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9 14:49:34
상위 문서: 슈퍼 GT 슈퍼 GT 시즌 →
2025
→
1 . 개요2 . 규정 변경 사항3 . 2025 시즌 캘린더4 . 2025 시즌 엔트리5 . 프리시즌 정보 업데이트6 . 테스트 1:페트로나스 세팡 인터내셔널 서킷 (1/19~20)7 . 1라운드: 오카야마 레이스8 . 2라운드: 후지 레이스8.1 . 후지 GT 3시 레이스 정보 업데이트8.2 . 레이스9 . 3라운드: 세팡 레이스9.1 . 스즈카 GT 3시 레이스 정보 업데이트9.2 . 레이스10 . 4라운드: 후지 레이스11 . 5라운드: 스즈카 레이스 12 . 6라운드: 스고 레이스13 . 7라운드: 오토폴리스 레이스14 . 레이스1 . 8라운드: 모테기 레이스 슈퍼 GT 2025시즌에 대한 문서다.
2. 규정 변경 사항GTA와 IGTC는 2025년부터 인터컨티넨탈 GT 챌린지 의 일환으로 재개될 예정인 스즈카 1000km를 개최하여 GT300 클래스 차량의 레이스 참가를 허용할 예정이다. 이로써 스즈카 서킷에서 열리는 5라운드와 스즈카 1000km 레이스에 연속으로 참가할 수 있게 되었다. 향후 양측은 2026년 이후 규정을 조율할 예정이지만, 올해는 규정에 따라 FIA GT3 규정만 참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2024년동안 사용되었던 Q1과 Q2의 기록을 합산하는 방식이 2025년부터 사라지고 2023년까지 사용되었던 각 퀄리파잉 당 탈락하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3. 2025 시즌 캘린더4. 2025 시즌 엔트리5. 프리시즌 정보 업데이트2025년 1월 27일, 시즌 개최를 앞두고 웹사이트 디자인이 리뉴얼 되었다. 로니 퀸타렐리 가 2024년 시즌을 마지막으로 슈퍼 GT에서 은퇴하였다.# 혼다의 드라이버 라인업이 2024년 12월 11일 발표되었다.# 43년 넘게 이전 브랜드인 칼소닉과 함께 팀을 후원했던 팀 임풀의 스폰서 마렐리가 스폰서십을 종료했으며, 2024년 12월 24일, 호시노 임풀 은 새로운 타이틀 스폰서인 도쿄 라디에이터를 맞이하였다.# 닛산 GT500 팀들의 리버리가 공개되었으며, 마렐리 팀 임펄은 TDS 임펄 with SDG로 변경되었지만 칼소닉 블루로 다시 돌아왔다. 이번 시즌부터 혼다 NSX GT3 EVO22는 더이상 사용되지 않는다. 마지막 사용팀인 팀 업개러지 또한 NSX GT3의 지원이 되지 않아 더 이상 사용하지 않기로 발표하였다.# 아네스트 이와타 레이싱 은 두 시즌 동안 팀을 운영했던 아르나주 레이싱과의 파트너십을 종료했다. 이로써 11년 넘게 이 시리즈에 참가해 온 아르나주 레이싱은 2025년부터 슈퍼 GT 시즌에 불참한다고 발표했다.코타카 카즈토 와 나카무라 진 이 APR 레이싱 과 슈퍼 GT를 떠나면서 새로운 라인업을 갖추게 되었다. 코타카는 슈퍼 포뮬러 에 집중하고 GT500 토요타의 리저브 드라이버로서의 역할을 맡았으며, 나카무라는 R-ace GP 소속으로 FRECA로 이적했다.# APR 레이싱 은 지난 시즌 슈퍼 다이큐 ST-X, 그리고 R'Qs 모터스포츠 소속이던 코야마 미키 와 계약을 맺었다.