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1 20:06:21

오스카 그리스월드

파일:us_army_ww2.png 제2차 세계 대전 미군 장성급 지휘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수
General of the Army / Fleet Admiral
육군
원수
조지 C. 마셜 | 더글러스 맥아더 |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 헨리 아놀드AAF
해군
원수
윌리엄 리히 | 어니스트 킹 | 체스터 니미츠 | 윌리엄 홀시
대장
General / Admiral
육군
대장
오마 브래들리 | 조지 S. 패튼 | 칼 스파츠AAF | 조나단 웨인라이트 | 조지프 스틸웰 | 월터 크루거 | 조지 케니AAF | 코트니 호지스 | 마크 클라크 | 레너드 T. 게로 | 말린 크레이그 | 브레혼 소머벨 | 존 헐
해군
대장
마크 미처 | 토머스 킨케이드 | 레이먼드 스프루언스 | 로열 잉거솔 | 홀랜드 스미스M | 알렉산더 밴더그리프트M | 리치먼드 K. 터너 | 제임스 O. 리처드슨 | 해럴드 스타크 | 헨리 켄트 휴이트 | 토머스 홀컴M | 조나스 H. 잉그램 | 러셀 R. 웨이시C 전
중장
Lieutenant general / Vice Admiral
육군
중장
레슬리 맥네어 | 존 리드 하지 | 앨버트 웨드마이어 | 매튜 B. 리지웨이 | 사이먼 B. 버크너 | 월튼 워커 | 로버트 리처드슨 | 루시안 트러스콧 | 호이트 반덴버그AAF | 루이스 H. 브레레턴AAF | 존 C. H. 리 | 윌리엄 H. 심슨 | 알렉산더 패치 | 제이콥 데버스 | 프랭크 맥스웰 앤드루스AAF| 로이드 프레덴달 | 밀러드 하먼AAF†| 델로스 에먼스AAF | 월터 베델 스미스 | 리처드 서덜랜드 | 조지 H. 브렛AAF | 트로이 H. 미들턴 | 아이라 이커AAF | 에니스 화이트헤드AAF | 조지 스트레이트마이어AAF | 존 드위트 | 휴 알로이시우스 드럼 | 해럴드 L. 조지AAF | 바니 M. 자일스AAF | 휴버트 R. 하먼AAF | 토머스 D. 화이트AAF | 네이선 트와이닝AAF | 웨이드 H. 헤이즐립 | 윌리스 D. 크리텐버거 | 제프리 키스 | 에드먼드 B. 그레고리 | 존 K. 캐넌AAF | 오스카 그리스월드 | 벤 리어 | 찰스 P. 홀 | 레이먼드 S. 매클레인 N 전 | 토머스 T. 핸디 | 루시어스 클레이 | 스탠리 던바 엠비크
해군
중장
프랭크 잭 플레처 | 제시 올덴도르프 | 윌리스 리 | 존 매케인 시니어 | 존 H. 타워스 | 줄리안 C. 스미스M| 로이 가이거M | 앨런 H. 터니지M | 드위트 클린턴 램지 | 프레더릭 C. 셔먼 | 찰스 록우드 | 로버트 C. 기펜 | 로버트 곰리 | 루이스 덴펠드 | 찰스 M. 쿠크 주니어 | 아서 L. 브리스톨 | 로스 E. 로웰M
소장
Major General / Rear Admiral
육군
소장
