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22 11:42:29

LG 트윈스/2011년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LG 트윈스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c30452><tablebgcolor=#c30452> 파일:LG 트윈스 심볼.svgLG 트윈스
역대 시즌
(MBC 청룡 시절 포함)
}}} ||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6px -2px -12px"
1982 1983 1984 1985 1986
3위 2위 4위 5위 4위
1987 1988 1989 1990 1991
5위 6위 6위 '''1위
'''
6위
1992 1993 1994 1995 1996
7위 4위 '''1위
'''
3위 7위
1997 1998 1999 2000 2001
2위 2위 매직 3위 매직 1위 6위
2002 2003 2004 2005 2006
2위 6위 6위 6위 8위
2007 2008 2009 2010 2011
5위 8위 7위 6위 6위
2012 2013 2014 2015 2016
7위 3위 4위 9위 4위
2017 2018 2019 2020 2021
6위 8위 4위 4위 4위
2022 2023 2024 2025 2026
3위 '''1위
'''
3위
: 우승 | : 준우승 | : 포스트시즌 진출
}}}}}}}}} ||

LG 트윈스 시즌별 성적
2010 시즌 2011 시즌 2012 시즌
LG 트윈스 2011년 페넌트레이스 월별 일정
4월 5월 6월 7월 8월 9~10월
LG 트윈스 2011 시즌 성적
순위 승률 1위와의 승차
6 / 8 59 2 72 0.450 21.0

1. 개요2. 스토브리그
2.1. 코칭스태프 이동2.2. 선수 이동2.3. 신인 선수2.4. 기타
3. 4월4. 5월5. 6월6. 7월7. 8월8. 9~10월
8.1. 상대 전적8.2. 수상 및 기록
9. 총평10. 이후11. 둘러보기 틀

1. 개요

LG 트윈스의 2011 시즌을 정리한 문서.

2. 스토브리그

2.1. 코칭스태프 이동

2.2. 선수 이동

2.3. 신인 선수

2.4. 기타

3. 4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LG 트윈스/2011년/4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5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LG 트윈스/2011년/5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6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LG 트윈스/2011년/6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7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LG 트윈스/2011년/7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8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LG 트윈스/2011년/8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9~10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LG 트윈스/2011년/9~10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1. 상대 전적

LG 트윈스 2011년 팀별 상대 전적
상대 팀 승 - 무 - 패 승률 승패마진 우열
SK 와이번스 8 - 0 - 11 0.421 -3 열세
삼성 라이온즈 7 - 1 - 11 0.389 -4 열세
두산 베어스 7 - 0 - 12 0.368 -5 열세
롯데 자이언츠 11 - 0 - 8 0.579 +3 우세
KIA 타이거즈 7 - 0 - 12 0.368 -5 열세
넥센 히어로즈 7 - 0 - 12 0.368 -5 열세
한화 이글스 12 - 1 - 6 0.667 +6 절대우세
종합 59 - 2 - 72 0.450 -13 순위: 6 / 8
  • 분류 기준
    • 남색은 압도(승률 ≥ .800)를 뜻한다.
    • 청색은 절대우세(.650 ≤ 승률 <.800)를 뜻한다.
    • 하늘색은 우세(.550 ≤ 승률 <.650)를 뜻한다.
    • 녹색은 백중세(.450 ≤ 승률 <.550)를 뜻한다.
    • 주황색은 열세(.350≤승률 <.450)를 뜻한다.
    • 적색은 절대열세(.200≤승률 <.350)를 뜻한다.
    • 갈색은 압살(승률 <.200)를 뜻한다.

역대급 DTD를 찍은 시즌임에도 불구하고 2009년 KIA전(2승 1무 16패), 2018년 두산전(1승 15패)처럼 큰 영향을 미친 상대전적은 없었지만 롯데와 한화를 제외하고 모두 열세였던 점이 DTD로 귀결되었다.

롯데에게는 양승호의 시행착오 때 번 승패마진을 지킨 덕에 우세를 거뒀고[1] 한화에게는 LG의 최대 천적인 류현진이 아시안 게임 여파로 부진한 덕에 절대우세를 거뒀다.

그러나 KIA와 넥센에게 유독 결정적인 패배를 많이 당하면서 두 팀에게 모두 7승 12패씩을 기록했다.[2] 김경문이 사퇴하며 분위기가 가라앉은 두산에게도 막판 연패를 조공하면서 역시나 열세를 당하고 이것이 원인이 되어 2003년 이후 8년만에 두산보다 순위를 앞설 기회를 날렸다.[3] 페넌트레이스 우승팀 삼성에게도 역시 열세였다. SK에게도 8승 11패로 열세였지만 김성근이 경질되고 이만수가 감독대행으로 임명된 후 승을 많이 챙기면서 승패마진을 줄이는 데는 성공했다.