# 퍼시픽 레이싱 이 버추얼 유튜버 그룹인 VSPO! 와의 파트너십을 종료했다.# 2025년 1월 10일, 팀 업개러지 가 공식적으로 혼다 NSX GT3 EVO22에서 메르세데스-AMG GT3 EVO로 차량을 변경한다고 발표하였다. 드라이버로는 코바야시 타카시 는 그대로 유지되고, GT500으로 승격된 코이데 슌 을 대체하여 F4 일본 챔피언십 에서 활동하였던 노무라 유토가 그의 자리를 대체할 예정이다.# 스바루 또한 25년 1월 10일, 도쿄 오토살롱을 통해 모든 팀들 중 먼저 실차와 리버리 및 드라이버 라인업을 공개하였다. 라인업은 작년과 동일한 이구치 타쿠토 선수와 야마우치 히데키 선수로 결정되었으며, 이 둘은 올해로 10년째 함께하게 된다.# 올해 스바루 BRZ GT300의 핵심 요소는 총 3가지이다. 재구축된 차체로 강성 증가, 드래그 감소 및 다운포스 증가, 2025년 예정된 타이어 규정 변경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를 했다고 한다. 굿스마일 레이싱 의 리버리는 2월 9일 원더 페스티벌 2025 윈터에서 공개될 예정이다.# LM코르사 가 차량을 변경하였다. 이로써 슈퍼 GT에는 렉서스 LC GT300이 2대가 존재하게 된다.2025 시즌부터 인깅 모터스포트 의 타이틀 스폰서가 무타 레이싱에서 하이퍼워터 레이싱으로 변경된다. 그리고 카토 히로키 는 팀의 매니지먼트 역할로 드라이버에서 제외되며, 그의 자리는 우라베 카즈히사 가 대체한다. 2025 시즌 신형 포르쉐 911 GT3 R (992)를 사용해 출전할 신생팀이 있다는 루머가 있다. 이것이 사실이라면, 2021년 호피 팀 츠치야의 포르쉐 이후로 4년만에 등장하는 포르쉐가 될 것이다.# 포르쉐 카레라 컵 재팬 팀 세븐 X 세븐 레이싱 이 포르쉐 911 GT3 R (992) 차량으로 이번 시즌 슈퍼 GT에 데뷔한다. 두 차례 GT500 챔피언을 차지한 후지나미 키요토 가 팀 마하 에서 합류했으며, 전 레이스 우승자 콘도 츠바사 가 포르쉐 센터 오카자키 소속으로 GT 월드 챌린지 아시아 에 출전한 후 시리즈에 복귀하게 된다. 또한, 2021년 포르쉐 911을 사용한 츠치야 엔지니어링 이후로 4년만에 911이 슈퍼 GT에 등장한다. 이시카와 케이시 는 5시즌 동안 팀을 위해 경쟁한 후 게이너를 떠났다. 슈퍼 다이큐 ST-Z에서 나니와 덴소 임풀 의 드라이버로 활동중인 오키 카즈키(大木一輝)가 팀에 합류했다.콘도 레이싱 에는 두 번의 GT500 챔피언에 오른 히라테 코헤이가 헬름 모터스포츠 에서 20위를 차지한 후 GT500에 출전했던 팀으로 복귀했다.HELM 모터스포츠는 콘도 레이싱 소속 히라테가 떠나고 세 번째 드라이버였던 히라키 레이지로 교체하고 풀타임 드라이버로 올라섰다. 2025년 2월 5일, 굿스마일 레이싱 이 후지 스피드웨이에서 테스트를 하였는데 슈퍼 다이큐 에 출전 중인 마츠나가 건설 팀의 차량 파츠 일부를 이식하여 테스트 하는 것으로 보여졌다.# 포노스 레이싱은 지난 시즌은 게이너에서 운영한 후 독립적인 운영으로 자리 잡았으며, 라인업은 작년과 동일한 케이 코졸리노 와 릴루 와두 로 결정되었다. 