제임스 밴 플리트 | 모리스 로즈 | 커티스 르메이AAF | 맥스웰 테일러 | 레슬리 그로브스 | 윌리엄 F. 딘 | 클레어 셰놀트AAF·전 | 랄프 스미스 | 월터 쇼트 | J. 로턴 콜린스 | 로버트 올즈AAF | 리먼 렘니처 | 호바트 R. 게이 | 로스코 B. 우드러프 | 에드윈 F. 하딩 | 스태퍼드 리로이 어윈 | 윌리엄 J. 도너번 | 존 P. 루카스 | 에드윈 D. 패트릭| 클래런스 L. 팅커AAF† | 로버트 아이첼버거 | 찰스 윌로비 | 윌리엄 B. 킨 | 핸퍼드 맥나이더 | 폴 뉴가든 | 프랭크 캐들 마힌 | 폴 J. 뮐러 | 노먼 코타 | 어니스트 N. 하먼 | 찰스 H. 게르하르트 | 앤드루 데이비스 브루스 | 로버트 W. 해즈브룩 | 제임스 로턴 콜린스 | 존 B. 콜터 | 패트릭 헐리 | 프랭크 W. 밀번 | 앨버트 W. 월드론 | 클로비스 E. 바이어스 | 윌리엄 W. 이글스 | 윌리엄 F. 샤프 | 프랭클린 C. 시버트 | 아이작 D. 화이트 | 조지 데커 | 카터 매그루더 | 로버트 B. 매클러 | 클라크 L. 러프너 | 앤서니 맥콜리프 | 레이먼드 바턴 | 로버트 N. 영 | 윌리엄 M. 호그 | 제임스 L. 브래들리 | 클래런스 R. 휴브너 | 윌러드 G. 와이먼 | 루이스 A. 크레이그 | 찰스 H. 콜렛 | 에드워드 H. 브룩스 | 가이 V. 헨리 주니어 | 앨버트 E. 브라운 | 월터 M. 로버트슨 | 새뮤얼 E. 앤더슨 AAF | 도널드 윌슨 AAF | 테리 앨런 | 도일 히키 | 길버트 R. 쿡 | 제임스 E. 채니 | 데이비드 바 | 에드워드 알몬드 | 에드워드 P. 킹 | 조지 M. 파커 | 조지 F. 무어 | 토머스 B. 라킨 | 러셀 P. 하틀 | 프랭크 오드리스콜 헌터 AAF 전 | 헨리 오랜드 | 찰스 W. 라이더 | 아처 L. 러치 | 찰스 L. 볼트 | 알프레드 그루엔터 | 로리스 노스타드 | 아치볼드 빈센트 아널드 | 레이 바커 | 에드윈 P. 파커 주니어 | 해리 J. 맬로니 | 찰스 L. 스콧 | 브루스 매그루더 | 올랜도 워드 | 존 밀리킨 | 존 W. 레너드 | 제임스 개러시 오드 | 제이 L. 베네딕트 | 로버트 S. 바이틀러N | 레너드 F. 윙N | 존 달퀴스트 | 프레드 L. 워커 | 어니스트 J. 돌리 | 유진 M. 랜드럼 | 프랭크 메릴 | 오벌 R. 쿡 AAF | 로렌스 S. 커터 AAF | 얼 E. 파트리지 AAF | 휴 존 케이시 | 레이먼드 A. 휠러 | 루이스 A. 픽 | 고든 P. 새빌 AAF | 뮤어 S. 페어차일드 AAF | 맨튼 S. 에디 | 도널드 A. 스트로 | 호러스 L. 맥브라이드 | 윌리엄 H. H. 모리스 주니어 | 휴 J. 가피 | 존 셜리 우드 | 엘우드 리처드 케사다 AAF
해군
소장