8.2. 수상 및 기록

9. 총평

파일:Jn28jYr.png
2011년 LG의 승률 추이

파일:attachment/30wins_1.jpg
30년간 이어져 오던 기록마저 박살내버렸다. 2010년 기준으로 KBO 역사상 시즌 중 30승 선점을 이룬 팀이 포스트시즌에 나가지 못한 적은 없었다. 더구나 30승 선점팀의 우승 확률인 53%조차도 무시해버렸고, 이 기록은 2020년에 들어서도 30승 선착한 팀이 포스트시즌에 가지 못한 유일한 사례로 남고 있다.

2018년과 함께 LG 트윈스의 DTD를 상징하는 시즌으로, 팀 역사상 최악의 시즌 중 하나로 꼽힌다. 그런데 더 놀라운 것은 이 DTD보다 더한 DTD가 있었다는 것. 그 팀은 가장 승패마진이 높았을 때와 가장 승패마진이 낮았을 때의 차이가 무려 31이다. KIA 타이거즈/2013년 참조. 이후 최대 낙폭의 DTD 경험팀 타이틀은 2017년의 KT WIZ가 가져가게 됐는데 144경기에 최대 승패마진 차이가 50이다. 126경기의 31이었던 KIA 타이거즈를 뛰어넘은 것.

시즌 초반, 꾸준히 상위권을 유지하면서 DTD를 벗어나는가 했지만, 오히려 후반기 빠르게 순위가 떨어지면서 DTD의 이미지는 더욱 강해졌다. 시즌 초중반 순위싸움을 할 때, 보크 오심이나 넥센과의 트레이드 등으로 더러운 이미지만 생기고, 적까지 더 만들었다. 게다가 언제나 그랬듯이 트레이드로 나간 선수들은 다 포텐이 터지면서 탈쥐효과라는 새로운 캐릭터성이 생겼다. 화보촬영, 당구, 난무하는 썰들, 청문회 사태 등으로 선수와 구단이 팬을 어떻게 생각하는지 실체를 알게 되었다.

하지만, 이 시즌에서 LG한테 가해진 가장 큰 치명타는 바로 박병호 트레이드였다. 이 트레이드 때문에 대부분의 LG 팬들은 똑같이 끔찍한 DTD를 기록한 2018년보다도 이 시즌이 더 최악이라는 평이 많다. 애초에 트레이드 자체가 LG 구단의 유구한 노장 투수 얻고 젊은 유망주 내주기라는 호구딜 테크를 그대로 탔고 이는 박병호가 리그를 대표하는 홈런타자로 거듭나며 현실이 되었다. 송신영은 반 시즌동아 LG 불펜에 큰 보탬이 되어주었지만 팀의 4강 탈락과 DTD라는 흐름을 막지 못했으며, 같이 넘어온 김성현은 승부조작을 하며 1년만에 영구퇴출되었다. 뿐만 아니라 후일 밝혀지기를 이 트레이드에는 무려 15억원이라는 뒷돈까지 있었다.[4]

10. 이후

다만 이후 정신을 바짝 차리고 전면적인 리빌딩에 착수하면서 비록 2012 시즌에 7위를 기록하긴 했지만 2013 시즌이 되자 되살아나는 데 성공하여 2013년 8월 현재 2~3위를 기록하고 있다. 그리고 9월 22일, 이번에는 4강 매직넘버가 소멸하고 6668587667 역시 끝이 났다. 그리고 2013년 성적이 플루크가 아님을 증명하듯 초반에 -12를 만들고 도망간 김기태란 페널티를 안고, 6월초까지 꼴찌를 했으나 꾸준히 올라가면서 2014년 10월, 결국 준플레이오프에 진출하고 NC를 제압해서 플레이오프까지 올라는데 성공한다. 여러모로 2011 시즌과 반대가 된 모습.이택근의 보상선수인 윤지웅, 조인성의 보상선수인 임정우는 2014년 LG에서 빠져서 안될 중요한 선수로 잡으면서 2011년 역사적인 내려갈 팀은 내려간다는 어느정도 상처가 아물었다.

대신 그 자리에는 어떤 팀한순간의 눈부심뒤로 하고 돌아온 상황. 이쪽은 상황이 더 심각한게 LG하고 달리 하위권에서 긁어모은 유망주 숫자도 부족하다. 여기에 아시안게임때 나지완이 벌인 행동 및 여러가지로 팀 분위기가 개판인것도 인증되었다. 암흑기시절의 LG가 모래알 팀워크로 유명했다는것을 생각해보자.

거기에 2014년 롯데 자이언츠도 다시 내팀내를 재연할 수 있는 상황이 되었다.