또한 타이어 공급사를 미쉐린에서 던롭으로 변경하였다. 작년 시즌 마지막 라운드에 임시로 출전했던 이토 레이메이 가 올해 팀의 써드 드라이버로 합류하게 되었다. BMW M 팀 스터디 는 2020년에 두 번째로 복귀한 이후 5년 동안 경쟁한 후, GT 월드 챌린지 아시아 집중하기 위해 시리즈를 떠났다. 아라 세이지 는 5년 동안 함께한 팀을 떠났고, 니클라스 크루텐 도 첫 시즌을 보낸 후 팀을 떠났다. 브루노 슈펭글러 는 부가티의 공식 드라이버로 합류하면서 팀을 떠났다.JLOC 은 2025 시즌에 GT300 챔피언의 번호 "0"을 사용하지 않기로 결정했다.6. 테스트 1:페트로나스 세팡 인터내셔널 서킷 (1/19~20)6.1. 테스트 엔트리 리스트6.2. 테스트 세션 16.3. 테스트 세션 27. 1라운드: 오카야마 레이스 엔트리 GT500 ??대 GT300 ??대 총 엔트리 ??대 일정 4월 13일 연습 세션 (??:?? ~ ??:?? ) 퀄리파잉 1 (??:?? ~ ??:?? ) 퀄리파잉 2 (??:?? ~ ??:?? ) 4월 14일 레이스 (??:?? ~ ??:?? )
7.1. 오카야마 레이스 정보 업데이트 GT300 클래스 BoP(JAF-GT) 차량 최소 중량 에어 리스트럭터 BOP 중량 속도 제한 목적의 추가 중량 최종 중량
GT300 클래스 BoP(GT300 마더 섀시) 차량 최소 중량 에어 리스트럭터 BOP 중량 속도 제한 목적의 추가 중량 최종 중량
GT300 클래스 BoP(FIA GT3) 차량 최소 중량 에어 리스트럭터 BOP 중량 속도 제한 목적의 추가 중량 최종 중량
====# GT300 퀄리파잉 그룹 #====
===# 퀄리파잉 #===
GT500 퀄리파잉 순위 팀/드라이버 기록 Q1
GT500 퀄리파잉 순위 팀/드라이버 기록 Q2
GT300 퀄리파잉 순위 팀/드라이버 기록 Q1(그룹 A)
GT300 퀄리파잉 순위 팀/드라이버 기록 Q1(그룹 B)
GT300 퀄리파잉 순위 팀/드라이버 기록 Q2(그룹 1)
GT300 퀄리파잉 순위 팀/드라이버 기록 Q2(그룹 2)
===# 시작 그리드 #===
오카야마 GT 300km 시작 그리드 종합 순위 클래스 순위 차량/시작 드라이버
===# 레이스 #===
===# 결과 #===
오카야마 레이스 결과 종합 순위 클래스 순위 차량 & 팀 & 번호/드라이버 랩수 격차
===# 레이스 이후 챔피언십 변화 #===
순위변화칸의 연두색 바탕 은 해당 레이스 이후 챔피언십 순위가 높아졌음을, 빨간색 바탕 은 낮아졌음을 나타낸다. 순위 변동이 없는 경우에는 하얀색 바탕을 사용한다. 1라운드 이후 GT500 드라이버 챔피언십 변화 순위 변화 드라이버 획득 포인트 레이스 후 포인트
1라운드 이후 GT300 드라이버 챔피언십 변화 순위 변화 드라이버 획득 포인트 레이스 후 포인트
1라운드 이후 GT500 팀 챔피언십 변화 순위 변화 팀 획득 포인트 레이스 후 포인트
1라운드 이후 GT300 팀 챔피언십 변화 순위 변화 팀 획득 포인트 레이스 후 포인트
8. 2라운드: 후지 레이스 후지 레이스 엔트리 GT500 ??대 GT300 ??대 총 엔트리 ??대 일정 5월 2일 연습 세션 (??:?? ~ ??:??) 퀄리파잉 (??:?? ~ ??:??) 5월 3일 레이스 (??:?? ~ ??:??)