허즈번드 킴멜 | 아이작 C. 키드 | 노먼 스콧 | 대니얼 J. 캘러헌 | 해리 슈미트M | 윌리엄 H. P. 블랜디 | 존 W. 윌콕스 주니어 | 찰스 P. 세실 | 로버트 H. 잉글리시 | 그레이브스 B. 어스킨M| 돈 P. 문 | 클리프턴 스프레이그 | 시어도어 E. 챈들러| 리틀턴 월러 주니어M | 찰스 D. 바렛M | 아서 D. 스트러블 | 르무엘 셰퍼드M | 시어도어 스타크 윌킨슨 | 윌리엄 P. 업셔M | 패트릭 N. L. 벨린저 | 제임스 H. 도일 | 헨리 M. 뮬리닉스 | 포레스트 셔먼 | 윌리엄 H. 루퍼터스M | 칼튼 H. 라이트 | 말론 티스데일 | 클리프턴 B. 케이츠M | 칼 헨리 존스 | 프랜시스 W. 록웰 | C. 터너 조이 | 윌리엄 페치텔러 | 올리버 스미스 M | 새뮤얼 L. 하워드M | 아서 래드포드 | 로버트 웹스터 캐리 | 클로드 A. 존스 | 로버트 카니 | 러셀 S. 버키 | 토머스 L. 스프레이그 | 펠릭스 스텀프 | 윌리엄 M. 캘러헌 | 프랜시스 S. 로 | 루이스 E. 우즈 M | 프랜시스 P. 멀케이 M | 시드니 사워스
준장
Brigadier general / Rear admiral (lower half)
육군
준장
마크 클라크 | 돈 프랫 | 케네스 N. 워커 | 프레더릭 워커 캐슬AAF† | 네이선 베드퍼드 포레스트 3세AAF†| 제임스 돌턴 2세 | 스톤월 잭슨 | 가이 포트| 클로디어스 이즐리 | 허버트 다그AAF| 제임스 둘리틀AAF | 찰스 키런스 주니어 | 앨런 C. 맥브라이드 | 제임스 로이 앤더슨AAF | 브라이언트 무어 | 시어도어 루스벨트 주니어 | 제임스 에드워드 워튼 | 로렌스 B. 카이저 | 노먼 슈워츠코프 시니어 | 리 S. 게로 | 찰스 H. 바스 주니어 | 하워드 녹스 래미AAF† | 헤이우드 핸셀AAF | 로버트 싱크 | 조지 A. 테일러 | 존 H. 처치 | 찰스 D. 파머 | 윌리스턴 B. 파머 | 윌리엄 H. 윌버 | 에드윈 L. 시버트 | 해럴드 휴스턴 조지AAF† | 에밋 오도넬 주니어 AAF | 윌리엄 켈리 해리슨 주니어 | 앨버트 M. 존스 | 프랜시스 윌리엄 패럴 | 윌리엄 E. 브라우어 | 루서 R. 스티븐스 | 클리퍼드 블루멀 | 클린턴 A. 피어스 | 루이스 C. 비비 | 브래드퍼드 G. 시노웨스 | 찰스 C. 드레이크 | 칼 H. 실즈 | 제임스 R. N. 위버 | 케네스 로열 | 벤저민 O. 데이비스 시니어 | 러셀 A. 윌슨AAF 전 † | 넬슨 메이시 워커 | 에드먼드 윌슨 서비전 † | 데이비스 던바 그레이브스AAF 전 † | 클라이드 D. 에들먼 | 브루스 C. 클라크 | 제이 W. 매켈비 | 아서 트루도 | 구스타프 J. 브라운 | 에이사 N. 던컨AAF † | 칼라일 H. 워시AAF † | 윌리엄 H. 터너 AAF | 리처드 E. 뉴전트전 AAF | 존 L. 매그루더
해군
준장
알레이 버크 | 해리 W. 힐 | 로렌스 A. 애버크롬비 | 메리트 에드슨M | 레이 A. 로빈슨M | 제임스 알렉산더 로건 | 로슨 H. M. 샌더슨M | 로버트 H. 페퍼M
AAF:육군 항공대, M: 해병대, N: 주방위군 C: 해안경비대
※ 문서가 있는 인물만 종전 당시 계급으로 서술
※ 윗 첨자 : 전사
※ 윗 첨자 : 전시 계급
}}}}}}}}}

