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8 09:41:20

서울 버스 N15

N15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10px 0"<tablebordercolor=#3d5bab>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심야버스 노선
}}}
[[틀:서울특별시의 공항버스|
공항
]] [[틀:서울특별시의 광역버스|
광역
]] [[틀: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간선
]] [[틀: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
지선
]] [[틀:서울특별시의 맞춤버스|
맞춤
]] [[틀:서울특별시의 순환버스|
순환
]] [[틀:서울특별시의 심야버스|
심야
]] [[틀: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
마을
]] [[틀:서울시티투어버스|
투어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N13 N15 N16 N26 N30
N31 N37 N51 N61 N62
N64 N72 N73 N75 심야A21
}}}}}}}}} ||
파일:서울N15뉴슈퍼저상.jpg
우신운수 차량
1. 개요2. 노선 정보3. 역사4. 특징
4.1. 시간표4.2. 노선4.3.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6. 둘러보기

1. 개요

동아운수우신운수에서 공동배차 및 운행하는 심야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74.4km다.전체 정류장 목록

2. 노선 정보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심야버스 N15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N15 노선도.svg
기점[1] [출발] 서울특별시 강북구 우이동(우이동성원아파트)
[도착] 서울특별시 강북구 우이동(우이동도선사입구.북한산우이역)
종점[2]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동(남태령역)
종점
첫차 23:40 기점
첫차 23:50
막차 03:40 막차 03:40
배차간격 15~30분 (1일 12회)
운수사명 동아운수 / 우신운수 인가대수 12대[3]
노선 (우이동성원아파트 →) 우이동도선사입구 - 방학동신동아아파트 - 방학사거리 - 도봉보건소 - 쌍문역 - 수유역·강북구청 - 미아역 - 미아사거리역 - 길음뉴타운 - 돈암사거리.성신여대입구 - 성북구청·성북경찰서 - 보문역 - 신설동역 - 동대문역 - 종로2~6가 - 을지로입구역.광교 - 남대문시장 - 서울역버스환승센터 - 갈월동 - 숙대입구역 - 삼각지역 - 신용산역 - 한강대교 - 노들역 - 노량진역 - 장승배기역 - 신대방삼거리 - 보라매병원입구 - 당곡역.롯데백화점관악점 - 신림역 - 봉천역.봉천초등학교 - 봉천사거리.서울대입구역 - 낙성대입구 - 사당역 - 남태령역

3. 역사

  • 2014년 11월 17일에 N10번N40번을 통합하여 신설됐다. 기존 노선과 달리 삼양로 대신 도봉로를 경유한다. 관련 공지사항
  • 2016년 11월 28일 8대로 증차된다. 동아운수는 151번에서 1대, 우신운수에서는 4212번 1대씩 증차분으로 투입된다.
  • 2017년 12월 8일부터 2018년 1월 1일까지 2대를 추가 투입하는데, 101번, 4212번에서 1대씩 다중노선 설정을 통해 투입했다. 단, 101번의 경우 한성운수 차량을 차출해 왔다.
  • 2018년 12월 1일부터 30일까지 기존 운행차량(8대)에 우신운수, 한성운수 차량이 각 1대씩 한시적으로 증차되어 10대로 운행했다.
  • 2019년 12월 17일부터 1달간 한성운수 101번 차량 1대가 증차되어 9대로 운행했다. 다만 우신운수는 증차없이 다닌다.
  • 2020년 1월 17일에 우이동 방향의 도선사입구 정류장(ID 09-297)이 전산에서 삭제됐다. 이로 인하여 우이동 방향은 연산군.정의공주묘로 노선이 단축됐다.
  • 2021년 12월 1일부터 2022년 1월 1일까지 인가댓수가 한시적으로 8대에서 9대로 증차됐다. 이 기간동안 최소 배차간격이 30분에서 25분으로 줄어들었다.관련 게시물
  • 2022년 7월 18일부터 우이동 방향 종점이 연산군.정의공주묘에서 우이동도선사입구.북한산우이역으로 연장됐다.[4] 동시에 운행 계통이 현실화되어 양사 운행시간이 240분으로 통일되며, 왕복 운행 거리도 76km에서 74.4km로 변경됐다.관련 공문
  • 2022년 12월 1일을 기해 4대가 증차되어, 00:00이던 첫차가 우이 23:40 / 사당 23:50으로 당겨지고 25~35분이던 배차간격이 15~30분으로 줄어든다. 차량은 동아운수 163번, 우신운수 4212번에서 각각 2대씩 투입된다. 관련 공지사항(공문 1) 관련 공문 2 관련 공문 3
  • 2023년 12월 15일부터 2024년 1월 1일까지 121번과, 4319번에서 각 1대씩 총 2대가 증차되었다.관련 공문 실제로는 동아운수 차량이 121번 차출분이 아닌, 기존 151번과 N15번의 공용예비차가 투입되었다.
  • 2024년 12월 17일 부터 2025년 1월 1일 까지 121번, 4319번 에서 각각 1대씩 총 2대가 증차운행한다. 단, 일요일과 월요일에는 기존처럼 운행하며 증차운행은 화요일에서 토요일에만 시행된다.