8.1. 후지 GT 3시 레이스 정보 업데이트8.1.1. BoP 및 석세스 밸러스트 변경 GT300 클래스 BoP(JAF-GT) 차량 최소 중량 에어 리스트럭터 BOP 중량 속도 제한 목적의 추가 중량 최종 중량
GT300 클래스 BoP(GT300 마더 섀시) 차량 최소 중량 에어 리스트럭터 BOP 중량 속도 제한 목적의 추가 중량 최종 중량
GT300 클래스 BoP(FIA GT3) 차량 최소 중량 에어 리스트럭터 BOP 중량 속도 제한 목적의 추가 중량 최종 중량
====# GT300 퀄리파잉 그룹 #====
===# 퀄리파잉 #===
GT500 퀄리파잉 순위 팀/드라이버 기록 Q1 | GT500 퀄리파잉 순위 팀/드라이버 기록 Q2
GT300 퀄리파잉 순위 팀/드라이버 기록 Q1(그룹 A)
GT300 퀄리파잉 순위 팀/드라이버 기록 Q1(그룹 B)
GT300 퀄리파잉 순위 팀/드라이버 기록 Q2(그룹 1)
GT300 퀄리파잉 순위 팀/드라이버 기록 Q2(그룹 2)
===# 시작 그리드 #===
후지 GT 3시 시작 그리드 종합 순위 클래스 순위 차량/시작 드라이버
===# 결과 #===
후지 GT 3시 레이스 결과 종합 순위 클래스 순위 차량 & 팀 & 번호/드라이버 랩수 격차
===# 레이스 이후 챔피언십 변화 #===
순위변화칸의 연두색 바탕 은 해당 레이스 이후 챔피언십 순위가 높아졌음을, 빨간색 바탕 은 낮아졌음을 나타낸다. 순위 변동이 없는 경우에는 하얀색 바탕을 사용한다. 2라운드 이후 GT500 드라이버 챔피언십 변화 순위 변화 드라이버 획득 포인트 레이스 후 포인트
2라운드 이후 GT300 드라이버 챔피언십 변화 순위 변화 드라이버 획득 포인트 레이스 후 포인트
2라운드 이후 GT500 팀 챔피언십 변화 순위 변화 팀 획득 포인트 레이스 후 포인트
2라운드 이후 GT300 팀 챔피언십 변화 순위 변화 팀 획득 포인트 레이스 후 포인트
9. 3라운드: 세팡 레이스 세팡 레이스 엔트리 GT500 ??대 GT300 ??대 총 엔트리 ??대 일정 6월 27일 연습 세션 (??:?? ~ ??:??) 퀄리파잉 (??:?? ~ ??:??) 6월 28일 레이스 (??:?? ~ ??:??)
9.1. 스즈카 GT 3시 레이스 정보 업데이트9.1.1. BoP 및 석세스 밸러스트 변경 GT300 클래스 BoP(JAF-GT) 차량 최소 중량 에어 리스트럭터 BOP 중량 속도 제한 목적의 추가 중량 최종 중량
GT300 클래스 BoP(GT300 마더 섀시) 차량 최소 중량 에어 리스트럭터 BOP 중량 속도 제한 목적의 추가 중량 최종 중량
GT300 클래스 BoP(FIA GT3) 차량 최소 중량 에어 리스트럭터 BOP 중량 속도 제한 목적의 추가 중량 최종 중량
====# GT300 퀄리파잉 그룹 #====
===# 퀄리파잉 #===
GT500 퀄리파잉 순위 팀/드라이버 기록 Q1
GT500 퀄리파잉 순위 팀/드라이버 기록 Q2
GT300 퀄리파잉 순위 팀/드라이버 기록 Q1(그룹 A)
GT300 퀄리파잉 순위 팀/드라이버 기록 Q1(그룹 B)
GT300 퀄리파잉 순위 팀/드라이버 기록 Q2(그룹 1)
GT300 퀄리파잉 순위 팀/드라이버 기록 Q2(그룹 2)
===# 시작 그리드 #===
세팡 레이 시작 그리드 종합 순위 클래스 순위 차량/시작 드라이버
===# 결과 #===
세 레이스 결과 종합 순위 클래스 순위 차량 & 팀 & 번호/드라이버 랩수 격차
===# 레이스 이후 챔피언십 변화 #===
순위변화칸의 연두색 바탕 은 해당 레이스 이후 챔피언십 순위가 높아졌음을, 빨간색 바탕 은 낮아졌음을 나타낸다. 순위 변동이 없는 경우에는 하얀색 바탕을 사용한다. 3라운드 이후 GT500 드라이버 챔피언십 변화 순위 변화 드라이버 획득 포인트 레이스 후 포인트
3라운드 이후 GT300 드라이버 챔피언십 변화 순위 변화 드라이버 획득 포인트 레이스 후 포인트
3라운드 이후 GT500 팀 챔피언십 변화 순위 변화 팀 획득 포인트 레이스 후 포인트
10. 4라운드: 후지 레이스 후지 레이스 엔트리 GT500 ??대 GT300 ??대 총 엔트리 ??대 일정 8월 2일 연습 세션 (??:?? ~ ??:??) 퀄리파잉 (??:?? ~ ??:??) 8월 3일 레이스 (??:?? ~ ??:??)