오스카 그리스월드
Oscar Griswold
파일:1000044161.jpg
본명 오스카 울버턴 그리스월드
Oscar Woolverton Griswold
출생 1886년 10월 22일
미국 네바다 준주 루비밸리
사망 1959년 9월 28일 (향년 72세)
미국 콜로라도주 콜로라도 스프링스
복무 미합중국 육군
최종 계급 중장
복무 기간 1910 ~ 1947
학력 네바다 대학교중퇴
미국육군사관학교

1. 개요2. 생애

[clearfix]

1. 개요

미국의 군인.

2. 생애

네바다 준주 루비밸리에서 태어났고 네바다 대학교를 2년간 다니다가 중퇴 후 육군사관학교에 입교했다. 1910년 졸업하고 보병 소위로 임관했다.[1] 1차 대전 당시 미국 원정군 제84보병사단 소속으로 뫼즈-아르곤 공세에서 공을 세워 전시계급 중령까지 올랐다.

전후 지휘참모학교, 육군전쟁대학을 수료하고 1929년부터 전쟁부 참모로 복무했고 육군 항공단에서도 복무했다. 1939년 대령으로 진급해 제29보병연대장[2][3]으로 있었고 당시 새로 창설될 공수부대 장비 시험 연대로 포트베닝에서 공수훈련을 받고 장비를 시험했다.

1940년 준장으로 진급했고 캠프 크로프트의 보병 훈련소장으로 임명되읬다. 1941년 8월 전시계급 소장으로 진급해 제4보병사단장이 되었다가 곧이어 제4군단장으로 승진한다. 1943년 4월 그리스월드는 제14군단장으로 보직되어[4][5] 태평양 전쟁에 참전했고 뉴조지아 전역, 부건빌 전역, 필리핀 탈환전에서 일본군과 전투를 치렀고 해군수훈장을 수여받았다.

1945년 4월에 전시계급 중장으로 진급했고[6][7][8]마닐라 전투를 지휘했다. 예하 부대인 제1기병사단, 제37보병사단, 제11공수사단이 적지 않은 피해를 받았으나 마닐라를 탈환하는데 공을 세웠다. 오키나와 전투 지휘관이였던 사이먼 버크너가 전사해 더글러스 맥아더는 그리스월드를 총지휘관에 추천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전후 일본의 항복과 블랙리스트 작전이 발동되고 군단을 이끌고 혼슈 북부에 상륙, 현지의 군정책임자[9]의 잠시 지내다 곧 본토로 귀국, 본토의 근무사령부 (Service Command) 의 사령관[10] 을 중임했다.

전후 원 계급 준장으로 돌아왔으나 얼마 안 가 소장으로 진급했고 제7군을 담당하다가 1947년 중장으로 진급 후 퇴역했다. 1959년 자택에서 사망했다.


