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7 09:29:08

건담 시리즈/작품 목록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건담 시리즈|건담 시리즈]]

1. 개요2. 애니메이션
2.1. 우주세기 시리즈
2.1.1. 우주세기 기반 평행세계
2.2. 비우주세기2.3. 토미노 오리지널 계열2.4. 건프라 배틀 계열2.5. SD 건담 계열2.6. 그 외
3. 코믹스·소설·드라마 CD
3.1. 우주세기 시리즈
3.1.1. 소설3.1.2. 코믹스3.1.3. 그 외
3.2. 헤이세이 건담3.3. 신건담3.4. 그 외
4. 게임
4.1. 우주세기4.2. 헤이세이 건담4.3. 신건담4.4. 세계관 혼합 및 기타4.5. 서비스 종료
5. 인터넷 방송6. 패러디 및 기타 작품7. 할리우드 실사영화8. 실사 드라마

1. 개요

건담 시리즈의 작품들을 정리한 문서.

2. 애니메이션

2.1. 우주세기 시리즈

2.1.1. 우주세기 기반 평행세계

2.2. 비우주세기[1]

2.2.1. 헤이세이 건담[2]

2.2.2. 신건담

2.3. 토미노 오리지널 계열

  • ∀건담 (1999, TV) - C.C.(Correct Century/정력) 2343
    • 지구광 (2002, 극장판)
    • 월광접 (2002, 극장판)
  • 링 오브 건담 (기획중지)
  • 건담 G의 레콘기스타 (2014, TV) - R.C.(Regild Century/리길드 센추리) 1014
    • 1부 가라! 코어 파이터 (2019, 극장판)
    • 2부 벨리 격진 (2020, 극장판)
    • 3부 우주로부터의 유산(2022, 극장판)
    • 4부 격투에 외치는 사랑(2022, 극장판)
    • 5부 사선을 넘어(2022, 극장판)

2.4. 건프라 배틀 계열

2.5. SD 건담 계열

  • 기동전사 SD건담
    • 기동전사 SD건담 MK-I (1988, 극장판, OVA)
    • 기동전사 SD건담 MK-II (1989, OVA)
    • 기동전사 SD건담의 역습 (1989, 극장판)
    • 기동전사 SD건담 MK-III (1990, OVA)
    • SD건담 외전 - 라크로아의 용사 (1990. OVA)
    • SD건담 외전 - 전설의 거인 (1990. OVA)
    • 기동전사 SD건담 MK-IV (1990, OVA)
    • 기동전사 SD건담 MK-V (1990, OVA)
    • SD건담 외전 - 알가스 기사단 (1990, OVA)
    • 무사, 기사, 코만도 SD 건담 긴급 출격 (1991, 극장판)
    • SD건담 외전 - 빛의 기사 (1991, OVA)
    • 기동전사 SD건담 - 파파루의 새벽 : 제103화 스기남의 신부 (1991, OVA)[4]
    • 기동전사 SD건담 축제 (1993, 극장판)
  • SD 건담 포스 (2003, TV)
  • SD건담 삼국전 (2010, TV)
  • SD건담 월드 삼국창걸전 (2019)
  • SD건담 월드 히어로즈(2021, TV)

2.6. 그 외

3. 코믹스·소설·드라마 CD

표지 변경 및 일부 내용이 추가되어 재출판된 경우는 ☆

3.1. 우주세기 시리즈

3.1.1. 소설

3.1.2. 코믹스


이 외에도 기동전사 건담 0084 Psi-Trailing와 같이 MS SAGA와 같은 앤솔로지나 머신 배니싱이나 The MSV나 MSV-R과 같은 코믹스를 빙자한 비공식 설정집에 수록된 단편들이 산재해있다. 사실 이런 단편 코믹스나 소설이 비우주세기을 비롯한 메카닉 작품 전반 아니 유명작 관련 서적에 수록되는 것정도는 흔하지만 우주세기는 관련 서적이 하도 많다보니 그만큼 수록된 단편이 엄청나다. 당장 위의 코믹스 리스트에서 그런 것을 묶어서 낸 단행본도 꽤 된다.

3.1.3. 그 외

  • MSV
  • 기동전사 건담 0083 룬가바다 포격전(드라마 CD)
  • 기동전사 건담 0083 우주의 하루살이(드라마 CD)

3.2. 헤이세이 건담

  • 기동신세기 건담 X 계열

3.3. 신건담

  • AGE 계열

3.4. 그 외

4. 게임

여느 인기 애니메이션 시리즈의 게임화가 다 그렇지만, 건담 시리즈는 유난히 쿠소게가 많은 것으로 악명 높다.[19] 이는 여러 가지 원인이 있겠지만 대체로 거대IP에만 기대서 게임을 대충 만든다.라는 인식이 팽배하다. 원작 구현이나 캐릭터성에 비중을 두는 건담 팬들 외의 일반적인 게이머에게도 그나마 괜찮은 평가를 받는 작품은 건담vs. 시리즈, G제네레이션 시리즈 정도.[20] 오죽하면 차라리 아머드코어로 메카물에 잔뼈가 굵은 프롬에게 돈주고 만들어달라고 하는게 낫다는 수준이다.
그리고 실제로 ps3 기동전사 건담 UC와 어나더 센츄리 에피소드 등을 만들었었고 싹다 대차게 망했다...