10.1. 후지 레이스 정보 업데이트10.1.1. BoP 및 석세스 밸러스트 변경 GT300 클래스 BoP(JAF-GT) 차량 최소 중량 에어 리스트럭터 BOP 중량 속도 제한 목적의 추가 중량 최종 중량
GT300 클래스 BoP(GT300 마더 섀시) 차량 최소 중량 에어 리스트럭터 BOP 중량 속도 제한 목적의 추가 중량 최종 중량
GT300 클래스 BoP(FIA GT3) 차량 최소 중량 에어 리스트럭터 BOP 중량 속도 제한 목적의 추가 중량 최종 중량
====# GT300 퀄리파잉 그룹 #====
===# 퀄리파잉 #===
GT500 퀄리파잉 순위 팀/드라이버 기록 Q1
GT500 퀄리파잉 순위 팀/드라이버 기록 Q2
GT300 퀄리파잉 순위 팀/드라이버 기록 Q1(그룹 A)
GT300 퀄리파잉 순위 팀/드라이버 기록 Q1(그룹 B)
GT300 퀄리파잉 순위 팀/드라이버 기록 Q2(그룹 1)
GT300 퀄리파잉 순위 팀/드라이버 기록 Q2(그룹 2)
===# 시작 그리드 #===
후지 레이스 시작 그리드 종합 순위 클래스 순위 차량/시작 드라이버
===# 결과 #===
후지 레이스 결과 종합 순위 클래스 순위 차량 & 팀 & 번호/드라이버 랩수 격차
===# 레이스 이후 챔피언십 변화 #===
순위변화칸의 연두색 바탕 은 해당 레이스 이후 챔피언십 순위가 높아졌음을, 빨간색 바탕 은 낮아졌음을 나타낸다. 순위 변동이 없는 경우에는 하얀색 바탕을 사용한다. 4라운드 이후 GT500 드라이버 챔피언십 변화 순위 변화 드라이버 획득 포인트 레이스 후 포인트
4라운드 이후 GT300 드라이버 챔피언십 변화 순위 변화 드라이버 획득 포인트 레이스 후 포인트
4라운드 이후 GT500 팀 챔피언십 변화 순위 변화 팀 획득 포인트 레이스 후 포인트
4라운드 이후 GT300 팀 챔피언십 변화 순위 변화 팀 획득 포인트 레이스 후 포인트
11. 5라운드: 스즈카 레이스 스즈카 레이스 엔트리 GT500 ??대 GT300 ??대 총 엔트리 ??대 일정 8월 23일 연습 세션 (??:?? ~ ??:??) 퀄리파잉 (??:?? ~ ??:??) 8월 24일 레이스 (??:?? ~ ??:??)
