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10 05:54:11

사이언스 픽션

과학소설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SF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음이의어에 대한 내용은 SF(동음이의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개요2. SF의 출판 규모3. SF의 정의
3.1. Science Fiction의 한국어 명칭 논쟁3.2. SF라는 명칭을 둘러싼 혼란3.3. Sci-Fi3.4. 사변소설3.5. 분류 및 하위장르
4. 과학자들과의 관계5. 한국의 SF6. SF 상
6.1. 문학상6.2. 미술상
7. 작품 목록8. 자주 나오는 소재9. 관련 문서

1. 개요

사이언스 픽션(Science Fiction), 약칭 SF는 과학적 사실이나 이론을 바탕으로 한 문학 장르과학소설을 의미하며, 나아가서는 그러한 요소를 담은 기타 매체들의 장르를 포괄하는 표현이다. SF는 가상 또는 미래의 발달한 과학이나 과학기술을 바탕으로 우주 탐험, 시간여행, 평행우주, 외계생명, 생명진화 등의 개념을 즐겨 다룬다.

과학소설의 뿌리는 고대 신화로까지 거슬러올라가지만, 역사적으로는 과학기술에 의한 인간 사회의 근원적인 변화를 소설의 주제에 투사한 에드거 앨런 포[1]를 SF의 시조로 보고, 모험소설의 플롯에 실제 과학을 외삽한 프랑스의 쥘 베른과학철학에 입각한 사고실험을 소설화한 영국의 H. G. 웰스를 19세기 근대 SF 문학의 효시로 간주하며, 1926년에 미국에서 세계 최초의 SF 잡지인 《어메이징 스토리즈(Amazing Stories)》를 창간함으로써 출판 장르로서의 SF를 확립한 휴고 건즈백을 현대/미국 SF의 아버지로 보는 관점이 일반적이다. 과학소설은 영미 출판계에서는 후발 주자였던 장르 판타지나 장르 호러뿐만 아니라 슈퍼히어로물의 성립에도 결정적인 영향을 끼쳤으며, [2] 1세기를 넘는 세월 동안 몇십 개에 달하는 하위 장르들을 발달시켜왔다.

SF는 20세기 들어서는 문학뿐만 아니라 영화와 텔레비전을 위시한 다른 매체들을 통해서도 활발한 창작의 장이 되었으며, 2024년 현재 전세계의 대중문화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장르 중 하나가 되었다. 사이언스 픽션은 '아이디어의 문학'이라고도 불리며, 과학적, 사회적, 기술적인 혁신이 인간 사회에 끼치는 영향을 모색하고, 단순히 오락적인 창작물로서만 아니라 과학적 사고실험이나 사회적, 은유를 통한 철학적인 비판의 은유적인 수단으로서도 곧잘 쓰인다.[3] 특히 냉전 시절의 소비에트 연방과 동구권에서 SF는 당국에 의한 검열을 피하기 위한 정치 비판의 수단으로서도 각광받았다.

2. SF의 출판 규모

과학소설의 출판 규모를 보면 미국과 캐나다를 포함한 북미와, 같은 영어권인 영국이 부동의 1위를 유지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 북미에 이어 세계 2위의 SF시장을 형성하고 있으며 하야카와 쇼보처럼 50여년에 걸쳐 단독으로 3천 권 이상의 SF소설[4]을 출간한 전문 출판사가가 있을 정도로 사회적인 인지도가 높지만, 21세기 들어서는 라이트 노벨의 강세와 아예 소설을 읽지 않고 만화나 애니메이션 등의 시각 매체로만 SF를 즐기는 독자들이 늘어난 탓에 규모가 많이 축소되었다. 유럽러시아가 그 뒤를 잇는다. 그런 반면 (다분히 정치적인 이유에서) 국가적으로 SF를 지원해 온 중국은 아시아 최초의 휴고상 수상자를, 그것도 2년 연속[5]으로 배출하며 엄청난 발전을 이룩했지만, 체제 비판을 용납하지 않으며 검열이 횡행하는 공산국가라는 특수성과 비교적 짧은 역사 탓에 작품의 다양성과 출판 종수에서 아직 북미나 일본에 비교할 수 있는 수준은 아니다.