4. 특징

  • 이 노선을 통하여 사당역까지 이동한 다음, 7770번으로 환승할 수 있다. 단, 7770번의 막차시간 단축 이후로는 평일 우이동발 첫차와 두 번째 차량을 탑승했을 때까지만 연계가 가능하다.[9]
  • 종점인 남태령역은 4권역에 있으나 이 노선은 N14가 아닌 N15번이다. 남태령역이 기점인 버스들이 4권역 번호를 받은 것과 다르다. 이 노선이 한강 이남에서 거의 5권역만 다니고, N14를 부여하면 강남 가는 노선으로 오인할 소지가 있어서인 것 같다.
  • 양사 차고지 앞에서는 승하차 불가능하다. 우이동 방향으로 올 때는 동아운수 차고지로 좌회전 진입하여 회차/입고하는 특성 상 우이동성원아파트 하차도 불가능하며, 도선사입구 하차 후 도보로 이동해야 한다. 우신운수 차고지 역시 주간노선이 차고지 승하차 가능한 것과 달리, 시간대 특성상 안전사고 우려로 우신운수 측에서 이 노선의 차고지 승하차를 막는다.

4.1. 시간표

N15번 운행시간표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횟수 우이동 출발 남태령역 출발
1 23:40 23:50
2 23:55 00:10
3 00:10 00:30
4 00:30 00:50
5 01:00 01:10
6 01:30
7 02:00 01:50
8 02:20 02:05
9 02:40 02:20
10 03:00 02:40
11 03:20 03:10
12 03:40
}}}}}}}}} ||