4.1. 우주세기

4.2. 헤이세이 건담

4.3. 신건담

4.4. 세계관 혼합 및 기타

4.5. 서비스 종료

5. 인터넷 방송

6. 패러디 및 기타 작품

건담 시리즈의 미디어믹스로 제작되었으나, 반다이 남코 픽처스에서 공식적으로 인정하지 않는 경우는 [†]표시.

이외에도 일본작품이라면 수많은 만화, 애니에서 엄청나게 패러디되었다. 위의 작품들은 실제로 판권을 쓰거나 판권이 없지만 저작권상 문제가 될 정도[35]소수의 작품만을 나열한 것. 일일이 다 기재하면 끝이 없을 정도로 수많은 곳에서 패러디되었다.

7. 할리우드 실사영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기동전사 건담(영화)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기동전사 건담(영화)#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기동전사 건담(영화)#|]][[기동전사 건담(영화)#|]]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실사 드라마


[1] 건담 시리즈 45주년, G건담 30주년을 맞이하여 얼터너티브 시리즈로 표현되었다.[2] 흔히 헤이세이 3연작으로 부르고 있다.[3] 목요일에 온라인에 선 공개된 후 TVA로 토요일에 방영되었다.[4] 《무사, 기사, 코만도 SD건담 긴급출격》의 비디오 발매시, 부족한 1화분을 채우기 위해 제작.[5] 원작은 코믹스고 소설의 경우 원작 중 1부만 나온다.[6] 작가가 토미노 요시유키가 아닌 엔도 이카노리이다.[7] 이상이 카도카와 스니커 문고판이고 이후는 아니메쥬 등의 다른 레이블.[8] 단행본과 무크지 버전이 따로 있다.[9] 애장판 12권짜리로 나오기도 했고 보급판 12권짜리가 2016년 12월 완결예정으로 발매되었다.[10] 2014년에 두번째 신장판이 발매되어 신장판이 두 번이나 나왔다.[11] 사실상 연재중지 상태이다.[12] Advance of Zeta 외전에서 Z 건담 외전으로 변경[13] 2005년에 이어 2018년 7월에도 신장판이 나왔다.[14] 극장판 애니 2부가 나올 때까지 잠정 휴재중[15] 역습의 기간테스가 포함되어 있다.[16] 이것과 Endless Waltz가 같은 고단샤에서 발매되었으나 Endless Waltz는 나중에 카도카와 스니커에서 재발행되었는데 정발된 Endless Waltz 소설이 바로 그 재발행본이다.[17] 4권부터 각성의 문편이라는 부제가 붙었으나 2017년 현재는 사실상 연재중지 상태다.[18] 2013년 들어 X ASTRAY와 함께 Re:Master Edition으로 재출간되었다. 2013년 7월 6권으로 완결되었다. 그리고 데스티니 아스트레이 역시 2014년 현재 Re:Master Edition으로 재출간되고 있다.[19] 과거 서구권 팬덤 사이에서는 반다이는 게임 못 만드는 이상한 회사라는 평을 받기도 했고...[20] 후술할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해당 시리즈에서 양작 이상만 나온건 아니다. 특히 건담 버서스 포스, 건담 버서스, G제네레이션 제네시스 등 누가봐도 성의없게 만든 게임이 다수 있다.[21] MSX로 출시된 거의 최초의 건담 게임화. 그러나 LCD 게임 수준의 저열한 게임성 때문에 재미없다는게 중론.[22] 2000년 발매, 최초의 플레이스테이션 건담 게임화로 영문 제목은 Mobile Suit Gundam:Journey to Jaburo[†] 현재 반다이 남코 픽처스에서 공식 건담 시리즈로 인정하지 않음.[†] [†] [26] 아라사 OL 하만사마와 단행본 발매주기가 같았는데 5권에서 한달의 차이가 생겼다.[27] 아이언 앗가이와 세계관은 같지만 주인공만 바뀐 정도이다[†] [29] 샤아의 별명 붉은 혜성(赤い彗星, 아카이 스이세이) + 샤아의 성우 이케다 슈이치[30] 샤아의 본명 캬스발 렘 다이쿤[31] 샤아의 여동생 세이라 마스[32] 아무로 레이 + 아무로의 성우 후루야 토오루[33] 카미유 비단. 성우도 카미유 역의 토비타 노부오다.[34] 이름 한정.[35] 특히 은혼이 심했다. 물론 애니 제작사는 같아서 그러려니 하지만 주제가 음반 판권은 선라이즈에 있는게 아니기에 여러모로 시끄러워질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