3. SF의 정의

SF란 명칭은 미국에서 1926년에 세계 최초의 SF 전문지 《어메이징 스토리즈》를 창간한 휴고 건즈백의 조어 사이언티픽션(Scientifiction)에서 유래했다.사이언티픽션은 Scientific + Fiction, 즉 '과학적 소설'을 의미하는데, 이 장르가 청소년 대상의 펄프 잡지를 중심으로 한 상업적인 출판 장르로 자리잡은 1940년대부터는 사이언스 픽션이라는 표현으로 대체되었다.[6] 사이언스 픽션의 정의에 관해서는 1세기를 넘는 긴 논쟁의 역사가 있다. 주요한 것들을 예로 들어보자면,
"사이언티픽션(scientifiction)이란 쥘 베른, H. G. 웰스, 에드거 앨런 포 타입의 이야기이며, 과학적 사실과 예언적 계시와 뒤섞인 매력적인 로맨스다."
휴고 건즈백(1926)
"과학소설은 자연과학 분야에서의 상상적인 발명이나 발견을 다룬 이야기이며, 그에 수반되는 모험과 경험을 다룬 소설이다.... 과학소설은 과학적 발견을 다뤄야 한다.... 작가가 과학적 잣대를 대상으로 최대한 합리화할 수 있는 종류의 발견을 말이다."
J. O. 베일리(1947)
"[어떤 소설이] 판타지가 아닌 진정한 과학소설로 성립하기 위해서는, 이미 알려진 [과학적] 사실에 기반한 외삽법적 예측을 성실하게 활용할 필요가 있다."[7]
존 W. 캠벨(1947)
"과학소설은 인간을 중심으로 만들어진 이야기이며, 인간의 문제와, (과학적인 내용 없이는 가능하지 않았을) 인간의 해결책을 다뤄야 한다."
시어도어 스터전(1952)
"과학소설이란 내가 손을 들어 '이것이 바로 과학소설이다'라고 가리키는 것이다."[8]
데이먼 나이트(1952)
"과학소설은 가상적인 과학적 발전을 다루거나, 인간 사회의 특정 경향의 외삽적인 사변을 다룬다."
베이즐 데이븐포트(1955)
"과학소설은 그것이 쓰인 시점에는 실용화되지 않은 과학기술이나 과학기술이 끼칠 효과를 예측하거나, 인간을 위시한 자연율의 교란을 다룬 이야기다."
에드먼드 크리스핀(1955)
"과학소설은 과거와 현재의 현실 세계에 관한 적절한 지식과, 자연계와 과학적 방법론의 중요성에 관한 철저한 이해를 바탕으로, 미래에 일어날 수 있는 사건에 관해 현실적으로 사고하는 소설이다."
로버트 A. 하인라인(1959)
"과학소설이란 우리가 알고 있는 세계에서는 일어날 수 없는 상황을 다룬 산문 형식의 이야기이며, 과학이나 과학기술 또는 유사과학이나 유사 과학기술의 혁신을 기반으로 한다."
킹슬리 에이미스(1960)
"판타지는 불가능한 일에 개연성을 부여한 장르이며, SF는 있음직하지 않은 일에 핍진성을 부여한 장르다."
로드 설링(1962)
"과학소설은 사변소설이며, 투사와 외삽과 대체와 사고실험을 통해 탐구하고, 발견하고, 학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문학 장르다."
주디스 메릴(1966)
"최악의 작품조차도 과학적 요소의 흔적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최상의 작품의 경우는 과학에 전적으로 의존해야 한다."
제임스 블리시(1968)
"과학소설은 과학이 인간의 해결 불가능한 문제를 해결하는 유일한 해결책으로 쓰이는 문학 장르다."
앨지스 버드리스(1968)
"훌륭한 과학소설은 자동차를 예언하는 대신 교통 체증을 예언할 수 있어야 한다."
프레드릭 폴(1968)
"과학소설은 소외와 인식의 존재 및 상호작용을 필요충분조건으로 하는 문학 장르이며, 그 주요한 형식적 장치는 작가의 실증적 환경을 대체하는 상상적인 틀이다."
다르코 수빈(1972)
"과학소설은 ‘어떤 일도 일어날 수 있고, 응당 일어나야 한다’는 것을 기본 전제로 하는 문학 장르다."
토머스 M. 디시(1973)
"과학(이라는 혼란된 상태의 지식)을 통한, 인류와 인류가 우주에서 차지하는 위치의 탐구."[9]
브라이언 W. 올디스(1973)
"과학소설은 실제로 일어날 수도 있는 (SF의 하위장르인 대체역사의 경우는 실제로 일어났을 수도 있는) 일들을 다루는 문학 장르이며, 판타지는 결코 일어날 수 없는 일들을 다루는 문학 장르다."
로버트 J. 소여(2007)
"우주가 개인적으로 반응하는 게 판타지라면, 우주가 모두에게 반응하는 게 SF다.", "판타지는 우주의 일부를 영원히 우리가 이해할 수 없다는 가정에 기반한다 ... SF는 우주는 논리로 설명이 가능하다는 가정에 기반하고 있다.", "판타지는 세계를 원래대로 되돌려 놓으려는 노력을 담은 것이고, SF는 다시는 전으로 돌아갈 수 없는 상태로 세계를 바꾸는 이야기.", "소수의 특별한 사람만 납을 금으로 바꿀 수 있다면 판타지, 누구든 그 방법만 알면 바꿀 수 있다면 SF."
테드 창(2009,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내한 인사)
"현실적이며 논리적인 것이 미스터리, 비현실적이며 논리적인 것이 과학소설, 현실적이며 비논리적인 것이 호러, 비현실적이며 비논리적인 것이 판타지다."
오오모리 노조미(2017)