11.1. 스즈카 레이스 정보 업데이트11.1.1. BoP 및 석세스 밸러스트 변경 GT300 클래스 BoP(JAF-GT) 차량 최소 중량 에어 리스트럭터 BOP 중량 속도 제한 목적의 추가 중량 최종 중량
GT300 클래스 BoP(GT300 마더 섀시) 차량 최소 중량 에어 리스트럭터 BOP 중량 속도 제한 목적의 추가 중량 최종 중량
GT300 클래스 BoP(FIA GT3) 차량 최소 중량 에어 리스트럭터 BOP 중량 속도 제한 목적의 추가 중량 최종 중량
====# GT300 퀄리파잉 그룹 #====
===# 퀄리파잉 #===
GT500 퀄리파잉 순위 팀/드라이버 기록 Q1
GT500 퀄리파잉 순위 팀/드라이버 기록 Q2
GT300 퀄리파잉 순위 팀/드라이버 기록 Q1(그룹 A)
GT300 퀄리파잉 순위 팀/드라이버 기록 Q1(그룹 B)
GT300 퀄리파잉 순위 팀/드라이버 기록 Q2(그룹 1)
GT300 퀄리파잉 순위 팀/드라이버 기록 Q2(그룹 2)
===# 시작 그리드 #===
스즈카 레이스 시작 그리드 종합 순위 클래스 순위 차량/시작 드라이버
===# 결과 #===
스즈카 레이스 결과 종합 순위 클래스 순위 차량 & 팀 & 번호/드라이버 랩수 격차
===# 레이스 이후 챔피언십 변화 #===
순위변화칸의 연두색 바탕 은 해당 레이스 이후 챔피언십 순위가 높아졌음을, 빨간색 바탕 은 낮아졌음을 나타낸다. 순위 변동이 없는 경우에는 하얀색 바탕을 사용한다. 5라운드 이후 GT500 드라이버 챔피언십 변화 순위 변화 드라이버 획득 포인트 레이스 후 포인트
5라운드 이후 GT300 드라이버 챔피언십 변화 순위 변화 드라이버 획득 포인트 레이스 후 포인트
5라운드 이후 GT500 팀 챔피언십 변화 순위 변화 팀 획득 포인트 레이스 후 포인트
5라운드 이후 GT300 팀 챔피언십 변화 순위 변화 팀 획득 포인트 레이스 후 포인트
12. 6라운드: 스고 레이스 스고 레이스 엔트리 GT500 ??대 GT300 ??대 총 엔트리 ??대 일정 9월 20일 연습 세션 (??:?? ~ ??:??) 퀄리파잉 (??:?? ~ ??:??) 9월 21일 레이스 (??:?? ~ ??:??)
12.1. 스고 GT 300km 레이스 정보 업데이트12.1.1. BoP 및 석세스 밸러스트 변경 GT300 클래스 BoP(JAF-GT) 차량 최소 중량 에어 리스트럭터 BOP 중량 속도 제한 목적의 추가 중량 최종 중량
GT300 클래스 BoP(GT300 마더 섀시) 차량 최소 중량 에어 리스트럭터 BOP 중량 속도 제한 목적의 추가 중량 최종 중량
GT300 클래스 BoP(FIA GT3) 차량 최소 중량 에어 리스트럭터 BOP 중량 속도 제한 목적의 추가 중량 최종 중량
====# GT300 퀄리파잉 그룹 #====
===# 퀄리파잉 #===
GT500 퀄리파잉 순위 팀/드라이버 기록 Q1
GT500 퀄리파잉 순위 팀/드라이버 기록 Q2
GT300 퀄리파잉 순위 팀/드라이버 기록 Q1(그룹 A)
GT300 퀄리파잉 순위 팀/드라이버 기록 Q1(그룹 B)
GT300 퀄리파잉 순위 팀/드라이버 기록 Q2(그룹 1)
GT300 퀄리파잉 순위 팀/드라이버 기록 Q2(그룹 2)
===# 시작 그리드 #===
