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3865> | 대한민국 국군 현직 대장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합동참모의장 | |||||||||||
김명수 | ||||||||||||
육군참모총장 | 해군참모총장 | 공군참모총장 | ||||||||||
고창준직무대리 | 양용모 | 이영수 | ||||||||||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 지상작전사령관 | 제2작전사령관 | ||||||||||
강신철 | 강호필 | 김봉수중장, 직무대리 | ||||||||||
※ 둘러보기: 중장 | 사단장 | 함대사령관 | 공군기능사령관 | 전단장 | 비행단장 | 주임원사 | }}}}}}}}} |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 <tablebordercolor=#2e3192><tablebgcolor=#2e3192> |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2e3192><tablebgcolor=#2e3192> |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81818,#e5e5e5 | |||||
제2야전군사령관 | |||||
초대 강문봉 | 제2대 최영희 | 제3대 장도영 | 제4대 최경록 | 제5대 민기식 | |
제6대 장창국 | 제7대 김용배 | 제8대 박경원 | 제9대 정래혁 | 제10대 문형태 | |
제11대 한신 | 제12대 채명신 | 제13대 박원근 | 제14대 이병형 | 제15대 박희동 | |
제16대 김종수 | 제17대 진종채 | 제18대 차규헌 | 제19대 이기백 | 제20대 김홍한† | |
제21대 오자복 | 제22대 이종구 | 제23대 민경배 | 제24대 이필섭 | 제25대 김연각 | |
제26대 김진선 | 제27대 박세환 | 제28대 조성태 | 제29대 김진호 | 제30대 조영길 | |
제31대 김인종 | 제32대 홍순호 | 제33대 양우천 | 제34대 권영기 | 제35대 박영하 | |
제2작전사령관 | |||||
제36대 조재토 | 제37대 이철휘 | 제38대 조정환 | 제39대 김요환 | 제40대 이순진 | |
제41대 박찬주 | 제42대 박한기 | 제43대 황인권 | 제44대 김정수 | 제45대 신희현 | |
제46대 고창준 |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 |
역임한 직위 | |||||||||||||||||||||||||||||||||||||||||||||||||||||||||||||||||||||||||||||||||||||||||||||||||||||||||||||||||||||||||||||||||||||||||||||||||||||||||||||||||||||||||||||||||||||||||||||||||||||||||||||||||||||||||||||||||||||||||||||||||||||||||||||||||||||||||||||||||||||||||||||||||||||||||||||||||||||||||||||||||||||||||||||||||||||||||||||||||||||||||||||||||||||||||||||||||||||||||||||||||||||||||||||||||||||||||||||||||||||||||||||||||||||||||||||||||||||||||||||||||||||||||||||||||||||||||||||||||||||||||||||||||||||||||
|
대한민국 제2작전사령관 직무대리 김봉수 金奉洙 | Kim Bong-su | ||
출생 | 1968년 | |
학력 | 남대전고등학교 (11회 / 졸업) 육군사관학교 (47기/학사) 미국 Webster University (경영학 / MBA) 미국 육군 전쟁대학원[1] (국제안보전략 / 석사) | |
종교 | 기독교 | |
복무 | 1991년 ~ 현재 | |
임관 | 육군사관학교 (47기) | |
현재 계급 | 중장 (대한민국 육군) | |
현재 보직 | 제2작전사령관 직무대리 | |
주요 보직 | 육군교육사령관 합동참모차장 국군의 날 행사기획단장 제3군단장 국방부 정책기획관 제53보병사단장 한미연합군사령부 작전처장 육군본부 비서실장 합동참모본부 작전기획과장 합동참모본부 정책과장 제22보병사단 제56보병연대장 제6보병사단 제2보병연대 3대대장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육군의 군인, 현재 계급은 중장, 제2작전사령관 직무대리를 역임하고있다.2. 생애
남대전고등학교(11회)를 졸업하고 1987년 육군사관학교 47기로 입교하여 1991년 졸업과 함께 육군 보병소위로 임관했다. 2005년 미국 미주리 주 Webster University에서 경영학 석사(MBA) 학위를 취득하였으며, 2015년 미국 육군대학원에서 국제안보전략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다.3. 주요 직위
- 소위 1991년 임관
- 소대장
- 대위 1995년 진급
- 제55경비대대 작전과장
- 공동경비구역 경비대대 경비중대장[2]
- 대령 2013년 9월 1차 진급
- 중장 2022년 6월 1차 진급[12]
4. 평판
- 2012년 10월에 발생한 제22보병사단의 북한군 노크 귀순 사건 이후 해당 연대장으로(제56보병연대) 취임하여 성공적으로 부대 / 경계작전 안정화에 기여하였다고 평가받는다. 연대장 시절 거의 하루도 빠짐없이 전방 부대 새벽 순찰을 하였으며, 지휘관에게는 엄격한 편이었으나 순찰 시 병사들을 만날 때마다 항상 '사랑하는 우리 아들들'이라고 불러주며 인자하고 아버지 같은 모습이었다고 한다.