3.1. Science Fiction의 한국어 명칭 논쟁

국내에서는 20세기까지도 'Science Fiction'의 번역 명칭으로 공상과학소설이라는 명칭이 주로 쓰여 왔는데, 이것은 1960년대에 국내 출판사에서 영한(英韓) 사전을 만들 당시 영일(英日) 사전의 Science Fiction 항을 그대로 답습하면서 70년이나 된 일본식 역어가 그대로 국내에 정착해 버린 결과라고 알려져있다.

문제는 이것이 정확한 역어가 아니라는 것이다. 실상은 상술한 하야카와 쇼보에서 1959년에 창간한 일본의 SF 잡지 SF 매거진(S-Fマガジン)이 미국의 SF 잡지인 더 매거진 오브 판타지 & 사이언스 픽션과 제휴 관계를 맺으면서 이 잡지명을 '판타지'와 '과학소설'이라고 정확하게 번역하지 않고 '空想科學小說'이라고 대강 뭉뚱그려 오역한게 그대로 한국으로 넘어온 것이다. (60년대의 일본에서는 80년대의 한국과 마찬가지로 소설 장르로서의 판타지에 대한 인식 자체가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판타지가 환상도 아닌 '공상'을 의미하는 일반명사라고 착각했다고 한다.) 그러나 일본에서 '공상과학소설'이 SF 소설을 가리키는 용어로 쓰인 것은 10여년에 불과하고, 1970년대 들어서는 형용사로도 쓰기 편리한 'SF'라는 약어로 완전히 대체되면서 사어가 되었다.

사이언스 픽션의 Fiction은 '공상'이 아니라 전통적으로 문학의 범주인 '소설'을 가리키는 용어이며, 한국어의 '공상'이라는 단어의 사전적 정의가 현실적이지 못하거나 실현될 가망이 없는 것을 막연히 그리어 보는 행위라는 사실을 감안하면, 외삽법을 통해 당장 현실이 되지는 않더라도 실현될 가망이 있는 세계를 논리적으로 묘사하는 것을 지향하는 사이언스 픽션에 굳이 오역에서 비롯된 '공상'이라는 단어를 갖다붙이는 행위가 반어적이라는 점은 명백하다. 그런 이유에서 21세기 들어 국내 출판계나 학계에서는 과학소설이라는 명칭이 표준으로 자리잡았다.

