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4 16:50:26

히라테 코헤이


파일:external/supergt.net/8043_sgtlogo.jpg
2025 슈퍼 GT GT300 참가 팀 및 드라이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025 시즌
No. 소속 차량 성명 사용
타이어
2 하이퍼 워터 레이싱 인깅 토요타 GR86 GT
하이퍼 워터 레이싱 인깅 GR86 GT
파일:일본 국기.svg 타이라 히비키
파일:일본 국기.svg 츠츠미 유이
파일:일본 국기.svg 우라베 카즈히사
브리지스톤
4 굿스마일 레이싱 & Team UKYO 메르세데스-AMG GT3 EVO
굿스마일 레이싱 AMG GT3 EVO
파일:일본 국기.svg 타니구치 노부테루
파일:일본 국기.svg 카타오카 타츠야
요코하마
5 팀 마하 미정 파일:국기.svg 미정
파일:국기.svg 미정
미정
6 팀 르망 페라리 296 GT3
팀 르망 296 GT3
파일:일본 국기.svg 카타야마 요시아키
파일:스페인 국기.svg 로베르토 메르히
요코하마
7 BMW M 팀 스터디 X CRS BMW M4 GT3 EVO
BMW M 스터디 M4 GT3 EVO
파일:국기.svg 미정
파일:국기.svg 미정
미쉐린
9 퍼시픽 레이싱 메르세데스-AMG GT3 EVO
퍼시픽 레이싱 AMG GT3 EVO
파일:국기.svg 미정
파일:국기.svg 미정
요코하마
11 게이너 닛산 페어레이디 Z GT300
게이너 타낙스 Z
파일:일본 국기.svg 토미타 류이치로
파일:일본 국기.svg 오키 카즈키
던롭
18 팀 업개러지 메르세데스-AMG GT3 EVO
팀 업개러지 AMG GT3 EVO
파일:일본 국기.svg 코바야시 타카시
파일:일본 국기.svg 노무라 유토
요코하마
20 셰이드 레이싱 토요타 GR86 GT300
셰이드 레이싱 GR86 GT
파일:일본 국기.svg 히라나카 카츠유키
파일:일본 국기.svg 시미즈 에이지로
파일:일본 국기.svg 사노 유키
미쉐린
22 R'Qs 모터스포츠 메르세데스-AMG GT3 EVO
R'Qs AMG GT3 EVO
파일:국기.svg 미정
파일:국기.svg 미정
미정
25 호피 팀 츠치야 토요타 GR 수프라 GT
호피 샤츠 GR 수프라 GT
파일:일본 국기.svg 마츠이 타카미츠
파일:일본 국기.svg 사토 키미야
요코하마
26 아네스트 이와타 레이싱 렉서스 RC F GT3
아네스트 이와타 레이싱 RC F GT3
파일:브라질 국기.svg 이고르 오무라 프라가
파일:일본 국기.svg 야스다 히로노부
요코하마
30 apr 레이싱 토요타 GR86 GT
apr GR86 GT
파일:일본 국기.svg 오리도 마나부
파일:일본 국기.svg 나가이 히로아키
파일:일본 국기.svg 오가와 료
미쉐린
31 렉서스 LC 500h GT
apr LC500h GT
파일:일본 국기.svg 코야마 미키
파일:덴마크 국기.svg 올리버 라스무센
파일:일본 국기.svg 네모토 유키
브리지스톤
45 포노스 레이싱 페라리 296 GT3
포노스 레이싱 296 GT3
파일:국기.svg 미정
파일:국기.svg 미정
던롭
48 NILZZ 레이싱 닛산 GT-R 니스모 GT3
NILZZ 레이싱 GT-R GT3
파일:국기.svg 미정
파일:국기.svg 미정
미정
52 사이타마 그린 브레이브 토요타 GR 수프라 GT
그린 브레이브 GR 수프라 GT
파일:일본 국기.svg 노나카 세이타
파일:일본 국기.svg 요시다 히로키
파일:일본 국기.svg 코바야시 리쿠토
브리지스톤
56 콘도 레이싱 닛산 GT-R 니스모 GT3
리얼라이즈 닛산 메카닉 챌린지 GT-R
파일:일본 국기.svg 히라테 코헤이
파일:브라질 국기.svg 후앙 파울루 데 올리베이라
요코하마
60 LM코르사 렉서스 LC 500h GT
신티움 LM코르사 LC500h GT
파일:일본 국기.svg 요시모토 히로키
파일:일본 국기.svg 코노 슌스케
던롭
61 스바루 R&D 스포츠 스바루 BRZ GT300 파일:일본 국기.svg 야마우치 히데키
파일:일본 국기.svg 이구치 타쿠토
던롭
62 HELM 모터스포츠 닛산 GT-R 니스모 GT3
HELM 모터스포츠 GT-R
파일:일본 국기.svg 히라키 유야
파일:일본 국기.svg 히라키 레이지
요코하마
87 JLOC 람보르기니 우라칸 GT3 EV0 2 파일:국기.svg 미정
파일:국기.svg 미정
미정
88 람보르기니 우라칸 GT3 EV0 2 파일:국기.svg 미정
파일:국기.svg 미정
미정
96 K-tunes 레이싱 렉서스 RC F GT3
K-Tunes RC F GT3
파일:일본 국기.svg 타카기 신이치
파일:일본 국기.svg 닛타 모리오
던롭
360 토메이 스포츠 닛산 GT-R 니스모 GT3
런업 리보 GT-R
파일:일본 국기.svg 아오키 타카유키
파일:일본 국기.svg 타나카 아츠시
요코하마
666 세븐 X 세븐 레이싱 포르쉐 911 GT3 R (992)
세븐 X 세븐 911 GT3 R
파일:일본 국기.svg 후지나미 키요토
파일:일본 국기.svg 콘도 츠바사
요코하마
777 디스테이션 레이싱 애스턴 마틴 밴티지 AMR GT3 EVO
디스테이션 밴티지 AMR GT3 EVO
파일:국기.svg 미정
파일:국기.svg 미정
던롭