- 제53보병사단장 시기에도 사단사령부에 위치한 신병교육대에서 훈련병들을 아들들이라고 부른 적이 있었으며, 예하 여단장들과의 아침 회상회의 시에도 장병들을 언급할 때는 '우리 귀한 아들들'이라고 불렀다.
- 제3군단장이 되어서는 병사뿐만 아니라 초급간부들에게도 아들, 딸들이라고 해주었다.
- 제22보병사단 제56보병연대장 시절 연대에 전입 온 신병들에게 정신교육을 할 때 군생활이 너무 힘들 때는 나에게 전화하라며 전입신병들에게 명함을 직접 나눠주는 좋은 지휘관이었고, 내가 다른 부대에 가더라도 도움을 줄 수 있으니 언제든 전화해도 좋다고 할 정도로 병사를 아꼈다.
- 바깥에선 상대방의 연령 및 지위고하 막론하고 90도 가까이 인사를 주고받을 정도로 인품이 좋다.
5. 여담
- 보병 출신, 작전 직능으로서 육군 내 작전 및 정책 분야의 손꼽히는 요직을 두루 섭렵하였다. 준장, 소장, 중장 모두 1차로 진급하였으며[17], 준•소장 참모보직 중 최고 요직인 연합사 작전처장[18] 및 국방부 정책기획관[19]을 역임함으로써 정석적인 대장 진급 루트를 타는 등 육사 47기에선 가장 선두주자로 보였으나 중장 2차 진급자인 손식 장군이 2023년 10월 지상작전사령관으로 영전하게 되었다. [20]
- 대부분 장군들에게 해당되겠지만, 김봉수 장군은 전형적인 똑부스타일이다. 위에 평판에서 언급되었듯이 부지런하고, 꼼꼼하고 일을 많이 할 뿐아니라 머리도 좋은 편이다. 평상시에는 교범, 교리 등 군사와 관련된 책을 즐겨 읽는다고 한다. GOP연대장 시절엔 거의 하루도 안거르고 전방에 순찰을 나갔으며, 휴가는 거의 안나갔다고 할 정도다.
- 2023년 6월 25일 예하부대인 제22보병사단에서 고성 제진검문소 공포탄 발사 사건이 발생했는데, 수하에 불응한 오토바이 운전자 일당을 초병들이 잘 제압하였다. 이 사례는 경계근무의 성공사례로 기록되었다.
- 2024년 상반기 인사에서 건군 제76주년 국군의 날 기념행사단장 겸 제병지휘관으로 이동하였는데, 원래 해당 해는 행사단장이 소장이 보임되는 해이지만 중장이 보임되는 이변이 생겼다.[22] 23년도 하반기에 국방부가 국회에 120억 예산안을 제출하여 그 중 80억이 반영되었고, 24년 2월에는 부대관리훈령을 개정해 대규모 국군의 날 행사를 임기 중 여러 번 실시하도록 개정하면서 대규모 행사를 계획했다는 점이 해당 인사의 근거로 보인다. # 이후 행사단장을 마친 후 2024년 10월 8일, 합동참모차장으로 임명되었다. [23]
- 합동참모차장에 임명된 지 한달 가량이 지난 후 11월 25일에 24년 하반기 장성 인사가 단행되었는데, 세간의 예상대로 대장급 인사는 없었으며 정진팔 중장과 보직을 맞바꿔 육군교육사령관으로 자리를 옮겼다[24] 그러다 12월 3일, 윤석열 정부 비상계엄 사건이 발생하였는데 본인은 앞선 보직 이동으로 인해 큰 화를 피하게 되었다[25] 이후 박안수 육군참모총장의 직무정지로 인해 고창준 제2작전사령관이 직무대리로 임명되자, 제2작전사령관 직무대리로 임명되었다.[26][27] 2작사 부사령관 직무대리도 본인의 육사동기이다. 즉 사령관 부사령관 둘다 육사동기라는 간만에 보는 진풍경이 펼쳐졌고 육본은 한술 더떠 참모총장 참모차장 둘다 비육사라는 창군최초 진풍경이 펼쳐졌다.
- 이런 상황으로 인해 군단장 보직을 끝낸 후로, 전시 상황이 아님에도 8개월간 4개의 보직을 역임, 2024년 한 해에만 5개의 보직을 역임하는 진기록을 세워버렸다. 모 예비역 중장처럼 평판이 나빠서 계속 한직만 돈 것도 아니고, 윤석열 정부의 국군의 날 행사 규모 확대 + 중장급 원포인트 인사 + 윤석열 정부의 계엄령 등이 한 해에 모두 일어나면서 이런 상황에 놓였다.