그러나 SF라는 용어가 완전히 뿌리를 내리지 않은 대한민국에서 '공상과학'이라는 어떤 의미에서는 알기도 쉽고 쓰기도 쉬운 표현은 지금도 여전히 보도 매체 종사자를 포함한 일반 대중 사이에서 끈질기게 사용되고 있으며, 그 결과 의도적이든 아니든 SF와 판타지를 동일시하는 잘못된 시각을 확대 재생산하고 있다. 따라서 그에 따른 폐해와 혼란을 피하기 위해서라도 소설 형태의 Science Fiction은 '과학소설'로 표기하고, Science Fiction Film이나 Science Fiction Comics 같은 비주얼 매체의 경우는 국제 기준에 맞춰 'SF 영화'와 "SF 만화'로 표기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것이 비평가 김상훈을 필두로 하는 이 분야 전문가들의 의견이다.[10][11]

3.2. SF라는 명칭을 둘러싼 혼란

SF라는 명칭이 아직 뿌리를 내리지 못한 탓에 한국에서는 간간이 영화쪽 용어인 SFX(특수효과물) 등과 혼용되어 사용될 때가 종종 있다. 판타지 괴수물인 《디 워》를 할리우드의 SF 블록버스터와 맞먹는다는 인상을 주기 위해 'SF영화'라고 대놓고 홍보한 경우가 대표적인 예다. 이건 뭐 변명의 여지가 없다.[12]

원칙적으로는 ScienceFiction이라는 엄연히 '두 단어'의 줄임말이라, 약어는 소문자 표기인 sf로 쓰면 안 되고, 될 수 있으면 S.F.라고 부호를 찍거나, 대문자 표기인 SF로 쓰는 편이 옳다. 하지만 영어권의 대중 매체에서 통용되는 약자 표기는 여전히 다음 문단에서 후술할 Sci-Fi가 일반적이고, SF라는 이니셜 약어 표기는 주로 SF 팬덤이나 문학 비평 쪽에서 많이 쓰인다. "SF적(Science Fictional)"을 줄여 'SFnal'이라고 쓰는 형용사적 용법도 가끔 볼 수 있다.

3.3. Sci-Fi

1954년, 미국 SF 팬덤계의 거물 포레스트 J. 애커맨은, 저예산의 B급 SF 영화와 펄프 SF 소설을 Sci-Fi(싸이파이)라고 지칭했으며, 그 결과 1970년대까지는 주로 오락 위주의 싸구려 SF를 경멸적으로 일컫는 용어로 받아들여졌다. 그러나 21세기 들어서 그런 경멸적인 뉘앙스는 많이 사라졌고, Sci-Fi Film 처럼 (일반인들이) 주로 SF 영화를 지칭할 때 많이 쓰인다. 그러나 SF 문학을 논하는 경우는 Sci-Fi Literature 라고 하지는 않고 정식 명칭을 써서 Science Fiction Literature 라고 표현하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3.4. 사변소설

사변소설로 번역되는 Speculative Fiction이라는 표현을 SF의 동의어로 처음 쓴 사람은 SF 작가인 로버트 A. 하인라인이다. 하인라인은 1947년에 신문의 기고 기사에서 SF를 이렇게 지칭했는데, 이는 당시만 해도 심심풀이용 도피소설로 간주되던 판타지와 차별되는 SF의 논리성을 부각시킬 목적이었다고 한다. 상술한 데이먼 나이트도 '사이언스 픽션'보다 더 정확하게 장르를 정의하고 있다며 이 용어를 지지했고, 누가 들어도 싸이파이보다는 훨씬 더 고급스러운 뉘앙스를 가지고 있는 덕에 문학적으로 세련된 SF를 지향한 뉴웨이브 운동이 활성화된 1960년대에 SF작가이자 편집자인 주디스 메릴이 이 용어의 사용을 적극적으로 옹호하면서 일반화되었다.

