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81818,#e5e5e5 육군 · 해군 · 공군 · 해병대 · 우주군 | <rowcolor=#000> 초대 | 2대 | 3대 | 4대 | 5대 |
<rowcolor=#000> 6대 | 7대 | 8대 | 9대 | 10대 | |
<rowcolor=#000> 11대 | 12대 | 13대 | 14대 | 15대 | |
<rowcolor=#000> 16대 | 17대 | 18대 | 19대 | 20대 | |
<rowcolor=#000> 21대 | 22대 | 23대 | 24대 | 25대 | |
<rowcolor=#000> 26대 | 27대 | 28대 | 29대 | 30대 | |
<rowcolor=#000> 31대 | 32대 | 33대 | 34대 | 35대 | |
<colbgcolor=#003458><colcolor=#f7e400> 미합중국 초대 캐리비안 사령관 윌리스 D. 크리텐버거 Willis D. Crittenberger | |||
본명 | 윌리스 데일 크리텐버거 Willis Dale Crittenberger | ||
출생 | 1890년 12월 2일 | ||
메릴랜드주 볼티모어 | |||
사망 | 1980년 8월 4일 (향년 89세) | ||
메릴랜드주 체비체이스 | |||
묘소 | 알링턴 국립묘지 | ||
재임기간 | 초대 캐리비안 사령관 | ||
1947년 11월 ~ 1948년 6월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3458><colcolor=#f7e400> 임관 | 미국육군사관학교 | |
복무 | 미국 육군 | ||
1913년 ~ 1952년 | |||
최종 계급 | 중장 (미합중국 육군) | ||
주요 참전 | 이탈리아 전역 | ||
주요 서훈 | 육군수훈장 (2회) 동성훈장 (3회) 레지옹 도뇌르 훈장 | }}}}}}}}} |
[clearfix]
1. 개요
미국의 군인이다.2. 생애
메릴랜드주 볼티모어에서 태어났고 인디애나주 앤더슨에서 성장했다. 1913년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기병 소위로 임관했다.[1] 텍사스에 있는 제3기병연대에 배치되었고 1917년 모병 부서에 배치되어 서부전선에 참가하지 못했다.전후 기병학교 OAC, 지휘참모학교, 육군전쟁대학을 수료했으며 기계화가 진전되고 있는 제1기병연대에 배치되었다. 서부전선을 직접 겪은 기병 장교들이 주장한 기병의 전면 기계화에 동조했으며 신생기갑사단인 제1기갑사단의 참모장이 되었다. 1941년 중령으로 진급했고 전쟁이 발발하자 전시계급 대령, 얼마 안 가 준장으로 진급했다. 제1기갑군단에서 복무하던 도중 영구계급 대령으로 진급했고 제2기갑사단으로 보내졌다. 얼마 안 가 제3기갑군단으로 배치되어 루이지애나주에서 훈련을 전담했다.
연합군 최고사령관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는 노르망디 상륙 작전당시 3명의 군단장을 선정했는데 제5군단장 레너드 T. 게로, 제7군단장 로스코 B. 우드러프, 크리텐버거도 제19군단장에 선임되었으나 오마 브래들리로 인해 다른 인물로 선정되었다. 대신 제이콥 데버스는 북아프리카 전역을 마무리하고 이탈리아로 진입하기 위해 4군단장을 찾고 있었고 크리텐버거를 추천해 이탈리아 전선으로 투입되었다.
로마를 탈환했고 영국군 사령관 해럴드 알렉산더와 함께 토스카나주 인근의 추축군 방어선인 고딕선에서 치열한 전투를 펼쳤다. 기존 제1기갑사단, 제92보병사단, 제10산악사단에 제1브라질보병사단, 제6남아프리카연방기갑사단이 배속되어 1년가까이 전투를 치른 끝에 고딕선을 돌파했다. 포강인근에서 많은 독일군을 생포했고 독일이 항복하자 중장으로 진급했다.
전후 대령으로 환원되었으나 1년 만에 준장으로 진급했고 1947년부터 초대 캐리비안 사령관으로 임명되어 8개월간 임무를 수행했다. 소장으로 진급 후 제1군에서 복무하다가 1952년 중장진급을 마지막으로 브로드웨이에서 퇴역 퍼레이드를 가지고 퇴역했다.
퇴역 후 대통령이 된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를 보좌했으며 1955년부터 육군사관학교동문 대표로 선정되었다. 1980년 사망했고 알링턴 국립묘지에 안장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