}}}}}}}}} ||
파일:히라테 코헤이 2024.jpg
슈퍼 GT - 콘도 레이싱 No.56
히라테 코헤이 (平手晃平)
Hirate Kohei
국적
[[일본|]][[틀:국기|]][[틀:국기|]]
생년월일 1986년 3월 24일 ([age(1986-03-24)]세)
출생지 일본 아이치
신체정보 171cm, 63kg, RH+O
챔피언십
타이틀
슈퍼 GT (2013,2016)
소속팀 포뮬러 토요타 톰즈 스피릿(2002)
포뮬러 르노 2.0 프레마 파워팀 (2003~04)
프랑켄 레이싱 (2003)[1]
아시아 레이싱 팀 (2004)[2]
포뮬러 3 팀 로즈버그 (2005)
매노어 모터스포츠 (2006)
GP2 트라이던트 레이싱 (2007)
포뮬러 닛폰 팀 임펄 (2008~2011)
프로젝트 μ/세루모・인깅 (2012~2013)
슈퍼 GT apr (2008,2018)
렉서스 팀 세루모 (2011-14)
렉서스 팀 SARD (2009-10, 2015~17)
NDDP with B-MAX (2019-21)
콘도 레이싱 (2022-23)
헬름 모터스포츠 (2024)GT300
콘도 레이싱 (2025~ )GT300
2013년 전일본 오토박스 슈퍼GT GT500 시즌 챔피언
2012 -
로니 퀸타렐리
야나기다 마사타카
히라테 코헤이
타치카와 유지
2014 -
마츠다 츠기오
로니 퀸타렐리
2016년 전일본 오토박스 슈퍼GT GT500 시즌 챔피언
2015 -
마츠다 츠기오
로니 퀸타렐리
헤이키 코발라이넨
히라테 코헤이
2017 -
히라카와 료
닉 캐시디

1. 개요2. 약력
2.1. 데뷔, 카트에서 유럽 포뮬러까지2.2. 일본 탑 포뮬러 이력

[clearfix]

1. 개요

일본 아이치현 코마키시 출신의 레이싱 드라이버.
슈퍼GT 출전 드라이버 중에서는 준수한 외모로 여성 팬층이 상당히 두텁기로 잘 알려져 있다.(!!!) 오랜기간 토요타의 드라이버로 활동했으나, 2019년 NDDP 팀으로 이적한 후 닛산의 드라이버로 활동하고 있다. 24년부터는 GT300 클래스의 헬름 모터스포츠 소속으로 출전한다.