그러나 사변소설이라는 용어 자체는 주류 문단의 문학 비평 분야에서도 비 리얼리즘 계열의 유토피아디스토피아물과 대체역사물을 포괄하는 용어로 간헐적으로 쓰였고, 그 영향으로 인해 21세기 들어서는 SF뿐만 아니라 판타지, 호러, 대체역사, 위어드 픽션 등을 포괄하는 상위 개념으로 자리잡았다. [13] 그러나 논문이 아닌 보도매체의 기사나 칼럼에서는 여전히 SF의 (고상한) 동의어로 쓰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3.5. 분류 및 하위장르

이분법을 좋아한다면 과학 기술에 중심을 둔 SF는 하드 SF, 사회성이나 성격묘사에 더 비중을 둔 SF는 소프트 SF라고 할 수도 있겠지만 전자에 비해서 후자의 정의가 워낙 두루뭉술한 탓에 큰 의미는 없다. 작가의 교육 환경이나 작품 성향에 따라 문과계와 이과계로 나누는 수도 있지만 이 역시 그다지 의미가 있는 구분은 아니다.

사실, 1940년대까지의 SF는 일부 사변적인 작품을 제외하면 스페이스 오페라가 주류를 이뤘지만, 주요 독자들이었던 남자 청소년들이 나이를 먹고 독자층이 다양화된 1950년대부터는 메이저 SF 잡지인 《어스타운딩》지의 명 편집자이자 과학적으로 엄밀한 외삽법의 신봉자였던 존 W. 캠벨의 주도하에 사회과학이나 역사 쪽으로도 영역을 넓히게 되는데, 아이작 아시모프의 《파운데이션 시리즈》나 로버트 A. 하인라인의 《미래사 시리즈》를 이런 경향의 대표로 꼽을 수 있다. 히피 운동을 위시한 카운터컬처의 전성기였던 1960년대 들어서는 영국에서 마이클 무어콕이 편집장으로 취임한 SF 잡지 《뉴월즈》를 중심으로 일종의 문예부흥 사조인 뉴웨이브 운동이 활성화되었으며, 이것이 같은 영어권인 미국의 SF계로까지 확산되면서 아메리칸 뉴웨이브라고 불리는 포스트 뉴웨이브 운동이 일어나게된다. 뉴웨이브는 현대문학의 눈높이에 맞춘 성숙되고 세련된 소설들을 통해 장르 외변을 확대함으로써 영어권에서 많은 걸작 SF를 배출했지만, 그와 동시에 과도한 실험성으로 인해 SF의 정체성의 혼란이라는 부작용을 가져왔다. 1970년대에 미국에서 래리 니븐과 아이작 아시모프 등을 중심으로 하드 SF의 재평가 운동이 일어났는데, 이것은 부분적으로는 판타지 장르의 융성과 뉴웨이브 운동에 대한 미국 SF계의 반발에서 비롯되었다는 설이 지배적이다. 같은 맥락에서 1980년대 들어 윌리엄 깁슨과 브루스 스털링 등의 신예 작가들을 중심으로 맹위를 떨친 사이버펑크 운동은 1960년대의 뉴웨이브 운동과 1970년대의 하드 SF 재평가를 융합시킨 측면이 강하다.

장르의 역사가 긴 만큼 하위장르 역시 상당히 다양하다. 시간여행, 외계인과의 퍼스트콘택트, 초능력, 포스트 아포칼립스, 밀리터리 SF, 대체역사물, 가상생물학 등 고전 SF의 소재를 기반으로 한 공시적인 분류가 존재하는 한편, 하드 SF, 스페이스 오페라, 사이버펑크, 스팀펑크처럼 SF 문단 내부의 통시적인 문학적 경향이 하위장르로 정착한 경우도 있다.

