밀가루만으로 만든 유대인식 빵)를 섞어 팬케이크 형태로 만들어 튀기듯이 부쳐먹는다. 유대교 명절인 하누카 때 만들어 먹으며 지금은 미국, 영국, 러시아, 동유럽에서도 즐겨먹는 음식으로 자리잡았다.
- 투더우빙(土豆餅, tŭdòubǐng)
중국식 감자전.
- 파타트닉(пататник)
불가리아의 감자요리. 본래는 불가리아 남부 로도피 산맥 지역에서만 즐겨먹던 요리였다고 한다.
- 플라츠키(placki)
폴란드의 감자요리. 내 친구의 집은 어디인가 독일 편에서 미할 스파소프 아슈미노프가 선보였다.[7]
- 갈렛 드 폼 드 테르(galette de pomme de terre)
프랑스의 감자요리.
- 쿠쿠시비 자미니(Kuku sib zamini)
이란의 감자요리.
4. 기타
- 감자가 많이 생산되는 강원도에서 만들어진 요리이며, 강릉에서는 감자전을 감자적으로 부른다. 또한 강원도 외에 경상도에서도 많이 먹는다. 강원도와 인접한 경상북도에서 많이 먹는데 주로 밀가루나 전분을 섞어서 장떡으로 만들어먹는다고 한다. 굉장히 별미다.
- 위키백과에서는 감자전 같은 음식을 감자 팬케이크라는 종류의 음식으로 분류하고 있다. 케이크라는 용어가 반죽을 익혀 내는 요리의 통칭이기 때문에 그렇다(예를 들어 어묵은 fish cake).
- 감자를 으깨서 납작하게 만든다는 점에서는 해시 브라운과 비슷한 음식. 아니, 지져내느냐 튀겨내느냐의 사소한 차이일 뿐 사실상 같은 음식이다. 패스트푸드점 등에서 냉동식품을 튀겨서 나오는 공산품 해시 브라운은 감자전과 맛이 조금 다르지만 가정식 또는 요리사가 만든 해시 브라운은 프라이팬으로 지져서 만들기 때문에 정말로 맛과 생김새가 비슷하다. 감자전을 조금 작게 만들고 소금을 왕창 퍼부으면 딱 그 맛이다.
- 간장에 찍어먹는 경우가 많지만 감자이다보니 케첩과도 궁합이 어울린다.
- 반죽을 오래 두면 갈변(褐變) 현상이 일어나 거무튀튀한 감자전이 되지만 맛은 동일하다. 반죽에 미리 양파를 간 후 섞으면 갈변을 어느 정도 막을 수 있다고 한다.
- 감자전을 부칠 때뿐만 아니라 감자를 기름에 튀기거나 할 때 동물성 기름[8]으로 요리하면 맛이 더욱 좋아진다고 한다.[9] 하지만 식으면 냄새가 난다는 게 단점.
- 기름은 약간만 둘러 앞뒤만 노릇하게 구운 뒤, 물을 약간 부어 속까지 익히면 기름 낭비를 줄일 수 있다.
- 껍질을 귀찮다고 안 까고 갈면 텁텁한 맛이 생긴다. 또한 제대로 씻지 않았다면 흙을 씹을 가능성도 있다.
- 동동주, 막걸리와 같이 많이 먹으며, 식당에서도 같이 파는 경우가 많다.
5. 관련 문서
[1] 밀가루나 부침가루를 섞지 않고 감자 100%로 만드는 경우도 있다. 정석은 밀가루/부침가루가 아니라 감자전분을 넣는다. 감자에 전분기가 부족하면 부치면서 풀어지기 때문이다. 전분질이 많은 감자는 감자만으로 만들어도 된다. 감자를 갈아서 물만 쪽 짜서 한참 두면 전분은 가라앉고 물은 위에 분리되는데, 윗물은 버리고 밑에 가라앉은 전분만 건더기와 섞어 부친다.[2] 믹서기 등으로 갈면 감자전다운 식감이 나지 않는다. 그래도 굳이 갈고 싶다면 너무 오랫동안 갈지 말고 조금만 갈아주면 어느 정도 비슷한 식감이 나온다. 사실 블렌더가 조금 낡았다면 그마저도 날에 끼어서 걸리는 통에 잘 안 갈린다.[3] 감자는 최대한 부드러워질 때까지 푹 찌거나 삶는게 좋다. 매셔나 프레스가 없는 집에서 수저나 포크 가지고 설익은 감자를 으깨려면 문자 그대로 중노동이다.[4] 사정이 된다면 후추나 허브솔트, 가루로 된 인스턴트 양념 등도 조금 첨가해주자.[5] 얇게 펴서 굽지 않고 조금 동그랗게 만든 다음에 지지듯이 구워주면 감자호떡이 된다. 감자호떡으로 만든다면 그냥 구울 시 덜 바삭바삭하고 밍숭맹숭한 느낌이 강해지니 안쪽에 마요네즈같은 다른 소를 넣어주자. 훨씬 맛이 좋다.[6] 또는 뢰슈티(Röschti)[7] 불가리아 국적자이지만 외가가 폴란드계이다.[8] 중국 요리처럼 돼지기름을 써도 좋겠지만 집에서는 햄이나 베이컨을 구운 뒤 거기서 나온 기름으로 부치면 된다. 베이컨을 구운 뒤 그 기름에 계란 프라이이나 팬케이크를 굽는 것은 서구권 가정에서는 친숙하고 유서깊은 요리법이다. 더 쉽고 값싸게 하는 방법이 있는데 바로 스팸, 리챔, 뚝심 등 프레스햄이나 런천미트 굽고 난 기름으로 조리하는 것.[9] 베이컨의 경우 특유의 짭잘한 맛이 추가되기도 한다.[10] 영문 부제는 legacy of potato panca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