[1] 동기는 존 밀리킨, 오스카 솔버트, 에밀 F. 라인하르트, 아이라 T. 와치, 어니스트 J. 돌리, 루이스 버튼 등이 있다.[2] 제29연대는 1919년 이래로 전간기 동안 육군보병학교의 교육/시범 부대의 역할을 맡아 신규 교리를 실험하고, 보병학교 입소생들을 훈련시켰고 미군의 초기 공수부대가 창설될 때 기간장병을 제공했다. 2차대전과 한국전쟁에서 전투부대로 잠시 전환해 유럽과 한국에 파병되어 참전했지만 2024년 현재까지의 나머지 역사에선 여전히 보병학교의 교육부대로 기능 중이다.[3] 당시 제임스 밴플리트 (중령) 가 휘하 대대장으로 있었고 그리스월드와의 친분이 깊었는지 먼 훗날 한국전쟁 후반인 1953년 연초에 밴플리트 (대장) 가 퇴역을 위해 본토로 복귀했을 때 서로 만나서 담회를 나누는 모습의 사진이 구글링에 있다.[4] 당시 태평양 전선에 먼저 배치된 2개의 육군 군단 중 하나로 남태평양해역군 (헐시 제독) 에 배속된 부대였다. 다른 1개는 맥아더의 남서태평양 해역군의 휘하로 있던 제1군단 (아이켈버거)이다. 당시에 태평양의 타 권역 (Ex: 하와이) 에도 복수의 사단이 포진했으나 지역 사령부에서 직할로 통제했다.[5] 전임자가 과달카날 전투를 지휘한 알렉산더 패치 소장으로 건강문제로 본토로 소환되어 잠시 요양 후 제4군단장으로 44년 봄까지 지낸다. 즉 두 사람은 보직을 맞교환했다.[6] 1945년 시점에서 태평양 전선의 현직 군단장 (제1, 9, 10, 11, 14, 24군단) 들 중 가장 먼저 3성장군이 되었다. 2차대전과 한국전쟁에서 미 육군 중장은 기본적으로 야전군 사령관에 임명될 수 있는 계급이고 (전간기엔 미군의 육군중장 계급이 사문화된 상태였고 1차대전 이후 야전군의 상설화가 1930년대부터 기능해서 소장이 맡다가 2차대전 발발부터 중장급이 담당) 군단장은 대개 소장의 2, 3차 보직으로 대개 사단장을 재임, 중임한 고참 소장이 보직 승진으로 임명될 수 있었다. 2차대전 말기부터 주요 지휘관들의 일부가 그간 쌓아온 전공과 위상을 감안해 포상 차원에서 보직을 유지하면서 1계급 씩 진급한 면이 있지만 진급한 계급에 걸맞는 역할과 책임을 할 수 있음이 참작한 면도 있었고 적정 계급의 상향화가 현재까지 이뤄졌다.[7] 한국 전쟁에서 야전군 사령관은 워커를 제외한 리지웨이, 밴플리트와 테일러는 중장 계급에서 임명되어 한국 현지에서 대장으로 진급했고, 군단장들은 임명 시점에선 소장이나 한국에서 중장으로 진급한 사례가 일부 있었고 전쟁 이후 중장급의 고정보직으로 되었다. 냉전기엔 제7군, 제8군 같은 해외에 파병된 야전군들이 미 육군의 전구 사령부와 일체화되어 대장급이 겸임했으나 냉전 종식 후 군축 및 분리개편과 역할 감소 등으로 지휘관이 중장급으로 격하됐다. (현재 야전군으로 존재하는건 미국 본토의 제1군과 한국의 제8군으로 다른 야전군들은 각 전구의 육군 사령부와 육군의 기타 고위 사령부에 일체화 된 상태로 부대의 역사 상으로 계승된 후신 격 조직으로 인식 중이다.) - 걸프전에서 슈워츠코프는 중부사령관으로 본래 전구 지휘를 담당했지만 지상 영역에서 지휘권을 많이 행사해서 그의 활약에 대해 매스컴을 탔으나 미군의 지휘체계 상으로 미군 중부사령부의 지상군 사령부와 일체화 된 미 육군 제3군이 있었고 지휘관 (중부사령부의 육군 사령관)으로 중장 1명이 따로 있었고 그는 현지에 배치된 2개 군단장 (제7군단, 제18공수군단) 의 상급자였다.[8] 그리스월드는 현지의 군단장 중 경력과 활약상으로도 제일 고참이었기 때문에(태평양 전선에서 맥아더 아래로 배치된 미 육군의 고위 야전지휘관들 중 배치 시기와 연공서열 둘 다 3위로, 1위는 월터 크루거 (대장/제6군 사령관, 전구 부임 시점은 1943년 3월), 2위는 로버트 아이첼버거 (중장/제8군 사령관, 전구 부임 시점은 1942년 8월) 이다.)후술되듯이 차기 야전군 사령관 후보로 인식되었다.[9] 1945년 10월 경의 모습으로 아이켈버거와 함께 아오모리 현에 진주한 제81보병사단을 시찰하는 영상이 유튜브에 있다. https://youtu.be/zNjyWUkPMc4?si=FzWTLpMGjPCzFFZJ[10] 전간기 시절 존재한 육군의 군단 관구(Corps Area)를 승계한 체계로 2차대전 중엔 육군 근무군 사령부(Army Service Forces) 의 예하부대로 미 본토를 9개의 구역으로 나눠 구역별 행정/보급을 총괄한 지역별 본부 (군단급) 였다.