스고 레이스 시작 그리드 종합 순위 클래스 순위 차량/시작 드라이버
===# 결과 #===
스고 레이스 결과 종합 순위 클래스 순위 차량 & 팀 & 번호/드라이버 랩수 격차
===# 레이스 이후 챔피언십 변화 #===
순위변화칸의 연두색 바탕 은 해당 레이스 이후 챔피언십 순위가 높아졌음을, 빨간색 바탕 은 낮아졌음을 나타낸다. 순위 변동이 없는 경우에는 하얀색 바탕을 사용한다. 6라운드 이후 GT500 드라이버 챔피언십 변화 순위 변화 드라이버 획득 포인트 레이스 후 포인트
6라운드 이후 GT300 드라이버 챔피언십 변화 순위 변화 드라이버 획득 포인트 레이스 후 포인트
6라운드 이후 GT500 팀 챔피언십 변화 순위 변화 팀 획득 포인트 레이스 후 포인트
6라운드 이후 GT300 팀 챔피언십 변화 순위 변화 팀 획득 포인트 레이스 후 포인트
13. 7라운드: 오토폴리스 레이스 오토폴리스 레이스 엔트리 GT500 ??대 GT300 ??대 총 엔트리 ??대 일정 10월 18일 연습 세션 (??:?? ~ ??:??) 퀄리파잉 (??:?? ~ ??:??) 10월 19일 레이스 (??:?? ~ ??:??)
13.1. BoP 및 석세스 밸러스트 변경 GT300 클래스 BoP(JAF-GT) 차량 최소 중량 에어 리스트럭터 BOP 중량 속도 제한 목적의 추가 중량 최종 중량
GT300 클래스 BoP(GT300 마더 섀시) 차량 최소 중량 에어 리스트럭터 BOP 중량 속도 제한 목적의 추가 중량 최종 중량
GT300 클래스 BoP(FIA GT3) 차량 최소 중량 에어 리스트럭터 BOP 중량 속도 제한 목적의 추가 중량 최종 중량
====# GT300 퀄리파잉 그룹 #====
===# 퀄리파잉 #===
GT500 퀄리파잉 순위 팀/드라이버 기록 Q1
GT500 퀄리파잉 순위 팀/드라이버 기록 Q2
GT300 퀄리파잉 순위 팀/드라이버 기록 Q1(그룹 A)
GT300 퀄리파잉 순위 팀/드라이버 기록 Q1(그룹 B)
GT300 퀄리파잉 순위 팀/드라이버 기록 Q2(그룹 1)
GT300 퀄리파잉 순위 팀/드라이버 기록 Q2(그룹 2)
===# 시작 그리드 #===
오토폴리스 레이스 시작 그리드 종합 순위 클래스 순위 차량/시작 드라이버
===# 결과 #===
오토폴리스 레이스 결과 종합 순위 클래스 순위 차량 & 팀 & 번호/드라이버 랩수 격차
===# 레이스 이후 챔피언십 변화 #===
순위변화칸의 연두색 바탕 은 해당 레이스 이후 챔피언십 순위가 높아졌음을, 빨간색 바탕 은 낮아졌음을 나타낸다. 순위 변동이 없는 경우에는 하얀색 바탕을 사용한다. 7라운드 이후 GT500 드라이버 챔피언십 변화 순위 변화 드라이버 획득 포인트 레이스 후 포인트
7라운드 이후 GT300 드라이버 챔피언십 변화 순위 변화 드라이버 획득 포인트 레이스 후 포인트
7라운드 이후 GT500 팀 챔피언십 변화 순위 변화 팀 획득 포인트 레이스 후 포인트
7라운드 이후 GT300 팀 챔피언십 변화 순위 변화 팀 획득 포인트 레이스 후 포인트
1. 8라운드: 모테기 레이스 모테기 레이스 엔트리 GT500 ??대 GT300 ??대 총 엔트리 ??대 일정 9월 20일 연습 세션 (??:?? ~ ??:??) 퀄리파잉 (??:?? ~ ??:??) 9월 21일 레이스 (??:?? ~ ??:??)