2. 약력

2.1. 데뷔, 카트에서 유럽 포뮬러까지

13세가 되는 해인 1999년에 카트를 통해 레이스로 데뷔했으며, 전일본 주니어 카트 챔피언십의 초대 시리즈 챔피언에 올랐다. 그 후 카트 레이스에서 지속적인 활약을 펼치다가 2002년 포뮬러 토요타에 최연소로 참가한다. 그 전년도에는 포뮬러 토요타 레이싱 스쿨로부터 장학금까지 수여받을 정도로 인재로 주목받았는데, 이와 동시에 발급받은 JAF 라이센스는 히라테가 자동차 운전면허를 취득할 나이에 미달했기 때문에 제한적이었다. 그렇게 참가한 포뮬러 토요타에서는 16세의 나이로 2라운드에서 최연소 우승을 거두었으며, 시리즈 랭킹 또한 2위로 상당한 기록이었다. 이에 탄력을 받은 히라테는 토요타 영 드라이버즈 프로그램에서 전폭적인 지원을 받으며 이듬해 포뮬러 르노 2000으로 진출하고, 2004년 이탈리아 선수권에서는 6번의 폴 포지션, 2번의 패스티스트 랩, 10번의 포디움, 6번의 우승을 거두며 이번에도 시리즈 랭킹 2위라는 쾌거를 거둔다. 여러모로 초대, 최연소가 눈에 띈다.

2005년에는 F3 유로시리즈에 진출했지만 여기서는 그다지 인상적인 모습을 보여주진 못했다. 2007년 진출한 GP2에서도 시리즈 랭킹 19위로 마무리지었으나, GP2에서는 뉘르부르크링에서 열린 6라운드에서는 레이스1에서 5위, 레이스2에서 2위를 거두면서 첫 포디움에 오른다.

파일:external/cdn-2.motorsport.com/f1-toyota-tf107-launch-cologne-germany-2007-kohei-hirate-and-kamui-kobayashi.jpg

한편, 고바야시 카무이와 함께 토요타 F1 팀의 테스트 드라이버를 담당하기도 했다. 토요타 레이싱 입장에서는 현역 F1 드라이버를 제외하면 자신들이 지원해주고 있던 하위급 포뮬러에서의 두 선수를 기용하는 것은 당연한 수순이다. 그러나 이후 F1에 성공적으로 진출하는 카무이에는 못 미치는 행보를 걷고 있었다.

2.2. 일본 탑 포뮬러 이력

2008년 일본으로 귀환, 호시노 카즈요시 감독이 이끄는 팀 임풀에 입단해 그해 2전인 스즈카 전에서 2위를 기록하며 처음으로 포디엄에 오르고, 4전인 오카야마 전에서 3위를 기록, 이어서 열린 제5전인 스즈카전의 두번째 레이스에서 첫 우승을 기록하였으나, 다음 경기였던 트윈링 모테기 전의 첫번째 레이스에서 이자와 타쿠야와 배틀을 하던 중 허공에 날아가는 큰 사고를 당하면서 부상을 입고 제7전인 후지전을 결장, 최종전이던 스고 전에서 복귀하면서 이해 시즌을 4위로 마무리 하고, 처음으로 신설된 루키 오브 더 이어에 선발되었다.

2009년에도 팀 임풀로 참전, 개막전인 후지전에서 예선 1위를 기록하였으나 결승을 3위로 마무리했고, 최종전인 스고 역시 3위로 마무리 하면서 포디엄에는 이 두번만 올라가 시즌 5위를 기록했다. 2010년에는 일정이 변동되면서 스즈카 서킷전이 개막전으로 갔는데, 개막전인 스즈카 서킷전에서 이자와 타쿠야를 던롭 코너에서 제치는 등 추월 쇼를 전개해 4위를 차지함과 동시에 패스티스트 랩을 기록하였고, 제3전 후지에서는 폴시터였던 로익 듀발을 제치고 독주로 우승을 장식해 시상대 위에서 연인에게 청혼을 감행하는 등 화제가 되었다. 다음 4차전 경기인 모테기전에서도 3위로 포디엄에 올랐지만 이후의 레이스는 침체되어 랭킹 5위로 이 시즌을 마쳤다.

팀 임풀에서의 마지막 시기인 2011년에는 포디엄에 오른 일이 단 1회로 제3전 후지에서의 2위가 전부, 특히 이해 제5전이전 스즈카전은 악천후로 중지되면서 포인트를 얻는데 손해를 봤고, 결국 8위로 시즌을 마감한다.

2012년, Project μ/cerumo・INGING 팀으로 이적한 히라테의 파트너는 쿠니모토 유지. 그러나 이해 성적은 바닥을 쳤고, 최고 성적이 7위일 정도로 최악의 성적을 받았다. 2013년에도 세루모 팀으로 참전, 후지에서 2위를 기록하였고 그 해를 마지막으로 일본 포뮬러 전선을 이탈, GT에만 집중하게 되었다.
[1] 독일 F3 한정[2] 아시아 포뮬러 르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