6. 관련 문서
[1] U.S. Army War College[2] 대위로 보임되어 재임 중 소령으로 진급.[3] 출처[4] 대통령상 수상 참고로 육대 수석수료자는 군 내에서 승승장구하는 경우가 많다. 육사 한 기수 위에 강신철 대장, 육사 동기 곽종근 중장, 한 기수 아래 박후성 중장이 수석 수료자로 모두 고위직에 진급했다.[5] 출처[6] # 비슷한 시기 육사 동기인 양태봉 중령(현 소장, 육군포병학교장.)이 동사단 포병연대 예하 27포병대대장을 역임하고 있었다.[7] 전임자 강신철, 후임자 손광제[8] 이 보직은 합참 합동작전과장과 함께 육사 출신 작전 직능의 대령들에게 있어서는 준장 진급에 있어 최유력 후보로 평가되는 보직이다. 합동작전과장과 함께 상당한 격무에 시달리는 보직이다.[9] 전임자 이규준, 후임자 손광제[10] 전임자 여운태, 후임자 여인형[11] 전임자 이두희, 후임자 김성민[12] 동기 김규하 장군과 1차 진급[13] 전임자 신희현, 후임자 서진하[14] 전임자 박안수[15] 역대 최단기(51일) / 전임자 강호필, 후임자 정진팔[16] 전임자 정진팔[17] 소장 참모 보직인 국방부 정책기획관을 문재인 정부때에 역임하였음에도 윤석열 정부 출범 후 첫 인사에서 중장 1차 진급을 했다.[18] 최근 역임자는 무조건 진급하였으며, 합참 작전1처장보다도 진급률이 높은 현행 최고 요직이다. 전후임 연합사 작전처장들은 모두 육사이며 해당 기수의 최선두주자들이었다. 강건작 전 육군교육사령관(45기) - 이규준 육군교육사령관(46기) - 김봉수 3군단장(47기) - 손광제 육군교육사령부 교리발전부장(48기) - 문병삼 합동참모본부 작전기획부장(49기) - 강현우 15사단장(50기)로 이어지는 계보이다.[19] 전통의 요직으로서 작전과 정책의 양대 분야에 정통한 장군이 맡기에 중장 진급률이 가장 높다.[20] 장군인사는 단순히 능력만 있다고 되는게 아닌 정치, 출신, 출생지, 종교 등 다양한 요소를 따져서 되는 것이기에 장담할수 없다. 김봉수 장군처럼 중장까지 모두 1차 진급 및 해 기수 선두주자라고 일컬어짐에도 미끄러진 경우가 많아 진급 당해일을 봐야 알수 있다. 같은 예로, 소장까지 전 계급 1차 진급에 국방부 정책기획관과 더불어 소장급 최요직인 합참 작전부장에 앉아있던 곽종근 장군 역시 중장 진급 1순위였음에도 계속 미끄러지다가 47기 선두주자보다 1년 6개월 늦게 막차로 겨우 진급에 성공했다.[21] 육군대학에서 육군의 모든 소령을 다 받을 수 없기에 정규과정 입과도 힘들며 정규과정에서도 치열한 성적 경쟁이 펼쳐지기 때문에 대통령상(1등) 수상은 대단한 것이다. 이 과정에서 직능(작전, 인사, 군수, 정보, 동원)을 부여받는다. 지금은 중령 2년차에 직능를 받는다.[22] 그 여파로 원래 중장이 보임되던 육군사관학교장에는 소장이 임명되었다.[23] 지상작전사령관으로 재임 중이던 손식 대장이 2024년 9월 갑작스런 건강상 문제로 국군수도병원 입원 후 합동참모차장이던 강호필 대장이 지상작전사령관 직무대리를 수행하였는데 이후 한달 가량이 지나도 손식 대장의 증상이 호전되지 않자 더이상 임무수행이 어려울 것으로 보고 강호필 대장을 정식 지상작전사령관으로 취임시켰고 그 결과 발생한 합동참모차장 공석에 김봉수 중장을 임명한 것.[24] 사실 둘 다 진급 막힌 상황이었다. 김봉수 중장은 이미 동기 2명(손식, 강호필)이 대장 계급을 달아버린 상황인지라 대장 진급이 막힌 상태였고, 정진팔 중장은 3차 정식 진급이었으나 사실상 임기제 진급이나 마찬가지였고 심지어 군단장 보직을 못 받았다. 그 대신 받은 보직이 한직으로 악명 높은 교육사령관이었다.[25] 만약 보직이동이 없었다면 그대로 계엄사령부 부사령관으로 임명되었을 가능성이 높았을 것이다. 실제로 합참차장 후임자인 정진팔은 계엄사 부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26] 현직 대장들과의 기수를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27] 대장 인사 중 진급과 참모총장, 합참의장 인사는 국무회의 심의가 필요하다. 계엄 후 상황에서 대장 인사 관련 사실상 국무회의 심의는 어려운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