4. 과학자들과의 관계

"과학자들은 SF를 싫어한다"고 착각하는 사람들이 가끔 있지만, 서구의 과학자들 사이에서는 오히려 어릴 적에 SF를 읽고 과학자의 꿈을 키웠다는 얘기를 자주 들을 수 있다. 특히 SF의 핵심을 이루는 하드 SF 분야에서 칼 세이건, 프레드 호일, 아서 C. 클라크처럼 세계적으로 유명한 현역 과학자 출신의 SF 작가가 많다는 점만 보아도 SF와 과학 사이의 밀접한 관계를 실감할 수 있다. 사실 SF가 즐겨 다루는 아이디어는 작가들이 외삽한 것뿐만 아니라 실제 과학자들의 가설에서 비롯된 것도 많다. 그 유명한 워프의 개념만 해도 다른 사람도 아닌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고안한 것이다. 이에 대해 스티븐 호킹은 "한때 과학소설(science fiction: SF)의 영역에 속했던 상상 속의 산물들이 과학적 사실(scientific fact: SF)로 판명되고 있다는 사실을 감안하면, 현재 기술력의 한계로 실현하지 못할 뿐 이론적으로 명백히 가능한 기술들은 많다"는 말을 한 적도 있다.

과학자이면서 SF 작가가 되는 경우는 상술했듯이 하드한 작품을 쓰는 경향이 있는데, 박사학위를 가진 저명한 과학자 출신이면서 하드 SF 작가로서도 크게 성공한 사람들은 다음과 같다. (과학이나 공학 분야의 석사 학위 소지자들까지 포함시킨다면 일일이 열거할 수도 없을 정도로 많다.)

프레드 호일 (1915 – 2001) - 천문학자, 이론물리학자, 정상우주론의 창시자
아이작 아시모프(1920-1992) - 생화학자
로버트 L. 포워드 (1932–2002) - 물리학자
칼 세이건 (1934–1996) - 천체물리학자
데이비드 브린 (1950-) - 천체물리학자
그레고리 벤포드 (1941-) - 천체물리학자
얼러스테어 레널즈 (1966-) - 천체물리학자

5. 한국의 SF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사이언스 픽션/한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SF 상