4.2. 노선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심야버스 N15번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남태령역
22026 · 21163
- 사당자동차학원
21027
사당역
22028
사당역4번출구
21161
사당1동상점가
20141
남서울농협남현동지점
21126
엔지니어링회관
20142
예술인마을.사당초등학교
21125
서울미술고.인헌중고
21101
인헌중고.서울미술고
21124
낙성대입구
21102
낙성대입구
21123
행운동주민센터
21103
낙성대동
21122
서울대입구역5번출구
21104
봉천사거리
21121
KT관악지점
21105
KT관악지점
21120
봉천역.관악초등학교
21106
봉천역.관악초등학교
21119
KT&G관악지점
21107
KT&G관악지점
21118
관악우체국.에이치플러스양지병원
21261
관악우체국.에이치플러스양지병원
21262
신림동별빛거리입구
21149
신림동별빛거리입구
21152
당곡역.보라매공원.보라매병원
21150
당곡역2번출구.롯데백화점관악점
21151
보라매삼성아파트.모자원고개
21263
보라매병원입구
20188
신대방삼거리
20187
신대방삼거리
20186
성대시장
20148
성대시장
20147
상도초등학교입구
20149
상도초등학교입구
20150
- 장승배기역
20151
청화병원
20193
장성교회
20192
동작구청.노량진초등학교앞
20191
동작구청.노량진초등학교앞
20190
노량진역3번출구
20114
동작구청정문
20240
노량진역
20011
노량진역
20012
노들역
20013
노들역
20014
노들섬
03341
노들섬
03340
한강대교북단.LG유플러스
03001
한강대교북단.LG유플러스
03002
신용산역
03003
신용산역
03004
용산우체국
03005
용산우체국
03006
삼각지역
03007
삼각지역
03008
숙대입구역
0309
숙대입구역
03010
갈월동
03011
갈월동
03012
서울역버스환승센터.강우규의거터
02007
서울역버스환승센터
02004
숭례문
02122
숭례문
02008
남대문시장앞.이회영활동터
02219
북창동.남대문시장
02127
롯데영프라자
02142
롯데백화점
02140
우리은행종로지점
02139
을지로입구역.광교
02246
종로2가
01013
종로2가
01014
종로3가.탑골공원
01015
종로3가.탑골공원
01016
종로4가.종묘
01017
종로4가.종묘
01018
종로5가.광장시장
01019
종로5가.광장시장
01020
종로6가.동대문종합시장
01021
종로6가.동대문종합시장
01022
동대문역.흥인지문
01023
동대문역.흥인지문
01037
동묘앞
01041
동묘앞
01044
신설동역1번출구
06107
신설동로터리
01243
보문동주민센터
08184
보문동주민센터
08183
보문동성당
08182
보문동성당
08181
보문역
08180
보문역
08179
성북구청.성북경찰서
08178
성북구청.성북경찰서
08177
삼선동주민센터
08176
삼선동주민센터
08175
돈암사거리.성신여대입구
08008
돈암사거리.성신여대입구
08007
미아리고개.미아리예술극장
08006
미아리고개.미아리예술극장
08005
길음뉴타운
08004
길음뉴타운
08003
길음2동주민센터
08002
길음2동주민센터
08001
미아사거리역
09012
미아사거리역
09011
도봉세무서.성북시장
09010
도봉세무서.성북시장
09009
미아역.신일중고
09008
미아역.신일중고
09007
수유시장.성신여대미아캠퍼스앞
09006
수유시장.성신여대미아캠퍼스앞
09005
- 수유역
09003
수유역.강북구청
09004
수유역.강북구청
09013
수유3동우체국
09002
수유3동우체국
09001
우이1교앞
10018
우이1교앞
10017
쌍문역
10016
쌍문역
10015
도봉구민회관.도봉문화원
10014
도봉구민회관.도봉문화원
10013
도봉보건소.북한산아이파크아파트
10012
도봉보건소
10011
- 정병원
10304
방학사거리
10196
방학사거리
10195
신한은행방학동지점
10194
신한은행방학동지점
10193
방학초등학교
10192
방학초등학교
10191
방학동신동아아파트
10190
방학동신동아아파트
10189
방학동신동아타워
10187
방학동신동아타워
10186
연산군정의공주묘
10185
연산군.정의공주묘
10184
한국사회봉사회
10343
한국사회봉사회
10342
우이동도선사입구.북한산우이역
09102
우이동도선사입구
09286
우이동성원아파트
09104
}}}}}}}}} ||

4.3. 일평균 승차인원

서울특별시 심야버스 N15번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4년 918명
2015년 939명 △ 21
2016년 916명 ▽ 23
2017년 1,182명 △ 266
2018년 1,264명 △ 82
2019년 1,405명 △ 141
2020년 1,107명 ▽ 298
2021년 751명 ▽ 356
2022년 1,154명 △ 403
2023년 1,638명 △ 484
2024년 2,090명 △ 452
※ 하차 인원 미포함

5. 연계 철도역

연계하는 철도역은 많지만, 심야시간에 운행하기 때문에 지하철 환승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굵은 글씨는 막차가 끊기는 역이다.

6. 둘러보기

파일:Seoulmetro1_icon.svg 파일:Seoulmetro4_icon.svg 파일:GJLine_icon.svg 파일:AREX_icon.svg 파일:GreatTraineXpress_A.svg 서울역버스환승센터 경유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b0255b><colcolor=#fff> 왕복 경유 노선
편도 경유 노선
회차 노선
}}}}}}}}} ||

[1] 동아운수(N15우이) 출발점[2] 우신운수(N15사당) 출발점[3] 회사별 6대 운행.[4] 정확히는 해당 구간이 편도 정차에서 왕복 정차로 바뀌는 것이다.[5] 길음뉴타운-을지로입구 구간. 이 구간은 2001년 신설된 32번 심야전용버스 운행 구간 일부를 계승[6] 우이동 - 미아사거리 구간[7] 미아리고개 - 동대문, 롯데백화점본점-신림역 구간(종로구간 제외)[8] 신대방삼거리 - 사당역 구간[9] 유일하게 서울역-사당역-수원역을 연계하는 노선 조합이 된다.[10] 숙대입구역 하차 후 도보[용] 신용산역 하차[용] [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