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9 01:18:20

1호선

Line Number 1에서 넘어옴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대한민국의 수도권에서 운행되는 전철에 대한 내용은 수도권 전철 1호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병합 토론 중
노선번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호선
[대한민국]
국도
고속도로
수도권
인천
부산
대구
대전
광주
울산[확정]
2호선
[대한민국]
국도
서울
인천((구) 인천[무산])
부산
대구
대전[확정]
광주[확정]
3호선
[대한민국]
국도
수도권
부산
대구
(구) 인천[무산]
4호선
[대한민국]
국도
수도권
부산
대구[확정]
5호선
(국도 · 수도권 · 부산[확정])
6호선
(국도 · 서울)
7호선
(국도 · 서울)
8호선
(수도권)
9호선
(서울)
10호선
(고속도로 · 서울[무산])
11호선
(국도 · 서울[무산])
12호선
(고속도로 · 국도 · 서울[무산])
13호선 14호선 15호선 16호선
17호선 18호선 19호선 20호선
21호선 22호선 23호선 24호선
[확정]: 건설 중이거나 건설이 확정된 노선
[무산]: 개통이 무산된 노선
}}}}}}}}}


1. 개요

일반적으로 도시철도도로에서 최초로 건설, 계획하여 개통된 노선에 1호선이라는 명칭을 붙인다. 물론 예외도 많다. 중국 쿤밍 도시철도에서 가장 먼저 개통된 노선은 6호선이다.[1]일본 도쿄에서도 가장 먼저 개통한 노선은 3호선인 긴자선이다.

도시철도의 경우 많은 지역에서 1호선이 구도심과 중심지를 연결하는 역할을 주로 한다. 따라서 그 지역의 대표 철도역과 연계되는 도시철도 역은 1호선인 경우가 많다.[2]

전 세계 공통으로 기인들을 끌어모으는 신비한 마법이 깃들어 있다.[3]

2. 도로

2.1. 고속도로

2.2. 국도

2.3. 지방도

3. 도시철도 / 광역전철

3.1. 대한민국

3.2. 중국

현재 개통되었거나 공사 중, 계획 중인 노선을 모두 포함해 총 47개의 1호선이 존재한다.

3.3. 일본

3.4. 태국

3.5. 대만

3.6. 미국

3.7. 프랑스

3.8. 스페인

3.9. 러시아

3.10. 우즈베키스탄

3.11. 우크라이나

3.12. 싱가포르

3.13. 말레이시아

3.14. 인도네시아

4. 웹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1호선(웹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이렇게 된 이유는 중국은 숫자 붙이는 기준이 개통한 날 기준이 아니라 계획된 순서이기 때문이다. 베이징 지하철도 1호선과 2호선 다음은 13호선이 3번째로 개통했고, 정작 3호선은 아직도 개통하지 않았다.[2] 2022년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인천을 제외한 도시철도가 존재하는 모든 도시의 1호선이 도시의 대표 철도역을 지나가고 있다. 서울의 경우 수도권 전철 1호선서울역, 용산역, 청량리역 등 메이저 3개역을 모두 지나고 부산 역시 부산역, 부전역을 모두 지나간다. 나머지 3개 도시 역시 대구는 동대구역, 대전은 대전역, 광주는 광주송정역을 각 도시의 1호선이 모두 지나가고 있다. 서울역의 경우 수도권 전철 4호선도 지나고 있다.[3] 역사가 가장 오래된 노선이기 때문에, 노후되어 슬럼화된 지역을 많이 경유하고 그에 따라 이용객 중 치료를 제대로 받지 못한 정신이상자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이다.[4] 다만 이쪽은 일반적으로 인천 1호선이라 불려진다. 그 이유는 같은 권역에서 운행하는 이 노선이 1호선으로 더 잘 불려지기 때문. 그냥 간단하게 서울 1호선과 인천 1호선으로 나누면 되는데 그래서 인천 1호선의 부평역에서 기관사가 직접 환승 안내 방송을 할 때는 수도권 전철 1호선경인선, 경인국철, 국철 1호선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개통확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