1.1. 스고 GT 300km 레이스 정보 업데이트1.1.1. BoP 및 석세스 밸러스트 변경 GT300 클래스 BoP(JAF-GT) 차량 최소 중량 에어 리스트럭터 BOP 중량 속도 제한 목적의 추가 중량 최종 중량
GT300 클래스 BoP(GT300 마더 섀시) 차량 최소 중량 에어 리스트럭터 BOP 중량 속도 제한 목적의 추가 중량 최종 중량
GT300 클래스 BoP(FIA GT3) 차량 최소 중량 에어 리스트럭터 BOP 중량 속도 제한 목적의 추가 중량 최종 중량
====# GT300 퀄리파잉 그룹 #====
===# 퀄리파잉 #===
GT500 퀄리파잉 순위 팀/드라이버 기록 Q1
GT500 퀄리파잉 순위 팀/드라이버 기록 Q2
GT300 퀄리파잉 순위 팀/드라이버 기록 Q1(그룹 A)
GT300 퀄리파잉 순위 팀/드라이버 기록 Q1(그룹 B)
GT300 퀄리파잉 순위 팀/드라이버 기록 Q2(그룹 1)
GT300 퀄리파잉 순위 팀/드라이버 기록 Q2(그룹 2)
===# 시작 그리드 #===
모테기 레이스 시작 그리드 종합 순위 클래스 순위 차량/시작 드라이버
===# 결과 #===
모테기 레이스 결과 종합 순위 클래스 순위 차량 & 팀 & 번호/드라이버 랩수 격차
===# 레이스 이후 챔피언십 변화 #===
순위변화칸의 연두색 바탕 은 해당 레이스 이후 챔피언십 순위가 높아졌음을, 빨간색 바탕 은 낮아졌음을 나타낸다. 순위 변동이 없는 경우에는 하얀색 바탕을 사용한다. 8라운드 이후 GT500 드라이버 챔피언십 변화 순위 변화 드라이버 획득 포인트 레이스 후 포인트
8라운드 이후 GT300 드라이버 챔피언십 변화 순위 변화 드라이버 획득 포인트 레이스 후 포인트
8 이후 GT500 팀 챔피언십 변화 순위 변화 팀 획득 포인트 레이스 후 포인트
8라운드 이후 GT300 팀 챔피언십 변화 순위 변화 팀 획득 포인트 레이스 후 포인트
레이스 포인트 1위 2위 3위 4위 5위 6위 7위 8위 9위 10위 20점 15점 11점 8점 6점 5점 4점 3점 2점 1점
퀄리파잉 포인트 1위 2위 3위 3점 2점 1점 퀄리파잉에서 얻는 추가 포인트의 경우, 해당 팀이 해당 레이스에서 완주한 순위 위에 얻은 만큼의 추가 포인트로 표시할 것. 폴포지션의 경우 퀄리파잉 포인트에 볼드체.
GT500 드라이버 챔피언십 결과 순위 드라이버 R1 R2 R3 R4 R5 R6 R7 R8 점수 1위 ??? ??? ?위 ?위 ?위 ?위 ?위 ?위 ?위 ?위 000점
GT300 드라이버 챔피언십 결과 순위 드라이버 R1 R2 R3 R4 R5 R6 R7 R8 점수 1위 ??? ??? ?위 ?위 ?위 ?위 ?위 ?위 ?위 ?위 000점
레이스 포인트 1위 2위 3위 4위 5위 6위 7위 8위 9위 10위 20점 15점 11점 8점 6점 5점 4점 3점 2점 1점
레이스 마무리시 지급되는 추가 포인트 우승 차량과 같은 랩 우승 차량과 1랩 차 우승 차량과 2랩 차 이상 3점 2점 1점 마무리시 지급되는 추가 포인트의 경우, 해당 팀이 해당 레이스에서 완주한 순위 위에 얻은 만큼의 추가 포인트로 표시할 것.
GT500 팀 챔피언십 결과 순위 팀 R1 R2 R3 R4 R5 R6 R7 R8 점수
GT300 팀 챔피언십 결과 순위 팀 R1 R2 R3 R4 R5 R6 R7 R8 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