2015년 LG 트윈스도 다시 내려왔다1년만에 올라가는 듯 보였으나 페이크였다는 걸 증명했다. 그리고 2018년에는 기어이 바닥에는 더 바닥이 있다는 사실을 증명하고야 말았다. 그리고 2020년에는 눈 앞에 놓인 떡을 걷어차버리기까지...

2021년 SSG가 승패마진은 차이가 크지만 1위에서 최종적으로 6위로 추락하여 2011년 LG와 똑같은 순위변화를 보여줬다. 재밌는건 2011년 SK는 정규시즌만 보면 1위에서 3위로 떨어졌는데 2021년 LG도 1위에서 3위로 떨어진 정규시즌 순위를 기록하였다. DTD급은 아니었고 그냥 잠시 1위하다 끝까지 경쟁하면서 내려온것. 하지만 11년도 SK는 준플, 플옵에서 승리하여 최종순위는 2위인 반면 21년도 LG는 준플에서 두산에게 광탈하였고 그 두산이 삼성까지 꺾으면서 코시에 진출함으로서 두산이 사상 최초 7년 연속 한국시리즈 진출이라는 위업 달성의 여파로 최종 순위는 4위가 되었다. 한때 1위→전반기 2위→정규시즌 3위→최종 4위 DTD

2022년은 개막 5연승을 하면서 SSG와 공동 1위를 달리다가 이후 KT에게 스윕당하고 롯데에게도 스윕패를 당하면서 5월 1일 5위로 추락하면서 또 DTD가 오나 싶었는데 이후 뚝심의 야구로 치고 올라오면서 9월 중순에 1위 랜더스에 3~4겜차 뒤진 2위를 기록하고 있다. 3~4위 키움, KT와는 6~7겜차가 나는터라 안정적인 2위를 기록하는중.[5]팬들과 선수단들이 모두 말하길 "1위 설레발은 필패이므로 랜더스를 잡고 1위를 한다는 생각보단 키움과 kt로부터 2위를 수성하자는 생각"으로 경기를 계속해서 이어가고 있다. 괜히 설레발치다 DTD 본거 한두번이 아니라서.. 그리고 9년만에 정규시즌 2위를 확정지었지만 플레이오프에서 3위팀 키움에게 1승 3패로 패하며[6] 최종 순위가 3위로 떨어졌다. 이로써 20년동안 한국시리즈에 진출하지 못한 팀이 되었다.

그리고 2023년에는 26년만에 전반기 1위를 차지하게 되었지만 팀의 불안요소가 여러가지로 존재한데다 과거의 사례 때문에 팬들은 더이상 설레발을 치지 않는 분위기다. 10월 2일 현재 정규리그 우승까지 매직넘버 1만을 남겨두고 있는 상황이다. 그리고 10월 3일 NC가 SSG에 패하고 KT가 기아에게 패배함으로서 매직넘버가 소멸되고 29년만의 페넌트레이스 우승이 확정되었다. 과연 이번에는 코시에서 우승을 할 수 있을까? 그리고 11월 13일 KT를 시리즈 4대1로 꺾고 29년만의 통합우승을 확정지었다

11. 둘러보기 틀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bordercolor=#061731> 파일:KBO 리그 로고(1982~2012).svg 한국프로야구
구단별 2011 시즌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or: #181818"
파일:SK 와이번스 엠블럼(2006~2019).svg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 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svg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2009~2017).svg
SK 와이번스
2011년
삼성 라이온즈
2011년
두산 베어스
2011년
롯데 자이언츠
2011년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2010~2016).svg 파일:LG 트윈스 엠블럼(2006~2014).svg 파일:넥센 히어로즈 엠블럼(2010~2015).svg 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2007~2024).svg
KIA 타이거즈
2011년
LG 트윈스
2011년
넥센 히어로즈
2011년
한화 이글스
2011년
}}}}}}}}}}}} ||




[1] 그러나 후반기 롯데가 상승세를 타면서 격차가 줄어들었다. 특히 대체 선수로 온 크리스 부첵이 LG를 괴롭혔다.[2] 심지어 나머지 6개팀이 전부 우세한 넥센전에 7승 12패로 도리어 밀렸다.[3] 물론, 두 팀 모두 2013년 잠실 개막전 권한은 가져가지 못했다. 포스트시즌에 둘 다 진출하면 상위팀만 잠실 개막전을 가져가는 반면, 둘 다 포스트시즌 진출에 실패하면, 둘 다 홈 개막전을 하지 못한다.[4] 이 트레이드로 키움이 얻은 금액은 15억+박병호의 포스팅 금액만 해도 150억에 달하고, 이후 히어로즈 팬들의 유입으로 인한 무형의 효과도 매우 크다.[5] 반면 라이벌인 두산은 7년 연속 코시 진출팀 답지 않은 계속되는 부진 끝에 무려 9위로 처박힌 상태다.[6] 7게임차 업셋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