6.1. 문학상

  • 휴고상(Hugo Award) - SF작가 겸 편집자 휴고 건즈백을 기념하여 1955년 제정되었다. 전세계의 SF와 판타지 문학 작품을 대상으로 세계SF협회가 매년 개최하는 월드콘에서 팬투표로 수상작을 결정한다. 네뷸러 상과 함께 장르문학계에서 가장 권위있는 상이다.
  • 네뷸러상(Nebula Award) - 미국 SF판타지작가협회가 1966년 제정하였다. 매년 미국에서 출판된 SF 및 판타지 작품을 대상으로 협회 소속 작가, 편집자, 평론가들의 투표로 결정한다. 휴고상과 함께 장르문학계에서 가장 권위있는 상이다.
  • 로커스상(Locus Award) - 미국의 SF 및 판타지 문학 잡지 로커스가 1971년 제정하였다. 1980년부터는 SF와 판타지 부문으로 나눠서 시상하고 있다.
  • 어스타운딩 신인작가상(Astounding Award for Best New Writer) - SF잡지인 어스타운딩의 편집장 존 W. 캠벨을 기념해서 1973년 제정되었다. 아래의 기념상과는 별개로 출판된지 2년이내의 신인작가들의 작품들을 대상으로 월드콘에서 팬투표를 실시해서 수상작을 결정한다. 이전에는 존 W. 캠벨상이었는데, 2019년의 세계 SF 대회에서 캠벨이 어스타운딩지의 사설에 수없이 실었던 노골적으로 '파시스트'적이며 인종차별적이고 여성차별적 글들에 대한 비판 및 토론이 공개적으로 이루어진 것을 계기로 상의 명칭이 바뀌었다. 아래의 존 W 캠벨 기념상과는 다른 상이며 직접적인 관계는 없다.
  • 존 W. 캠벨 기념상(John W. Campbell Memorial Award) - 미국 SF의 황금시대를 대표하는 잡지 편집자 존.W 캠벨을 기념해서 1973년 제정되었다. 매년 평론가, 작가, 학자로 이루어진 10명 내외의 심사 위원들이 미국에서 지난 해에 출판된 장편 SF소설을 심사하여 수상작을 결정하며, 캔자스 대학교의 사이언스 픽션 연구 센터(Center for the Study of Science Fiction; CSSF)가 개최한다. 줄여서 캠벨 기념상(Campbell Memorial Award)이라고도 부른다.
  • 시어도어 스터전 기념상(Theodore Sturgeon Memorial Award) - SF 황금시대를 대표하는 작가인 시어도어 스터전을 기념해서 1987년에 제정되었으며, 상술한 존 W. 캠벨 기념상의 단편 버전에 해당한다. 시어도어 스터전 문학 재단과 사이언스 픽션 연구 센터에 의해 주최되며, 수상작은 다섯 명 내외의 심사위원의 투표에 의해 결정된다.
  • 영국SF협회상(British Science Fiction Association Award) - 영국과학소설협회에서 1970년부터 매년 영국에서 처음 출판된 SF소설을 대상으로 시상한다.
  • 필립 K. 딕 기념상(Philip K. Dick Memorial Award) - 비운의 SF소설가 필립 K. 딕을 기념하여 그가 사망한 직후인 1983년 제정되었다. 필라델피아 과학소설협회(the Philadelphia Science Fiction Society)에서 주관하여 매년 5명의 심사위원단이 페이퍼백 단행본으로 처음 출간된 SF 및 판타지 작품 중에서 수상작을 결정한다.
  • 사이드와이즈상(Sidewise Award) - 미국에서 전년도에 출판된 우수한 대체역사물 소설을 대상으로 하는 상. 1996년부터 시작했으며 매년 세계 SF 대회(월드콘)에서 수상자를 발표한다.
  • 라이즐링상(Rhysling Award) - SF 를 대상으로 하는 문학상. 1978년부터 시작.
  • 프로메테우스상(Prometheus Award) - 자유주의 미래 학회에서 수여하는 문학상. 1979년부터 시작.
  • 국제환상문학상(International Fantasy Award) - 1951년부터 1957년까지 진행된 최초의 SF 및 판타지 문학상.
  • 성운상(星雲賞) - 일본의 SF문학상. 1970년부터 시작. 항목참조.
  • SF 어워드 - 한국의 SF문학상. 2014년부터 시작했다.
  • 한국과학문학상 - 한국의 SF문학상. 허블 출판사 주관. 2016년부터 시작. 현재 4회 수상작까지 나왔으며 2020년 5회 투고는 코로나로 인해 취소되었다.
  • 상상 그랑프리(Grand Prix de l'Imaginaire) - 프랑스의 SF 문학상. 1974년부터 시작.
  • 인데버상(Endeavour Award) - 태평양 북서부 지역 작가들의 작품을 대상으로 한다. 1999년부터 시작.

6.2. 미술상

  • 스펙트럼상(Spectrum Award) - 1994~

7. 작품 목록

7.1. SF 소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SF 소설/목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1.1. 한국 SF 소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사이언스 픽션/한국 문서
번 문단을
소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2. SF 영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SF 영화/목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3. SF 만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SF 만화/목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4. SF 게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SF 게임/목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자주 나오는 소재

