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02 14:29:14

부산TG

부산 요금소
釜山 料金所
Busan Tollgate
부산 방면
영락IC
← 0.5 km
파일:Expressway_kor_1.svg 서울 방면
노포IC
1.2 km →
파일:120431_121495_2344.jpg
다차로 하이패스 설치 이후의 부산TG[1]
주소
부산광역시 금정구 고분로 148 (두구동)
관리기관
경부선 한국도로공사 부산경남본부 서울산지사
개통
1969년 12월 1일[A]

1. 개요2. 상세3. 구조
3.1. 서울 방향(상행선)3.2. 부산 방향(하행선)
4. 역사5. 일평균 통행량6. 기타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부산광역시 금정구 두구동에 있는 경부고속도로폐쇄식 요금소[3]이다.

2. 상세

고속도로계의 레전드인 경부고속도로의 한쪽 끝을 장식하는 요금소로써 오랫동안 부산의 대표 관문 역할을 해 왔다. 그러나 너무 북쪽에 치우친 위치 덕에 통행량은 그럭저럭으로 서울 요금소처럼 큰 규모를 자랑하진 않는다. 반대쪽은 북부산 요금소서부산 요금소가 자리를 제대로 잡았으며 대구부산고속도로의 개통으로 대다수의 외지인들이 대동 요금소를 거쳐 덕천 or 백양터널을 통해 시내로 들어가는 까닭에 부산 요금소 근처에서 정체가 발생하는 일은 잘 없다.

중앙고속도로에서 중앙고속도로지선을 통해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로 환승 후 이쪽으로 시내에 진입하는 경우가 많다. 북구보다 더 북쪽에 위치한 금정구 주민들은 상당히 돌아가는 구조에도 불구하고 제일 빠른 길이며 다른 동네 주민들도 만덕터널 구간 대신 구서 - 도시고속도로 루트를 이용하는 경우가 잦기 때문. 이제는 부산외곽고속도로의 개통으로 굳이 양산까지 올라갔다 내려올 필요 없이 대감분기점을 통해 바로 올 수 있지만 그래봤자 부산 요금소 코앞에서 경부고속도로와 만나기 때문에 별 의미는 없다. 상주영천고속도로도 오픈되긴 했는데 이거 타고 오는 사람들은 예전에도 이쪽으로 많이들 진출입하는 양반들이기 때문에 역시 상관없다.
파일:0716.jpg
본디 여타 톨게이트와 똑같은 디자인이었으나 서울 요금소가 간판을 바꿔달아서 그런지 이쪽도 리모델링을 통해 부산을 상징하는 바다, 파도, 갈매기를 형상화하였다. 그러나 2019년 12월에 다차로 하이패스가 설치되면서 요금소 중앙의 양방향 3차로씩을 그냥 밀어버리면서 해당 간판도 철거되었고 분할될 두 요금소에 각각 신설 요금소에 설치되는 타원형 간판이 따로 설치되었다.

3. 구조[4]

3.1. 서울 방향(상행선)

3.2. 부산 방향(하행선)

4. 역사

5. 일평균 통행량

2015년 2016년 2017년
34,023대 35,569대 36,569대

(출처 : 한국도로공사)

6. 기타

  • 반대쪽의 서울 요금소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것과는 달리 [7] 이 요금소는 이름대로 부산광역시 관할이다.
  • 북부산 요금소보다 훨씬 북쪽에 위치해 있다. 이쪽에 톨게이트가 설치된 이후에 북부산 요금소를 만들었기 때문.
  • 과거 부산종합버스터미널이 동래구 온천동에 있었던 시절에는 모든 고속버스들&시외버스들이 죄다 이 요금소를 통과했기 때문에 교통량이 굉장히 많았고 부산 요금소답게 이름값을 제대로 했지만, 금정구 노포동으로 옮긴 이후에는 교통량이 굉장히 줄어들었다. 노포 나들목이 생긴 것도 있지만 무엇보다 부산의 북부 끝자락에 있어서 접근성도 영 좋지 않아 지금까지도 부산 시민들의 불만이 하늘을 찌를 정도. 부산종합버스터미널 문서에도 나오지만 기존 노포동 버스터미널을 폐쇄하고 대전복합터미널이나 동대구터미널처럼 부산종합버스터미널 역시 해운대구수영구에 훨씬 더 크게 만들어 최신식 시설로써 이용객들의 만족도를 최대한으로 높이고 아울러 부산의 이미지도 훨씬 더 좋아졌으면 얼마나 좋을까 하는 부산 시민들이 굉장히 많다. 심지어 서부산 거주 시민들은 사상터미널 출발 노선을 이용하거나 이마저도 여의치 않으면 마산이나 김해로 가서 환승하는 경우도 있다.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0px auto"<tablebordercolor=#3f3f7f><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3f3f7f>
파일:Expressway_kor_1.svg
}}}
{{{#!wiki style="color:#000,#0ff; margin:0px -10px -5px; min-height: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안성SA부산방향
- -
안성SA서울방향
- - - - - - - - - - - - - - - - -
1: 중앙고속도로와 중첩되는 구간2: 서산영덕고속도로와 중첩되는 구간3: 당진청주고속도로와 중첩되는 구간 }}}}}}}}}


[1] 서울TG와 달리 요금소가 두동강이 났으며, 새로 설치했던 요금소 간판도 타원형으로 양쪽에 분리 설치 되었다. 참고로 일반 차로 사이에 낑겨있는 또 다른 하이패스는 당연히 4.5톤 이상 화물차를 위한 것. 이러한 방식은 이후 김포TG 등 수도권의 본선요금소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비슷한 톨게이트로 중부내륙고속도로에 있는 칠원TG도 타원형 톨게이트다.[A] 大邱-釜山개통, 동아일보, 1969-12-29[3] 부산 방향은 개방식 구간이 시작되는데 나들목이 꼴랑 2개 있다. 그리고 반대방향인 서울 방향은 폐쇄식 구간이 시작된다.[4] 부산 시점에서 접속하는 도로 포함[A] [6] [부울경뉴스]금정구,부산 톨게이트 새 얼굴 기대하세요, 부울경뉴스, 2010-10-19[7] 1987년까지만해도 서울 요금소서초구 원지동(現 서울만남의광장휴게소)에 운영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