9. 관련 문서


[1] 비슷한 맥락에서 포는 소설에 논리를 도입한 탐정소설(detective story) 및 그 연장선상에 있는 미스터리 장르의 시조로도 간주된다.[2] 슈퍼히어로 코믹스의 원조라고 해도 무방한 슈퍼맨 시리즈의 효시가 SF 작가였던 제리 시걸의 단편소설 《슈퍼맨의 시대(The Reign of the Superman)》이며, 펄프 픽션 잡지였던 《어메이징 스토리즈(Amazing Stories)》와 《위어드 테일즈(Weird Tales)》가 DC나 마블 등의 슈퍼히어로 코믹스 잡지와는 매대뿐만 아니라 독자층이나 작가층까지 공유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3] 은유는 SF뿐만 아니라 판타지를 위시한 기타 모든 장르에서 강력한 비판의 수단으로 기능할 수 있지만, 상부구조와 하부구조 양쪽에 과학(기술)을 머금고 있는 SF의 경우 은유의 핍진성 또는 현실성이라는 측면에서 문학사적으로 유리한 위치를 점해 왔다.[4] 해외 SF 번역서가 4분의3, 일본 SF가 4분의1 정도다.[5] 2015년 류츠신의 《삼체》가 장편 부문, 2016년 하오징팡의 《접는 도시》가 단편 부문.[6] 그 약칭인 'stf'는 1960년대까지도 드물게 쓰였지만, 1960년대에는 SF로 완전히 대체되었다.[7] To be science fiction, not fantasy, an honest effort at prophetic extrapolation from the known must be made." 이 유명한 발언에서도 유추할 수 있듯이, 사이언스 픽션의 정의에는 어떤 식으로든 사이언스가 들어갈 수밖에 없다. 캠벨식 외삽법을 창작 기법의 기반으로 삼은 작가로는 로버트 A. 하인라인아이작 아시모프가 가장 유명하며, SF 황금시대를 일군 그들의 작품은 30여년 후인 1970년대의 미국 SF계를 중심으로 한 하드 SF의 성립에 큰 영향을 끼쳤다.[8] 이 말에 감명을 받은 아서 클라크도 자신의 단편집 서문에서 이 말을 인용하기도 했다. 나이트의 정의는 유아론(唯我論)에 가깝다는 맥락에서 종종 논쟁을 불러일으키곤 하지만, SF의 정의는 시대적 환경에 따라 조금씩 변화하더라도 상업적인 출판 장르로 명확한 실체를 가지고 있다는 의미로 받아들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9] 올디스의 경우 여기에 "SF는 전형적인 고딕 또는 포스트고딕 형식을 취한다"라는 꼬리표가 붙는데, 이것은 그가 프랑켄슈타인빠라서 그렇다기보다는 이 책을 SF의 기원이라고 보는 올디스의 비평적 입지에 기인한다.[10] 과학소설 전문무크 창간호 HAPPY SF 01. SF 독자를 위한 가이드. 김상훈. 박상준. 홍인기. 듀나. 이수현. 구광본. 김봉석 지음. 행복한책읽기. 2004.09.17.[11] SF 및 판타지 문학 비평의 근간을 이루는 영어권의 평론이나 학술 논문이 거의 소개되지 않은 대한민국의 척박한 비평 환경에서 주류측 환상문학 이론의 전가의 보도바이블처럼 받아들여지는 츠베탕 토도로프는, 반세기 전의 비평서인 《환상문학서설(Introduction à la Littérature Fantastique)》(1970)에서 비주류로 간주되는 장르 문학의 '환상'과 '경이'를 기준 삼아 톨킨식의 에픽 판타지사이언스 픽션을 모두 '경이'로 분류했다. 그런 고로 토도로프적 이론틀에서 이 두 상업 장르는 1980년대 들어 개별 장르로 진화한 호러(공포물)과 함께 환상 서사의 카테고리 아래에서 한데 묶인다고 할 수 있는데, 이것을 상술한 올디스의 프로토(原) SF 개념이나 1990년대 재조명된 위어드 픽션의 개념에서 쉽게 유추할 수 있는, 상업화되기 이전의 미분화된 상태의 장르 문학에 대한 비평적 알레고리로 받아들이는 대신에, 현대로 올수록 장르간 간섭 내지는 융합은 더 잦아지는 것처럼 보이므로 궁극적으로 볼 때 장르 구분 따위는 무의미하다는 단정적인 의견의 도그마적 근거로 삼으려는 국지적 경향이 존재한다.[12] 《디 워》는 괴수물로는 봐 줄수 있어도 SF 장르에 포함시키기는 힘들다. 작중 나오는 괴물들이 사실은 유전자 조작으로 태어난 인공생명체라면 모를까.[13] https://en.wikipedia.org/wiki/Speculative_fiction 영문판 위키피디아의 Speculative fiction 문서 참조[14] 과학은 물론이고 수학, 철학까지 SF의 범주에 들어갈 수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